KR910006944B1 -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44B1
KR910006944B1 KR1019880012227A KR880012227A KR910006944B1 KR 910006944 B1 KR910006944 B1 KR 910006944B1 KR 1019880012227 A KR1019880012227 A KR 1019880012227A KR 880012227 A KR880012227 A KR 880012227A KR 910006944 B1 KR910006944 B1 KR 91000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ten metal
rod
supply
suppl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796A (ko
Inventor
사다유키 다노우라
Original Assignee
우베고산 가부시기가이샤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663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86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63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86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426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9355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366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86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63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07953A/ja
Application filed by 우베고산 가부시기가이샤, 야스오 filed Critical 우베고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8Cold chamber machines, i.e. with unheated press chamber into which molten metal is la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2,3 및 4도는 제1도의 주조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주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주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요부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주조장치의 요부의 확대도.
제12,13 및 14도는 제10도의 주조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주조장치의 요부의 확대도.
제17, 18, 19 및 20도는 제15도의 주조장치의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성형장치 12 : 주입장치
14 : 고정부재 16 : 고정형 주형
18 : 가동부재 20 : 가동형 주형
22 : 너트 24 : 컬럼
26 : 주형공동 28 : 탕도
30 : 비스키트(biscuit) 34, 35A : 실린더 보어
38, 38A : 왕복피스톤 40, 40A : 피스톤 로드
42 : 공급로드 42A : 폐쇄로드
본 발명은 용탕의 사출이 수반되는 다이캐스팅 장치와 같은 주조장치, 특히 용탕공급장치를 구비한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장치와 같은 주조장치에 있어서, 용탕은 주입 설비로부터 주형설비의 비스킷(biscuit)과 탕도(runner)를 통해 주형공동내로 공급된다.
압력저항제품의 성형의 경우, 용탕 주입후에 공급로드를 직접 공동(cavity)내로 전진시켜 공급효과(feeding effect)를 달성한다. 이러한 공급효과는 또한 외측팁과 내측팁으로 구성된 이중구조의 주입 플런저팁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다이캐스팅 장치는 일본국 특허 공보 제59-13942호, 제58-55858호, 제59-30503호, 제60-2947호, 제44-31325호, 제47-18975호, 제51-34809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44-29055호에 기재되어 있다.
공동이 공급로드에 의해 직접 가압되는 경우, 공급로드의 이동에 따라 주입 플런저가 후방으로 압압되어 공급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데, 이는 공동내의 용탕이 아직 완전히 응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공동을 직접 가압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 용탕이 응고하여 상당히 힘을 가하더라도 공급로드를 전진시킬 수가 없게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물이 훼손되어 결함이 발생한다.
반면에 공동을 직접 가압하는 경우에는 주조작업의 개시시점의 주형이 비교적 저온상태일 때와 수차례의 주조작업을 진행한 후 주형이 비교적 고온상태일 때에는 공급로드의 전지개시 시간을 각기 다르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게되면 공동을 직접 가압하는 공급로드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의 작동방법이 매우 복잡해져서 안정된 주조작업을 실시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공동을 직접 가압하기 위한 공급 로드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성형제품이 공급로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압됨으로써 통상의 경우보다 더한층 기계가공해줄 필요가 있게 된다.
반면에, 내측팁과 외측팁으로 구성된 이중구조의 플런저팁에 의해 공급효과를 얻게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용탕을 주입한 후의 초기단계에서 내측팁이 돌출되는 경우에는 외측팁이 후퇴하여 공급효과를 얻을 수 없는데, 이는 용탕이 완전히 응고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더구나 상기 내측팁이 외측팁의 내면상에서 활주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팁은 고착방지를 위해 충분히 냉각시켜 주어야 한다. 이 냉각부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플런저팁의 직경, 따라서 주입실린더의 직경을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켜 주어야 하므로 장치의 제작비가 쓸데없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주형의 공동을 가압해주기 위해 용탕 주입후에 공동 또는 탕도를 공급로드를 이용하여 가압해줌으로써 공급효과를 얻는 주조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실린더 기구는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공급로드를 전진후퇴시켜주게 된다.
종래기술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고정부재상에 고정형 주형을 장착할 경우 용탕공급로드가 방해가 되었었다. 따라서 공급로드 자체를 분해하거나 공급로드 조립체와 공급장치를 분해한 다음 주형 장착후에 재조립해야 했다. 이에따라 주형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주조장치의 생산성이 감소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형내의 용탕의 상태에 무관하게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양질의 제품을 주조할 수 있는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주형 공동, 탕도 및 비스키트(biscuit) 내의 응고 금속이 일체로 형성되어 응고된 금속을 주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공급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성형제품의 외측부가 되므로 결함이 없는 제품을 주조할 수 있는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저압으로 작동할 수 있어 공급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충전하기만 되므로, 이에 따라 제작비가 저렴하게 드는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공급로드를 고정부재내로 후퇴시킬 수 있고, 고정주형을 고정부재에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주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작업효율이 상당히 개선된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는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을 구비한 주형과 상기 공동내로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 및 비스키트; 상기 탕도로부터 상기 비스키트를 통해 상기 공동내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비스키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설비; 상기 탕도내로부터 상기 비스키트를 통해 상기 공동내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비스키트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설비;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돌출되도록 상기 주형에 설치된 공급로드 및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설비 및 상기 비스키트와 탕도 사이의 연통상태/비연통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연통상태일 경우에는 용탕을 상기 비스키트로부터 탕도로 유동시키고 비연통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탕도로부터 비스키트쪽으로 용탕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있어서, 상기 공동에 용탕이 충전되면 밸브수단에 의해 상기 탕도와 공동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하고, 공급로드를 탕도내로 진입시켜 공급효과를 얻게된다. 이 경우, 탕도와 공동 사이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탕도내의 용탕이 비스키트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공동내의 충분한 공급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연통상태 및 비연통 상태를 선택하는 장치는 탕도내의 비스키트내로 자유롭게 전진 후퇴시킬 수 있는 차단로드 및 상기 차단로드가 돌출된 경우에 상기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해주고 상기 차단로드가 후퇴된 경우에 상기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를 연통상태가 되도록 상기 차단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로드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 후퇴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는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을 구비한 주형 및 이 주형내에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와 비스키트; 상기 비스키트를 통해 상기 탕도로부터 상기 주형 공동내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비스키트내에 운동가능하게 장착된 설비 및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주형에 설치한 공급로드 및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공급로드는 상기 탕도의 연통구와 공동 사이의 연통 상태를 항상 폐쇄하도록, 그리고 상기 연통구와 공급로드 사이에 0.5-5mm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위의 실시예의 주조장치에 있어서, 용탕은 비스키트와 탕도를 통해 주형공동내에 충만되어지며, 이때 비스키트와 탕도의 연통 상태는 공급로드가 폐쇄상태에서 소정의 틈새(d)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통구 내의 용탕의 열이 공급로드에 의해 탈취됨으로써 용탕은 신속하게 응고된다. 따라서, 용탕 주입 직후에서 조차도 상기 연통구는 응고된 금속에 의해 막히게 된다.
