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682B1 -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682B1
KR910004682B1 KR1019870013302A KR870013302A KR910004682B1 KR 910004682 B1 KR910004682 B1 KR 910004682B1 KR 1019870013302 A KR1019870013302 A KR 1019870013302A KR 870013302 A KR870013302 A KR 870013302A KR 910004682 B1 KR910004682 B1 KR 91000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ptical density
lookup table
exposure
imag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577A (ko
Inventor
랩 옌 리이 데니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03G15/32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using a C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generating or processing printable items, e.g.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H04N1/4078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using gradational references, e.g. grey-scale test pattern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제 1 도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화상요소, 색조, 입·출력 광학적 밀도 및, 노출 강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입·출력 광학적 밀도들과 노출 명암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사진 복사장치 12 : 드럼
18 : 로울러 20 : 진공펌프
24 : 필름 공급기 26 : 필름 시이트
28 : 스코로 트론(또는 충전장치) 32 : 노출부
34 : 음극선관 36 : 광섬유 면판
40 : 조색부 44 : 건조부
48 : 제거수단 50 : 융합부
52 : 압착 로울러 54 : 노출 측정장치
56 : 필름시이트 수용접시 58 : 전자식 노출 조절 시스템
62 : 데이터 기억장치 64 : 노출값 신호 발생기
66 : 순람표 발생기 68 : 완충기
70 : CRT 구동기 72 : 계단형 쐐기 발생기
74 : 변환기
이 발명은 전자사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광학적 밀도범위를 정확히 복사하기 위해 전자사진 연속 조색 필름의 노출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복사 시스템들은 여러해 전부터 있어왔다. 일반적으로, 그런 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화상요소는 화상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전도성을 띄게되어 화상요소 표면에 축전된 전하를 도전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방출시키는 전자사진층을 갖고 있는데, 이 화상요소는 이온화 방사선원(예, 스크로트론(scorotron)이나 코로나 충전장치) 밑을 통과하는것에 의해 표면층이 균일하게 충전된다. 그다음에, 충전된 표면을 변조된 화학선 방사선에 화상방향으로 노출시키면 광전도층은 전도성을 띄게되고 축전된 전하를 방전시킨다. "화학방사선"이란 용어는 광화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광전 효과등에도 범용한다고 해석된다.
여기서 고려된 바와같은 연속 조색 시스템에서는, 화상요소표면에 남아있는 전하량이 그 요소가 받아들이는 화학방사선량에 반비례한다. 이런 방식에서는, 화상요소에 입사되는 화상방향 변조식 화학방사선과 일치하는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하 패턴이 그 요소에서 생성된다. 화상요소의 어떤 점에서는 정전하량은 조사되는 화학방사선의 강도에 반비례한다.
이제, 잠상은 적당한 정전하를 띠면서 화상요소위의 전하 패턴에 흡인되는 착색 입자들을 이용하는 현상처리에 의해 눈으로 볼 수 있게 나타날 수도 있다. 원하는 결과에 따라서, 착색 입자들은 화상요소에 있던 원래 전하와 동일한 극성의 전하를 띨수도 있고, 또는 그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띨수도 있다. 동일극성의 전하입자와 적당한 바이어스 전극을 사용하면, 착색입자들은 원래의 전하가 누축되어버린 부분에 우선적으로 흡인되어, 본래의 노출에 비례하는 "암부" 또는 "착색부"를 재현한다. 그러나, 전하 입자 극성이 반대이면, 화학방사선에 최소로 노출된 부분에 최대량의 입자들이 흡인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화상반전이 발생해서 밝은 색조가 어둡게 어두운 색조가 밝게나타난다. 후자의 경우에서는, 화상 색조들이 원래의 것과 동일하게 복사된다.
착색 입자들은 건식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운반액에 분산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토우너, 착색 입자 또는 분산액과 같은 것들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하, 토우너 액은 해상도가 더 높은 경향이 있고, 그런 잇점 때문에 자주 선호된다.
계속해서 조색처리된 다음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처럼 건조하고 융합되거나 수납용기로 보내진후 화상이 나타날수도 있고 또는 이상의 단계들이 다르게 조합된 후 화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이용범위가 넓어지고, 컴퓨터가 대규모의 테이터를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게된 것으로 인해, 화상 조작 시스템들이 방사선 사진술이나 인화처리와 같은 처리에 사용될 대 화상질을 높일수 있게 되었다. 예를들어, 방사선 사진술에 적용된 경우 방사선 사진은 수많은 디지털 부호식 화소들, 즉 "픽셀(pixel)들"로 분할되어 전화선을 통해 전송되고, 디스크에 기억되며 마음대로 검색되고, 콘트라스트를 높인후 진단의 목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매체로는 음극선과, 할로겐화온 필름, 전전 디스플레이등이 있다.
