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31B1 - 캐스터 - Google Patents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31B1
KR910000131B1 KR1019870010803A KR870010803A KR910000131B1 KR 910000131 B1 KR910000131 B1 KR 910000131B1 KR 1019870010803 A KR1019870010803 A KR 1019870010803A KR 870010803 A KR870010803 A KR 870010803A KR 910000131 B1 KR910000131 B1 KR 91000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axle
yoke
rotation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89A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762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84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7634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0201U/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with disengageable swivel action, i.e. comprising a swivel 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urging the wheel into a position, e.g. into a straight forwar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스터
제1도는 푸시로드가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며 또 전각의 하단부에 캐스터가 설치된 유모차를 도시하는 도해도.
제2도는 푸시로드가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며, 또 전각 및 후각의 하단부에 각각 캐스터가 설치된 유모차를 도시하는 도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로부터 푸시로드를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제4도는 유모차를 직진 주행시킨때의 유모차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해도.
제5도는 유모차를 곡선형으로 방향 전환 시킨때의 유모차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가 유모차의 전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가 유모차의 후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 요크의 정면도.
제9도는 회전 요크의 정면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 로크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자동 로크부재의 정면도.
제12도는 제6도의 선 XII-XII에 따라서 본 단면도.
제13도는 제7도의 선 XIII-XIII에 따라서 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XV-XV에 따라서 본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 XX-XX에 따라서 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72,132 : 차륜
15,23,38,49,58,66,123 : 고정 브라켓
16,24,39,50,59,67,124 : 회전 요크
17,25,42,51,61,68,127 : 자동 로크부재
36,37,45,46,47,48,55,65,73,135 : 회전금지 수단
본 발명은 이동하는 물체의 방향 절환을 쉽게 하기 위하여 그 물체에 설치되는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방향 전환을 쉽게 하기 위하여 캐스터가 유모차 등의 운반장치 또는 이동되어야할 대상물에 설치된다.
제1도는 푸시로드가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 전륜이 캐스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를 도시하는 도해도이다. 도면에서 유모차(1)는 좌우에 위치하며 또 그 하단부에 차축(6)을 거쳐서 전륜(2)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한쌍의 전각(3)과, 좌우로 위치하며 또 그 하단부에 차축(7)을 거쳐서 후륜(4)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한쌍의 후각(5)과, 푸시로드(10)를 구비하고 있다. 푸시로드(1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푸시로드(10)의 배면푸시모드이며,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푸시로드(10)의 대면푸시모드이다.
한쌍의 전각(3)의 하단부에는 캐스터(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스터(8)는 회전 축심(9) 둘레에서 회전가능하며 또 회전축심(9)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축(6)을 거쳐서 전륜(2)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평탄한 도로상에서 유모차(1)를 배면푸시모드에서 이동 조작하는 경우 전륜(2)의 차축(6)은 진행 방향에 대해서 캐스터(8)의 회전 중심(9) 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유모차(1)를 방향 전환활때에는 캐스터(8)가 적당하게 회전 동작하여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1)는 캐스터(8)를 구비함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하게 된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푸시로드(10)를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하여 유모차(1)를 이동조작할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푸시로드(10)를 제1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하여 이동조작하며 캐스터(8)가 180°선회 동작하여 전륜(2)이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륜(2)이 차축(6)이 진행 방향에 대해서 캐스터(8)의 회전축심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4)은 선회 동작을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유모차(1)를 대면푸시의 모드로 이동 조작할 때는 방향 전환을 그다지 완만하게 행할 수가 없다.
현재 시장에 제공되고 있는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한 유모차는 그 대다수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배면푸시모드로 절환할때에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이 선회 동작을 행할 수 없으므로 방향 전환을 그다지 완만하게 행할 수 없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륜 및 후륜 양자에 대해서 캐스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면 좋다. 제2도 및 제3도는 푸시로드(10)가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 전륜(2) 및 후륜(4) 양자가 캐스터(8,11)에 의해서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1)를 도시하는 도해도이다. 제2도에서는 푸시로드(10)가 배면푸시모드로 되어 있으며 제3도에서는 푸시로드(10)가 대면푸시모드로 되어 있다. 전륜(2)는 회전 축심(9) 둘레를 회전가능한 캐스터(8)에 의해 지지되며 도 후륜(4)은 회전 축심(12)둘레를 회전 가능한 캐스터(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를 배면푸시모드에서 이동조작할때 전륜(2)의 차축(6)은 진행 방향에 대해서 캐스터(8)의 회전 축심(9) 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후륜(4)의 차축(7)은 진행 방향에 대해서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다음에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푸시로드(10)를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하여 유모차(1)를 이동 조작한때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8) 및 캐스터(11)가 서로 180°선회 동작한다. 그러므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2)의 차축(6)은 캐스터(8)의 회전 축심(9)보다도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며 또 후륜(4)의 차축(7)도 회전 축심(12)보다도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유모차이면 푸시로드(10)를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어느쪽의 모드로 절환한때도 진행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차륜이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제1도에 도시된 구조의 유모차와 비교하여 그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모차에서도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유모차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차륜뿐만 아니라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차륜도 캐스터의 작용에 의해서 선회동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예를들어 도시상의 요철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들어 제4도를 참조하면 유모차를 실선(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진 주행시킬 때도 도로상의 요철에 민감하에 반응하여 유모차(1)의 주행 궤도가 점선(B)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되어버린다. 또 제5도를 참조하면 유모차를 신선(C)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상으로 방향 전환시킬 때에도 유모차는 도로상의 요철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점선(D)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궤도가 지그재그로 되어 버린다.
