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10A -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10A
KR910005110A KR1019900011834A KR900011834A KR910005110A KR 910005110 A KR910005110 A KR 910005110A KR 1019900011834 A KR1019900011834 A KR 1019900011834A KR 900011834 A KR900011834 A KR 900011834A KR 910005110 A KR910005110 A KR 91000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toner particles
developer layer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228B1 (ko
Inventor
마꼬또 고시
가주노리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야마모또 다꾸마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또 다꾸마,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또 다꾸마
Publication of KR91000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onor member, e.g.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현상장치를 갖는 전자사진 인화기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전자사진인화기로 사용된 현상장치의 확대된 개략도,
제22도에 제2도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변경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2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또 다른 변경을 보여주는 개략도.

Claims (31)

  1.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그 표면이 현상영역의 위로 이동하고 토너입자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에 인트레인되고 그 토너입자가 정전 잠상운반체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와 탄성적으로 속박되어 용기내에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토너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현상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소기로 발포체 구조에 토너입자의 침투가 방지되고, 토어 오프닝이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토너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포어 오프닝에 의해 유지되고 포착도어 현상롤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 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어 정전 잠상 운반체의 동작수명이 연잘될 수 있는 현상장치.
  4.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C-경도를 갖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성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제층의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5.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고무물질의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 물질이고, 현상된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 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6.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고무 물질이 마찰 대전에 대하여 중성인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물질이고, 토너입자가 현상롤러와 토너입자의 미찰 대전을 이용하여 소망된 전하분배를 줄 수 있는 현상장치.
  7.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그 표면이 현상영역의 위로 이동하고 토너입자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에 인트레인 되고 그 토너입자가 정전 잠상운반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와 탄성적으로 속박되어 용기내에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토너 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롤러는 토너 입자의 일함수에 접근하고 바람직하게 그 토너 입자의 일함수에 따르도록 구성되고,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 조정수단과 토너 입자 사이의 마찰대전에 의하여 충전되어 토너 입자가 온도와 공기주의 습기함량 변화에 관계없이 소망된 충전 분배를 줄 수 있는 현상장치.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속기포 발포체 구조에 토너 ㅣ입자의 침투가 방지되고, 포어 오프닝이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포어 오프닝에 의해 유지되고 포착되어 현상롤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고무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9.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고를 갖고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어 정전 잠상 운반체의 동작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현상장치.
  10.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제층의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11.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물질이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물질이고, 현상된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12.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운반체의 표면에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이동하고 토너입가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 롤러의 표면에 인트레인 되고 그 토너입자가 정전 잠상 운반체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와 탄성적으로 속박되어 용기내에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토너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토너 입지가 현상롤러와 현상제층 및 토너입자 사이의 마찰대전에 의하여 충전될때, 상기 현상 롤러와 현상제층 조정수단의 일함수 W1과 W2및 토너입자의 일함수 W3의 관계는 다음의 공식
    (W1-W3)X(W2-W3)〈0
    으로 한정되어 바람직하게 분배될 수 있는 현상장치.
  13.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속기포 발포체 구조에 토너입자의 침투가 방지되고, 토너 오프닝이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포어 오프닝에 의해 유지되고 포착되어 현상롤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포발포체 고무 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14.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정전감상, 운반체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고 정전잠상 운반체의 동작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현상장치.
  15.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현상체층 조정수단이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성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재층의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16.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고무물질이 전도성 연속기로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 물질이고, 현상된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17.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 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운반체의 표면에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그 표면이 현상영역의 위로 이동하고 토너입자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룰러의 표면에 인트레인 되고 그 토너 입자가 정전 잠상운반체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룰러, 현상룰러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현상룰러와 탄성적으로 속박되어 용기내에 제공되고, 현성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토너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현상제층 조성수단에 토너입자가 정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제층 조정 수단이 토너 입자의 일함수에 접근하고 토너 토너입자의 일함수가 바람직하게 따르고,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 조절수단에 바잉어스 전압의 인가결과로 야기된 전하-주입 효과에 의하여 충전되어 토너 입자가 온도와 공기중의 습기 함량에 관계없이 소망된 전하 분배를 줄 수 있는 현장장치.
  18. 청구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속 기포 발포체 구조에 토너 입자의 침투가 방지되고, 포어 오프닝이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19. 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운반체에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어 정전 잠상 운반체의 동작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현상장치.
  20. 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성 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제층에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21. 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 기포 발포체 고무물질이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물질이고, 현상된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 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22.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 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을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그 표면이 현상영역의 위로 이동하고 토너입자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에 인트레인되고 그 토너 입지가 정전 잠상 운반체 위에 형성된 정점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 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 주위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와 탄성적으로 속박되어 용기내에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토너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현상제층 조정 수단에 토너 입자가 정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기 위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결과로 야기된 전하-주입 효과와 현상롤러와 현상제층 조정 수단 및 토너입자 사이의 마찰 대전을 토너입자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현상장치.
