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781B1 -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 Google Patents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781B1
KR910002781B1 KR1019870012750A KR870012750A KR910002781B1 KR 910002781 B1 KR910002781 B1 KR 910002781B1 KR 1019870012750 A KR1019870012750 A KR 1019870012750A KR 870012750 A KR870012750 A KR 870012750A KR 910002781 B1 KR910002781 B1 KR 91000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icycle
light
light syste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089A (ko
Inventor
자콥 라르센 헬루프
Original Assignee
자콥 라르센 헬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콥 라르센 헬루프 filed Critical 자콥 라르센 헬루프
Publication of KR88000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8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hidden within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3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viding power to equipment other than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2Position or condition responsive switch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제1도는 본원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을 위한 일실시예로서의 자전거 프레임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제3도는 제2도의 라이트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전기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상의 제1도에서의 도시된 바의 라이트 시스템을 위한 단선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새들튜브(saddle tube) 6 : 크랭크 하우징
8 : 크랭크축 10 : 재충전용 밧데리
12 : 포토셀(photo cell) 14 : 시간지연 릴레이(delay relay)
16 : 진동감용 접촉부재 20 : 잭 플러그(jack plug)
24 : 개구부(opening) 26, 28 : 와이어
30 : 새들포스트(saddle post) 32 : 전면램프
34 : 후면램프 36 : 영구자석
38 : 마그네틱 픽업(magnetic pick-up) 40 : 관상 케이싱
본 발명은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 특히 그중에서도 자전거의 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요지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차량, 특히 그중에서도 자전거에 대한 라이트장치에 대해서는 종래 여러가지 고안이 있었으나, 종래의 고안들에는 발전기램프(dynamo lamp)에 결점이 있었다. 즉, 자전거가 교통신호시 등으로 잠시 멈추고 있을 때 이 발전기램프에 라이트가 발생되지 않는 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고, 게다가 상당히 많은 라이트 시스템들이 발전기 및 재충전 가능한 밧데리에 의해 구동되는 휘일이나 허브와 조립하여 연결된 것들이었다. 이론적으로 본다면 이들 종전의 시스템들이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임엔 틀림없으나, 실제로는 사용상 부적당하고 불안정하며 비싼 구조물로서 통상의 발전기램프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그래로 남아있었다.
즉, 실제상으로는 많은 싸이클맨들이 적절한 지지부재(holding member)에 의해 자전거의 전면 및 배면단부에서 재치되는 분리가능한 밧데리램프(loose battery lamp)를 사용하는 일이 많은 점인데 그러나, 이 분리 가능한 밧데리램프는 고가인데다가 사용상 불편한 일이 많다.
예컨데, 우선 무엇보다도 자전거램프를 도난을 방지하거나 취급에 용이하도록 달아두지 않고 다니므로 자전거램프를 갖고다니는 것인지의 여부를 일일이 기억해야 한다. 게다가 분리가능한 통상의 밧데리램프는 품질이 좋은 것이라도 통상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자전거에 달고 다니기가 곤난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보완한 차량, 특히 자전거에 있어서의 제어기구를 가진 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간편하고도 사용에 용이하도록 한 발명이다.