유모차를 안정되게 이동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그재그를 피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차륜에 대해서 그 선회 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것때문에 본 발명은 소정의 위치 관계로 되어 있을때 자동적으로 그 선회를 금지하는 로크 상태로 되는 캐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유모차에 그 캐스터가 설치된 경우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는 그 선회가 가능하지만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는 자동적으로 로크 상태로 되어서 그 선회가 금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국면에 있어서 캐스터는 해당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이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축선 둘레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와,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차축을 거쳐서 상기 회전 요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을 구비한다. 차축은 수평면내를 상기 차축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요크는 차축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자동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또,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으며 또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때 자동 로크부재 또는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회전 금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국면에 따른 캐스터는 상기 구성요건에 더해서 또 이하의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말하면 회전 요크는 상기 자동 로크부재 외에 손 또는 발로 조작함으로써 2개의 위치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는때 고정 브라켓에 결합하여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수동 로크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국면에 따른 캐스터는 제1국면에 따른 캐스터의 구성 요건에 더해서 이하의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말하면 회전 요크는 자동 로크부재 외에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서 2개의 위치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는때 차륜에 결합하여 이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브레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국면에 따른 캐스터는 제1국면에 따른 캐스터의 구성 요건에 더해서 또 이하의 요건을 포함한다. 다시말하면 회전 요크는 자동 로크 부재 외에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써 2개의 위치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는때 차륜에 결합하여 이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브레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국면에 따른 캐스터는 해당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축선 둘레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회전 요크와,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차륜을 거쳐서 상기 회전 요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을 구비한다. 또 회전 요크는 그 아래 부분이 핀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된 자동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차축은 이 자동 로크부재의 중앙 부분을 통해 연장한다.
또 회전 요크에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또 차축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차축은 이 긴 구멍내에 유지되는 동시에 이 긴 구멍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고정 브라켓에도 고정 브라켓과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있으며 또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때 자동 로크부재의 상방 부분에 결합하여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리세스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는 전륜(2)를 지지하는 캐스터(8) 및 후(륜)을 지지하는 캐스터(11)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캐스터(8) 및 캐스터(11)는 같은 동작을 하므로 이하에는 캐스터(11)의 동작만을 설명한다.
후륜(4)의 차축(7)은 수평면내를 차축(7)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의 배면푸시모드에서 이동 조작할때 차축(7)은 회전 축심(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자동 로크부재는 차축(7)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차축(7)이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는 때에는 자동 로크부재는 제1위치에 있다. 한편 차축(7)이 회전 축심(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을때에는 자동 로크부재는 제2위치에 있다.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 금지수단은 고정 브라켓과 회전 요크가 소정 위치 관계에 있으며 또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때 자동 로크부재 또는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후륜(4)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며 또 차축(7)이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을때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캐스터(11)는 로크상태에 있으며 후륜(4)의 선회 동작이 금지되고 있다. 한편 캐스터(8)는 로크되어 있지 않아서 전륜(2)은 그 선회가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1)를 제2도와 같이 배면푸시모드에서 이동 조작할때에는 진행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2)만이 선회 가능하며 후륜(4)의 선회는 금지된다.
