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47A -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47A
KR910004347A KR1019900011722A KR900011722A KR910004347A KR 910004347 A KR910004347 A KR 910004347A KR 1019900011722 A KR1019900011722 A KR 1019900011722A KR 900011722 A KR900011722 A KR 900011722A KR 910004347 A KR910004347 A KR 91000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lefin
polyamide
copolymer
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라 빈오드쿠마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제이플린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제이플린,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제임스 제이플린
Publication of KR91000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46)

  1. (a) 폴리올레핀; (b)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비닐 알코올, 비닐 알코올의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렌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두 개의 중합체 재료의 물리적 혼합물(이때, 최소한 한 개의 중합체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내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및 (c)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이때 혼합물(b)는 다중의 얇고, 실질적으로 이 차원인, 평행하고 겹쳐진 층으로서 폴리올레핀(a)내에 존재하는 적층품.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a)는 약 60-약98중량%로 존재하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는 어느 것이 존재하든지 약 1-39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고, 폴리 비닐 알코올, 비닐 알코올의 공중합체 및 용융 블렌드는 어느것이 존재하든지간에 약0-38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고; 만일 폴리비닐 알코올, 비닐 알코올의 공중합체 및 용융 블렌드가 0중량%이면, 전체 물리적 혼합물의 최소한 50중량%가 무정형 폴리아미드이고, 폴리비닐 앞코올,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 또는 용융 블렌드가 존재한다면, “”≥ 0.1 (여기서, 계I=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계 Ⅱ=폴리비닐알코올, 비닐알코올의 공중합체 및 용융 블랜드임)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혼합물(b)는 약1-39중량%로 존재하고,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c)는 약0.25-약12중량%로 존재하는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이 혼합물(b)의 중합체 재료 및 폴리올레핀(a)의 층간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존재허는 제품.
  4.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제품.
  6. 제2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의 비누화도가 최소한 약 95%인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의 비누화도가 최소한 약 99%인 제품.
  8. 제2항에 있어서,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이 (i) 폴리비닐 알코올, (ii) 약 10중량% 이하의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저급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비닐아세테이트의 비누화된 공중합체, 및 (iii)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약 50-약100중량%, 및 약50중량%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약0-약50중량%로 구성되는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비누화도가 최소한 약 95%인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비닐 알코올로 기재 성분의 비누화도가 최소한 약 99%인 제품.
  11. 제9항에 있어서,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이 폴리비닐 알코올인 제품.
  12. 제2항에 있어서, 계 I 이 폴리아미드인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계 I 폴리아미드가 무정형인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계 I 폴리아미드가 헥사메틸렌디아민,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인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계 I 폴리아미드가 비스(P-아미노 시클로헥실)메탄을 포함하는 제품.
  16. 제2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 내의 폴리아미드가 폴리 카프로아미드 및 아디프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카르로락탐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용융 블렌드 내의 폴리아미드가 아디프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카프로락탐의 공중합체인 제품.
  18. 제2항에 있어서,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이 폴리비닐 알코올인 제품.
  19.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a)이 약 80-97 중량%로 존재하고, 계 (I)이 약 1-10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고, 계 Ⅱ가 약 0-10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고,가 약 0.1-10인 물리적 혼합물(b)가 약 1.5-약 15중량%로 존재하고,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c)가 약 10약 7중량%로 존재하는 제품.
  20. 제19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a)이 약 85-96중량%로 존재하고, 계 I이 약 1-8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고 계 II가 약 0-8중량%의 전체양으로 존재하는 물리적 혼합물(b) 가 약 1.5-10중량%로 존재하고, 알킬카르복실산-치환 폴리올레핀(c)가 약 2-약 5중량%로 존재하는 제품.
  21. 제2항에 있어서, 알킬카르복실-치환 오로레핀이 직접 공중합체인 제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직접 공중합체가 2-10개 탄소원자의 α올레핀 및 α,β-에틸렌형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무수물 또는 1 또는 2카르복시산 부분을 가지는 염 약 0.25-약25몰%의공중합체인 제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직접 공중합체가 에틸렌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인 제품.
  24. 제23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1-3의 원자가 최소한 한 개의 금속 이온을 가지고 약 90%로 중화된 메타크릴산 약 1-약10몰%를 포함하는 제품.
  25. 제2항에 있어서,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이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제품.
