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57B1 -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257B1
KR910006257B1 KR1019890008811A KR890008811A KR910006257B1 KR 910006257 B1 KR910006257 B1 KR 910006257B1 KR 1019890008811 A KR1019890008811 A KR 1019890008811A KR 890008811 A KR890008811 A KR 890008811A KR 910006257 B1 KR910006257 B1 KR 91000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thread
press
detection
detec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524A (ko
Inventor
히로야스 마쓰모도
Original Assignee
다가와 기카이 가부시기가이샤
다가와 나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844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25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939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47341A/ja
Application filed by 다가와 기카이 가부시기가이샤, 다가와 나오지 filed Critical 다가와 기카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03D47/308Stretching or hold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125Weft hol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70Devices for cutting weft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실 유지체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한 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개략 평면도.
제5도는 잔사(殘
Figure kpo00001
)의 배출경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6도는 실 유지체 주요부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확대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3a-13c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8도는 평상상태에서의 본 발명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비팅(Beating) 직전의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X-X선 평단면도.
제11도는 실 유지작용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12도는 신호처리의 블록도.
제13a도-13c도는 출력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제14도-제16도는 본 발명의 위사 검출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4도는 평상상태에서의 측면도.
제15도는 평면도.
제16도는 비팅 직전의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7a도-17c도는 종래의 통전식 피일러의 출력파형을 제13a,13c도와 대응시킨 표시도.
제18도는 종래의 위사끝 처리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02 : 클로오드펠(Cloth fell) 3 : 셀비지(Selvedge)
5, 205 : 위사 6, 206 :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의 위사끝
7 : 잔사 11 : 바디틀
13 : 템플바(Templebar) 14 : 셀비지 커터
15, 215, 315 : 실 유지체 16, 216 : 실압입용 바디날개
21, 22 : 경사 가장자리 23 : 윗쪽위사끝 굴곡체
24 : 아랫쪽 위사끝 굴곡체 27, 127 : 위사끝 통로
28, 228 : 도입 개구 32 : 지지판
33 : 배출가이드 204 : 제직용 바디날개
223, 323 : 상부 브레이드(blade) 224, 324 : 하부 브레이드
258, 358 : 검출요소 259, 359 : 스프링판
260, 360 : 센서 A : 클로오드펠(Cloth fell)
B : 위사 비행위치 D : 제직용 바디날개의 간극
W : 압입 바디날개의 간격
본 발명은, 무저직기의 웨프트인서팅(Weftinserting, 씨줄넣기)에 있어 실이 들어가는 방향 반대쪽의 실끝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웨프트인서팅한 위사에 실 들어가는 반대쪽으로부터 장력을 부여하여 직폭(織幅)방향으로 위사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여, 이 장력을 실끝 절단시까지 유지하고, 절단흠후의 실끝(잔사)을 배출하는 일련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 및 전기한 웨프트인서팅이 정상적으로 실시되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위사검출장치를 보유하는 위사끝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저직기에서 웨프트인서팅 직후의 위사는 웨프트인서팅쪽이 구속되고,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이 자유단으로 되므로서, 직폭(織幅)방향으로 불균일한 장력분포가 발생하고, 이것에 기인하는 직포결함이 문제가 되므로, 웨프트인서팅 반대쪽 실끝을 잡아당겨 장력을 부여해 주는 것이 소망스럽다.
또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의 삐져나온 위사를 커터로 절단하여 셀비지(Selvedge) 간추림을 행하나, 이 절단시에도 실에 어느 정도의 장력이 가해져 있지 않으면 실을 뜻대로 절단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절단한 다음의 실끝(잔사)을 기외(機外)로 배출할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도 실끝을 계속하여 잡아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제18도에 표시하듯이, 클로오드 셀비지(3)의 바깥쪽에 설치한 캐치코오드(71)로서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의 실끝(6)을 잡아주고, 드로윙(Throwing) 장치(72)로서 캐치코오드(71)를 비틀어서 위사(5)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절단후의 잔사(7)를 캐치코오드(71)에 파지(把持) 시킨 채로 배출한다는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캐치코오드(71)는, 통상적으로 4-6본의 종사(縱
Figure kpo00002
)로서 이루어지며, 핼드(Heald)(17)의 상하작동에 의한 교차운동과 드로윙(Throwing)장치(72)로부터 부여되는 비틀림작동에 의하여, 위사끝(6)을 휘감아서 파지하고 있다. 실끝(6)을 파지한 캐치코오드(71)는, 셀비지 커터(14)에 의하여 실끝이 절단된 다음 드로윙장치(72)를 관통하여 기외로 끌어내어진다.