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자전거등의 차량이 사용상태에 있을 때 적합하도록 한 센서기구(sensor means)가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센서기구는 회로에 연결되는 라이트센터(light sensor)와 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재충전 가능한 밧데리와 라이트 시스템의 자동적 기능인데, 이는 자전거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라이트 시스템의 램프상에서 스윗칭을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램프와 재충전 밧데리와 제어회로 및 각각 자동적으로 스윗치 언(switch on)과 스윗치 어프(switch off) 하기에 적합하게 한 접촉기구와로 구성되고, 상기 램프는 주변의 라이트 조건에 따르고 상기 제어기구는 자전거등의 차량이 사용상태에 있을 때 표시기록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센서기구와로 구성되며, 이 센서기구는 상기 회로에 속하는 라이트센서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센서기구는 자전거의 크랭크 안에 내설된 자화작업 가능한 감용센서(magnetical operable induction sensor)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감용센서는 자전거의 크랭크축상에 설치된 거의 영구적인 영구자석과 연설되어 있고 상기 감용센서가 상기 라이트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접촉기구와 연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서기구는 자전거의 크랭크내에 설치된 음감지 가능한 진동센서(sound sensitive vibration sensor)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진동센서는 상기 라이트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접촉기구와 연설된 접촉기구(contact means)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센서들은 이와달리, 자전거의 크랭크에 관련하여 상기 음감지 가능한 진동센서와 자석을 가진 상기 자화작업 가능한 감용센서와 같이 재치되고 통상의 접촉기구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감용센서를 가진 크랭크 하우징내에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예컨대, 크랭크 하우징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때에는 상기 진동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경우도 있다. 감응센서는 자전거상에 있는 부속범퍼(incidental bump)에 의해 가동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로 구별된다. 즉 라이트 시스템은 자전거의 부속범퍼의 영향으로 어두운 자전거 차고에서 뜻하지 않게 가동되지 않아 켜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재충전 가능한 밧데리는 자전거의 프레임 튜브(frame tube)내에서 위치되기에 적합한 관성의 케이싱 또는 하우징(tubeshaped housing)에 재치되고, 특히 새들튜브(saddle tube)에 재치되는데 이 새들튜브는 자전거의 크랭크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램프와 연결와이어 및 관상 하우징에 재치된 유닛트로서의 상기 마그넷트를 제외한 전 라이트 시스템이 자전거의 새들튜브 내측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게 되고, 상기 새들튜브는 이 새들튜브의 저부에서 만들어지는 크랭크 하우징에 대한 개구부로서 외부 재충전 유닛트를 가진 재충전 밧데리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콘택트 터미널(contact terminal)과 상기 라이트센서를 위한 측면 개구부(side opening)로 제공된다.
자전거의 크랭크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대한 연결와이어는 주로 자전거의 프레임 내측에 유도되는데 이는 대단히 유익한 전면램프(front lamp)가 자전거의 크라운튜브에 직접 재치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도면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의 설명을 위해 자전거 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라이트 시스템의 전기회로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의 전기회로를 단선회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은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2)에 설치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저부에서 크랭크측(8)을 수용하는 크랭크 하우징(6)에 연결된 새들튜브(4)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재충전용 밧데리(10)셋트, 포토셀 또는 광센서(photo sensor)(12), 시간지연 가능한 딜레이 릴레이(delay relay) 또는 회로(14), 및 내부연결되는 진동감응 접촉부재(16)와로 구성되는데, 이들 부재들은 제4도에서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회로기구로 연결되어 있다. 즉, 재충전용 밧데리(10)의 상정부에서 라이트 시스템이 공지의 외부충전 유닛트(22)(제4도 참조)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위 잭 플러그(jack plug)(20)를 끼우도록 플러그 개구부(18)가 재충전용 밧데리가 연결되는 회로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회로내에서 광센서인 포토셀(photo cell)(12)이 제1도에서와 같이 새들튜브(4)내에 있는 개구부(24)의 전면에 위치되므로, 소위 블루필터(blue filter)를 가진 이 포토셀(12)은 예컨대 지나가는 차량 등으로부터의 강한 인공라이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라이트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이 포토셀(12)은 가급적 강도 1∼2룩스(Lux)를 가진 자외선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제1도 및 3도에서와 같이 크랭크 하우징(6)을 경유하여 새들튜브(4)로부터 프레임(2)을 통해 지면에 접지되는 자전거의 전·후램프(32), (34)는 라이트 시스템에서 한두개의 전도체로 구성된 연결와이어(26), (2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이어(26), (28)는 모든 라이트 시스템의 전면램프(32)와 후면램프(34)에 연결되고 자전거 프레임내의 새들튜브(4)로부터 인출되어 크랭크 하우징(6)을 거쳐 다른 프레임튜브로 각각 유도되어 새들포스트(saddle post)(30) 아래에서 새들튜브(4)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도 참조)