현재는 해상도가 높은 고품질 진단 화상을 나타낼만한 매체가 없다. 음극선관의 경우, 해상력과 동적 범위에 있어서 제약을 받는다. 할로겐화온 필름에 복사하면 해상력과 동적범위는 뛰어나지만, 고가이고 대개 시간이 걸리며 암실 시설설비들이 필요하다. 전자사진은 암시 현상처리와 복잡한 화학적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동적 범위를 가지면서 해상도가 높은 화상들을 급속 재생하기 때문에, 아주 유망하다. 그러나, 최종 제품에서 필요한 진단 품질을 얻을려면, 전자사진 필름의 정전하 보유 특성 반응과 토우너 정전반응을 보상하도록 노출 강도 값이 조절되어야 한다. 복잡하게도 필름과 토우너의 반응은 모두 선형성이 아니고, 시간, 사용법, 및/또는 주면 조건에 따라 가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관점에서 보면, 연속 조색 화상에서 조색 범위를 정확히 복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믿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으로 보정된 순람표를 이용해서 최종 화상에 광학적 밀도를 원하는 값으로 정확히 복사할 수 있도록 한 노출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순람표는 선행화상에 대한 노출 및 현상처리중에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자의 화상 픽셀에 필요한 노출 강도 각각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이는 필름과 토우너의 특성 반응이 단계적으로 가변하므로 한번의 노출기간동안에 현상된 데이터들이 그다음 노출을 조절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될수 있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요소에 입사되는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할 수 있는 동적 보정식 순람표를 발생 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다음 단계들로 구성된다.
(a) 동적으로 보정된 순람표에 따라, 소정의 가변 광학적 밀도 값으로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하는 단계, (b) 그 화상을 나타내는 변조된 화학방사선에 화상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c) 동적으로 보정된 순람표를 이용해서, 소정의 광학적 밀도 값을 가진 계단형 쐐기(step wedge)를 나타내는 정보로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하는 단계, (d) 계단형 쐐기 정보에 의해 변조된 화학방사선에 화상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e) 화상요소에 상기 화상과 계단형 쐐기를 현상하는 단계, (f) 현상된 계단형 쐐기의 광학적 밀도값과 공지된 소정의 광학적 밀도값을 비교하는 단계, (g) 현상된 계단형 쐐기 광학적 밀도값과 소정의 광학적 밀도값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보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보정신호에 따라 순람표를 보정하는 단계.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기술내용에 있어서 유사 요소들에는 유사한 참고번호가 부여되었음을 주지하기 바란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유용한 전자사진 복사장치(10)의 통상적인 사시도이다. 복사장치(10)의 드럼912)은 회전 축선(16)을 중심으로 화살표(1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럼(12)은 표면(12S)과 도전 로울러들을 갖추고 있는데, 이들중 3개의 로울러들(18A, 18B, 18C)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 로울러들(18)은 소정의 전위에, 바람직하게는 접지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필름 시이트를 드럼(12) 표면(12S)위에 유지시키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설치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것은 드럼(12)의 표면(12S)에 배치된 다수의 구멍들(22)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진공펌프(20)를 포함하는 진공 설치 시스템이다. 적절히 배치되는 클립장치와 같은 어떤 다른 적당한 수단도 이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기 바란다.
시이트 필름 공급기(24)는 드럼(12) 가까이에 설치된다. 이 공급기(24)는 이하 필름 시이트로 언급되는 전자사진 화상요소(26)를 드럼(12)의 표면(12S) 위에 분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필름 시이트(26) 윗면은 화상면(26I)이다. 필름 시이트(26)는 드럼(12)이 복사장치(10)의 이송로(27)를 따라 필름 시이트(26)를 이송할 때, 화상면(26I)이 드럼(12)의 표면(12S)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설치수단에 의하여 위치된다. 시이트(26)는 지지부 위에 놓이는 2개의 층을 갖는데, 이 지지부는 두께가 일반적으로 1.78×10-²㎝(0.007")인 폴리에스테르로 되어 있다. 2개의 층중 화상면(26I)이 있는 외부층은 광전도층이다. 나머지층은 전기적으로 도전되는 층이다. 외부층의 일부는, 도전층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한쪽 모서리를 따라 제거되며, 필름 시이트(26)가 이송로(27)를 따라 이송될 때 도전층이 로울러등(18A, 18B, 18C)과 접촉되게 된다.
