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099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099B1
KR900009099B1 KR1019870009686A KR870009686A KR900009099B1 KR 900009099 B1 KR900009099 B1 KR 900009099B1 KR 1019870009686 A KR1019870009686 A KR 1019870009686A KR 870009686 A KR870009686 A KR 870009686A KR 900009099 B1 KR900009099 B1 KR 90000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pair
wheel caster
wire
c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28A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륜 캐스터에 관련한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단면도.
제3도는 전륜 캐스터의 한 구성요소인 고정 브래킷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고정 브래킷을 상방에서 본 도면.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고정 브래킷의 단면도.
제6도는 전륜 캐스터의 한 구성요소인 회전 요크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 요크를 상방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 요크를 하방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유모차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에 관련한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제10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회전 아암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회전 아암을 우측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회전 아암을 저면측에서 본 도면.
제13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스토퍼 로드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스토퍼 로드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15도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판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판을 하측에서 본 도면.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판을 저면측에서 본 도면.
제18도는 후륜 캐스터에 관련한 부부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제19도는 후륜 캐스터의 한 구성요소인 고정 브래킷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을 상방에서 본 도면.
제21도는 제19도의 고정 브래킷의 단면도.
제22도는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방 회전 아암의 측면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방 회전 아암을 좌측에서 본 도면.
제24도는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방 회전 아암을 저면측에서 본 도면.
제25도는 제2도 및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재의 측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재의 평면도.
제27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제28도는 제27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9도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이 한 구성요소인 미끄럼 슬리브의 측면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 슬리브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31도는 제29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 슬리브를 저면측에서 본 도면.
제32도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의 한 구성요소인 조작 손잡이를 도시하는 도면.
제33도는 제32도에 도시되어 있는 조작 손잡이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제35도는 제34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륜 캐스터의 측면 단면도.
제36도는 제34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륜 캐스터의 측면 단면도.
제37도는 제35도의 ⅩⅩⅩⅦ-ⅩⅩⅩⅦ선을 따라 본 단면도.
제38도는 제35도의 ⅩⅩⅩⅦ-ⅩⅩⅩⅦ선을 따라 본 단면도.
제39도는 제35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방 슬라이더의 평면도.
제40도는 제35도의 ⅩⅩⅩⅩ-ⅩⅩⅩⅩ선을 따라 본 단면도.
제41도는 푸쉬로드에 부착되어 있는 후크에 관련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제42도 및 제43도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변위부재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42도는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의 고정된 도면, 제43도는 푸쉬로드가 대면 밀기의 상태로 고정된 도면.
제44도는 변위부재의 정면도.
제45도는 변위부재의 평면도.
제46도는 본 발명의 따른 유모차의 개요를 도해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 유모차 2 : 전륜
3, 101 : 전각 4 : 후륜
5, 102 : 후각 6, 104 : 난간
10, 106 : 후쉬로드 14, 113 : 전륜 캐스터
15, 114 : 후륜 캐스터 16 :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
17 :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 18, 125 : 와이어
19 :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 20, 50, 115, 119 : 고정 브래킷
21, 51, 116, 120 : 회전 요크 37 : 전방 회전 아암
38 : 전방 스토퍼 로드 38c : 연결부
44 : 전륜측 복귀 스프링 45 : 회전판
66 : 후방 회전 아암 67 : 후방 스토퍼 로드
73 : 후륜측 복귀 스프링 74 : 와이어 안내부재
77 : 미끄럼 슬리브 78 : 조작 손잡이
123 : 전방 슬라이더 124 : 후방 슬라이더
126 : 변위부재 128, 142 : 안내 홈
130, 144 : 복귀 스프링 133 :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
140 : 내측 돌출부 141 : 전방 연결봉
145 : 후방 연결봉 160 : 누름용 돌기부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한쌍의 전각 및 한쌍의 후각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 캐스터 및 후륜 캐스터를 갖고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시장에서 다종다양한 유모차가 유통되고 있지만, 그중에 전륜을 선회가능하게 하는 전륜 캐스터를 갖고있는 유모차가 있다. 이유모차는 방향 전환이 용이하며 조작성이 뛰어나다.
또,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도 시장에 제공되어 있다. 이 유모차에 의하면, 어린애의 등쪽에서 유모차를 밀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어린애와 마주보고 이야기를 하면서 유모차를 밀수가 있다.