다음에 제2도의 상태로부터 푸시로드(10)를 회전시켜서 대면푸시모드로 한다. 그리고 유모차(1)를 약간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한다. 캐스터(8)는 로크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륜(2)의 캐스터(8)는 이 이동에 의해서 180°선회하여 차축(6)이 캐스터(8)의 회전 축심(9)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후륜(4)의 캐스터(11)는 로크되어 있으므로 이 유모차의 이동에 의해서도 선회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륜(4)의 차축(7)은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차축(7)의 이동에 의해서 자동 로크부재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가지 변위한다. 자동 로크 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때에는 회전 금지 수단에 의해 로크 상태가 해제되므로 회전 요크의 회전이 허용된다. 그러므로 후륜(4)의 캐스터(11)는 180°선회하며 그 결과 후륜(4)의 차축(7)이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 보다도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하는 대면푸시모드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11)는 선회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편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8)는 로크 상태로 되어서 전륜(2)의 선회 동작이 금지된다. 따라서 제3도와 같이 유모차(1)를 대면푸시모드로 이동 조작할때에도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4)만이 선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가능한 유모차의 전각 및 후각에 설치한 경우에는 진행방향에 대해서 후방으로 위치하는 캐스터가 자동적으로 로크상태로 되므로 유모차를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국면에 따른 캐스터에 있어서는 회전 요크가 자동 로크부재 외에 수동 로크부재를 포함하다. 유모차를 평탄한 도로상에서 이동 조작하는 경우에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가 선회 가능한 것이 적합한다. 그러나 유모차를 凹凸이 심한 노상에서 이동 조작하는 경우에 캐스터의 선회 기능 때문에 오히려 유모차의 조작성을 나쁘게 한다. 이같은 경우에는 진행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도 로크 상태로 하여 그 선회를 금지할 필요가 있다. 수동 로크부재는 이같은 필요성이 있을때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3국면에 따른 캐스터에 있어서는 회전 요크가 자동 로크부재 외에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브레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캐스터가 예를들어 유모차에 설치된 경우 유모차 본체에는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4국면에 따른 캐스터에 있어서는 회전 요크가 수동 로크부재와, 블이크 부재와, 자동 로크부재를 포함한다. 이같이 캐스터가 많은 기능을 가짐으로서 캐스터의 이용 가치는 대폭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유모차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예시적으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캐스터는 유모차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화물 운반차 등의 그 외의 대상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제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가 유모차의 전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가 유모차의 후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우선 제6도를 참조한다. 캐스터(8)는 그 상단부가 핀(14)을 거쳐서 유모차의 전각(3)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5)과, 이 고정 브라켓(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16)와, 회전 요크(16)에서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차축(6)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2)을 구비한다. 회전 요크(16)에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돌출벽(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돌출벽(19) 사이에는 핀(18)을 거쳐서 자동 로크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0)은 회전 요크(16) 및 고정 브라켓(15)을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이 지지축(20)의 상단 부분에는 너트(21)가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20)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회전 요크(16)는 지지축(20)에 유지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한다. 도시하는 캐스터(11)는 그 상단부가 핀(22)을 거쳐서 유모차의 후각(5)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3)과, 이 고정 브라켓(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24)와, 회전 요크(24)에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차축(7)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4)을 구비한다. 회전 요크(24)에는 한쌍의 돌출벽(27)이 형성되며 이 한쌍의 돌출벽(27) 사이에 핀(26)을 거쳐서 자동 로크부재(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8)은 제6도에 도시한 지지축(20)과 마찬가지로 회전 요크(24) 및 고정 브라켓(23)을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상단 부분에 너트(29)가 설치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회전 요크(24)가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돌출벽(27)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30)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핀(26)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돌축벽(27)에는 회전 요크(24)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는 자동 로크부재(25)가 도시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 구멍(32)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핀(26)을 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로크부재(25)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뻗은 긴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자동 로크부재(25)는 L자형의 로드(34)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 요크(16) 및 자동 로크부재(17)도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형태로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자동 로크부재(17)는 L자형의 로드(35)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또 자동 로크부재(17)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긴 구멍(33)이 형성되며 한쌍의 돌출벽(19)에는 회전 요크(16)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긴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를 참조하여 후륜(4)의 차축(7)은 한쌍의 돌출벽(27)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31) 및 자동 로크부재(25)의 긴 구멍(33)을 통해 연장한다. 