스크로트론 또는 기타 코로나형 충전장치(28)는 필름 공급기(24)에서 화살표(14) 진행방향 아래쪽에 드럼(12)가까이에 설치된다. 스코트론 충전장치(28)는 필름 시이트(26)의 화상면(26I) 전반에 걸쳐 균일한 정전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노출부(32)는 충전장치(28)에서 화살표(14) 진행방향 아래쪽에 드럼(12)가까이에 설치된다. 노출부(32)는 변조된 화학방사선 형태의 복사 에너지원으로, 광섬유 면판(36)을 가진 음극선관(CRT)(3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방사선"이란 말은 광화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되는 광전 효과등도 범용한다고 해석된다. 면판(36)의 끝은 필름 시이트(26)의 화상면(26I)에 아주 인접하게 놓인다. 상기 화학방사선 대신에 레이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살표(14)방향에서 노출부(32) 다음에는 조색부(40)가 놓여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조색부(40)는 드럼(12)곡면에 일치하게 제작된 통상적인 토우너액 공급기(이미즌 코오포레이션이 시판하는 부품 AG3-0054-020와 같은 조어류)에 의해 실현된다. 원래의 A.C. 구동모우터 대신에 A.D.C. 모우터를 사용하고 수동 로울러를 능동 구동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공기 송풍기로 구성되는 건조부(44)는 조색부(40)가까이에 설치된다.
노출되어 상이형성된 필름 시이트(26)를 벗겨서 드럼(12)의 표면(12S)에서 융합부(50)로 안내하는 제거수단(48)이 필름시이트(26)의 이송로(27)를 따라 작동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거수단(48)은 진공해제 메카니즘 형태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융합부(50)는 1쌍의 가압 로울러들(52A, 52B)로 구성딘다. 사용되는 특수 토우너에 따라서 로울러(52)쌍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되어 토우너가 융합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광원과 관련 광검출기로 구성되는 노출 측정장치(54)는 필름 시이트(26)의 한쪽 모서리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 장치(54)는 시이트(26) 표면(26I)의 한쪽 모서리를 따라 노출된 소정의 계단형 쐐기 또는 태블릿의 광학적 밀도를 측정한다. 쇄기들과 계단형 태블릿들은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윌리 인터사이언스 편집의 토머스 주니어의 저서인 "사진 과학 및 기술의 SPSE 안내"(1973년 판 783-784 페이지)에 설명되어 있다. 융합부(50)를 거친 필름 시이트(26)를 받을 수 있도록 필름 시이트 수용 접시(56)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될 전자식 노출 조절시스템(58)이 복사장치(10)의 작동 요소들을 조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복사장치(10)의 작동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으며,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복사장치(10)안에서 필름 시이트(26)표면(26I)에 화상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주요 요소들의 구성도이다.
작동시, 입력라인(60)을 통한 명령에 따라 필름 시이트(26)가 공급기(24)로부터 회전드럼(12)표면(12S)위로 방출된다. 필름 시이트(26)는 진공펄프(20)의 기능에 의해 구멍들(22)을 통해 드럼(12)위에 밀착하게 된다. 그 뒤 스코로트론(28)의 기능에 의하여 필름 시이트(26)가 그 표면(26I)에 걸쳐 균일하게 충전된다. 충전된 필름 시이트(26)는 노출부(32)를 지나 이송로(27)를 따라 이송되는데, 상기 노출부는 필름 시이트(26)를 강도가 변화는 화학방사선에 화상방향으로 노출시킨다. 이와같은 화상방향 노출 결과로, 필름 시이트(26)의 표면(26I)이 입사 방사 에너지의 강도에 비례하여 선택적으로 방전되며, 상기 에너지는 필름 시이트(26)의 표면(26I)위에 잠상을 나타내는 여러 강도값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잠상은 조색 작업 후 볼 수 있게 된다. 조색작업은, 필름 시이트 표면을 토너액에 적당히 담그는 조색부(40)에서 이루어진다. 토너 입자들이 표면(26I)의 전하 밀도에 비례하여 표면의 전하 패턴에 흡인된다. 조색된 필름 시이트(26) 표면(26I)에 남아있는 액체는 건조부(44)에서 모두 건조되고, 그 표면이 제거수단(48)에 의하여 드럼에서 벗겨진 후, 융합부(50)에서 색상이 표면(26I)위에 영구히 고착된다.