또한, 도면중, (73)은 캐치코오드(71)의 보빈(Bobbin), (11)은 바디, (1)직포, (74)는 드로윙장치(72)의 구동벨트이다.
상기한 캐치코오드(71)는, 핼드(17)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진 다음이 아니면 위사(5)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웨프트인서팅 반대쪽 실끝에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비팅후에만 가능하고 비팅(Beating)시에는 위사의 장력은 불균일한 그대로이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팅운동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핑거(finger)로서 위사끝부분을 파지하여 위사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각종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즉 단순히 실끝을 파지하여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으로부터의 이완을 방지할 따름인 것(예컨대, 일본, 특, 공, 소 40-7231호, 동 46-39153호 공보), 바디에 설치한 부재로서, 비팅시에 웨프트인서팅 반대쪽, 실끝을 클로오드펠 바로앞까지 충분히 진출시킴에 의하여 실끝을 비스듬히 인장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것(예컨대, 일본, 특, 공, 소 40-7231호 공보, 동, 실, 공, 소 45-6535호 공보 참조), 바디에 연동하여 개폐되며, 또한 비팅시에 클로오드 셀비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파지장치로서 실끝을 파지하고, 이어서 전기한 바와 같이 이동함에 의하여 실 끝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일본, 특, 공, 소 51-2995호 공보, 동 50-28548호 공보 참조)등이 제안되어 있다.
다시 다른 수단으로서, 바디의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에 보조적인 분류장치(噴流裝置)를 설치하여 그 분류속으로 실끝을 도입하여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예컨대, 일본, 특, 공, 소 47-20590호 공보, 동 50-5318호 공보, 동 51-30626호 공보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무저직기에 있어서 웨프트인서팅의 정상적인 실시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종래에는 주로 기계식 피일러와 통전식 피일러가 사용되고 있었다.
기계식 피일러는, 바디에 대향하여 이사주행위치보다 클로오드펠쪽으로 검출침을 배치하여, 비팅된 위사에 의하여 검출침이 클로오드펠에 타입되는 작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웨프트인서팅의 정상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검출침은, 정면에서 보아서 바디날개에 비스듬히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고, 위사가 없어도 바디날개에 압동(押動)되어서 클로오드펠에 타입되나, 위사가 없을 때에는, 바디의 후퇴작동에 수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이 복귀작동의 여부에 의하여 위사의 유무를 검지한다.
한편 통전식 피일러는, 워터젯트룸(Water jet room)에 채용되는 것으로서, 위사 비행위치에 그 비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본의 전극을 배치해 두고, 물에 젖은 위사가 양 전극에 접촉하여 양자가 통전되는 것을 이용하여 위사를 검지하는 것이다. 또, 다른 구조로서, 예컨대 위사 비행위치에 배치된 진동자의 진폭이 위사의 유무에 의하여 변환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일본, 특, 공, 소 59-53381호 공보 참조)등도 제안되어 있다.
바디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핑거로서 실끝을 파지하여 장력을 부여하는 구조인 것은, 바디가 후퇴한 다음은 실끝이 개방되므로서, 커터 절단시의 장력부여 및 잔사 배출을 위한 캐치코오드 등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캐치코오드를 사용하는 것은, 실끝을 캐치코오드에 파지시키기 위하여 셀비지에서 길게 끌어낼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원사의 손실이 많다는 것, 캐치코오드를 비틀기 위한 드로윙 장치와 그 구동줄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짜넣은 다음에도 실끝이 쓸데없이 인장되어 가로꾸김이 발생되는 것, 위사의 캐치코오드와의 충돌에 의한 웨프트인서팅 실패나 캐치코오드의 절단에 의한 작동정지가 발생된다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 분류(噴流)에 의하여 실 끝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는, 셀비지로부터의 위사를 끌어내는 길이가 캐치코오드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더욱 길고, 또, 분류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많은 동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기한 기계적 피일러는, 검출침을 클로오드펠(Cloth fell)에서 뽑아내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므로 작동속도가 느리고, 검출침이 직포에 삽통되기 위하여 직포에 흠이 생기는 등의 결점이 있으며, 검출침이 바디날개나 위사에 심하게 부딪혀 수명이 짧아지고, 또한 검출침에 대향하는 바디날개의 손상도 문제가 된다.