따라서 차축(7)은 회전 요크(24)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차축(7)은 회전 요크(24)의 회전 축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이 제7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차축(7)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요크(24)의 회전 축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자동 로크부재(25)가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자동 로크부재(25)가 회전한 후의 상태를 가상선으로 도시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전륜(2)의 차축(6)은 회전 요크(16)의 회전 축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차축(6)이 회전요크(16)의 회전 축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때에는 자동 로크부재(17)가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2도는 제6도의 선 XII-XII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며, 제13도는 제7도의 선 XIII-XIII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전각(3)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5)은 그 전방 부분에 자동 로크부재(17)의 로드(35)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결합 리세스(36)를 가지고 있다. 한편 유모차의 후각(5)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3)은 그 후방 부분에 자동 로크부재(25)의 로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결합 리세스(37)를 가지고 있다. 로드(35)는 회전 요크(16)의 회전에 따라서 고정 브라켓(15)의 외면상을 이동한다. 또 로드(34)는 회전 요크(24)의 회전에 따라서 고정 브라켓(23)의 외면상을 이동한다. 고정 브라켓(15) 및 고정 브라켓(23)의 외면은 각각 로드(35) 및 로드(3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원활한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6도, 제7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캐스터(8) 및 캐스터(1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모차(1)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푸시모드로 이동조작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전륜(2)의 차축(6) 및 후륜(4)의 차축(7)은 각각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요크의 회전 축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전륜(2)용 캐스터(8)의 자동 로크부재(17)의 로드(35)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5)의 원활한 곡면형의 외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륜(2)용 캐스터(8)는 선회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후륜(4)용 캐스터(11)의 자동 로크부재(25)의 로드(34)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23)의 결합 리세스(37)와 결합하여 있다. 이 때문에 캐스터(11)는 로크 상태로 되며, 그 선회 동작이 금지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1)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푸시모드로 이동조작할때는 전륜(2)용 캐스터(8)는 그 선회 동작이 가능하지만 후륜(4)용 캐스터(11)는 그 선회 동작이 금지된다. 따라서 유모차(1)를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푸시로드(10)를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하여 유모차(1)를 약간 전방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이 이동에 의해서 전륜(2)용 캐스터(8)는 180°선회 동작하고 전륜(2)이 차축(6)이 캐스터(8)의 회전 축심(9)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후륜(4)용 캐스터(11)는 로크 상태에 있으므로 유모차(1)를 약간 전방으로 시동시킨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선회 동작을 할 수 없다. 이때문에 제7도를 참조하면 후륜(4)의 차축(7)은 회전 요크(24)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까지 수평 이동한다. 이 차축(7)의 이동에 의해서 자동 로크부재(25)는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자동 로크부재(25)는 로드(34)와 고정 브라켓(23)의 결합 리세스(37)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며 캐스터(11)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 결과 회전 요크(24)는 180°선회하며 후륜(4)의 차축(7)이 캐스터(11)의 회전 축심(12)보다도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가 제3도에 도시된 상태이다.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4)용의 자동 로크부재(25)의 로드(34)가 제13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면형으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23)의 외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캐스터(11)는 그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전륜(2)용의 자동 로크부재(17)의 로드(35)는 제12도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5)의 결합 리세스(36)내에 맞춰져 있다. 그 때문에 캐스터(8)는 로크 상태로 되며 그 선회 동작이 금지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1)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면푸시모드로 되어 있을때에는 진행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4)용 캐스터(11)는 그 선회 동작을 행할 수 있지만 진행 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는 전륜(2)용 캐스터(8)는 자동적으로 로크 상태로 된다. 따라서 유모차(1)를 안정된 상태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하는 대면푸시모드로부터 제2도에 도시한 배면푸시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요크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금지하기 위한 회전 금지 수단으로써 결합 리세스(36,37)가 이용된다. 그러나 이같은 회전 금지 수단으로써는 다른 형태의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 그 일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4도 및 제15도를 참조한다. 도시하는 캐스터는 고정 브라켓(38)과, 이 고정 브라켓(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39)와, 자동 로크부재(42)를 갖추고 있다. 회전 요크(39)에는 한쌍의 돌출벽(40)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 로크부재(42)는 핀(41)을 거쳐서 이 한쌍의 돌출벽(40)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돌출벽(40)에는 회전 요크(39)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긴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차축(43)은 그 긴 구멍(44) 및 자동 로크부재(42)를 통해 연장한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8)내에는 로크핀(45)이 내장되어 있다. 이 로크핀(45)는 스프링(46)에 의해 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요크(39)에는 로크핀(45)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수평판(47)이 형성되어 있다.
제15도는 제14도의 선 XV-XV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판(47)에는 고정 브라켓(38)과 회전 요크(39)가 소정의 위치 관계로 로크핀(45)을 결합하는 관통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 로크부재(42)는 관통 홈(48)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로크된 (45)과 관통홈 (48)이 결합상태에 있으므로 회전 요크(39)는 회전할 수 없다.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차축(43)이 회전 요크(39)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때 자동 로크부재(42)가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서 로크핀(45)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 결과 로크핀(45)과 관통 홈(48)이 결합상태가 해제되며 회전 요크(39)의 회전이 허용된다.