용탕 주입후에 상기 공급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탕도내의 용탕은 비스키트내로 역류할 수 없게되므로 주형내의 용탕의 상태에 무관하게 주형공동에 충분한 공급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 응고된 금속은 공동과 탕도내 그리고 비스키트내로 양분되어 존재하므로 응고된 금속을 하나의 발출장치를 이용하여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틈새(d)가 5mm 이상인 경우는 공급로드가 연통구로부터 지나치게 이격된 상태로서 연통구 근방의 용탕이 신속하게 응고되지 않고, 이에 따라 공급로드를 탕도내로 이동시키더라도 탕도내의 용탕은 연통구로부터 비스키트로 유동하여 공급효과는 불충분해진다.
반대로 상기한 틈새(d)가 0.5mm 이하이면 비스키트로부터 탕도로 유동하는 용탕의 유동저항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용탕 주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며, 응고된 금속의 회수에도 어려움이 있게된다.
특히, 주형내에서 응고된 제품은 가동형 주형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 발출장치에 의해 발출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틈새(d)가 0.5mm 이하이면 공동과 탕도내의 응고금속과 비스키트내의 응고금속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비스키트내의 응고금속은 제거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틈새(d)가 0.5mm 이하인 경우에는 비스키트내의 응고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발출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주조장치의 제작비가 고가로 되고, 또한 응고금속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중의 작업을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주조장치는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을 구비한 주형 및 이 주형내에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의 비스키트; 이 비스키트를 위해 상기 탕도로부터 공통내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비스키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설비 및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주형에 설치한 공급로드 및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설비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공급로드와 상기 수단은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탕도내에 돌출되었을 때 상기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해 준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로드의 상부측에는 그 선단부를 향해 경사를 이룬 수납면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주조장치에 있어서, 주형 공동내의 용탕이 충전된 후 공급로드가 전진된 상태이면 탕도와 공동 사이의 연통상태는 차단되고, 그 결과 탕도내의 용탕이 비스키트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형 공동내에 충분한 공급효과가 얻어진다.
공급로드상에 형성된 경사면의 수직면은 주형 공동을 향하므로 공급로드가 전진한 상태에서 주형 공동내에 높은 공급압력이 가해지고, 따라서 조형 공동내의 용탕에 높은 공급 효과를 주게된다. 다시말하면, 공급로드의 경사면의 전진은 전진 압력의 분압이 되고 그 압력은 상기 경사면에 수직하게 미치므로 주형 공동내에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의 주조장치에 있어서, 주형은 고정형 주형과 이 고정형 주형과 짝을 이루는 가동형 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형 주형과 가동형 주형이 결합되어 짝을 이루었을 때 이들 사이에서 공동, 탕도 및 비스키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탕공급장치는 주입 실린더에 의해 왕복되는 플런저팁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슬리브로 구성되며, 여기서 용탕은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주형내로 주입된다. 또한, 상기 공급로드는 유압실린더 기구에 의해 왕복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급로드는 고정형 주형에 설치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성형제품 이외의 부분이 공급로드에 의해 가압되므로 성형제품 자체에는 결함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주입 실린더와 같은 주입장치에는 공급효과를 부여할 필요가 없고, 공동부에 용탕을 주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낮은 주입 압력으로도 주조가 가능하며, 따라서 주조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2가지 실시예 또는 3가지 실시예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장치는 고정형 주형과 이 고정형 주형과 결합하여 용탕이 주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형 주형; 상기 고정형 주형이 장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가동형 주형이 장착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형 주형과 고정형 주형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상기 가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고정형 주형을 통해 연장 배치되고 상기 용탕 공간내로 돌출될 수 있는 공급로드; 및 기 공급로드를 상기 고정부재내로 후퇴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로드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는 상기 고정부재내에 설치된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공급로드의 전진 후퇴장치에는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부재내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주형내에 연결되는 부재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고정형 주형이 상기 전진 후퇴 수단과 독립적으로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공급로드의 전진 후퇴 수단에는 공급로드가 고정부재내로 후퇴한 상태에서 고정형 주형에 연결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후퇴 상태에서 고정형 주형은 고정부재와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조장치에 있어서, 공급로드는 주형이 결합 또는 분리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고정부재의 주형 장착면내에 수용될 수 있다. 주형이 장착된 후의 용탕공급작업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실린더 장치에 의해 공급로드를 주조공간내로 추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형 주형과 고정부재와의 착탈작업은 매우 신속하도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급로드의 전진후퇴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실린더보어 및 이 실린더 보어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로드의 전진 후퇴장치는 다중 실린더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 실린더 기구에 의해 상기 공급로드는 3가지 서로 다른 위치(즉,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주형공간내로 돌출한 위치,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형 주형내로 후퇴한 위치 및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부재내로 후퇴한 위치)에서 전진 후퇴운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급로드는 용탕 공간내의 탕도내로 돌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조장치는 상기 용탕 공간내로 용량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를 또한 포함한다.