본 발명상의 라이트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예를 본다면, 제2도 및 제3도의 크랭크축(8)은 이 크랭크축(8)에 아교에 의하여 부착되는 영구자석(36)을 구비하는데, 이 크랭크축이 회전하면 제3도에서 도시된 바의 마그네틱 픽업장치(magnetic pick-up)(38)에 의하여 회전이 표시기록 되는데, 이는 라이트 시스템의 전자제어회로의 일부이다. 또한, 크랭크 하우징(6)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이 목적으로 크랭크 하우징(6)은 라이트 시스템이 통상 앗셈블링된 유닛트(제2도 참조)에서와 같이 그 속에서 설치되는 새들튜브(4)와 같은 적절한 프레임튜브에 대하여 개구부를 가진다. 즉, 라이트 시스템은 상부 캐링아이(upper carrying eye)(42)에 의하여 케이싱(40)과 같은 적당한 보조공구에 의하여 새들튜브(4)로부터 각각 낮아지는 예리한 스크류에 의해 새들튜브(4)속으로 고정되기에 적합한 관상의 케이싱(40)으로 씌워져 있다.
이 케이싱(40)은 포토셀이나 포토레시스터(photo resister) 및 기타 다른 마그네틱 픽업(38)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로 구성되는 하부부재(44)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틱 픽업(38)은 포토레시스터가 새들튜브(4)내에서 측면 개구부(24)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새들튜브(4)는 외부 재충전 유닛트로 라이트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잭 플러그(18)에 대해 개구부와 같이 주어진다.
라이트 시스템은 제1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상의 다음과 같은 자동기능을 가진다. 자전거가 사용중 즉, 회전하고 있을때에는, 즉, 크랭크축(8)이 회전하고 포토셀(12)이 적절한 미등을 표시할때에는 자전거의 전·후램프(32), (34)는 자동적으로 켜지고 라이트는 약 1/2-1분간의 셋팅된 지체시간이 지날때까지 꺼지지 않는다.
여기에 대응하여 진동감응 접촉부재(vibration sensitive contact means)(16)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계속 이어지는 진동으로 크랭크 하우징(6)과 그 베아링에서 회전진동을 일으킨다. 즉 크랭크축(8)이 회전하면서 전류 충격이 발생되고 전압이 출구에 걸쳐 발생되어(제3도 참조) 발생된 전류가 자전거의 램프(32), (34)상에 스윗칭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회전에 의한 마찰 또는 진동에 의하여 램프 시그널을 제공하도록 조정되는데, 예컨대 어두운 자전거 격납고 같은 곳에서는 사용을 안하므로 라이트 시스템을 스위칭할 필요가 없고 사용중 라이트가 필요할때에만 램프를 스윗칭시켜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교통신호에 걸려 잠시 대기 등의 비사용중에 있을때에는 라이트 시스템상의 시간지연 릴레이에 의하여 자전거램프의 점등시간이 지연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그 지연시간은 통상 1/2-1분이 적합하다. 즉, 상술한 진동감응 접촉부재는 크랭크 하우징(6)과 베아링에서 회전 또는 굴름진동에 의하여 활성화되는데 그러나, 이 접촉감응부재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토셀(12)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진동감응 접촉부재(16)와 포토셀(12)은 이 접촉부재(16)와 포토셀(12)이 자전거램프를 끄도록 라이트 시스템에 별도로 영향을 주는 동안에도 한편으로는 상기 램프를 점등하도록 진동감응 접촉부재와 더불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이는 비사용시의 시간지연 딜레이릴레이 14에 의해서만 해결가능하며, 이 지연회로를 진동감응 접촉부재(16)와 평행하게 연결하므로써만 가능한 것이다. 그래야만 잠시동안의 비사용시라도 소등이 가능하고 아울러 곧이어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광선의 강도를 표시기록하는 포토레시스터(photo resister)는 광선의 강도가 햇빛에 대응할 정도가 되면 역작용을 한다. 광선의 강도를 감소시켜야 이러한 문제점이 제거되고 자전거의 램프가 스윗칭되어 켜지게 되는 것이다. 회로(제3도 참조)의 히스테리시스 부분(hysteresis part)은 광선의 강도에 약간의 변동이라고 있으면 램프만이 스위칭되어 켜지게 되는때에 라이트 시스템을 제어함에 영향을 미친다. 그반면 크랭크축(8)이 약 1분 이상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는 자동적으로 스윗치 어프되어 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 광도에 따라 자동적 기능을 가진 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보완하고 사용상 간편하고도 안전한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다수의 램프와 재충전용 밧데리와 제어회로 및 각각 자동적으로 스윗치 언과 스윗치 어프 하기에 적합하게 된 접촉기구와로 구성되고, 상기 램프는 주변의 라이트 조건에 따르고 상기 제어기구는 자전거 등의 차량이 사용상태에 있을 때 표시기록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센서기구(sensor means)와로 구성되며, 이 센서기구는 상기 회로에 속하는 라이트센서(light