노출 공정의 일부로서, 광 밀도에 있어서 투명상태에서 불투명 상태까지의 소정 강도 레벨(회색도) 즉, 보통의 15의 값을 갖는 화상을 구성하는 계단형 쐐기가 필름 시이트(26)의 표면(26I)위로 노출된다. 계단형 쐐기는 노출 측정장치(54)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필름 시이트(26)의 한쪽 모서리를 따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계단형 쐐기가 필름 시이트(26)에 다르게 위치되면, 측정장치(54)도 노출장치(10)의 위치와 일치하게끔 조정된다.
전자식 노출 조절 시스템(58)은 CRT(34)를 거쳐 필름표면(26I)위에 입사되는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노출 시스템(58)은 디지털 형태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검색하라는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데이터 기억장치(62)를 포함한다. 기억장치(62)는 복사될 화상과 일치하는 소정의 픽셀들의 강도를 각각 디지털로 표시한다. 각각의 강도 값은 CRT에서 나오는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하여 필름시이트(26) 표면(26I)에 잠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그 장치(62)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원격 소오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기능적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62)는 작동자가 제어하는 입, 출력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장치(62)의 출력은 순람표 발생기(66)에서 생성된 동적으로 보정된 순람표에 기억된 소정 값에 따라 각각의 픽셀에 대한 노출 강도값의 디지털 표시를 변조하는 노출값 신호 발생기(64)에 연결된다. 노출값 신호 발생기(64)의 출력은 임시 완충기(68)에 기억된 다음 CRT 구동기(70)를 통해 CRT(34)에 인가된다. 바람직하게도 CRT는 종래 회로망을 이용해서 단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계단형 쐐기 발생기(72)는 노출값 신호 발생기(64)에 연결되고, 순람표에 따라 변조되어, CRT(34)가 계단형 쐐기의 잠상을 발생시키는 출력을 생성하겠끔 한다. 순람표 발생기(66)는 노출 보정 인자들에 대한 표를 변경하는데 적용하는 보정값 한세트를 발생시키는 수단를 포함한다. 노출 보정 인자들은 각필셀의 본래의 광학적 밀도값으로 조색된 최종 화상을 복사하는데 필요한 화상 비임의 강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전자식 노출 조절 시스템(58)은 조색된 계단형 쐐기의 실제 광학적 밀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측정장치(54)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적절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74)를 포함한다. 이 디지털 신호들은 순람표 발생기(66)에 인가된다. 순람표의 특정값이 순람표 발생기(66)에 유도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기능적 요소들(62,64,66,68,72)은 모토롤라(68000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람표를 발생하고 노출 강도 값을 보정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기능(64,66 및 77)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A-1 내지 A-26 페이지애 걸쳐 M68000 어셈블리와 "C" 언어로 짜여진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기능적 요소들(62,68)은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기억장치들이다.
순람표가 발생기(66)에서 동적으로 보정되는 기본사항은 이하의 설명에서 잘 알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람표의 생성 밑 동적 보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되는 4개의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사분면들(A,B,C,D)과 곡선들(I, Ⅱ, Ⅲ, Ⅳ)은 화상을 복사하는데 협동하는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여러 관계를 표시한다.
사분면(A)에는, 화학방사선에 대한 화상요소의 노출 함수로서, 미리 충전된 화상요소 표면의 잔류 전하밀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요소 전달함수(곡선 I)가 되시되어 있다. 표준 실시예에 따라, 횡좌표는 노출의 로그함수(Loge)로 사용된다.
2사분면(C)에는 광학적 밀도 함수에 때한 광학적 밀도 형태로 취해진 토우너 전달함수(곡선 II)가 있다.