  23. 청구범위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속기포 발포체 구조에 토너 입자와 침투가 방지되고, 포어 오프닝이 현상 롤러의 회전중에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포어 오프닝에 의해 유지되고 포착되어 현상롤러의 포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 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24. 청구범위 제2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애스커 C-경로를 갖고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어 정전 잠상 운반체의 동작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현상 장치.
  25. 청구범위 제2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애스커 C-경도를 갖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제층의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26. 청구범위 제23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물질이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폴리우레탄 고무물질이고, 현사오딘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 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27.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그 장치가, 토너 입자로 조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지탱하기 위한 용기, 현상롤러부가 노출되고 현상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 잠상 운반체의 표면을 마주하는 그러한 방식에서 상기 용기내에서 회전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그 표면이 현상영역의 위로 이동하고 토너 입자가 그 주위에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에 인트레인 되고 그 토너 입자가 정전 잠상 운반체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 주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현상영역에 운반되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현상롤러, 현상롤러의 하면에서 용기로부터 터너 입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터퍼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현상롤러 아래에 배치되는 현상제층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토너 입자가 정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도성 물지롤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층 조정 수단에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 결과로서 야기된 전하-주입효과는 토너 입자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현상롤러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 사이의 차는 대전류 또는 전기 방전이 상기 현상제층 조정 수단과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서 일어나는 레벨보다 더 낮은 현상장치.
  28. 청구범위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가 연속기포 발포체 구조에 토너 입자의 침투가 방지되고, 포어오프닝이 현상롤러의 회전중에 토너 입자가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현상롤러의 포어 오프닝에 의해 유지되고 포착되어 현상롤러의 표면위에 나타나도록 구성된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체 고무물질로 형성되는 현상장치.
  29. 청구범위 제2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애스커 C-경도를 갖고 잠상운반체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스되어 정전 잠상 운반체의 동작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현상장치.
  30. 청구범위 제2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가 바람직하게는 50°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에스커 C-경도를 갖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층 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현상제층의 두께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현상장치.
  31. 청구범위 제 28항에 있어서, 현상롤러를 형성하는 전도성 연속 기포 발포체 고무물질이 전도성 연속기포 발포에 폴리우레탄 고무물질이고, 현상된 화상의 분해가 하이레벨에서 긴 주기로 유지되는 현상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11834A 1989-08-01 1990-08-01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KR950006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8004A JPH0363677A (ja) 1989-08-01 1989-08-01 一成分トナー現像装置
JP1-198004 1989-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110A true KR910005110A (ko) 1991-03-30
KR950006228B1 KR950006228B1 (ko) 1995-06-12

Family

ID=1638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34A KR950006228B1 (ko) 1989-08-01 1990-08-01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8382A (ko)
EP (1) EP0411891B1 (ko)
JP (1) JPH0363677A (ko)
KR (1) KR950006228B1 (ko)
AU (1) AU622038B2 (ko)
DE (1) DE690154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00A (ja) * 1991-07-06 1993-01-22 Fujitsu Ltd 一成分現像剤を使用する静電記録装置
US5832342A (en) * 1996-07-25 1998-11-03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machine with a contact type developing device
US6104903A (en) * 1997-10-08 2000-08-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US6263180B1 (en) 1999-09-29 2001-07-17 Xerox Corporation Charge metering blade with polyurethane base and low surface energy coating thereon
JP2001109251A (ja) * 1999-10-08 2001-04-20 Tokai Rubber Ind Ltd トナー供給ロールおよびその製法
US6829454B2 (en) 2001-08-28 2004-12-0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transfer efficiency
JP3832369B2 (ja) 2002-03-28 2006-10-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低圧ドーム型圧縮機
JP2009009035A (ja) * 2007-06-29 2009-01-1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4402137B2 (ja) 2007-06-2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9158228B2 (en) * 2011-09-16 2015-10-13 Ricoh Company, Ltd.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868165B2 (ja) * 2011-12-27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現像方法
JP6414977B2 (ja) * 2015-02-03 2018-10-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ローラ