sensor)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구는 자전거 크랭크내에서 설치되는 자화작업 가능한 감응센서(magnetical operable induction sensor)로 구성되고, 자전거의 크랭크축상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연설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자화작업 가능한 감응센서는, 이 감응센서가 상기 라이트센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접촉기구(contact means)와 연설되는 접촉기구와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구는 자전거 크랭크내에 설치된 음감지 진동센서(sound sensitive vibration sensor)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라이트센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접촉기구와 연설되는 접촉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감지 진동센서와 상기 자화작업 가능한 감응센서는 통상의 접촉기구와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용 밧데리는 자전거의 새들 프레임튜브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관상 케이싱내에 위치되고, 상기 새들 프레임튜브의 일부는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
KR1019870012750A 1986-11-14 1987-11-12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KR910002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5443/86 1986-11-14
DK5443 1986-11-14
DK544386A DK160359C (da) 1986-11-14 1986-11-14 Lysanlaeg til en cyk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089A KR880006089A (ko) 1988-07-21
KR910002781B1 true KR910002781B1 (ko) 1991-05-04

Family

ID=814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750A KR910002781B1 (ko) 1986-11-14 1987-11-12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14951A (ko)
EP (1) EP0268338B1 (ko)
JP (1) JPS63137082A (ko)
KR (1) KR910002781B1 (ko)
AT (1) ATE85950T1 (ko)
CA (1) CA1313518C (ko)
DE (1) DE3784313T2 (ko)
DK (1) DK160359C (ko)
FI (1) FI87172C (ko)
NO (1) NO1689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089Y2 (ko) * 1988-02-08 1990-07-17
GB2219067B (en) * 1988-05-28 1992-01-08 Lin Wu Fu Bicycle signalling device
FR2632464B1 (fr) * 1988-06-07 1992-04-30 Degrillasse Jacques Dispositif electronique d'eclairage pour bicyclettes et fauteuils roulants
JPH0270585A (ja) * 1988-09-06 1990-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転車用電池ライト
JP3378268B2 (ja) * 1992-04-22 2003-02-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発電装置
SE9203805L (sv) * 1992-12-17 1994-06-18 Eupart Ab Ljusanordning inbyggd i reflexsystem
US6008732A (en) * 1992-12-31 1999-12-28 Lam; Peter Ar-Fu Motor vehicle display apparatus
US5477425A (en) * 1994-11-21 1995-12-19 Sun; Min-Hsiung Bicycle lamp device
US5803574A (en) * 1995-05-08 1998-09-08 Szaniszlo; John Safety light
US6017049A (en) * 1997-05-02 2000-01-25 Spector; Donald Interactive safety helmet for bicyclists
US5842714A (en) * 1997-05-02 1998-12-01 Spector; Donald Bicycle power pack
US5815069A (en) * 1997-09-19 1998-09-29 P B Deals, Inc. Bicycle theft prevention system
DE19753047C2 (de) * 1997-11-19 2000-04-06 Marko Manthey Fahrrad mit Einrichtung zur Energieversorgung eines Elektromotors
CN1078149C (zh) * 1998-05-29 2002-01-23 卢德强 夜行车号灯
GB9827935D0 (en) * 1998-12-19 1999-02-10 Carne Steven A Seat post
DE19927996A1 (de) * 1999-06-18 2001-01-04 Luebeck Andreas Fahrrad
US6349881B1 (en) 1999-06-30 2002-02-26 Richard Bruce Wilkey Iden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property
IT1320339B1 (it) * 2000-05-09 2003-11-26 Campagnolo Srl Sistema elettronico di controlo e/o alimentazione per una bicicletta,fissabile nello stesso punto di ancoraggio del gruppo porta-borraccia.