3사분면(C)에는 광학적 밀도 수직축과 광학적 밀도 수평축 사이의 광학적 밀도들을 전달하는 전달곡선(T)이 그려져 있다. 광학적 밀도들을 여기서 이 시스템에 이용가능한 광학적 밀도들의 범위에 걸쳐 똑같이 간격을 둔 15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4사분면(D)은 순람표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곡선(III)은 최대 광학적 밀도 15등급에 해당하는 최대 조도로부터 최대 광학적 밀도 값에 해당하는 최대 조도 값 Em(최대 노출)까지 뻗어있는 선형 함수이다. 곡선(IV)은 원하는 광학적 밀도 범위를 예언가능하게 정확히 복사하도록 곡선(III)을 변형한 결과이고 순람표를 발생시키는 기준들을 설정한다. 곡선(IV)은 반드시 발생되어야 하고, 만약 그렇지 못하면 토우너 전달 함수곡선(II)과 화상요소 전달함수 곡선(I)이 비선형이 되기 때문에 최종 화상의 복사된 조색 범위가 허용값을 벗어난다.
예를들어, 원하는 최종 광학적 밀도가 7등급이라 가정해보자. 제 3 도에서 실선을 따라가보면, 노출값이 E1로 주어지는 것을 곡선(III)으로부터 알 수 있다. 그 노출값(E1)은 필름 시이트 표면(26I)의 전하 밀도를 D1로 만든다. 이런 전하밀도(D1)로 인해 원하는 7등급보다는 11.6에 상당하는 밀도 등급을 생성할 만큼 충분한 토우너가 고착될 것이다. 따라서, 노출 값은 원하는 7등급을 얻기 위해 변경되어야 한다. 7등급을 복사할려면, 토우너 전달함수 곡선(II)을 근거로 하여, 필름 시이트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하밀도(D2)를 취해야 한다. 이것은 그 다음에 본래 예견된 노출값(E1)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노출값(E2)으로 필름 시이트를 노출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두 노출값의 차는 본 발명에 이용되어 다음과 같이 적정 노출을 얻는데 기여한다.
제 4 도에는 제 3 도의 곡선(I과 II)이 합해진 효과들이 전체 시스템의 실제 전달함수(곡선 V)로서 도시 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이 곡선은 알려지지 않아서 순람표를 구성하는 곡선(IV)을 미리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스템 초기 설정 공정중에, 곡선(III)과 같은 반응이 추정되고 15등급의 광학적 밀도 값으로된 계단형 쐐기와 같은 시험 타게트에 필름 시이트가 노출되어 공지된 소정의 광학적 밀도 값의 시험 타게트화상을 생성한다. 시험 타게트 화상이 현상된 후 생성된 광학적 밀도 값들이 측정되어 기존의 입력값과 비교된다. 예를들어, 주어진 노출이 E1이기 때문에 밀도등급 5가 7등급의 곡선(III)을 근거로하여 재생됨을 실선을 따라가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시험 타게트에서 측정된 값으로부터, 노출(E2)이 5임(점선으로 도시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곡선(III)상의 점(Q1)은 점(Q2)으로 옮겨져서 Q2-Q1=E2-E1이 되도록 보정되어야 한다. 모든 밀도 등급들에 대한 보정값들은, 밀도값이 두 등급 사이의 값으로 떨어질때마다 원하는 광학적 밀도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밀도 값을 정확히 계산하는 내삽법에 의해 계산된다. 이 값들은 곡선(IV)을 유도하는데 이용되고 순람표 발생기(66)에서 곡선(IV)에 상응하는 순람표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순람표는 동적으로 보정된다. 필름 시이트에 화상이 생길 때마다 시험 타게트도 화상요소의 비화상 영역에 생성된다. 시험 타게트의 가시적 광적광학 밀도는 측정장치(54)에 의해 측정되어, 변환기(74)에서 디지털 량으로 변환된 다음 공지된 광학적 밀도 값들과 비교되고, 그 결과들은 야기될수도 있는 어떠한 불일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순람표를 변경하는데 활용된다. 예를들면, 그런 불일치들은 필름 시이트 반응의 변화들, 토우너의 변화들, 또는 광원 강도 값의 변경들 또는 광전도체의 방전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면 상태나 기타 환경변화들에 기인해서 발생할 수 있다. 원하는 최대 광학적 밀도 값이 순람표 범위 밖에 존재하는 경우 스코로트론 필름 시이트 충전 특성들은 필요한 결과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색부는 화상면(26I)에 들러붙는 토우너량을 조절하는 일정 전압을 갖는 바이어스 전극을 포함한다. 원하는 최소 밀도값이 순람표 범위밖에 존재하면 조절해서 최소 밀도값을 순람표 범위내에 있도록 한후 초기설정을 할수도 있다. 선형성 시험 타게트를 복사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선택된 기준에 따르는 다른것들보다 임의의 등급을 강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순람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반응을 원하는 어떤 방식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Claims (4)