더우기, 상술한 두가지 기능을 구비한 유모차, 즉 전륜 캐스터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 가능한 푸쉬로드를 구비한 유모차도 시장에 제공되어 있다.
상술한 두가지 기능을 구비한 유모차는,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전륜 캐스터가 유효하게 작용하여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푸쉬로드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하여 유모차를 이동조작할때에는, 진행 방행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후륜이 선회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방향 전환을 실현할 수가 없다. 또, 이 경우, 진행 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가 자유로이 선회하게 되면, 도리어 조작성을 나쁘게 한다. 그 때문에, 푸쉬로드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통상 전륜 캐스터를 로크 상태로 하여 그 선회를 금지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어떤 상태에 있어서도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한쌍의 전륜 캐스터 한쌍의 후륜 캐스터를 갖고, 간단한 조작으로 전륜 캐스터 및 후륜 캐스터중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선회 불가능한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한쌍의 전각 및 한쌍의 후각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 캐스터 및 후륜 캐스터를 갖고 있는 유모차이다. 한쌍의 전륜 캐스터 및 한쌍의 후륜 캐스터는 각각 전각 및 후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고, 이 고정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차륜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회전 요크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유모차는 이하의 것을 구비한다.
a.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는 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려서 이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
b.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이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려서 이 회전 요크의 회전을 금지하는 휴륜 캐스터 로크 수단.
c.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을 제1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의하는 전륜측 복귀 스프링.
d.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을 제1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의하는 후륜측 복귀 스프링
e. 한쪽단이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에 연결되고 다른쪽단이 후륜 캐스터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f.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에 가깝게 한 전방 위치 및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에 가깝게 한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하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전방 위치에 있을때에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제1위치에 있어서 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리고, 한편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제2위치에 있어서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의 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와이어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제2위치에 있어서 전륜 캐스터의 회전요크의 회전을 허용하고, 한편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제1위치에 있어서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린다.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을 조작하여 와이어를 후방 위치에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과 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전륜 캐스터의 선회가능하다. 한편,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과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는 걸어맞춤 상태에 있으므로, 후륜 캐스터의 선회는 금지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만이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푸쉬로드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할때에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을 조작하여 와이어를 전방위치로 절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과 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가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륜 캐스터의 선회는 금지된다. 한편,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과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되므로서, 후륜 캐스터의 선회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만이 선회가능하게 되므로서,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이 푸쉬로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즉,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은 와이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에 가깝게 한 후방 위치에 가져오고, 그에 따라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만을 선회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푸쉬로드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하면,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이 와이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에 가깝게 한 전방 위치에 가져온다. 그 경우,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만이 선회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위치절환 수단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고, 푸쉬로드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만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 및 대면 밀기의 상태중 어떤 상태에 있어도, 간단한 조작으로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캐스터만을 선회가능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양 상태에 있어서,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제46도에 도시한 도해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시한 유모차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한쌍의 전각(A, B)과, 한쌍의 후각(C, D)과, 푸쉬로드(E)를 구비하고 있다. 푸쉬로드(E)는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푸쉬로드(E)는 배면 밀기의 상태로 되어 있다.
한쌍의 전각(A, B)의 하단부에는 각각 전륜 캐스터(F, G)가 설치되고, 한쌍의 후각(C, D)의 하단부에는 각각 후륜 캐스터(H, I)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전륜 캐스터(F, G)에 관련하여 한쌍의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 K)가 설치된다. 도시한 상태에서,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 K)는 전륜 캐스터(F, G)의 선회동작을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 K)가 도시한 상태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 전륜 캐스터(F, G)의 선회동작을 금지한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전륜 캐스터로크 부재(J, K)는 연결봉(R)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가 이동하면, 그에 따라서 다른쪽의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K)도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한쌍의 후륜 캐스터(H, I)에 관련하여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가 설치된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는 후륜 캐스터(H, I)의 선회동작을 금지하고 있다. 도시한 상태로부터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후륜 캐스터(H, I)의 선회동작을 허용한다. 한쌍의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의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해, 그들 부재는 연결봉(S)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륜측 복귀 스프링(N, O)은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 K)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의하고 있다. 또, 후륜측 복귀 스프링(P, Q)도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의하고 있다.