위의 용탕공급장치는 주입실린더에 의해 왕복운동하도록 된 플런저팁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자재하게 삽입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용탕은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주형내로 주입된다.
상기 공급로드의 전진 후퇴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 이 실린더 보어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로드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적절한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후퇴한계를 조절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 피스톤의 후퇴한계를 조절하는 기구는 상기 고정부재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연장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보어를 구비한 헤드 커버(head cover) 및 상기 헤드커버의 내측 나사와 맞물리는 외측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상에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삽입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헤드 커버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퇴한계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이 조절부재는 그 돌출부가 선회한 경우 상기 내측나사와 외측나사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진이동하여 상기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 위치에서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피스톤의 접촉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후퇴한계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로서, 본 주조장치는 크게 성형장치(10)과 주입장치(12)로 구성되어 있다. 성형장치(10)에는 고정부재(14)에 유지되는 고정형 주형(16)과 가동부재(18)에 유지되는 가동형 주형(20)이 장착된다. 고정부재(14)에는 칼럼(24)가 너트(22)를 통해 장착되어 있으며, 가동부재(18)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토글기구(toggle mechanism)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컬럼(24)를 따라 고정부재(14)에 대해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형 주형(16)과 가동형 주형(20)의 대향면 상에는 공동부(26), 탕도(28) 및 비스키트(3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형 주형(16)에는 실린더 보어(34),(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곳에 왕복피스톤(38),(3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38),(38A)에는 피스톤 로드(40),(40A)를 통해 각각 공급로드(42) 및 폐쇄로드(42A)가 연결되며, 공급로드(42) 및 폐쇄로드(42A)는 탕도(28)내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폐쇄로드(42A)가 돌출되면 비스킷(30)에 연통하는 탕도(28)이 차단된다.
성형장치(10)은 장치의 기부(machine base)(44)상에 설치되며, 또한 이 기부는 지면(46)을 파서 형성한 만입부(48)에 걸쳐 배치된다.
주입장치(12)는 상기 만입부(48)내에 설치된다. 상기 주입장치(12)는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을 향해 주입실린더(50), 블록(52) 및 슬리브(54)의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다. 주입실린더(50)은 만입부(48)의 바닥에 고정된시이트(seat)(56)상에 핀(58)을 통해 힌지 이음되어 있고, 이에 따라 주입실린더(50)의 상단부는 핀(58)상에서 피봇운동이 가능하다. 주입실린더(50)내에는 왕복피스톤(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왕복 피스톤(60)에는 그로부터 상향연장된 로드(62)가 연결되어 있다. 블록(52)에는 도킹 램(docking ram)(66)이 삽입되는 수직연장된 실린더 보어(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킹 램의 하단부는 주입 실린더(50)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플랜지에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54)는 연결부재(68)을 통해 블록(52)의 상부측에 연결되며, 슬리브의 상단부는 주입장치(10)의 비스키트(30)의 하단부에 끼워맞춰진다. 슬리브(54)내에는 플런저(72)에 연결된 플런저팁(tip)(70)이 활주가능하게 설치되고, 플런저(72)의 하단부는 커플링(73)을 통해 로드(62)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만입부(48)의 측벽에는 피봇운동이 가능한 실린더(74)가 시이트(76) 및 핀(78)을 통해 힌지 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74)내에는 로드(82)에 연결된 피스톤(8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82)의 선단부는 커플링(84)와 핀(86)을 통해 주입 실린더(50)의 플랜지(69)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하,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하여 상기 주조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실린더 보어(64)로부터 유압이 제거되면 블록(52)는 하강하여 실린더(50)상에 내려 앉는다. 한편, 주입실린더(50)의 정부측 단부상에 인가되던 유압이 제거되면 피스톤(60)은 플런저팁(70)과 함께 최하단부까지 하강한다. 이 위치에서 실린더(74)의 로드(82)가 돌출하게 되면 주입장치(12)는 완전히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용탕은 슬리브(54)내로 주입된다.
이어서, 실린더(74)의 로드(82)를 후퇴시키면 주입장치(12)는 최초의 수직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다음에, 블록(52)의 실린더보어(64)내로 유압을 도입하여 도킹 램(66)을 돌출시키면 블록(52)가 상승하고, 이에따라 슬리브(54)는 성형장치(10)의 비스킷(30)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주입 실린더(50)의 정부측 단부상에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60)을 상승시키면, 플런저팁(70)이 상승하여 슬리브(54)내의 용탕을 비스키트(30) 및 탕도(28)을 통해 주형 공동(26)내로 밀어올리게 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26)내에 용탕이 충전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34)의 정부측 단부상의 측방향 격실(side chamber)내로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38A)와 이에 연결된 폐쇄로드(42A)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한다. 다음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34)의 정부측 단부상의 측방향 격실내로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38)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피스톤(38)에 연결된 공급로드(42)를 탕도(28)내로 돌출시킨다. 탕도(28)이 폐쇄로드(42A)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공급로드(42)의 압력은 공동(26)내로 완전히 전달되어 신뢰성 있는 주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공동(26)내의 용탕이 완전히 응고된 후에는 상기 가동부재를 후퇴시켜 주형을 개방시킨 다음, 가동형 주형(20)에 설치된 주물발출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성형된 주물을 회수한다.