  1.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되는, 화상요소에 입사된 화학방사선 강도를 변조시키기 위한 동적 보정식 순람표의 발생 방법 : (a) 동적 보정식 순람표에 따라, 소정의 가변 광학적 밀도 수준값으로 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하는 단계, (b) 상기 화상을 나타내는 변조된 화학방사선에 화상요소를 노출 시키는 단계, (c) 동적 보정식 순람표를 이용해서 공지의 광학적 밀도 소정값을 가진 계단형 쐐기를 나타내는 정보로 상기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변조하는 단계, (d) 상기 계단형 쐐기 정보에 의해 변조된 상기 화학 방사선에 상기 화상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e) 상기 화상요소에 상기 화상과 계단형 쐐기를 현상하는 단계, (f) 현상된 계단형 쐐기의 광학적 밀도값들과 공지의 광학적 밀도 값들을 비교하는 단계, (g) 현상된 계단형 쐐기의 광학적 밀도 값과 공지의 광학적 밀도 값과의 차에 근거하여,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h) 상기 보정신호에 따라 상기 순람표를 보정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a)와 (c)가 동시에 수행되는 방법.
  3.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순람표를 기억하는 수단, 계단형 쐐기의 화상에 실제 광학적 밀도를 측정하고 그 밀도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계단형 쐐기에 대한 표시신호와 상기 계단형 쐐기에 상응하는 공지의 광학적 밀도값 세트를 비교하여 보정값 세트를 발생시키는 수단 및, 상기 보정값 세트를 인가하여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상기 순람표를 변경하므로써, 화상요소에 입사된 화학방사선의 강도를 조절하기에 유용한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동적 보정식 순람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노출조절 시스템.
  4. (a) 제 1, 제 2 이격 위치들을 포함하는 소정 경로를 따라 화상요소를 이송하는 수단, (b) 상기 이송수단 표면 가까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수단위로 윗면이 화상면인 화상요소를 동시에 분배하는 화상요소 분배기, (c) 상기 이송 수단의 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분배기 뒤로 상기 이송 수단 가까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요소 표면에 균일한 전기 전하를 설정해주는 충전 수단, (d) 상기 화상면에 정전 잠상을 생성시키는 수단, (e) 상기 화상면의 정전잠상에 정전 토우너를 도포하여 상기 잠상을 보이게 하는 조색 수단 및, (f) 상기 색상을 영구히 고착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속적인 토우너 조색 전자사진 화상 생성 장치로서, (g) 상기 정전잠상 생성수단 자체가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순람표를 기억하는 수단, 계단형 쐐기의 화상의 실제 광학적 밀도를 측정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계단형 쐐기에 대한 표시 신호와 상기 계단형 쐐기에 상응하는 공지의 광학적 밀도값 세트를 비교하여 보정값 세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보정값 세트를 인가하여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상기 순람표를 변경하므로써, 화상요소에 입사된 화학 방사선의 강도를 조절하는데 유용한 노출 보정 인자들로 된 동적 보정식 순람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속적인 토우너 조색 전자사진 화상 생성장치.