한편, 통전식 피일러는, 에어젯트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물방울이나 실찌꺼기의 부착에 의하여 오작동이 발생되기 쉽고, 물분류자체에 의한 통전이나 위사의 동요등에 의하여 검출파형이 흐트러짐으로서, 위사의 유무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신호처리를 실시하여 외부의 교란신호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고, 신호처리장치가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자의 진폭을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도, 물분류나 바디의 움직임에 의하여 진동자의 진폭이 변화되므로 SN 비(比)가 작고, 통전식 피일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신호처리가 매우 불편해지며, 외란에 의한 오작동을 전혀 없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비팅시에 웨프트인서팅의 반대쪽으로부터 위사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고, 그 장력을 커터 절단시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절단된 잔사의 배출도 가능하다.
더욱 여분의 동력이나 구동기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실끝 처리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고속작동이 가능하여, 직포에 흠을 남기지 않고, SN 비(比)가 크므로 외란이 없음 명료한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는 실끝, 처리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비팅과 동시에 위사 끝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파지하는 실 유지체를 갖추고 있으며, 비팅시에 이 실 유지체로 위사끝을 압입하기 위한 실 압입용 바디날개를 구비하였다.
실 유지체는, 클로오드펠의 웨프트인서팅의 반대쪽 연장선상에 직기의 기대에 고정하여 설치되고, 실 압입용 바디날개는, 실 유지체에 대향하여 스레이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실 유지체는, 실끝이 도입되는 위사끝 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그 위사통로는, 바디쪽에 도입개구를 갖추고, 예컨대 엇갈리게 상하에 대향시킨 얇은 브레이드나 와이어등의 위사끝 굴곡체등에 의하여, 도입된 위사끝을 지그제그로 굴곡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실 압입용 바디날개는, 비팅작동에 의하여 실 유지체의 위사끝 통로에까지 진입하고, 웨프트인서팅 직수의 위사끝 통로에 삽입한다.
본 발명장치는, 실 압입용 바디날개에 대향하여 위사비행위치보다 클로오드펠에 가깝도록 실 압입용 바디 날개의 사이를 통과가능한 검출장치를 배설하고, 이 검출요소의 작동을 센서로서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위사 검출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장치에 있어서, 비팅작동이 실시되면, 웨프트인서팅된 위사가 클로오드펠에 타입됨과 동시에 또는 이것에 의하여 약간 빠르게, 그 실끝이 실 압입용 바디날개에 의하여 실 유지체의 위사끝 통로에 삽입된다.
삽입된 실끝은, 위사끝 통로내에서 지그재그로 굴곡되고, 이 굴곡에 필요한 여분의 길이를 클로오드펠쪽으로부터 위사끝 통로내로 끌어넣고, 따라서 클로오드펠의 위사에 웨프트인서팅의 반대쪽으로부터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위사끝 통로에서 지그재그의 절곡깊이나 절곡수(折曲數)를 적의 선택함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어서, 위사종류나 직폭에 상응한 장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위사끝은, 위사끝 통로에 지그재그로 굴곡된 상태로 삽입되므로, 바디가 복귀하여도 마찰력으로 그 상태가 유지되고, 실 끝에 부여된 장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다음 비팅에 의하여 삽입된 다음 실 끝에 밀려서 바디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전기한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셀비지커터로서 클로오드 셀비지와의 사이에서 절단된다. 절단된 실끝은, 차례 차례로 압입되는 실 끝에 의하여 다시 밀려서 바디 반대쪽의 개구로부터 압출되어, 배출가이드를 따라서 낙하배출된다.
본 발명인 검출장치를 구비한 위사끝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웨프트인서팅이 정상적으로 실시되었을 때에는, 위사선단이 압입바디에 대향하는 위치에까지 도달한다.
이 상태에서 비팅이 실시되면, 제직용 바디날개와 아울러 요동하는 압입 바디날개가 위사선단을 압동한다. 압동된 위사선단은, 비팅작동의 도중에서 검출요소를 일시적으로 압동하고, 그 위사가 클로오드펠에 타입되기 전에 검출요소에서 이탈되고, 검출요소는 원위치에 복귀한다.
이 검출요소의 순간적인 작동으로, 센서의 출력은 펄스형상으로 변환된다. 이 펄스는 아주 명료하게 출력되고, 검출요소에 유체(流體)분류가 충돌하거나 검출요소가 바디와 더불어 운동하지 않으므로서 외란에 의한 출력의 흐트러짐도 적고, 높은 SN 비의 출력신호가 얻어진다.