유모차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와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는 와이어(T)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와이어(T)의 도중 위치에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U)이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U)은 와이어(T)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F, G)에 가깝게 한 전방 위치와,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H, I)에 가깝게 한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에서는,와이어(T)는 후륜 캐스터(H, I)에 가깝게 한 후방 위치에 있으며, 그 상태에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F, G)만이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로부터 푸쉬로드(E)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하고, 또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U)을 절환 조작한다. 그러면, 와이어(T)는 전륜 캐스터(F, G)에 가까운 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그 결과, 전륜 캐스터 로크부재(J, K)가 전륜 캐스터(F, G)의 선회동작을 금지하고, 또 후륜 캐스터 로크부재(L, M)가 후륜 캐스터(H, I)의 선회동작을 허용하게 된다. 이렇게해서, 대면 밀기의 상태에 있어서는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H, I)만이 선회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제1실시에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시한 유모차(1)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전륜(2)을 그 하단부에 갖고 있는 전각(3)과, 후륜(4)을 그 하단부에 갖고 있는 후각(5)과, 난간(6)과, 이 난간(6)에 부착된 측판(7)과, 후각(5)상에 설치되어 있는 브래킷(8)에 핀(9)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푸쉬로드(10)을 구비하고 있다. 푸쉬로드(10)는 배면 밀기의 상태 및 대면 밀기의 상태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상선으로 대면 밀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푸쉬로드(10)에는 계합 후크(1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계합 후크(11)는 푸쉬로드(10)가 배면 밀기의 상태로 되었을 때 난간(6)에 설치되어 있는 계합 핀(12)에 걸려 그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한편, 푸쉬로드(10)가 대면 밀기의 상태로 되었을 때, 계합 후크(11)는 측판(7)에 설치되어 있는 계합 핀(13)에 걸려 그 위치를 고정한다.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륜(2) 및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륜(4)은 함께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각 및 한쌍의 후각의 하단부에는 각각 전륜 캐스터(14) 및 후륜 캐스터(15)가 부착되어 있다. 전륜 캐스터(14)에 관련하여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이 설치된다. 이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전륜 캐스터(14)의 동작을 금지하든지 허용하든지 한다. 마찬가지로, 후륜 캐스터(115)에 관련하여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이 설치된다. 이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후륜 캐스터(15)의 동작을 금지하든지 허용하든지 한다.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 및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와이어(18)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18)는 예를 들어 측판(7)을 관통하여 내부에가지 연장하고 있는 계합 핀(13)에 감겨 매달려 있다. 전각(3)상에 설치된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와이어(18)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 및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을 조작하여 와이어(18)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후방 위치에 가져간다. 그러면,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을 허용하지만,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후륜 캐스터(15)의 선회동작을 금지하게 된다. 따라서, 배면 밀기의 상태에서 유모차(1)를 이동조작할 때,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만이 선회가능하므로서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푸쉬로드(10)를 제1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표시한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했다고 하자. 그 경우,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을 조작하여 와이어(18)의 위치를 전방 위치에 가져온다. 그러면,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이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을 금지하고, 한편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후륜 캐스터(15)의 선회동작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대면 밀기의 상태로 유모차(1)를 이동 조작할 때, 진행 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5)만이 선회 가능하여,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도시한 유모차(1)는 푸쉬로드(10)가 배면 밀기의 상태 및 대면 밀기의 상태중 어떤 상태에 있어도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9도를 이용하여 전륜 캐스터(14)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륜 캐스터(14)는 그 상단부가 핀(22)을 거쳐서 전각(3)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래킷(20)과 이 고정 브래킷(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21)를 갖고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는 고정 브래킷(2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관통구멍(23)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핀(22)을 삽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20)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24)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회전 요크(21)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회전 요크(21)는 그 상단 부분이 원통형상으로 되며, 이 원통형상으로 된 부분이 고정 브래킷(20)의 원기둥형 개구내에 끼워 넣어진다. 회전 요크(21)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 개구(26)내에 스리브(25)가 장착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지지축(24)은 슬리브(25)를 관통하여 연장해 있다. 이렇게해서, 회전요크(24)는 고정 브래킷(20)에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 회전 요크(21)는 지지축(2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차축(27)을 거쳐서 전륜(2)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제6도에 있어서는 관통구멍(28)은 차축(27)을 삽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회전 요크(21)에는 그 중앙 개구(26)를 삽입 통과하는 지지축(2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2개의 돌출부(29, 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29, 30)에는 각각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는 계합 凹부(31, 32)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20)은 후방부로 돌출하며 또한 서로 평행한 한쌍의 돌출벽(33, 34)을 갖고 있다. 내측에 위치하는 한족 돌출벽(34)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노치(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돌출벽(33, 34)의 하방부분에는 양 돌출벽(33, 34)을 연결하는 축(36)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8도는 유모차(1)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륜 캐스터(14)중 좌측에 위치하는 것에 관련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9도는 유모차(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을 도시하고 있다. 유모차(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전륜캐스터(14)도 우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도 그 기본적인 구조도 동일하다.