KR1019870013302A 1986-11-25 1987-11-24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KR910004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4802 1986-11-25
US06/934,802 US4816863A (en) 1986-11-25 1986-11-25 Exposure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 tone electrophotographic film
US934,802 198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77A KR880006577A (ko) 1988-07-23
KR910004682B1 true KR910004682B1 (ko) 1991-07-09

Family

ID=2546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302A KR910004682B1 (ko) 1986-11-25 1987-11-24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16863A (ko)
EP (1) EP0269033B1 (ko)
JP (1) JPS63246768A (ko)
KR (1) KR910004682B1 (ko)
AU (1) AU600321B2 (ko)
BR (1) BR8706312A (ko)
CA (1) CA1295651C (ko)
DE (1) DE3777098D1 (ko)
HK (1) HK667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747A (en) * 1988-05-10 1990-10-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298944A (en) * 1989-06-30 1994-03-29 Ricoh Company, Ltd. Testing image density to control toner concentration and dynamic range in a digital copier
US5313308A (en) * 1989-08-31 1994-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hanges its tone reproducing property in accordance with ambient conditions
DE69029706T2 (de) * 1989-10-31 1997-06-05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zur Halbtonwiedergabe
JP3373508B2 (ja) * 1989-12-26 2003-02-0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フィルム上に捕捉されたイメージの線形範囲を延長する方法
JPH04126462A (ja) * 1990-09-18 1992-04-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044387B2 (ja) * 1990-11-14 2000-05-22 コニカ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における濃度補正装置
JP2684454B2 (ja) * 1990-11-29 1997-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濃度設定方法
EP0500134B1 (en) * 1991-02-22 1995-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975437B2 (ja) * 1991-02-28 1999-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写機の画質調整装置
US5305057A (en) * 1991-07-05 1994-04-1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rrection means for modifying image density signals according to a gradation correction table
DE69225664T2 (de) * 1991-10-08 1998-12-03 Canon Kk Verfahren zum kontrollieren eines Bilderzeugungsgeräts
US5255085A (en) * 1991-10-25 1993-10-19 Eastman Kodak Company Adaptive technique for providing accurate tone reproduction control in an imaging system
US5293539A (en) * 1991-10-25 1994-03-0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one reproduction in a proofing system
US5477317A (en) * 1992-08-10 1995-12-19 Xerox Corporation Adaptive exposure color correction
JPH06118759A (ja) * 1992-10-05 1994-04-28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安定化法
US5281979A (en) * 1992-11-04 1994-01-25 Eastman Kodak Company Laser printer calibration
AU661205B2 (en) * 1992-11-25 1995-07-13 Eastman Kodak Company Multi-user digital laser imaging system
JP3049684B2 (ja) * 1993-12-10 2000-06-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出力階調調整方法
JPH07164673A (ja) * 1993-12-13 1995-06-27 Minolta Co Ltd レーザ駆動装置
FR2714769B1 (fr) * 1993-12-31 1996-03-22 Aerospatiale Antenne micro-ruban conique préparée sur un substrat plan, et procédé pour sa préparation.
US5754309A (en) * 1995-06-06 1998-05-19 Apple Computer, Inc. Tone correction for multi-level halftoned images
US5777656A (en) * 1995-06-07 1998-07-07 Xerox Corporation Tone reproduction maintenance system for an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machine
DE19641256C2 (de) * 1995-10-06 1999-04-01 Ricoh Kk Bilderzeugungseinrichtung
US5751470A (en) * 1996-03-12 1998-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hanced print quality on print engines with at least one high resolution dimension
JPH09240053A (ja) * 1996-03-13 1997-09-16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301370A (ja) * 1997-04-28 1998-11-13 Nec Niigata Ltd 電子写真装置
EP1027679B1 (en) 1997-11-03 2003-04-23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an imag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imaging outputs
US6356291B1 (en) 1998-11-06 2002-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nt quality enhancement
US6560418B2 (en) 2001-03-09 2003-05-0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setting laser power and developer bias in a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machinie
JP3782689B2 (ja) * 2001-08-09 2006-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6937775B2 (en) * 2002-05-15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enhancing the tone scale of a digital image to extend the linear response range without amplifying noise
US6871932B2 (en) * 2002-07-09 2005-03-29 Agfa-Gevaert Quality assessment of hard copy recorders
EP1381219A1 (en) * 2002-07-09 2004-01-14 Agfa-Gevaert Quality assessment of hard copy recorders.