웨프트인서팅의 실패가 있었을 경우에는, 비팅이 실시되어도 위사선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검출요소는 압입 바디날개 사이를 통과해버리고, 검출요소는 압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의 출력은 변화되지 않고, 웨프트인서팅 실패가 있었다는 것을 바로 검지할 수 있다.
비팅시에, 보다 정확하게는 비팅 도중에 위사선단이 검출요소와 간섭하게 될 때에, 위사선단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있으면 위사선단으로부터 검출요소에 부여되는 압동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또 위사선단의 위치규제 가능하므로 검출요소와 위사선단과의 간섭량을 적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SN 비가 큰 출력신호를 센서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1)은 직포, (2)는 클로오드펠, (3)은 클로오드 셀비지, (4)는 경사개구부, (5)는 웨프트인서팅 직후의 위사, (6)은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의 실끝, (11)은 바디틀, (12)는 바디날개, (13)은 템플바, (14)는 셀비지 커터이고, (15)는 본 발명에 관한 실 유지체, (16)는 실 압입용 바디날개이다.
실 유지체(15)는, 위사끝 굴곡체로서 바디쪽에 대향하는 경사 가장자리(21),(22)를 보유하는 4장의 윗쪽 브레이드(23)의 3장의 아랫쪽 브레이드(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윗쪽 브레이드(23)의 아랫변과 아랫쪽 브레이드(4)의 윗변이 서로 약간 엇갈려 들어간 상태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윗쪽 브레이드(23)와 아랫쪽 브레이드(24)와의 사이에 지그재그의 위사단통로(27)(제2도)가 형성되고, 이 위사단통로(27)에서 바디날개(16)쪽으로 향하여 누두형상(漏斗形狀)의 도입개구(28)가 형성된다.
윗쪽 브레이드(23) 및 아랫쪽 브레이드(24), 브레이드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우고 나사(29),(30),(31)로서 옆쪽의 지지판(32)에 고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기한 위사단통로(27)는, 바디 반대쪽, 클로오드 셀비지쪽 및 클로오드 셀비지 반대쪽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아래쪽 브레이드(24)에는, 바디 반대쪽 하단에 배출가이드(33)가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판(32)은, 제1브라켓트(34) 및 제2브라켓트(35)를 개재하여 템플바(13)에 고정되어 있다.
제1브라켓트(34)는 나사(36)를 이완시킴에 의하여 템플바(13)에 따라서 직폭방향으로 자유자재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또, 지지판(32)은, 나사(37)(38)를 이완시키고 그 나사를 긴 구멍(39),(40)을 따라서 이동시키면 높이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그 조정에 의하여 전기한 위사단통로(27)가 클로오드펠(2)의 연장선 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 압입용 바디날개(17)는, 실 유지체(15)에 대향하여 도시하지 않은 슬레이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ㅁ자형의 연결구(18)로서 바디틀(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엇갈리게 배치된 윗쪽 브레이드(23)와 아랫쪽 브래이드(24) 사이에 끼여 드는 6장의 바디날개를 보유하고 있다.
배출가이드(33)의 아랫쪽에는 상부측 홈통(51)이 직폭방향으로 비스듬히 뻗어 있으며 웨프트인서팅용의 젯트 물을 받는 물받이(52)에서 상부 홈통(51)으로 도수관(53)이 뻗어서, 상부 홈통(51)의 반대끝에서 하부 홈통(54)을 거쳐서 잔사용기(55)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팅 작동이 실시되면, 실끝(6)이 실 압입용 바디날개(16)에 의하여 실 유지체(15)의 위사끝통로(27)에 압입된다. 압입된 실끝(6)은 서로 엇갈려 들어가 있는 상하의 브레이드(23),(24)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굴곡되고, 이 굴곡에 의하여 클로오드펠(2)의 위사에 웨프트인서팅 반대쪽으로부터 장력이 부여된다. 압입된 실끝은, 지그재그의 굴곡에 수반한 표면마찰에 의하여 위사끝통로(27)내에 유지되고, 다음 비팅에 의하여 다음 실끝이 위사끝통로(27)에 압입되었을 때에 실직경만큼 바디 반대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바디 반대쪽으로 이동한 실끝은, 셀비지커터(14)에 의하여 절단되고, 절단후에도 더욱 이동하여 위사끝 통로(27)의 바디 반대쪽 개구로부터 실 유지체(15)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잔사(7)는 배출가이드(33)에 따라서 상부 홈통(51)안으로 미끄러져 떨어진다.