주형의 개방전에 피스톤(60), 블록(52) 등은 그 하단부까지 하강시켜 다음 주조작업에 대비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폐쇄로드(42A)가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나, 차단수단으로서는 기타의 여러가지 밸브 매카니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제6도는 그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형 주형(16)에는 피스톤(38)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보어(34)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38)은 피스톤 로드(40)을 통해 공급로드(4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공급로드(42)는 탕도(28)내로 돌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급로드(42)는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구(43)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공급로드가 돌출된 위치이든 후퇴한 위치든 관계없이 연통구(43)과 공급로드(42)사이에 0.5-5mm의 틈새(d) 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외의 구조는 제1도와 제2도의 구조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분에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사용한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주조장치에 있어서 공동(26)내의 용탕은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입되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공동부 내의 용탕의 공급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공동(26)이 완전히 충전되면 실린더 보어(34)의 정부측 단부상의 격실내로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38)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공급로드(4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구(43)은 공급로드(4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그리고 소정의 틈새(d)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연통구(43)의 용탕의 열이 공급로드(42)로 전달되므로 용탕은 급속히 응고된다. 그 결과 연통구(43)은 용탕 주입직후의 응고된 금속에 의해 폐쇄된다.
용탕의 주입후에 공급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공급로드(42)가 탕도(28)내에 고착됨으로써 공급로드(42)로부터의 압력이 완전히 공동(26)내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공동(26)내의 용탕이 완전히 응고되면 가동부재(18)을 후퇴시켜 주형을 개방시킨 다음, 가동형 주형(20)에 설치되어 있는 주물 발출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성형된 주물을 회수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이고, 제8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이다.
고정형 주형(16)내에는 피스톤(38)이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 보어(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8)은 피스톤 로드(40)을 통해 공급로드(4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공급로드는 탕도(28)내로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공급로드(42)가 돌출되면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구가 폐쇄된다. 또한, 공급로드(42)의 상부면에는 그 선단부를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하향 경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조는 제1,2도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주조장치에 있어서 공동(26)내의 용탕은 제1,2도의 주조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되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공동내의 용탕의 공급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공동(26)내에 용탕이 완전히 충전되면 실린더 보어(34)의 정부측 단부상의 격실내에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38)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공급로드(4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탕도(28)과 비스키트(30) 사이의 연통구를 차단시킨다. 피스톤(38)을 더욱 이동시키면 공급로드(42)는 탕도(28)내로 더욱 깊숙히 진입한다. 탕도(28)내의 용탕에 의해 공급로드(42)가 고착되므로 공급로드(42)로부터의 압력이 완전히 공동(26)내로 전달됨으로써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로드(42)의 상부면 상에는 공동(26)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하향경사부(4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급로드(42)가 전진하게 되면 공동(26)쪽으로 고압의 공급압력이 가해져서 효과적으로 용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공동(26)내의 용탕이 완전히 응고되면 가동부재(18)을 후퇴시켜 주형을 개방한 다음, 가동부재(20)상에 설치되어 있는 주물발출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성형된 주물을 회수한다.
제7도 및 제8도의 실시예의 공급로드(42)에는 하향경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로드는 용탕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으면 그 역할은 만족되는 것이며, 또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를 두지 않을 수도 있다. 제9도의 나머지 부분은 제8도와 동일하다.
위의 모든 실시예의 주조장치는 수평 클램핑(horizontal clamping) 주형으로서의 수직의 주조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조장치는 그밖의 여러가지 주형 및 주입장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제11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이며, 제12 내지 14도는 작동 설명도이다.
고정부재(10)에는 다중실린더 장치(9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급로드(42)는 탕도(28)내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장치(90)은 대형실린더 보어(92), 중형실린더 보어(94) 및 소형실린더 보어(96)으로 구성된 실린더 보어; 대직경의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 중간직경 피스톤(100) 및 유체회로(102)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은 대직경의 피스톤(98A)와 소직경의 실린더(98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98A)는 대직경 실린더보어(92)의 내면상에서 활주운동하게 되며, 실린더(98B)는 중간직경 실린더 보어(94)의 내면상에서 활주운동한다.
한편, 공급피스톤(100)은 대직경 피스톤(100A)와 소직경 플런저(100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100A)는 중간 직경의 실린더 보어의 내면상에서 활주운동하게 되며, 플런저(100B)는 소직경 실린더 보어(96)의 내면상에서 활주운동한다.
참조번호(104)로 표시한 것은 고정형 주형(16)에 형성된 공급로드(42)의 보어로서, 이 보어(104)는 공급피스톤(100)의 돌출을 수용하기 위해 참조번호(106)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측면상에서 확대되어 있다. 참조번호(108)은 공급로드(42)와 공급피스톤(1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연결부재(108)의 양단부에는 숫나사(110)(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공급로드(42)의 말단부의 암나사(114)와 공급피스톤(100)의 선단부의 암나사(116)에 각각 결합된다. 참조번호(118)은 실린더 보어(92)에 끼워지는 캡으로서, 이 캡(118)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20)은 고정부재(10)에 형성된 스텝(step)(122)와 맞물리고, 볼트(12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캡(118)에는 중앙 보어(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당김로드(pull rod)(128)이 삽입된다. 상기 당김로드(128)의 선단부는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의 중앙보어(129)내에 활주자재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당김로드(128)의 선단부는 축소부(13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축소부(130)은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의 선단부 벽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32)내로 삽입된다. 당김로드(128)의 최선단부에는 공급피스톤(100)의 말단부에 형성된 암나사(136)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13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의 주위에는 U-패킹(U-packing)(98a)가 끼워지며, 공급피스톤(100)의 주위에는 O-링(100a)와 U-패킹이 끼워진다. 캡(108)의 중앙보어(126)의 내주면에는 O-링(108a)와 U-패킹(108b)가 끼워지며, 캡(108)의 외주면에는 O-링(108c)가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유체회로(10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대직경 피스톤 보어(92)의 최내측부에는 유압개구(140)이 형성되어 있고, 캡(118)의 측부에는 유압개구(1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직경 실린더 보어(94)의 최내측에는 유압개구(1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 보어(94)의 중간 지점에는 유압개구(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유압개구(146)은 상기 공급로드(42)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 주형(16)의 보어(104)내로 후퇴했을때 공급피스톤(100)의 말단부와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유압개구(144)(146)은 각각 유압라인(148)(150)을 통해 4방향 전자기 밸브(152)에 연결된다. 이 4방향 전자기 밸브는 양단부에 솔레노이드(152a)(152b)를 구비하고 중심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펌프 클로즈드 센터타이프(pump-closed center type)의 4개구 3위치 변환밸브이다. 4방향 밸브(152)는 라인(154)를 통해 유압펌프(156)에 연결되고, 라인(158)을 통해 오일탱크(160)에 연결된다. 펌프(156)에는 구동 모터(162)가 설치되어 있고, 이 펌프는 라인(164)를 통해 오일탱크(166)에 연결된다.