EP1418118A1 (en) * 2001-06-19 2004-05-12 Paochuan Hu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caution
JP3573723B2 (ja) * 2001-06-29 2004-10-06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変速制御装置
US6997584B1 (en) * 2002-12-12 2006-02-14 Russell Rothan Bicycle lamp
FR2868218A1 (fr) * 2004-03-23 2005-09-30 Jean Michel Cour Methode et dispositif de charge de batterie par impulsions tolerant les fluctuations d'une source de courant continu
EP1601077A1 (en) * 2004-05-26 2005-11-30 Lee Chi Enterprises Company Ltd. Power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for a bicycle dynamo
JP2006001438A (ja) * 2004-06-18 2006-01-05 Shimano Inc 自転車用制御装置及び自転車用シートピラー
US20060077678A1 (en) * 2004-10-12 2006-04-13 Wen-Sung Chen Automatic light and vibration sensing bicycle lamp
US7293900B1 (en) 2006-01-31 2007-11-13 Wen Sung Lee Light attaching assembly for bicycle
TWM316210U (en) * 2007-03-16 2007-08-01 Ideal Bike Corp Power apparatus for electric bicycle
EP2189359B1 (en) * 2008-11-21 2013-07-03 Yi-Lun Chen Bicycle control device
CH701675B1 (de) * 2009-08-20 2014-09-15 Fairly Bike Mfg Co Ltd Batteriehalterung.
US8459682B2 (en) * 2011-06-07 2013-06-11 Calfee Design Seat post receptacle for power and circuitry elements
JP2013122816A (ja) * 2011-12-09 2013-06-20 Shimano Inc ホルダ、ホルダを備える電源組立体、およびホルダに保持される蓄電部材
TW201527163A (zh) * 2014-01-02 2015-07-16 guo-ji Yang 能自動打開電源之自行車燈號裝置及使用該裝置之燈號系統
US9580138B2 (en) * 2014-07-30 2017-02-28 Shimano Inc. Bicycle crank assembly
GB201512713D0 (en) * 2014-08-01 2015-08-26 Ford Global Tech Llc Electric bicycle
KR101850917B1 (ko) 2015-07-17 2018-04-20 주식회사 타바바 야간 후미등 제어장치
DE102020000586B3 (de) * 2020-01-30 2021-01-28 Leonid Gaft Zweirad, zum Beispiel Fahrrad oder E-Scooter
DE102020000595B3 (de) * 2020-01-30 2021-01-28 Leonid Gaft Batteriebetriebenes Rücklicht für ein Fahrra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66638A (de) * 1932-05-05 1934-01-15 Grieshaber Eugen Beleuchtungs- und Signaleinrichtung an einem Fahr- oder Leichtmotorrad.
DE812229C (de) * 1949-07-08 1951-09-10 Vogt & Co Fahrradbeleuchtung mit elektrischem Sammler
US3197756A (en) * 1960-12-27 1965-07-27 Honeywell Inc Displacement sensing apparatus
NL146291B (nl) * 1967-11-02 197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tiedetectie-inrichting.