상부 홈통(51)에는 물받이(52)에 담겨 있는 물이 흘러내리고 있으며, 상부 홈통(51)에 낙하한 잔사는, 이 흐름에 실려서 하부 홈통(54)을 거쳐서 잔사용기(55)에 흘러들어 간다.
또한 상부 홈통(51)을 직폭방향으로 길게 설치한 것은, 직폭의 변화에 대응시키기 위한 것이고, 직폭이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1브라켓트(34)를 템플바(13)에 따라서 클로오드 셀비지의 바로 가까운 위치로 이동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위사끝 굴곡체를 제1실시예의 브레이드에 대체하여 와이어로서 형성한 것이다. 상하의 와이어(123),(124)는 스페이서(146),(147)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배치되고, 그 한쪽의 단부(148),(149)가 실 압입용 바디날개(116)의 뒤쪽까지 연장되어, 나사(130),(150),(131),(151)로 양쪽끝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와이어(123),(124)는 클로오드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상하가 반대가 되도록 약간 숨어들어가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위사끝(6)을 지그재그로 굴곡하는 위사끝통로(1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32)는 스페이서(146),(147)를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다음에, 위사검출장치를 설치한 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 내지 제13a-13c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비팅시에 웨프트인서팅된 실의 선단(206)을 실 유지체(215)에 압입하여 위사선단(206)에 장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이 실 유지체(215)에 위사검출장치의 검출요소(258)를 내장한 것이다.
제10도 중(201)은 직포, (203)은 제직용의 바디, (204)는 바디날개, (205)는 웨프트인서팅된 직후의 위사, (206)은 그 위사의 선단이다.
실 유지체(215)는 제직용의 바디날개(204)의 간격(D)보다 넓은 간격(W)으로 배치한 압입 바디날개(216)와 대향하고 있으며, 압입 바디날개(216) 사이에 지그재그로 배치한 상하의 브레이드(223) 및 (224)로 구성되고, 윗쪽 브레이드(223)의 아래 가장자리(223b)와 아랫쪽 브레이드(224)의 위가장자리(224a)는 약간 겹쳐진 상태로서 직포(201)면과 평행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압입바디(211)에 대향하여, 윗쪽으로 꺾어지는 아래 브레이드의 위 가장자리(224a)에 도입부(228)가 형성되어 있다. 실 유지체(215)는, 위사 비행위치(B)보다 클로오드펠(2)쪽에 위치되어 있고, 클로오드펠의 대체적인 위치가 제8도에 부호(A)로서 표시되어 있다.
웨프트인서팅된 위사의 선단(206)은, 비팅시에 압입 바디날개(216)에 압동되어서 도입부(228)로부터 위쪽 브레이드의 아래 가장자리(223b)와 아래쪽 브레이드의 위가장자리(224a)가 형성하는 지그재그의 실끝통로(227)에 압입되고, 그 굴곡에 의한 마찰에 의하여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서 유지된다. 유지된 위사의 선단(206)은 그 뒷커터에 의하여 클로오드 셀비지에서 잘라내어져서 순차적으로 타입되는 실 끝에 밀려서 실 유지체(215)의 바디 반대쪽으로부터 밀려나온다.
검출요소(258)은, 캠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 유지체의 상부 브레이드중의 한장(223)에 내장되어 있다. 그 윗쪽 브레이드(223)에는 양쪽의 얇은 브레이드판의 사이에 형성한 공극(256)에 핀(257)으로 캠(258)이 축받이 되어 있고, 이 캠은, 평상상태에서, 브레이드의 아래 가장자리(223b)에서 돌출하는 하단(258a)과 그 하단이 비팅방향으로 요동하여 공극(256)안에 투입했을때에 브레이드의 위가장자리(22a)에서 돌출한 상단(258a)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 브레이드(223)의 위가장자리(223a)에 따라서 스프링(259)이 기단을 고정하고, 선단이 계지되어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판(259)에 비틀림 검지센서(260)가 첩착되어 있다. 상기한 캠의 하단(258b)은, 실 유지체의 도입부(228)와 클로오드펠에 대응하는 위치(A)와의 사이에 돌출되어 있고, 비팅시에 실 유지체(215)에 압입되는 위사선단(206)이 그 압입도중에서 캠의 하단(258b)에 접촉되어 이것을 일시적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하여, 캠의 상단(258a)이 스프링판(259)을 휘게 하고, 그 휘임이 비틀림검출 센서(260)로 검출되어서 위사(206)가 실 유지체(215)에 압입된 것이 검지된다.