  26. 제25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간(幹)위의 말레산 무수물 부분 약0.25-약2.0중량의 그라프트인 제품.
  27. 제19항에 있어서, (a)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이고; (b)물리적 혼합물이 반 -결정질 폴리아미드 약 1-10중량%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랜드 0.5-10중량%로 구성되고; (c)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이 약 1-약7중량%로 존재하고 폴리에틸렌 간위의 말레산 무수물 부분 약 0.25-약 2.0중량%의 그라프트인 공중합체인 제품.
  28. 제27항에 있어서, 반-결정질 폴리아미드 및 용융 블렌드내의 폴리아미드가 이디프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카프로락탐의 코폴리아미드이고,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이 폴리비닐 알코올인 제폼.
  29. 제20항에 있어서, (a)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이고; (b)물리적 혼합물이 무정형 폴리아미드 1-10중량%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렌드 0.5-10중량%로 구성되고; (c)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이 약 2-5중량%로 존재하는 제품.
  30. 제29항에 있어서, 무정형 폴리아미드가, 헥사메틸렌 디아민,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이고, 용융 블렌드내의 폴리아미드가 아디프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카프로락탐의 코폴리아미드이고,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이 폴리비닐 알코올인 제품.
  31. 제29항에 있어서, 무정형 폴리아미드가 헥사메틸렌디아민,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및 비스(p-아미노 시클로헥실) 메탄의 공중합체인 제품.
  32. (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및 비닐 알코올의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렌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두 개의 중합체 재료의 물리적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모든 성분을 용융시키기 충분한 온도에서 폴리올레핀 및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과 물리적 혼합물을 겹합시켜서 용융된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i) 일단의 혼합물을 연신시키고, (ii)다중의 얇고 실질적으로 이차원인 평행하고 겹쳐진 층을 형성하기 위해 최저 용융 중합체 성분의 융점이하로 연신된 일단을 냉각시킴으로 용융된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적층품을 제조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중합체로 물질의 물리적 혼합물을 폴리올레핀 및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과 결합시키고나서 가열시켜서 용융된 비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물리적 혼합물의 입자 및 폴리올레핀의 입자가 약 1-약5㎜의 치수를 가지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연신의 최소한 한가지 방향으로 최소한 약 100
    %의 일단의 혼합물의 신장을 초래하는 방법.
  36. 제2항에 있어서, 용기 형태인 적층품.
  37. 제36항에 있어서, 용기가 모우터 차량용 연료 탱크인 적층품.
  38. 제2항의 적층품의 최소한 한 개의 첫 번째 층 및 폴리올레핀의 최소한 한 개의 두 번째 층으로 구성되는 적층구조.
  39. 제37항에 있어서, 두 번째 층의 폴리올레핀이 첫 번째 층내의 폴리올레핀과 동일한 적층구조.
  40. 제39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적층구조.
  41. 제40항에 있어서, 용기 형태인 적층구조.
  42. 제41항에 있어서, 용기가 모우터 차량용 연료 탱크인 적층구조.
  43. 제23항의 적층품의 최소한 한 개의 첫 번째 층 및 폴리올레핀의 최소한 한 개의 두 번째 층으로 구성되는 적층구조.
  44. 제1항의 적층품의 제조에서 폴리올레핀과 함께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렌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한 개의 중합체 재료(이때, 최소한 한 개의 중합체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및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로 구성되는 물질의 조성물.
  45. 제1항의 적층품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아미드 및 비닐 알코올 기재 성분의 용융 블렌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두 개의 중합체 재료(이때, 최소한 한 개의 중합체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내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알킬카르복실-치환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로 구성되는 물질의 조성물.