제16도에는 캐스터 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캐스터에서는 회전 요크(50)가 고정 브라켓(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 브라켓(49)에 대하여서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회전 요크(50)는 늘 스프링(57)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부가되고 있지만 이 스피링(57)력에 반대로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요크(50)에는 돌출벽(52)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 로크부재(51)는 돌출벽(52)에 핀(53)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축(54)은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벽(52)에 지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직접 자동 로크부재(51)에 지지되고 있다.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차축(54)이 회전 요크(50)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자동 로크부재(51)가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또 회전 요크(50)가 스프링(57)의 힘에 반대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자동 로크부재(51)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단부를 형서하기 위하여 돌출벽(52)에는 스토퍼(56)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49)에는 자동 로크부재(51)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리세스(5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자동 로크부재(41)와 결합 리세스(55)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회전 요크(50)의 회전이 금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차축(54)이 회전 요크(50)의 회전 축심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 로크부재(51)와 결합 리세스(55)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며 회전 요크(50)의 회전이 허용된다.
제17도는 캐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브라켓(58)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 요크(59)에는 돌출벽(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벽(60)에는 회전 요크(59)의 회전 축심을 항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긴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63)내에는 차축(62)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 로크부재(61)는 차축(6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요크(59)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자동 로크부재(6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통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로크부재(61)는 차축(62)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고정 브라켓(58)에는 자동 로크부재(61)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리세스(6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자동 로크부재(61)와 결합 리세스(65)가 결합하여 있으며 그 때문에 회전 요크(59)의 회전이 금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차축(62)이 회전 요크(59)의 회전 축심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자동 로크부재(61)도 이것에 따라서 이동하며 결합 리세스(65)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회전 요크(58)의 회전이 허용된다.
제18도는 캐스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캐스터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다르며 자동 로크부재(68) 외에 수동 로크부재(74) 및 브레이크 부재(79)를 가지고 있다.
고정 브라켓(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요크(67)에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벽(69) 및 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벽(87)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돌출벽(69)에는 핀(70)을 거쳐서 자동 로크부재(6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 브라켓(66)에는 자동 로크부재(68)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 리세스(73)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브라켓(66)에는 자동 로크부재(68)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 리세스(7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자동 로크부재(68)와 결합 리세스(73) 사이의 동작관계는 제6도 내지 제1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 요크(67)의 다른쪽 돌출벽(87)에는 핀(75)을 거쳐서 수동 로크부재(7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 로크부재(74)는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써 2개의 위치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을 때 고정 브라켓(66)에 결합하여 회전 요크(67)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동 로크부재(74)에는 역V자형의 안내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동 로크부재(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출벽(87)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홈(76) 및 긴 구멍(77)의 양자를 삽입하기 위한 핀(85)이 배치되어 있다. 핀(85)과 핀(75) 사이에는 스프링(82)이 설치되어 있으며 핀(85)이 늘 하방으로 향해서 이동하도록 부가되고 있다.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수동 로크부재(74)는 고정 브라켓(66)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수동 로크부재(74)를 손 또는 발에 의해서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85)은 안내홈(76)의 왼쪽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수동 로크부재(74)이 선단부(78)는 고정 브라켓(66)의 결합 리세스(73)에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 요크(67)의 회전은 금지된다.
예를 들어, 유모차를 도로상태가 나쁜데서 이동 조작할때에는 수동 로크부재(74)를 조작하여 캐스터를 로크상태로 한다.
브레이크 부재(79)는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써 2개의 위치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을 때 차륜(72)에 결합하여 이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79)에는 긴 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부재(79)의선단부에는 차축(71)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핀(81)이 고정 설치된다. 또 브레이크 부재(79)의 긴 구멍(80)내에는 핀(84)이 위치하고 있다. 이 핀(84)은 회전 요크(67)의 돌출벽(69)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부재(79)를 2위치 사이에서 절환하기 위하여 돌출벽(69)에는 핀(81)에 결합할 수 있는 안내 홈(90)이 형성된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79)의 선단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핀(81)과 돌출벽(69) 위에 고정 설치되는 핀(84) 사이에 스프링(83)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핀(81)과 안내 홈(90)이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부재(79)는 차륜(72)의 회전을 금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부재(79)를 손 또는 발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79)의 핀(81)이 차륜(72)의 2개의 스포크(86) 사이에서 결합하여서 이것에 의해서 차륜(72)의 회전이 금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터가 브레이크 부재(79)를 갖추도록 하면 유모차 본체에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캐스터로써의 이용가치가 높아진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스터가 자동 로크부재(68), 수동 로크부재(74), 브레이크 부재(79)를 구비하고 있으면 그 이용가치는 더 한층 높아진다.