위사(206)가 존재하지 않으면, 캠(258)의 요동작동은 야기되지 않고, 따라서 비틀림 검지센서(206)로부터의 위사검출신호도 출력되지 않는다. 비틀림 검지센서(260)의 출력은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브리지 회로등의 변환기에 의하여 전압신호로 변환된다. 이때의 출력파형의 예가 제13a도에 표시되어 있다.
출력신호는, 슬라이서나 크램퍼와 같은 간단한 파형정형기로서 제13b도와 같은 파형으로 정형되고, 파형정형기에서의 출력이 (H)레벨이면 실존재신호, (L)레벨이면 실부재신호로서 위사(206)의 존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틀림 검지센서(260)에서의 위사검지신호는 비팅직전의 타이밍으로서 명료한 펄스형상으로 출력되고, 직기의 진동등에 기인하는 잡음신호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된다. 이것은, 스프링판(259)을 휘게 하는 작용력이 매우 짧은 시간안에 작용하는 것(비팅 직전의 실끝 통과시에 만이 캠(258)이 압동된다)과 동시에, 도시한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스프링판(259)의 양단이 걸어붙혀 있으므로 진동의 감쇠가 신속함에 기인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위사 검출장치에서는 제직용 바디(203)의 웨프트인서팅의 반대쪽 연장선상의 위사선단(6)에 대응하는 위치에 실 압입용 바디날개(216)을 구비한 압입바디(211)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압입바디에 대향하여 위사 비행위치(B)보다 클로오드펠(202)쪽으로 기울게 압입 바디날개(216) 사이를 통과 가능한 검출요소(258)를 배설하여, 이 검출요소의 동태를 센서(260)로서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있다.
압입 바디날개(216)의 간격(W)은, 검출요소(258)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제직용 바디날개(204)의 간격(D)보다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실끝의 배제를 위하여 필요하면, 이 압입 바디날개(216) 사이에 캐치코오드가 삽통된다.
압입바디(211)는, 제직하고자 하는 직포(216) 사이를 통과가능한 얇거나 가느다란 부재로서 핀 지지나 탄성지지등에 의하여 위사선단(206)과 접촉했을 때에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206)는 예컨대 비틀림 검지센서(스트레인 게이지)나 근접센서이고, 상기한 검출요소(258)의 움직임을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제14-1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8도, 제9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의 실 유지체(215)에서 설치된 캠으로 구성된 검출요소를 바꾸어서, 스프링을 검출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실 유지체(315)는 상부 브레이드(323)와 하부 브레이드(324)로 구성되고, 상부 브레이드(323)의 아래 가장자리(323b)와 하부 브레이드(324)의 위가장자리(324a)가 약간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서, 도입부(328)가 형성된다.
상부 브레이드(323)는 간극을 두어 겹치고, 핀(330),(331),(332)으로 고정한 2장의 판으로 된다. 상부 브레이드의 위가장자리(323a)에는 기단부를 윗쪽 브레이드에 고정된 스프링판(359)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판에는 비틀림 검지센서(360)가 첩착되어 있다. 스프링으로 된 검출요소(358)가, 상부 브레이드(328)를 구성하는 2장의 판 사이에 설치된다.
즉, 검출요소(358)의 일단이 상부 브레이드의 위가장자리 선단에 고착되고, 평상상태에 있어서 상부 브레이드의 하단(323b)으로부터 도입부(328)쪽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굴곡하여 타단에서 스프링판(359)의 자유단에 고착된다.