다음에, 주로 제9도, 제10도 내지 제17도를 이용하여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지 제2도를 참조하면,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유모차(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의 고정 브래킷(2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전방 회전 아암(37)과, 이 전방 회전 아암(37)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전방 스토퍼 로드(38)를 구비하고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전방 회전 아암(37)을 상세히 도시하고, 제13도 및 제14도는 전방 스토퍼 로드(38)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제10도 및 제12도를 참조하면, 전방 회전 아암(37)의 상단 부분은 두갈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갈래 부분에 축(37)이 부착되어 있다. 또, 전방 회전 아암(37)의 하단 부분에는 개구(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40)내에 축(41)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전방 회전 아암(37)의 하단 부분에는 관통구멍(42) 및 세로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홈(43)은 전방 회전 아암(37)의 하단부와 관통구멍(42)을 연락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같은 형상의 전방 회전 아암(37)은 고정 브래킷(20)의 후방부에 돌출하고 있는 한쌍의 돌출벽(33, 34)내에 위치하게 된다.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면, 전방 스토퍼 로드(38)는 전체로서 역 U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다리부(38a, 38b) 및 이들 양 다리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결부(38c)를 갖고 있다. 연결부(38c)는 유모차(1)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이 전륜 캐스터(14)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2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연결부(38c)의 좌측단은 유모차의 좌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의 고정 브래킷(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벽(34)을 삽입 통과하고, 게다가 전방 회전 아암(37)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제5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벽(34)에는 노치(35)가 형성되며, 전방 회전 아암(37)에는 관통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연결부(38c)는 이들 노치(35) 및 관통구멍(42)을 통과하고 있다. 또,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한쪽 다리부(38a)는 전방 회전 아암(37)의 세로 홈(43)내에 끼워지며, 그 선단 부분은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전방 회전 아암(37)은 한쌍의 돌출벽(33, 34)내에서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연결부(38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한쪽 다리부(38a)는 전방 회전 아암(37)의 세로 홈(43)내에 끼워져 있으므로,전방 회전 아암(37)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전방 스토퍼 로드(38)도 회전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전방 회전 아암(37) 및 전방 스토퍼 로드(38)가 도시한 상태로부터 회전한 후의 상태를 상상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전방 회전 아암(37)의 축(41)과 고정 브래킷(20)의 축(36)은 전륜축 복귀 스프링(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전륜측 복귀 스프링(44)은 전방 회전 아암(37)을 도면에 있어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즉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다리부(38a)와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를 걸리게 하도록 편의되어 있다.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계합 凹부(31)가 걸림 상태에 있으며, 회전 요크(21)는 고정 브래킷(20)에 대하여 회전할 수가 없다. 즉,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은 금지된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회전 아암(37) 및 전방 스토퍼 로드(38)가 전륜측 복귀 스프링(44)의 힘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 스토퍼 로드(38)와 계합 凹부(31)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이 허용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회전 요크(21)가 180°회전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계합 凹부(32)와 전방 스토퍼 로드(38)가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유모차(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의 한쌍의 돌출벽(33, 34) 내에는 회전판(45)이 배치된다. 이 회전판(45)의 상세한 형상은 제15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45)은 그 하단 부분에 축(46)을 갖고 있다. 또, 회전판(45)의 상부에는 관통구멍(47) 및 세로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홈(48)은 회전판(45)의 하단부와 관통구멍(47)을 연락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연결부(38c)의 우측단은 유모차(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4)의 돌출벽(34)을 삽입 통과하고, 게다가 회전판(45)의 관통구멍(47)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또,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다리부(38b)는 회전판(45)의 세로 홈(48)내에 끼워지고, 게다가 그 선단부가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회전판(45)은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연결부(38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다리부(38b)는 회전판(45)의 세로 홈(48)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판(45) 및 전방 스토퍼 로드(38)는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제8도에 있어서, 회전판(45) 및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다리부(38b)가 회전한 후의 상태를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더우기, 회전판(45)의 축(46)과 고정 브래킷(20)의 축(36)은 스프링(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프링(49)은 회전판(45)을 항상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즉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다리부(38b)와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 또는 32)를 걸리게 하도록 편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스토퍼 로드(38)의 한쌍의 다리부(38a, 38b)는 연결부(38c)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 회전 아암(37)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한쪽 다리부(38a)가 회전하면 다른쪽 다리부(38b)도 그에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전방 회전 아암(37)의 회전 조작에 의해,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을 금지하든지 허용하든지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8도 내지 제21도를 이용하여 유모차(1)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륜 캐스터(15)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8도 내지 제21도는 한쌍의 후륜 캐스터(15)중 유모차(1)의 좌측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에 관련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좌우의 후륜 캐스터 모두 동일하다.