또 수동 로크부재(74) 및 브레이크 부재(79)에 관해서는 도시한 구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여러 가지의 형태이 것이 고려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써 제18도에 도시한 실시예로부터 브레이크 부재(79)를 제거한 캐스터 또는 제18도에 도시한 실시예로부터 수동 로크부재(74)를 제거한 캐스터도 고려된다.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의 다른 실시예가 유모차 후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캐스터(120)는 그 상단부가 핀(121)을 거쳐서 유모차의 후각(1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23)과, 이 고정 브라켓(1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124)와, 회전 요크(124)에 수평방향으로 향해 차축(130)을 거쳐서 회전 자재로 지지되는 차륜(132)을 갖추고 있다. 지지축(128)은 회전 요크(124) 및 고정 브라켓(123)을 끼우고 통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지지축(128)의 상단부분에는 너트(129)가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128)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회전 요크(124)는 지지축(128)에 유지된 상태이며 고정 브라켓(12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요크(124)에는 후방으로 연장한 한쌍의 돌출벽(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돌출벽(125) 사이에는 핀(126)을 거쳐서 자동 로크부재(12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륜(132)을 지지하는 차축(130)은 이 자동 로크부재(127)의 중앙부분을 통해 있다. 또 회전 요크(124)의 한쌍의 돌출벽(125)에는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에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차축(130)은 이 긴 구멍(131)내에 유지되는 동시에 긴 구멍(13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9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차축(130)은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이 제19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차축(1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로 이동한때에는 자동 로크부재(127)는 핀(1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자동 로크부재(127)가 회전한 후의 상태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23)에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 연장부(13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 연장부(133)에는 자동 로크부재(127)가 제19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 자동 로크부재(127)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노치(1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로크부재(127)가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때에는 회전 요크(124)의 회전이 후방 연장부(133)의 존재에 의해서 방해받는다고 하는 것은 없다.
제20도는 제19도의 XX-XX에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23)의 후방 연장부(133)에는 자동 로크부재(127)의 상방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리세스(135)가 형성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로크부재(127)이 상방 부분과 고정 브라켓(123)의 리세스(135)가 결합상태에 있을때에는 고정 브라켓(123)에 대한 회전 요크(124)의 회전이 금지된다.
다음에 제19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캐스터(1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모차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푸시모드로 이동 조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차륜(132)의 차축(130)은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다. 그리고 자동 로크부재(127)의 상방부분은 고정 브라켓(123)의 리세스(135)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스터(120)는 로크상태로 되며 그 선회동작이 금지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를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푸시모드에서 이동 조작할때에는 후륜용 캐스터(120)는 그 선회동작이 금지된다. 따라서 유모차를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푸시로드를 대면푸시모드로 절환하여 유모차를 약간 전방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캐스터(120)는 로크상태에 있으므로 유모차를 약간 전방으로 이동시킨 초기단계에 있어서는 선회동작을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차축(130)은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을 향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까지 수평 이동한다. 이 차축(130)의 이동에 의해서 자동 로크부재(127)는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자동 로크부재(127)와고정 브라켓(123)의 리세스(135)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며 캐스터(12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그후 회전 요크(124)는 180°선회하며 차륜(132)의 차축(130)이 캐스터(120)의 회전 축심보다도 진행방향에 대해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는 자동 로크부재(127)와 고정 브라켓(123)이 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캐스터(120)는 그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의 후각(122)에 설치되는 캐스터(120)는 유모차가 제2도와 같이 배면푸시모드에 있을때에는 그 선회동작이 금지되며 한편 제3도와 같이 대면푸시모드에 있을때에는 그 선회동작이 허용된다.
또 도시하는 캐스터(120)는 자동 로크부재(127) 외에 브레이크 부재(136)를 가지고 있다. 이 브레이크 부재(136)는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써 2개의 사이에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을 때 차륜(132)에 결합하여 이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136)에는 긴 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부재(136)의 선단부에는 차축(130)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핀(138)이 고정 설치된다. 또 브레이크 부재(136)의 긴 구멍(137)내에는 핀(139)이 위치하고 있다. 이 핀(139)은 회전 요크(124)의 한쌍의 돌출벽(125)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부재(136)를 2위치 사이에서 절환하기 위하여 돌출벽(125)에는 핀(138)에 결합할 수 있는 V자형의 안내홈 (143)이 형성된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136)의 선단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핀(138)과 돌출벽(125) 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핀(139)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핀(138)과 안내 홈(143)이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핀(138)이 V자형의 안내 홈(143)의 좌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부재(136)는 차륜(132)의 회전을 금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부재(136)를 손 또는 발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재(136)의 핀(138)이 핀 V자형의 안내 홈(143)의 우측단에 위치한다. 그 위치에서는 핀(138)은 차륜(132)의 2개의 스포우크(141) 사이에 맞춰지며 이것에 의해서 차륜(143)의 회전을 금지한다.