WO2019050013A1 (ja) * 2017-09-11 2019-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担持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463534B1 (ja) * 2017-09-11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担持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23157527A (ja) * 2022-04-15 2023-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ローラ、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654A (en) * 1969-11-14 1972-04-11 Xerox Corp Cleaning apparatus
US3754963A (en) * 1970-12-23 1973-08-28 Ibm Surface for impression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DK127277C (ko) * 1972-03-06
US3866572A (en) * 1973-05-29 1975-02-18 Xerox Corp Foraminous electrostatographic transfer system
JPS53138349A (en) * 1977-05-10 1978-12-02 Ricoh Co Ltd Powder toner feeding member
JPS5830582B2 (ja) * 1977-09-14 1983-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現像装置
JPS5451846A (en) * 1977-09-30 1979-04-24 Ricoh Co Ltd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device
JPS54137346A (en) * 1978-04-18 1979-10-25 Ricoh Co Ltd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latent image
JPS54149632A (en) * 1978-05-16 1979-11-24 Ricoh Co Ltd Development for zerography
JPS5577764A (en) * 1978-12-07 1980-06-11 Toshiba Corp Pressure developing device
JPS55117173A (en) * 1979-03-02 1980-09-09 Canon Inc Developing device
JPS57120947A (en) * 1981-01-20 1982-07-28 Canon Inc Method for development
US4478505A (en) * 1981-09-30 1984-10-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for improved charging of flying toner
US4436054A (en) * 1982-08-23 1984-03-13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toner cleaning station
US4545670A (en) * 1982-10-12 1985-10-0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Developing apparatus using magnetic developer
DE3243705C1 (de) * 1982-11-25 1984-04-12 Elfotec AG, 8126 Zumik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photographischen Bilderzeugung
GB2138565B (en) * 1983-03-25 1986-10-22 Central Electr Generat Board Apparatus for monitoring particulate matter
DE3321836A1 (de) * 1983-06-15 1984-12-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Gekapseltes, druckgasisoliertes hochspannungsschaltgeraet
JPS6022153A (ja) * 1983-07-18 1985-02-04 Mita Ind Co Ltd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619630B2 (ja) * 1984-08-08 1994-03-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S61150370U (ko) * 1985-03-08 1986-09-17
JPS62976A (ja) * 1985-06-27 1987-01-0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7104635B2 (ja) * 1985-10-24 1995-11-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731454B2 (ja) * 1985-11-19 1995-04-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2542373B2 (ja) * 1986-02-19 1996-10-0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担持体
JPH0812510B2 (ja) * 1986-10-17 1996-02-07 ミノルタ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装置
JP2743271B2 (ja) * 1987-02-02 1998-04-22 株式会社リコー 弾性ウレタンゴムロール
JPS63231469A (ja) * 1987-03-20 1988-09-27 Oki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2511951B2 (ja) * 1987-03-31 1996-07-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現像装置
US4967231A (en) * 1987-12-29 1990-10-30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forming an electrophotographic latent image
JPH0250182A (ja) * 1988-05-30 1990-02-20 Canon Inc 現像装置
JPH065431B2 (ja) * 1988-12-20 1994-01-19 日東工業株式会社 弾性ロール及びその製造法
US5057871A (en) * 1989-03-16 1991-10-15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having a conductive porous toner-removing roller
US5076201A (en) * 1989-03-16 1991-12-31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and method of producing developing roller incorporated therein
JP3014052B2 (ja) * 1989-05-11 2000-02-28 富士通株式会社 一成分現像装置
AU619686B2 (en) * 1989-06-21 1992-01-30 Fuji Xerox Co., Ltd.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2038B2 (en) 1992-03-26
DE69015496D1 (de) 1995-02-09
US5548382A (en) 1996-08-20
AU5983390A (en) 1991-03-28
EP0411891A3 (en) 1992-04-22
EP0411891B1 (en) 1994-12-28
DE69015496T2 (de) 1995-05-11
EP0411891A2 (en) 1991-02-06
KR950006228B1 (ko) 1995-06-12
JPH0363677A (ja)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4947A (ko) 전자 사진 분야에 이용되는 현상장치
KR900018765A (ko) 전기사진분야에 사용되는 현상장치
KR910005110A (ko) 전자사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현상장치
US4325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KR910003727B1 (ko) 현상장치
JPH0635303A (ja) グレイスケール単一成分非磁性現像システム
JPS55331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EP0388233A3 (en) Developing device
US4901116A (en) Developing apparatus
JPH0226224B2 (ko)
JPS607785B2 (ja) 静電潜像現像法
JPH0226225B2 (ko)
JPH0677167B2 (ja) 現像装置
JP2798969B2 (ja) ローラ転写装置
JP3510575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1170969A (ja) 現像装置
US4144061A (en) Transfer development using a fluid spaced donor member
JPH0326527Y2 (ko)
JPS5814354Y2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5204233A (ja) 像形成装置
JPS60103370A (ja) 電子複写機の現像装置
JPH05181352A (ja) 現像装置
JPH08160735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13716A (ja) 現像装置
JP2625245B2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