후륜 캐스터(15)는 후각(5)에 핀(52)을 거쳐서 고정 부작되는 고정 브래킷(50)과, 이 고정 브래킷(50)에 지지축(54) 및 슬리브(55)를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요크(51)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요크(51)는 지지축(54)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차축(57)을 거쳐서 후륜(4)을 회전 자체로 지지하고 있다.
회전 요크(51)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회전 요크(21)와 마찬가지로 2개의 돌출부(58, 59) 및 이 돌출부에 형성된 계합 凹부(60, 61)를 갖고 있다.
제19도 내지 제21도에는 고정 브래킷(50)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는 관통구멍(53)은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핀(52)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50)은 전방으로 돌출하며 또한 서로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는 한쌍이 돌출벽(62, 63)을 갖고 있다. 내측에 위치하는 돌출벽(62)에는 노치(6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돌출벽(62, 63) 사이에는 축(65)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주로 제18도, 제22도 내지 제24도를 이용하여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그 하단부가 고정 브래킷(50)의 한쌍의 돌출벽(62, 63) 사이에 위치하도록 된 후방 회전 아암(66)과, 이 후방 회전 아암(6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후방 스토퍼 로드(67)를 구비하고 있다.
제22도 내지 제24도는 후방 회전 아암(66)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후방 회전 아암(66)의 상단 부분에는 축(68)이 설치되고, 또 그 하단 부분에는 개구(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69)내에는 축(70)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후방 회전 아암(66)의 하단부에는 관통구멍(71) 및 세로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홈(72)은 후방 회전 아암(66)의 하단부와 관통구멍(71)을 연락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후방 스토퍼 로드(67)는 제13도 제14도에 도시한 전방 스토퍼 로드(38)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모차(1)의 우측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의 한쌍의 돌출벽내에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회전판(45)이 배치되어 있다.
후방 스토퍼 로드(67)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부는 그 좌측단이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50)의 노치(64)를 삽입 통과하고, 또한 후방 회전 아암(66)의 관통구멍(71)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또, 후방 스토퍼 로드(67)의 좌측에 위치하는 한쪽 다리부는 후방 회전 아암(66)의 세로 홈(72)내에 끼워지고, 그 선단부가 회전 요크(51)의 계합 凹부(61)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 스토퍼 로드(67)의 연결부의 우측단은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 브래킷의 돌출벽을 삽입 통과한 후, 회전판을 삽입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 스토퍼 로드(67)의 다른쪽 다리부는 회전판의 세로 홈에 끼워지며, 그 선단부가 우측에 위치하는 회전 요크의 계합 凹부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후방 회전 아암(66) 및 후방 스토퍼 로드(67)는 후방 스토퍼 로드(67)의 연결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후방 회전 아암(66) 및 후방 스토퍼 로드(67)가 회전한 후의 상태를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회전 아암(66)의 축(70)과 고정 브래킷(50)의 축(65)은 후륜측 복귀 스프링(7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후륜측 복귀 스프링(73)은 후방 회전 아암(66) 및 후방 스토퍼 로드(67)를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즉 후방 스토퍼 로드(67)와 회전 요크(51)의 계합 凹부(61 또는 60)를 걸어맞추게 하도록 편의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전방 회전 아암(37)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하는 전각(3)상에는 핀(75)을 거쳐서 제25도 및 제26도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재(74)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와이어 안내부재(74)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쌍의 벽을 갖고 있으며, 이 한쌍의 벽은 축(7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8도를 참조하면, 후방 회전 아암(66)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하는 후각(5)상에는 핀(75)을 거쳐서 와이어 안내부재(74)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어(18)는 그 전방단이 전각(3)상에 부착된 와이어 안내부재(74)의 축(76)에 감겨진 후 전방 회전 아암(37)의 축(39)에 연결된다. 한편, 와이어(18)의 후방단은 후각(5)상에 부착되어 있는 와이어 안내부재(74)의 축(76)에 감겨진 후, 후방 회전 아암(66)의 축(68)에 연결된다. 이렇게해서, 전방 회전 아암(37)의 상단부와 후방 회전 아암(66)의 상단부는 와이어(18)를 거쳐서 연결된다.