제20도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23)의 후방 연장부(133)에는 브레이크 부재(136)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리세스(142)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부재(136)가 제19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 브레이크 부재(136)와 결합 리세스(142)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부재(136)와 결합 리세스부(142)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 요크(124)의 회전이 금지되며 캐스터(120)는 선회동작을 할 수 없다. 다시말하면, 브레이크 부재(136)는 제19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 차륜(132)의 회전을 금지할뿐 아니라 회전 요크(124)의 회전도 금지한다. 따라서, 유모차를 확실하게 정지시킬수가 있으며, 안정상으로도 적합하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부재(136)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리세스(142)가 1개소에만 되어 있지만, 회전 요크(124)의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상의 복수개소에 그같은 결합 리세스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제까지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도시와 예를 위해서지 한정적으로 취해진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가 첨부한 청구범위에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5, 23, 38, 49, 58, 66, 123)과, 수직축 둘레에서 회전하기 위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지지되는 회전 요크(16, 24, 39, 50, 59, 67, 124)와, 수평차축(6, 7, 43, 54, 62, 71, 130)을 통해 상기 회전 요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2, 4, 72, 132)을 구비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차축은 수평면내를 차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요크는 상기 차축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자동 로크부재(17, 25, 42, 51, 61, 68, 127)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잇고, 또 상기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때 상기 자동 로크부재 또는 상기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회전 금지수단(36, 37, 45, 46, 47, 48, 55, 65, 73, 13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지수단은 상기 자동 로크부재를 수용하도록 된 리세스(36, 37, 55, 65, 73, 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지 수단은 스프링(46)에 의해서 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된 로크핀(45)을 포함하며, 상기 요크(39)에는 상기 로크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수평판(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8)과 상기 회전 요크(39)가 소정 위치관계로 된때 상기 로크핀이 맞춰지는 관통 홈(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 로크부재(42)가 상기 관통 홈의 아래에 위치하며 또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이동한때 이 자동 로크부재는 상기 로크핀을 밀어올려서 그 로크핀과 상기 관통 홈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크부재는 핀(18, 26, 41, 53, 70, 126)을 거쳐서 상기 회전 요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크부재(61)는 수평면내를 상기 차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은 상기 자동 로크부재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크에는 수평방향이며 상기 차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31, 44, 63, 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축은 상기 긴 구멍내에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긴 구멍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상물은 푸시로드가 배면푸시 및 대면푸시의 2모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이며, 해당 캐스터는 상기 유모차의 한쌍의 전각 하단부 및 한쌍의 후각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9.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66)에, 상기 고정 브라켓이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축선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67)와,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차축(71)을 통해 상기 회전 요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72)을 포함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차축은 수평면내를 상기 차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요크는 손 또는 발로 조작됨으로써 2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수동 로크부재(74)와, 상기 차축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자동 로크부재(68)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있고 또 상기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자동 로크부재 또는 상기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결합 리세스(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지수단은 상기 자동 로크부재를 수용하도록 된 리세스(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로크부재(4)는 상기 결합 리세스(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12. 캐스터에 의하여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66)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축선의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67)와,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차축(71)을 통해 상기 회전 요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72)을 포함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차축(71)은 수평면내를 상기 차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요크는 손 또는 발로 조작함으로써 2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차륜에 결합하여 그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브레이크 부재(79)와, 상기 차축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자동 로크부재(68)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있으며 또 상기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자동 로크부재 또는 상기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결합 리세스(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13.