유압라인(148),(150)사이에는 셔틀밸브(shuttle valve)(168)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셔틀밸브(168)의 각 유입구는 유압라인(148),(150)에 연결되어 있다. 셔틀밸브(168)의 유출구는 라인(170)을 통해 전술한 유압개구(142)에 연결된다. 안전밸브(relief valve)(172)는 라인(171)을 통해 유압라인(170)의 중간지점에 연결된다. 참조번호(174)는 오일탱크를 표시한다.
유압개구(140)은 유압라인(170), 4방향 전자기 밸브(178) 및 유압라인(180)을 통해 유압펌프(156)에 연결된다. 상기 4방향 전자기 밸브(178)은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가진 스프링 옵세트 4개구 2위치 변환밸브이다. 안전밸브(182)는 라인(181)을 통해 라인(180)의 중간에 연결된다. 참조번호(184),(186)은 각각 오일탱크를 나타낸다. 그밖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주조장치의 구성과 일치한다.
이하에서는 위의 주조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실린더 보어(64)의 내측에서 유압이 제거되면 블록(52)는 하강하여 주입실린더(50)상에 내려 앉는다. 한편, 실린더(50)의 정부측 단부상에 유압이 가해지면 피스톤(60)이 그 최하단까지 하강되고, 플런저팁(70)도 또한 그 최하단까지 하강된다. 이 상태에서 경사가능한 실린더(74)의 로드(82)가 돌출되면 주입장치(12)는 완전히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용탕은 슬리브(54)내로 주입된다.
이어서, 실린더(74)의 로드(82)를 후퇴시켜 주입장치(12)를 수직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블록(52)의 실린더 보어(64)내에 유압을 도입시켜 도킹램(66)을 돌출시킨다. 이 결과, 블록(52)가 상승하여 슬리브(54)를 성형장치(10)의 비스키트(30)내에 삽입시키게 된다.
다음에, 주입실린더(50)의 정부측 단부상의 격실내에 유압을 도입하여 피스톤(60)을 상승시키면 플런저팁(70)이 상승하여 슬리브(54)내의 용탕을 비스키트(30) 및 탕도(28)을 통해 주형 공동(26)내로 도입시키게 된다.
주형의 공동(26)에 용탕이 완전히 충전되면 다중실린더 기구(90)을 작동시켜 공급로드(42)를 전진시킴에 의해 공급효과를 얻는다.
공동(26)내의 용탕이 완전히 응고된 후에는 가동부재(18)을 후퇴시켜 개방시키고, 가동형 주형(20)에 장착된 제품발출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회수한다.
또한, 주형 개방 전에 피스톤(60)과 블록(52)를 그 최하단까지 하강시켜 다음의 주조작업에 대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다중 실린더 장치(90)과 유압회로(102)에 대해 설명한다.
제11도에서와 같이 4방향 전자기 밸브(152)의 솔레노이드(152a)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라인(154),(150)사이가 연통되어 유압펌프(156)으로부터 유압개구(146)을 통해 실린더 보어(94)내로 유압이 도입되어 공급피스톤(1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공급로드(42)는 탕도(28)내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유압라인(150)이 유압라인(148)보다 고압이 되므로 셔틀밸브(168)에 의해 유압라인(150),(170)이 연통상태가 되며, 이에 의해 유압펌프(156)의 유압은 유압 개구(142)를 통해 실린더 보어(92)로 도입되어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을 도면의 좌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최좌단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4방향 전자기 밸브(152)의 솔레노이드(152b)에 전류가 가해지면 공급로드(42)가 그 공급상태로부터 후퇴하여 고정형 주형(16)내로 들어간다. 그 결과, 유압라인(148),(154)사이가 연통 상태가 되고 유압개구(144)로부터 유압펌프(156)의 유압이 실린더 보어(94)내로 도입된다. 이 유압은 공급 피스톤(100)의 피스톤(100A)를 도면상의 우측으로 가압하여 공급로드(42)를 고정형 주형(16)의 보어(104)내로 후퇴시킨다. 이때, 피스톤(100A)의 우측 격실내의 유압은 유압개구(146) 및 유압라인(150),(158)을 통해 오일탱크(160)으로 도입된다. 또한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유압라인(148)은 유압라인(150)보다 고압상태이므로 유입라인(148)의 유압은 셔틀밸브(168), 유압라인(170) 및 유압개구(142)를 통해 실린더 보어(92)로 도입되어 공급로드 결합피스톤(98)을 도면상의 좌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은 그 최좌단위치에 유지된다.