다음에, 주로 제1도, 제27도 내지 제33도를 참조하여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와이어(18)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 및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와이어(18)의 연장선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7도 및 제28도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제29도 내지 제31도에 도시되어 있어 미끄럼 슬리브(77)와,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되어 있는 조작 손잡이(78)를 구비하고 있다.
제29도 내지 제31도를 참조하면, 미끄럼 슬리브(77)는 전각(3)을 둘러싸며, 또한 전각(3) 위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미끄럼 슬리브(77)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평판형 돌출부(79, 80)를 갖고 있다. 이 두 개의 평판형 돌출부(79, 80)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관통한 긴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미끄럼 슬리브(77)는 도중 위치에 있는 와이어를 연결해야할 두 개의 러그(84, 85)를 갖고 있다.
제32도 및 제33도를 참조하면, 조작 손잡이(78)는 관통한 중심구멍(88)을 중심으로 하는 커다란 원판(86)과, 중심구멍(88)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작은 원판(87)과, 커다란 원판(86)상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89)를 갖고 있다. 작은 원판(87)의 직경은 제29도에 도시되어 있는 미끄럼 슬리브(77)의 두 개의 평판형 돌출부(79, 80)간의 거리와 거의 동일 크기로 된다.
제27도 및 제28도를 참조하면, 조작 손잡이(78)는 미끄럼 슬리브(77)상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손잡이(78)의 작은 원판(87)이 미끄럼 슬리브(77)의 두 개의 평판형 돌출부(79, 80) 사이에 위치하고, 커다란 원판(86)이 평판형 돌출부(79, 80)상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78)는 그 중심구멍(88)을 삽입 통과하는 핀(90)을 거쳐 전각(3)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핀(90)은 미끄럼 슬리브(77)의 긴 구멍(81)을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손잡이(78)의 손잡이부(89)를 잡고 이 조작 손잡이(78)를 회전시키면, 작은 원판(87)이 캠의 작용을 하여 미끄럼 슬리브(77)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제27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조작 손잡이(78)의 손잡이부(89)가 미끄럼 슬리브(77)의 평판형 돌출부(80)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부(83)에 맞닿아, 조작 손잡이(78)가 그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리고, 미끄럼 슬리브(77)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18)에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전륜측 복귀 스프링(44) 및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 후륜측 복귀 스프링(73)에 의해 그 양단방향으로 인장하는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 슬리브(77)가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면, 와이어(18)는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한편,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7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고 손잡이부(89)와 접촉부(82)를 맞닿게 하면, 미끄럼 슬리브(77)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한다. 이 제28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와이어(18)는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의 조작 손잡이(78)를 회전 조작하므로서, 와이어(18)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 및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1)의 푸쉬로드(10)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조작 손잡이(78)는 제27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와이어(18)는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회전 아암(37)은 와이어(18)에 인장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수반하여, 전방 스토퍼 로드(38)도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회전 요크(21)는 고정 브래킷(2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이 허용된다. 또한, 제9도에 도시하는 우측의 전륜 캐스터(14)에 대해서도 좌측의 전륜 캐스터와 같이 그 선회동작이 허용된다.
한편, 제18도를 참조하면, 와이어(18)가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에 있으면, 후방 회전 아암(66)은 후륜측 복귀 스프링(73)의 작용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그 상태에서는, 후방 스토퍼 로드(67)가 회전 요크(51)이 계합 凹부(61)에 걸려 있다. 따라서, 회전 요크(51)는 고정 브래킷(50)에 대해 회전할 수가 없고, 후륜 캐스터(15)의 선회동작은 금지된다.