따라서, 비팅시에 실 유지체(315)의 위사선단(306)이 압입바디(311)에 의하여 도입부(328)에 압입되는 도중에서, 제16도에 표시하듯이 검출요소(358)에 접촉되어, 이것을 밀어올린다. 이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판(359)이 상부 브레이드 위가장자리(323a)에서 유리되어 휘임이 발생되고, 그 휘임이 비틀림 검지센서(360)에 검출되어서 위사(306)가 실 유지체(315)에 압입되었다는 것이 검지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캐치코오드나 분류를 사용하지 않고 일련의 실끝 처리를 모두 할 수 있어서, 캐치코오드가 불필요할 뿐더러 셀비지에서 돌출되는 여분의 실끝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위사의 허비를 종래 장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 장치가 모두 고정적으로 설치한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므로서 장치구조가 간단하여 실끝처리를 위한 여분의 구동계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트룸, 레피어룸, 기타의 무저직기 모든것에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캐치코오드가 필요치 않으므로, 캐치코오드가 흔들려서 이것에 위사가 충돌하여 직기가 정지되는 것, 커트실패, 지나침 꼬임, 캐치코오드 절단등에 의한 가동정지가 없어져서 가동률이 향상됨과 더불어 실끝의 장력이 일정하므로 가로꾸김이 없어져서 직물의 품질이 향상된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 다시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하기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제13a도-13c도, 제14a도-14b도는 상기한 실시예 장치의 위사검출신호와 종래의 통전식 피일러의 위사검출신호를 비교한 것으로, 제13a-13c도는 상기한 실시예의 출력신호, 제14a도-14c도는 통전식 피일러의 출력신호를 표시하고, 제13a도, 제14a도는 실을 검출했을 때의 실의 존재신호, 제13b도, 제14b도는 파형정형한 다음의 신호, 제13c도, 제14c도는 위사부재시의 신호이다.
통전식 피일러에서는, 최초에 유동분류가 검지되고(R의 구간), 최후에 캐치코오드가 검지(T의 구간)되고 있다. 실이 부재시에도, 유체분류와 캐치코오드에 의한 출력펄스가 발생하므로 정형후의 펄스폭(P)의 대소에 의하여 위사의 존부를 판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유체분류의 분출 상태나 실의 접촉형태에 의하여 오검출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제13a-13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의 검출신호만이 명료하게 출력되고, 실 부재시에는 출력펄스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신호의 SN 비가 매우 높아서, 외란에 의한 오작동을 야기하는 일이 없이 안정하게 위상의 존부를 검출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위사검출장치는 웨프트인서팅 유체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모든 형식의 무저직기에 채용할 수 있고, 검출요소의 응답속도가 빠르므로 고속직기에도 채용 가능하므로서, 검출요소가 직포에 흠을 남기지 않고, 외란이 없는 명료한 위사검출신호가 얻어지므로서 전기적 장치의 성형회로도 간단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웨프트인서팅의 반대쪽 셀비지(Selvedge)의 바깥쪽으로 직기의 기대에 고설하여 실 유지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실 유지체에 대향하는 실 압입용 바디날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한 실 유지체는, 바디날개쪽에 도입개구를 보유하고, 또한 그 개구에서 도입된 위사끝을 지그재그로 굴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위사끝 통로를 구비하여, 비팅작동에 의하여 전기한 실 압입용 바디날개가 웨프트인서팅 직후의 위사끝을 전기한 위사끝통로에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 실 압입용 바디날개에 대향하여 위사끝 비행위치보다 클로오드펠쪽으로 기울게 실 압입용 바디날개 사이를 통과가능한 검출요소를 배설하고, 다시 검출요소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직용 바디의 웨프트인서팅 반대쪽 연장선상에 압입바디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압입바디에 대향하여 위사 비행위치보다 클로오드펠쪽으로 기울게 전기한 압입바디의 날개사이를 통과 가능한 검출요소가 배설되어있고, 이 검출요소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직기의 위사검출장치.
KR1019890008811A 1988-06-27 1989-06-26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KR91000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449 1988-06-27
JP63-158449 1988-06-27
JP15844988A JP2632549B2 (ja) 1988-06-27 1988-06-27 無杼織機の緯糸端処理装置
JP193901 1988-08-03
JP63-193901 1988-08-03
JP63193901A JPH0247341A (ja) 1988-08-03 1988-08-03 無杼織機の緯糸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24A KR900000524A (ko) 1990-01-30
KR910006257B1 true KR910006257B1 (ko) 1991-08-19

Family

ID=2648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811A KR910006257B1 (ko) 1988-06-27 1989-06-26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76292A (ko)
KR (1) KR910006257B1 (ko)
DE (1) DE3921033A1 (ko)
FR (1) FR2634230A1 (ko)
IT (1) IT1231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605312D1 (de) * 1995-06-02 2000-06-29 Sulzer Textil Ag Rueti Fadenhaltevorrichtung mit sich überlappenden halteelementen und mit einführelementen
BE1009619A6 (nl) * 1995-10-02 1997-06-03 Picanol Nv Strekinrichting voor weefmachines.