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66)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축선의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67)와,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차축(71)을 통해 상기 회전 요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72)을 포함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차축(71)은 수평면내를 상기 차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요크는 손 또는 발로 조작함으로써 2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수동 로크부재(74)와 손 또는 발로 조작함으로써 2위치 사이에서 절환되며 한쪽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차륜(72)에 결합하여 이 차륜의 회전을 금지하는 브레이크 부재(79)와, 상기 차축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자동 로크부재(68)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요크가 소정위 위치관계에 있으며 또 상기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으면 상기 자동 로크부재 또는 상기 회전 요크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결합 리세스(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14. 캐스터에 의해서 이동되는 대상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123)과, 상기 고정 브라켓(123)에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축선의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124)와,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차축(130)을 통해 상기 회전 요크(124)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륜(132)을 포함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크(124)는 그 하방부분이 핀(12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된 자동 로크부재(127)를 구비하며, 상기 차축(130)은 상기 자동 로크부재(127)의 중앙부분을 통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요크(124)는 수평방향으로 있으며 상기 차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축(130)은 상기 긴 구멍내에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긴 구멍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123)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 요크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있으며 또 상기 자동 로크부재가 제1위치에 있으면 자동 로크부재의 상방부분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리세스(13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KR1019870010803A 1986-10-06 1987-09-29 캐스터 KR910000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762086A JPH0818481B2 (ja) 1986-10-06 1986-10-06 キヤスタ
JP237620 1986-10-06
JP1986176343U JPS6380201U (ko) 1986-11-17 1986-11-17
JP176343 1986-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89A KR880004989A (ko) 1988-06-27
KR910000131B1 true KR910000131B1 (ko) 1991-01-21

Family

ID=2649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803A KR910000131B1 (ko) 1986-10-06 1987-09-29 캐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45805A (ko)
EP (1) EP0263596A3 (ko)
KR (1) KR910000131B1 (ko)
CN (1) CN1005326B (ko)
AU (1) AU60052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008Y2 (ja) * 1990-09-27 1996-12-11 コンビ 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キャスター機構
GB2309633A (en) * 1996-01-30 1997-08-06 Kenneth Frederick Cooper Castor swivel lock mechanism
US5975545A (en) * 1998-04-01 1999-11-02 Hu; Stephen Structure of wheel seat for a baby stroller
JP4738608B2 (ja) * 2000-02-17 2011-08-0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キャスター
GB2378423A (en) * 2001-08-06 2003-02-12 Michael Colin John Swanborough Direction stabilizer for hand propelled trolley
CN200971028Y (zh) * 2006-09-28 2007-11-07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轮子定向装置
US8991854B2 (en) 2013-05-02 2015-03-31 Artsana Usa, Inc.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system
GB2515794B (en) * 2013-07-04 2015-06-10 Velofee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199A (en) * 1962-10-24 1964-09-30 Flexello Castors & Wheels Ltd Improvements in castors
US3636586A (en) * 1969-12-11 1972-01-2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Caster and swivel lock assembly
GB1449292A (en) * 1973-09-04 1976-09-15 Thomas Ltd Martin Castors
US4037291A (en) * 1976-08-19 1977-07-26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Caster and swivel lock assembly
EP0023432A3 (en) * 1979-07-30 1981-08-05 Norman Anthony Fisher Castors
FR2489215A1 (fr) * 1980-09-02 1982-03-05 Comapric Sa Agencement de roue pivotante
JPS6030124Y2 (ja) * 1980-12-17 1985-09-10 葛西株式会社 うば車の自在キヤスタ−係止装置
JPS58218402A (ja) * 1982-06-14 1983-12-19 Natsuo Morita 車輪装置
US4494272A (en) * 1981-07-21 1985-01-22 Natsuo Morita Reversible caster device having brake mechanism
JPS6025803A (ja) * 1983-07-22 1985-02-08 Kassai Inc キヤスタ
JPS6093504U (ja) * 1983-12-01 1985-06-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キヤスタ
JPS6099166U (ja) * 1983-12-13 1985-07-0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キヤスタ
DE3532594A1 (de) * 1985-09-12 1987-03-19 Perego Pines Gmbh Kinder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89A (ko) 1988-06-27
CN1005326B (zh) 1989-10-04
AU600526B2 (en) 1990-08-16
EP0263596A2 (en) 1988-04-13
EP0263596A3 (en) 1988-12-07
CN87106715A (zh) 1988-04-27
AU7907487A (en) 1988-04-14
US4845805A (en)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131B1 (ko) 캐스터
KR0180752B1 (ko) 유모차 핸들상에 설치된 로킹/언로킹 조종 기구
US4805259A (en) Caster
JP3018159B2 (ja) 操舵切換え台車
KR900009099B1 (ko) 유모차
JPS6030124Y2 (ja) うば車の自在キヤスタ−係止装置
RU2011143746A (ru) Детская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KR900008899B1 (ko) 캐스터
US3857583A (en) Occupant propelled quadracycle
JPH06329240A (ja) 重量物運搬用ローラ台車
JPS63154401A (ja) キヤスタ
JP6665769B2 (ja) 台車
JPS6393602A (ja) キヤスタ
JPS63125404A (ja) キヤスタ
JP2017165171A (ja) 小型電動車両
JP2556788Y2 (ja) キャスタ
JP3971676B2 (ja) 双輪キャスタ
JP4272300B2 (ja) 車輪の固定構造
JP2019077390A (ja) 部品搬送台車
JP3297827B2 (ja) 自動旋回規制キャスター及びそのキャスター装備品
JP2004306929A (ja) キャスターの旋回制御装置
WO2024019044A1 (ja) 運搬台車
JP2009073235A (ja) 無人搬送車
JP3073731B1 (ja) トレーラ
JPS60166575A (ja) 自動三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