  46. 제45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비균질 용융 블렌드로 구성되는 물질의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11722A 1989-08-01 1990-07-31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KR910004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790289A 1989-08-01 1989-08-01
US387902 1989-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347A true KR910004347A (ko) 1991-03-28

Family

ID=2353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722A KR910004347A (ko) 1989-08-01 1990-07-31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11601B1 (ko)
JP (1) JPH0643506B2 (ko)
KR (1) KR910004347A (ko)
AU (1) AU631668B2 (ko)
CA (1) CA2021918A1 (ko)
DE (1) DE69017116T2 (ko)
FI (1) FI903816A0 (ko)
MX (1) MX172025B (ko)
NO (1) NO17580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64B1 (ko) * 2000-11-06 2003-11-15 최재수 초 미립자 녹미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619A (en) * 1993-08-24 1995-03-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r articles from a polyolefin matrix,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s and a compatibilizer
WO1998031742A1 (en) * 1997-01-15 1998-07-23 Dentsply International Inc. Laminar packaging for volatile materials
EP0947315B1 (en) * 1997-10-22 2008-08-13 Toray Industries, Inc. Aromatic polyamide film and magnetic recoding media made by using the same
US6076709A (en) * 1998-05-04 2000-06-20 Dentsply Detrey G.M.B.H. Dental adhesive container dropping system
JP2000313749A (ja) * 1999-03-04 2000-11-14 Kuraray Co Ltd 単層成形品
JP2002003623A (ja) 2000-06-22 2002-01-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20068220A (ko) * 2001-02-20 2002-08-27 주식회사 아멕스 배너 걸이대 구조
EP2112201A1 (en) * 2008-04-25 2009-10-28 INEOS Manufacturing Belgium NV Oxygen Barrier Composition
US20130115401A1 (en) 2011-11-08 2013-05-09 E I Du Pont De Nemouras And Company Hydrolytic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hydroxy polymers
JP6249224B2 (ja) * 2014-03-07 2017-12-20 Dic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CN114347604A (zh) * 2021-12-07 2022-04-15 江阴宝柏新型包装材料有限公司临港分公司 一种优异耐腐蚀片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754A (en) * 1971-06-18 1974-12-31 Toyo Seikan Kaisha Ltd Resinous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gas permeation resistance and molded structures thereof
GB8704385D0 (en) * 1987-02-25 1987-04-01 Du Pont Canada Injection moulding of articles
FR2620125B1 (fr) * 1987-09-07 1992-03-13 Solvay Compositions polyolefiniques de proprietes rheologiques modifiees et leurs utilisations
US4806597A (en) * 1987-10-29 1989-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romatic polycarbonate, polyolefin,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and a modified hydrogenated alkylidene vinyl aromatic block copolym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64B1 (ko) * 2000-11-06 2003-11-15 최재수 초 미립자 녹미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43506B2 (ja) 1994-06-08
NO175809C (no) 1994-12-14
JPH0370745A (ja) 1991-03-26
EP0411601A2 (en) 1991-02-06
FI903816A0 (fi) 1990-07-31
NO175809B (no) 1994-09-05
DE69017116D1 (de) 1995-03-30
MX172025B (es) 1993-11-29
CA2021918A1 (en) 1991-02-02
AU631668B2 (en) 1992-12-03
EP0411601B1 (en) 1995-02-22
NO903377L (no) 1991-02-04
AU6001590A (en) 1991-02-07
DE69017116T2 (de) 1995-10-12
EP0411601A3 (en) 1991-05-02
NO903377D0 (no) 199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304B1 (ko) 폴리올렌핀 및 나일론/폴리비닐 알코올 블랜드의 적층 물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880001771B1 (ko) 열밀봉성 복합필름
US3437718A (en) Polymer blends
EP0095349B1 (en) Laminates of lamellar articles and polyolefins
KR910004347A (ko) 최소한 두개의 차단수지를 함유하는 적층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
JP3113815B2 (ja) グラフト化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を基剤とする同時押出バインダー
KR940008878A (ko)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알로이(alloy)기재 적층물 및 이로부터 얻은 물체
DE60028113T2 (de) Koextrusionbindung, seine Verwendung für eine Multischichtstruktur und die Struktur hergestellt davon
JPH0224309B2 (ko)
US5061757A (en) High impact strength polyamide blend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EP0280455A2 (en) Process for the injection moulding of articles having barrier properties
ES2212972T3 (es) Aglutinante de coextrusion, su uso para una estructura multicapa y la estructura asi obtenida.
JP2857205B2 (ja) 多層フィルムの回収再生方法
US528166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D252579A5 (de) Siegelbare mehrschichtfolien
JP2834567B2 (ja) 樹脂組成物
JPH0510578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3283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DK158908C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formbare masser bestaaende af en polyamidmatrix, hvori er dispergeret en thermoplastisk elastomer
JPH0532817A (ja) 多層フイルムの回収再生方法
JPH0631803A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コポリマーをベースとする延伸された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10578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7063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116800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NO175573B (no) Gjenstand med laminær struktur omfattende et polyolefin og en blanding omfattende polyamid, samt anvendelse av den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