고정형 주형(16)을 고정부재(14)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공급로드(42)는 고정부재(14)내로 후퇴시킨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로드를 후퇴시키기 위해서는 4방향 전자기 밸브(176)에 전류가 가하여 유압라인(176),(180)사이를 연통 상태로 하며, 한편 4방향 전자기 밸브(152)는 솔레노이드(152)(152b)의 전류를 차단한다. 다음에 유압펌프(156)의 유압을 유압개구(140)을 통해 실린더 보어(92)내로 도입하여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의 피스톤(98A)를 전진시키고, 이에 의해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이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결합피스톤(98)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당김로드(128)도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공급로드 결합 피스톤(98)에 의해 당겨져서(pulled), 당김로드(128)의 선단부에 연결된 공급피스톤(100)도 역시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공급로드(42)는 제13도의 위치에서부터 우측으로 더욱 이동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또는 실린더 보어(96)]내로 후퇴한다. 따라서, 공급로드(42)는 고정부재(14)내로 완전히 후퇴함으로써 고정형 주형(16)의 착탈작업을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조장치의 종단면도이고, 제16도는 그 요부의 확대도이고, 제17 내지 20도는 상기 주조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고정부재(14)에는 공급로드(42)를 탕도(28)내로 전진 후퇴시키는 실린더 장치(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190)은 대직경의 실린더 보어(192)를 가지는 헤드 커버(191); 상기 실린더 보어(192)와 동심으로 고정부재(14)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중간 직경의 실린더 보어(194)와 소직경의 실린더 보어(196); 공급피스톤(200)의 후퇴한계를 조절하기 위한 후퇴한계 조절부재(이하, 간단히 "조절부재"라 함); 공급피스톤(200); 및 유압회로(20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실린더 보어(192)의 내주면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재(198)에는 컬럼부(198A)와 너트부(19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너트부(198B)는 컬럼부(198A)의 외주면으로부터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주면상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198B)는 실린더 보어(192)의 내부면상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결합되므로 조절부재(198)은 이 조절부재를 그 축선상에서 전후방으로 선회시킴에 의해 실린더 보어(192)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공급피스톤(200)은 대직경 피스톤부(200A)와 소직경 플런저부(200B)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부(200A)는 중간직경의 실린더 보어(194)의 내부면상에서 활주운동하고, 플런저부(200B)는 소직경 실린더 보어(196)의 내부면 상에서 활주운동한다.
참조번호(204)는 고정형 주형(16)에 형성된 공급로드(42)의 보어이다. 보어(204)는 고정부재(14)의 측부에서 참조번호(206)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확대되어 공급피스톤(200)의 돌출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208)은 공급로드(42)와 공급피스톤(2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로서, 이 연결체(208)의 양단부에는 외측나사(210),(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나사는 각각 공급로드(42)의 말단부에 형성된 내측나사(214)와 공급피스톤(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내측나사(216)에 나사결합된다.
헤드커버(191)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14)에 형성된 스텝(222)와 맛물리는 플랜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커버(191)은 플랜지(220)을 통해 연장된 볼트(224)에 의해 고정부재(14)에 고정된다. 헤드커버(191)에는 조절부재(198)의 컬럼부(198A)가 삽입되는 중앙보어(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컬럼부는 조절부재(198)을 회전시키는 작동축을 구성하며, 그 일단부는 중앙보어(226)을 통해 실린더 보어(192)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컬럼부(198A)에는 고정너트(227)이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컬럼부(198A)에는 안내로드(228)이 삽입된다. 이 안내로드(228)의 선단부는 조절부재(198)의 보어내에 끼워지는 로드지지부(198C)의 중간보어(229)내로 활주가능하게 삽입된다. 안내로드(228)의 선단부에는 공급피스톤(200)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를 가진 보어(236)내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234)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재(198)의 지지부의 공간보어(229)내에는 U-패킹(198a)와 O-링(198b)가 끼워지며, 공급피스톤(200)의 주위에는 O-링(208a)와 U-패킹(200b)가 끼워진다. 헤드커버(191)의 중간보어(226)의 내주면에는 O-링(208a)와 U-패킹(208b)가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유압회로의 구조를 설명한다.
중간직경의 실린더 보어(194)의 도면에서 볼때 최좌단부에는 유압개구(244)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보어(192)의 측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유압개구(246)이 형성되어 있다. 유압개구(244),(246)은 각각 유압라인(248),(250)을 통해 4방향 전자기 밸브(252)에 연결된다. 이 4방향 전자기 밸브(252)는 그 양단부에 솔레노이드(252a), (252b)가 구비되고, 그 중심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펌프클로즈드 센터타이프의 4개구 3위치 변환 밸브로서, 이 4방향 밸브(252)는 유압라인(254)를 통해 유압펌프(256)에 연결되고, 유압라인(258)을 통해 오일탱크(260)에 연결된다. 펌프(256)은 구동모터(262)를 구비하고, 유압라인(264)를 통해 오일탱크(260)에 연결된다. 유압라인(254)는 안전밸브(268)을 통해 오일탱크(270)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주조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탕 주입작업에 대해서는 제11 내지 14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주형 공동(26)이 용탕으로 충전되면 후술하는 방법으로 공급작업을 실행하여 실린더 장치(190)과 유압회로(202)의 작동에 의해 주조작업을 실시한다.
제16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4방향 전자기 밸브(252)의 솔레노이드(252b)에 전류가 가해지면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라인(254),(250)사이가 연통 상태가 되어 유압펌프(256)의 유압은 유압개구(246)을 통해 실린더 보어(194)내로 도입되어 공급피스톤(200)을 가압하여 전진시킨다. 그 결과 공급로드(42)는 탕도(28)내로 돌출하게 된다.
다음에 공급로드(42)를 그 공급상태로부터 고정형 주형(16)내로 후퇴시키기 위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방향 전자기 밸브(252)의 솔레노이드(252a)에 전류를 가하면 유압라인(248),(254)사이가 연통상태가 되고, 유압펌프(256)의 유압은 유압개구(244)로부터 실린더 보어(194)내로 도입된다. 도입된 유압은 공급피스톤(200)의 피스톤부(200A)를 도면상의 우측으로 가압하여 공급피스톤(200)을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공급피스톤(200)과 조절부재(198)이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공급로드(42)는 고정주형(16)의 보어(204)내로 후퇴한다. 이때, 피스톤부(200A)의 우측의 격실내의 유압은 유압개구(246) 및 유압라인(250),(258)을 통해 오일탱크(260)으로 전달된다.