WO2006032272A1 (en) * 2004-09-22 2006-03-30 Esko-Graphics A/S Method of evaluating the exposure level of a light sensitiv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1685A (en) * 1959-10-19 1966-05-17 Xerox Corp Method of controlling contrast in a xerographic reproduction process
US3700955A (en) * 1970-09-01 1972-10-24 Honeywell Inc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with extended tube life
DE2644953A1 (de) * 1975-10-09 1977-04-21 Coburn Technologies Inc Kopiergeraet mit zusaetzlicher bilderzeugungseinrichtung
GB1559341A (en) * 1976-12-31 1980-01-16 Xerox Corp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statographic copying machine
JPS5515122A (en) * 1978-07-18 1980-02-02 Toshiba Corp Electronic printer
US4201996A (en) * 1978-10-05 1980-05-06 Tektronix, Inc. Cathode ray tube having image transfer means
GB2051679B (en) * 1979-06-02 1983-04-07 Konishiroku Photo Ind Electrophotographically recording information
US4265532A (en) * 1979-06-21 1981-05-05 Logetronics Inc. Photo printing by intensity and velocity modulation
DE3041132A1 (de) * 1979-11-06 1981-05-21 Fujitsu Ltd., Kawasaki, Kanagawa Bildaufzeichnungsverfahren
JPS5691735A (en) * 1979-12-25 1981-07-24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xxray image
JPS56102853A (en) * 1980-01-21 1981-08-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 for pretreating image signal of image copying apparatus
US4355891A (en) * 1980-03-06 1982-10-26 Xerox Corporation Reduction of lamp strobing effects in a reproducing apparatus
US4367943A (en) * 1980-03-21 1983-01-11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rding compensation for rotating drum speed fluctuations in a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4350435A (en) * 1980-04-04 1982-09-21 Eastman Kodak Company Copy contrast and density control
JPS56141673A (en) * 1980-04-04 1981-11-05 Matsushita Giken Kk Picture recording equipment
US4359745A (en) * 1980-07-30 1982-11-16 Honeywell Inc.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JPS5738259A (en) * 1980-08-19 1982-03-02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carrying system
US4491875A (en) * 1980-10-30 1985-01-0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tonal image processing
DE3108115A1 (de) * 1981-03-04 1982-09-16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und andordnung zur elektrophotografischen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EP0094832B1 (en) * 1982-05-18 1987-04-15 Comtech Research Unit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ophotography
JPS59135488A (ja) * 1983-01-24 1984-08-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216165A (ja) * 1983-05-25 1984-12-06 Canon Inc 光プリンタの露光量制御装置
US4551732A (en) * 1983-06-20 1985-11-05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the recording rate of an image on the recording media of a line scan graphic recorder with the velocity of the recording media
US4578331A (en) * 1983-07-11 1986-03-25 Ricoh Company, Ltd. Color image forming method
US4627712A (en) * 1983-08-06 1986-12-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nsity control apparatus
US4630129A (en) * 1983-08-27 1986-12-16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output apparatus for printing an image and comparing image with original
US4680646A (en) * 1983-09-05 1987-07-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for reproducing a half-tone image
DE3432575A1 (de) * 1984-09-05 1986-03-13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etrahydrofuran
JPS6035757A (ja) * 1984-04-20 1985-02-23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画像の適正維持装置
US4560989A (en) * 1984-04-23 1985-12-24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the recording rate of a CRT graphic recorder
US4709250A (en) * 1985-02-19 1987-1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16863A (en) 1989-03-28
HK66792A (en) 1992-09-11
AU8165287A (en) 1988-06-02
KR880006577A (ko) 1988-07-23
CA1295651C (en) 1992-02-11
JPS63246768A (ja) 1988-10-13
AU600321B2 (en) 1990-08-09
EP0269033A2 (en) 1988-06-01
EP0269033B1 (en) 1992-03-04
EP0269033A3 (en) 1989-01-18
DE3777098D1 (de) 1992-04-09
BR8706312A (pt) 198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682B1 (ko) 동적 보정식 순람표 발생방법 및 전자사진 필름 연속 조색용 노출 조절 시스템
US3817748A (en) Contrast control in electrostatic copying utilizing liquid development
US4697910A (en) Image processor
US4153836A (en) Method of altering the gradation in electrostatic recording of half-tone images
EP0247343B1 (en) Electrophotographic method
US6034703A (en) Process control of electrophotographic device
US3942980A (en) Ion modulat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in positive and negative modes
JPS5515169A (en) Recorder
JPH05281822A (ja) 複写結像装置における静電目標再計算
US5700611A (en) Method for forming overlapping toner images
US4263359A (en) Charge receptor film for charge transfer imaging
EP0270728A1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color image
US6226019B1 (en) Imaging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by digital processing
GB145313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uplicating photographic images
EP0601933A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proofing system for gravure printed images
US4132548A (en) Process for reproducing images of fine lines or characters of low density
JPH0651604A (ja) 線幅測定装置
US3880512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film
JPS5993469A (ja) 電子写真装置
US5183717A (en) Field-enhanced charge injection amplification
US574286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adjusting of charge level on an electorstatographic recording medium
EP0788273A2 (en) Process control of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S6080871A (ja) 電子写真装置の帯電電位制御装置
US3963487A (e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using separate photoconductive elements
CA1178329A (en)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imaging for proofing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