IT1295281B1 (it) * 1997-10-06 1999-05-04 Somet Soc Mec Tessile Dispositivo di taglio del filo di trama in telai di tessitura ad aria
US6253795B1 (en) 1998-03-14 2001-07-03 Stephan Kuster Tens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laced thread
JP3157779B2 (ja) * 1998-05-18 2001-04-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房耳規制体の駆動装置
GB2340054B (en) 1998-07-24 2001-11-07 Johnson Matthey Plc Combatting air pollution
JP2003113559A (ja) * 2001-10-03 2003-04-18 Tsudakoma Corp 緯糸端の収容方法及び装置
JP2003113558A (ja) * 2001-10-03 2003-04-18 Tsudakoma Corp 緯糸端回収装置
EP2025783B1 (de) * 2007-08-16 2013-06-12 Gebrüder Loepfe AG Schussfadenüberwachung an der Fadenklemme in einer Webmaschine
CA2718358A1 (en) * 2008-03-14 2009-09-17 Sms Technologies Inc. Cutaneous body movement sensing apparatus
BE1019614A3 (nl) 2009-07-01 2012-09-04 Picano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angen en strekken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JP5689827B2 (ja) * 2011-02-01 2015-03-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緯糸張力付与装置
CN104562394B (zh) * 2014-12-30 2016-04-13 浙江理工大学 一种无梭织机短毛边纯气动折入边装置
KR101644517B1 (ko) * 2016-05-23 2016-08-01 엑스플로어(주) 직물의 셀비지 제거용 제거 부재 및 그 제거 부재를 이용한 직물의 셀비지 제거방법
US10851481B1 (en) 2016-11-29 2020-12-01 Apple Inc. Robotic weav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2218A (en) * 1922-10-20 1924-01-29 Draper Corp Filling-detecting mechanism
US2156838A (en) * 1938-01-13 1939-05-02 Bennie S Brown Filling detecting mechanism for looms
US3455342A (en) * 1966-08-26 1969-07-15 Ramon Balaguer Golobart Selvage trimming and waste removal means
FR1572294A (ko) * 1968-03-18 1969-06-27
CH516673A (de) * 1970-11-27 1971-12-15 Fischer Ag Brugg Georg Schussfadenwächter für schützenlose Webmaschinen
FR2132606A1 (ko) * 1971-04-09 1972-11-24 Fabre Aime
SU441828A1 (ru) * 1972-03-17 1976-05-2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гкого И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ержани концов уточных нитей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US3851679A (en) * 1973-02-28 1974-12-03 D Titov Device for retaining the end of a weft thread in looms
US4275773A (en) * 1978-10-12 1981-06-30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Weft cutting device in shuttleless loom
JPS599246A (ja) * 1982-07-07 1984-0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杼織機の緯糸検知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21033A1 (de) 1989-12-28
DE3921033C2 (ko) 1991-01-10
FR2634230A1 (fr) 1990-01-19
IT8948121A0 (it) 1989-06-23
IT1231610B (it) 1991-12-18
US4976292A (en) 1990-12-11
KR900000524A (ko) 199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257B1 (ko) 무저직기의 위사끝 처리장치
US4817675A (en) Method for repairing a broken warp thread on weaving machines, and the rethreading mechanisms used
US4570683A (en) Yarn holding device
EP0306080A1 (en) Tucking-in device for weaving machines
US4520850A (en) Apparatus in a shuttleless weaving machine for making a selvage
US4085777A (en)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weft introduced into looms
JP3435379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端処理装置
JP4028349B2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装置
JPH0571046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装置
JP2745061B2 (ja) 無杼織機の緯糸フィーラ
US2622626A (en) Pneumatic cleaner for axminster loom nose boards
KR930005111B1 (ko) 셔틀레스직기의 위사선단 검출장치
JP2546838Y2 (ja) 通電式緯糸検出装置
JPH0247341A (ja) 無杼織機の緯糸検出装置
JP2649468B2 (ja) 緯糸探知装置
US6192943B1 (en) Carpet loom for weaving warp pile fabric
KR100495252B1 (ko) 유체분사직기의위사검출장치
JPH03161556A (ja) 無杼織機の緯糸検出装置
US6276403B1 (en) Gripper weaving machine with guide elements
JPH0686697B2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装置
JP2623656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端緩み防止装置
JPS60185840A (ja) 水噴射式織機の耳形成補助装置
US3422861A (en) Selvage forming device in shuttleless looms
EP0270140A1 (en) Method for releasing faulty weft threads in weaving machines and device used for the purpose
JPH0397943A (ja) 無杼織機の緯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