고정부재(14)로부터 고정형 주형(16)을 제거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공급로드(42)를 고정부재(14)내로 후퇴시킨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조절부재(198)을 그 축선상의 전반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전술한 너트부(198B)가 실린더 보어(192)의 내주면의 내측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198)을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이때, 고정너트(227)과 실린더 보어(192)의 내측나사는 역전된다] 따라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방향 전자기 밸브(252)의 솔레노이드(252a)에 전류가 가해져서 유압이 공급피스톤(200)의 로드의 단부내로 도입되고, 이에 따라 공급피스톤(200)을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공급로드(42)는 제18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더욱 이동하여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즉, 실린더 보어(196)]의 내측으로 완전히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로드(42)는 고정부재(14)로부터 전혀 돌출되지 않으므로 고정형 주형(16)을 매우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제11 내지 2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형은 횡방향 클램핑식이며, 주입장치는 수직형 주조식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여러가지 형태의 주형과 주입장치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주형내의 용탕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주조장치에 있어서,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26)과 이 공동내에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28) 및 비스키트(30)을 구비한 주형; 상기 비스키트(30)을 통해 상기 탕도(28)로부터 상기 공동(26)으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비스키트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입장치(12);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돌출돌 수 있도록, 상기 주형내에 설치된 공급로드(42)와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장치(34,38); 및 연통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비스키트로부터 상기 탕도내로의 용탕의 유동을 허용하고, 비연통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탕도로부터 상기 비스키트내로의 용탕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비트키트와 탕도 사이의 연통상태 및 비연통상태를 선택하는 장치(42A,34A,38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상태 및 비연통상태 선택장치가 자유롭게 탕도내로 돌출되거나 탕도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차단로드(42A); 및 이 차단로드를 돌출시켜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하고, 차단로드를 후퇴시켜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를 연통상태로 하기 위한 차단로드를 왕복시키기 위한 장치(38A,34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왕복시키는 장치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로드를 왕복시키는 장치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이 고정형 주형(16)과 이 고정형 주형에 결합되는 가동형 주형(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주형 및 가동형 주형이 결합되었을때 양 주형사이에 주형 공동(26), 탕도(28) 및 비스키트(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공급장치가 주입실린더(50)에 의해 왕복되는 플런저팁(70);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자재하게 삽입되는 슬리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이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주형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 주형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8. 주형내에 충전된 용탕에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주조장치에 있어서,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26)과 이 공동내에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28)과 비스키트(30)을 구비한 주형(16,20); 상기 비스키트를 통해 상기 탕도로부터 상기 공동으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비스키트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입장치(12), 및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돌출되도록 상기 주형내에 설치된 공급로드(42)와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장치(34,38)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로드는 상기 탕도의 연통구와 공동사이를 항상 차단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연통구와 상기 공급로드 사이에 0.5-5mm의 틈새(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왕복시키기 위한 장치가 유압실린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이 고정형 주형(16)과 이 고정형 주형에 결합되는 가동형 주형(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주형 및 가동형 주형이 결합되었을때 양 주형 사이에 주형공동, 탕도 및 비스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공급수단이 주입실린더(50)에 의해 왕복되는 플런저팁(70),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자재하게 삽입되는 슬리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은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주형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형 주형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3. 주형내로 공급된 용탕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주조장치에 있어서, 용탕을 응고시키기 위한 공동(26)과 이 공동내에 용탕을 도입시키기 위한 탕도(28)과 비스키트(30)을 구비한 주형(16,20); 상기 비스키트를 통해 상기 탕도로부터 상기 공동으로 용탕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비스키트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주입장치(12); 및 상기 탕도내로 자유롭게 돌출되도록 상기 주형내에 설치된 공급로드(42)와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장치(34,38)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로드와 이 공급로드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탕도내에 돌출되었을때 상기 탕도와 비스키트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의 주형 공동을 향한 부분에 공급로드의 선단부를 향해 경사를 이루는 수납면을 구비하는 경사면(4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왕복시키는 장치가 유압실린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이 고정형 주형(16)과 이 고정형 주형에 결합되는 가동형 주형(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주형 및 가동형 주형이 결합되었을 때 양 주형 사이에 주형 공동, 탕도 및 비스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장치(12)가 주입실린더(50)에 의해 왕복되는 플런저팁(70);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자재하게 삽입되는 슬리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이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주형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주형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19. 주형내의 용탕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신뢰성 있는 공급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주조장치에 있어서, 고정형 주형(16) 및 이 고정형 주형과 결합하여 그들 사이에서 용탕의 공간(26,28,30)을 형성하는 가동형 주형(20); 상기 가동형 주형이 부착되는 고정부재(14); 상기 가동형 주형이 장착되는 가동부재(18); 상기 가동형 주형과 고정형 주형을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상기 가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고정형 주형을 통해 연장배치되고, 상기 용탕의 공간내로 돌출될 수 있는 공급로드(42); 및 상기 공급로드를 상기 고정부재내로 전진 후퇴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내에 설치된 장치(9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로드를 전진후퇴시키는 장치에는,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부재내로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주형과 결합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공급로드의 후퇴상태에서 상기 고정형 주형은 상기 이동장치와는 무관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전진 후퇴시키는 장치가 고정부재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92,94,96); 및 이 실린더 보어내에 삽입되는 피스톤(98,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전진 후퇴시키는 장치가 다중 실린더 장치(90)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실린더 장치에 의해 다음의 3위치, 즉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주조공간내로 돌출된 위치와,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주형내로 후퇴한 위치, 및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고정부재내로 후퇴된 위치에 있게 되도록 전진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가 상기 용탕 공간내의 탕도(28)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공간내로 용탕을 주입시키기 위한 용탕 주입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주입장치(12)가 주입실린더(50)에 의해 왕복되는 플린저팁(70); 및 이 플런저팁이 활주자재하게 삽입되는 슬리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이 상기 플런저팁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주형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드를 전진 후퇴시키는 장치가 상기 고정부재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92,94,96); 이 실린더 보어내에 삽입되고, 직접적으로 또는 적절한 연결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공급로드에 연결되는 피스톤(98,100); 및 상기 피스톤의 후퇴한계를 조절하는 장치(19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한계 조절장치(198)이 고정부재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보어로부터 연장된 암나사가 있는 보어를 구비한 헤드커버(191); 및 이 헤드커버의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그 외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삽입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헤드커버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퇴한계 조절부재(198)을 포함하며, 상기 후퇴한계 조절부재의 돌출부가 선회되었을때, 조절부재는 상기 암나사와 숫나사의 결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린더 보어의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변화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후퇴한계 조절부재의 선단부에 접촉됨에 따라 후퇴한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장치.