US3760189A (en) * 1972-10-10 1973-09-18 Niagara Machine & Tool Works Motion detecting apparatus
US3967135A (en) * 1974-04-11 1976-06-29 Eaton Corporation Acceleration change sensor
FR2276980A1 (fr) * 1974-07-03 1976-01-30 Herve Jean Dispositif d'eclairage pour vehicules a deux roues
US4019171A (en) * 1974-12-16 1977-04-19 Sears, Roebuck And Co. Safety lighting system
US4117457A (en) * 1976-03-23 1978-09-26 Latta John S Light detection and signaling system
US4290047A (en) * 1976-03-23 1981-09-15 Latta Jr John S Light detection, signaling and speed measurement system
DE2919211A1 (de) * 1979-05-12 1980-11-13 Esge Marby Gbmh & Co Batterie fuer die zweiradbeleuchtung
DE3036243A1 (de) * 1980-09-26 1982-05-06 Eugen 4020 Mettmann Braun Fahrradrueckbeleuchtung
US4450351A (en) * 1981-03-30 1984-05-22 Bio/Optical Sensor Partners, Ltd. Motion discontinua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4733103A (en) * 1984-08-27 1988-03-2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sensitive switching circuit
DE3440304C2 (de) * 1984-11-05 1986-09-18 Dieter 2000 Hamburg Weis Zusatzrückleuchte für Fahrräder oder dergleichen
US4690242A (en) * 1986-11-19 1987-09-01 Mark David S Sound actuated switch
US4751399A (en) * 1986-12-11 1988-06-14 Novitas, Inc. Automatic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4313T2 (de) 1993-06-24
DE3784313D1 (de) 1993-04-01
FI87172C (fi) 1992-12-10
KR880006089A (ko) 1988-07-21
DK160359C (da) 1991-08-12
NO874745D0 (no) 1987-11-13
FI875022A0 (fi) 1987-11-13
ATE85950T1 (de) 1993-03-15
CA1313518C (en) 1993-02-09
EP0268338A3 (en) 1989-10-11
FI87172B (fi) 1992-08-31
FI875022A (fi) 1988-05-15
JPS63137082A (ja) 1988-06-09
US4814951A (en) 1989-03-21
DK544386A (da) 1988-05-15
DK544386D0 (da) 1986-11-14
NO168999C (no) 1992-04-29
NO874745L (no) 1988-05-16
NO168999B (no) 1992-01-20
EP0268338B1 (en) 1993-02-24
EP0268338A2 (en) 1988-05-25
DK160359B (da) 199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781B1 (ko) 자전거등의 차량의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US5016144A (en) Illuminating wheel covers
US3904920A (en) Safety lighting system
US3764976A (en) Pedal mounted signal light
US5690410A (en) Light device for a bicycle
FR2749268B3 (fr) Bicyclette equipee d'un dispositif d'entrainement electrique
US5765936A (en) Portable neon lighting system
US4974124A (en) Light device for a bicycle
GB2239117A (en) Bicycle anti-theft device
JPH0270585A (ja) 自転車用電池ライト
CN217739932U (zh) 一种基于ai视觉规范共享电动车骑行的监测系统及装置
CN2204759Y (zh) 多功能自行车指示镜
JPH0226089Y2 (ko)
JPH05170154A (ja) 自転車の自動点灯照明装置
CN210827175U (zh) 公路夜间施工用警示装置
JPH09175460A (ja) 自転車の2灯式自動点灯照明装置
JPH05325601A (ja) 点滅式ライト装置
JPS6078837A (ja) 車両用照明灯制御装置
JPH0356931B2 (ko)
EP0954080B1 (fr) Dispositif de détection de niveau de courant pour la protection d'un circuit contre les surintensités en courant alternatif
TW450903B (en) Automobile device for automatic selection of high beams and low beams
EP1375319B1 (en) Light-generating bicycle pedal
FR2626237A1 (fr) Dispositif d'eclairage pour bicyclette
JPH0142044Y2 (ko)
JPH0735278U (ja) 自転車用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