KR1019880012227A 1987-09-21 1988-09-21 주조장치 KR910006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63887A JPS6478664A (en) 1987-09-21 1987-09-21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3663987A JPS6478665A (en) 1987-09-21 1987-09-21 Injection molding machine
JP?62-236638 1987-09-21
JP?62-144267 1987-09-21
JP?62-236637 1987-09-21
JP1987144267U JPS6449355U (ko) 1987-09-21 1987-09-21
JP62-144267 1987-09-21
JP62-236637 1987-09-21
JP?62-236639 1987-09-21
JP62236637A JPS6478663A (en) 1987-09-21 1987-09-21 Injection molding machine
JP62-236639 1987-09-21
JP62-236638 1987-09-21
JP62263586A JPH01107953A (ja) 1987-10-19 1987-10-19 射出成形機
JP62-263586 1987-10-19
JP?62-263586 1987-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796A KR890004796A (ko) 1989-05-10
KR910006944B1 true KR910006944B1 (ko) 1991-09-14

Family

ID=2752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227A KR910006944B1 (ko) 1987-09-21 1988-09-21 주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60818A (ko)
KR (1) KR910006944B1 (ko)
DE (1) DE38319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43B1 (ko) * 2012-09-24 2014-03-18 동남정밀 주식회사 런너 단면적 조절기구용 직선이동체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545B2 (ja) * 1988-06-10 1994-08-31 宇部興産株式会社 射出成形機
JPH0661602B2 (ja) * 1988-07-26 1994-08-17 宇部興産株式会社 射出成形機
CA2019444C (en) * 1989-06-23 1995-05-16 Toyoaki Ueno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molten metal for die casting machine
AU665015B2 (en) * 1992-07-23 1995-12-14 Papervision Limited A moulding device
DE19620882A1 (de) * 1996-05-23 1997-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altkammer-Druckgußmaschine mit horizontalem Preßstempel
JPH1157973A (ja) * 1997-08-19 1999-03-02 Kayaba Ind Co Ltd ダイカスト装置
JP3921513B2 (ja) * 2002-04-17 2007-05-30 株式会社木村工業 成型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型ユニット
DE102005042867A1 (de) * 2005-09-08 2007-03-22 Bühler Druckguss AG Druckgiessverfahren
US7784525B1 (en) * 2007-05-19 2010-08-31 Zhongnan Dai Economical methods and injection apparatus for high pressure die casting process
US9101976B2 (en) * 2010-12-29 2015-08-11 Imac Inc. Die casting machine and method
DE102013105435B3 (de) * 2013-05-27 2014-07-10 Schuler Pressen Gmbh Gießventil mit einem Nachverdichtungskolb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5147C (de) * 1954-01-24 1955-11-10 Mahle Werk G M B H Pressgiessmaschine
US3791440A (en) * 1970-12-07 1974-02-12 R Cross Die casting method
JPS5568165A (en) * 1978-11-17 1980-05-22 Toyota Motor Corp Casting method and mold
JPS56102365A (en) * 1980-01-21 1981-08-15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filling molten metal in vertical type die casting machine
JPS5855858A (ja) * 1981-09-30 1983-04-02 Hitachi Ltd 結晶方位測定方法
JPS5913942A (ja) * 1982-07-16 1984-01-24 Shisaka Kenkyusho:Kk 秤量による流体の密度測定方法
JPS5930503A (ja) * 1982-08-13 1984-02-18 Fujikura Ltd 赤外用光フアイバ心線
JPS602947A (ja) * 1983-06-20 1985-01-09 Fujitsu Ltd レジスト塗布方法
JPS61255753A (ja) * 1985-05-10 1986-11-13 Ube Ind Ltd ダイカスト用金型
JPH05134809A (ja) * 1991-11-14 1993-06-01 Fujitsu Ltd デイスク装置のリードライト制御方法
JPH06277169A (ja) * 1993-03-29 1994-10-04 Nec Home Electron Ltd 電気掃除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43B1 (ko) * 2012-09-24 2014-03-18 동남정밀 주식회사 런너 단면적 조절기구용 직선이동체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31938A1 (de) 1989-04-06
KR890004796A (ko) 1989-05-10
US4860818A (en) 198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944B1 (ko) 주조장치
EP0051253B1 (en) Hot sprue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9128080B (zh) 一种卧式送液立式压射的冷室压铸机及挤压铸造方法
KR910009623B1 (ko) 주조장치용의 가압장치
JP2003509215A (ja) ダイカスト鋳造用のホットスプルーシステム
JP4319996B2 (ja) 成型装置
EP0462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HOLLOW BODY FROM MELTING RESIN BY INJECTION MOLDING.
KR920000810B1 (ko) 주조장치의 압축기구
US4760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disk wheel like formed parts
US4779666A (en) Die casting process and apparatus comprising in-die plunger densification
US4354545A (en) Modified pressure casting process
US2612666A (en) Die casting apparatus
US5902611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with integrated carriage assembly
WO2023228390A1 (ja) ダイカスト製造方法及び装置
US20180056381A1 (en) Die casting machine permitting reduced cycle time
US6811388B2 (en) Mold clamping unit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5842509A (en) Application method of powder mold lubricant to vacuum die-casting mold and vacuum die-casting apparatus
CA2515404A1 (en) Method for producing mould parts by injection and plugged needle nozzle for an injection mould
US3436793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3842163B2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H01107953A (ja) 射出成形機
KR100443338B1 (ko) 다이캐스트주조장치
JP2022134173A (ja) ダイカスト用装置およびダイカスト法
DE69929136T2 (de) Druckgiessen von Batterieklemmen
EP1289693A1 (en) Die casting spr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