이렇게해서, 푸쉬로드(10)가 제1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때에는 전륜 캐스터(14)만이 선회동작 가능하며, 후륜 캐스터(15)의 선회동작은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를 이동 조작할 때, 그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푸쉬로드(10)를 제1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한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78)를 제28도에 도시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18)는 상대적으로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되어 있다. 다라서, 제2도를 참조하면, 전방 회전 아암(37)은 전륜측 복귀 스프링(44)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전방 회전 아암(37)의 회전에 따라 전방 스토퍼 로드(38)도 회전하여, 회전 요크(21)의 계합 凹부(31 또는 32)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 요크(21)의 회전은 금지되고, 전륜 캐스터(14)의 선회동작이 금지된다. 한편, 제18도를 참조하면, 후방 회전 아암(66)은 와이어(18)에 의해 인장되어, 상상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까지 회전한다. 이 후방 회전 아암(66)의 회전에 수반하여 후방 스토퍼 로드(67)도 회전하여, 회전 요크(51)의 계합 凹부(61)로부터 벗겨진다. 따라서, 회전 요크(51)는 고정 브래킷(5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후륜 캐스터(15)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푸쉬로드(10)가 제1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때라도,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5)만이 선회가능하므로서, 유모차(1)를 이동 조작할 때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제34도에는 유모차의 좌측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우측면에서 본 도면은 후술하는 와이어(125) 및 변위부재(126)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나타나므로, 이하에는 주로 좌측면에 관련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시한 유모차(100)는 기본적인 골조 구조로서 전각(101)과, 후각(102)과,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봉(103)과, 난간(104)과, 난간 지지봉(105)과, 푸쉬로드(106)를 구비하고 있다. 푸쉬로드(106)는 그 하단부가 축(109)을 거쳐서 유모차의 절첩시에 있어서 반전동작을 하는 반전 브래킷(10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푸쉬로드(106)는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후크(108)를 갖고,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손잡이(110)를 갖고 있다. 후크(108)와 손잡이(110)는 일체로 되어 움직인다. 따라서, 손잡이(110)를 회전 조작하면 그에 수반하여 후크(108)도 회전한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크(108)는 난간(104)의 후방 부분에 세워 설치된 계합핀(111)에 걸려 있으며, 그것에 의해 푸쉬로드(106)를 배면 밀기의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제34도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6)가 대면 밀기의 상태에 가져오게 될때에는, 후크(108)는 난간(104)의 전방 부분에 세워 설치된 계합 핀(112)에 걸어 맞춰진다.
전간(101)의 하단부에는 전륜 캐스터(11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전륜 캐스터(113)는 전간(101)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래킷(115)과, 이 고정 브래킷(1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116)를 구비하고 있다. 전륜(117)은 차축(118)을 거쳐 회전 요크(116)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후각(102)의 하단부에도 후륜 캐스터(114)가 부착되어 있다. 이 후륜 캐스터(114)는 후각(102)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래킷(119)과, 이 고정 브래킷(1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요크(120)를 구비하고 있다. 후륜(121)은 차축(122)을 거쳐 회전 요크(120)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전륜 캐스터(113)의 고정 (115)에는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된 전방 슬라이더(123)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전방 슬라이더(123)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슬라이더(123)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때에는, 회전 요크(116)의 회전 동작은 허용된다. 한편, 전방 슬라이더(123)가 하방에 위치했을대, 이 전방 슬라이더(123)는 회전 요크(116)에 걸리고, 그 결과 회전 요크(116)의 회전 동작을 금지한다.
후륜 캐스터(114)의 고정 브래킷(119)에도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된 후방 슬라이더(124)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방 슬라이더(124)는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슬라이더(124)가 하방에 위치하고 있을때에는, 이 후방 슬라이더(124)는 회전 요크(120)에 걸리고, 그것에 의해 회전 요크(120)의 회전 동작을 금지하고 있다.
전방 슬라이더(123)와 후방 슬라이더(124)는 와이어(125)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와이어(125)이 도중 위치에는 변위부재(126)가 연결되어 있다. 변위부재(126)는 푸쉬로드(106)의 회전 범위내에 위치하는 후각(102)상에 배치되며, 핀(127)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4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푸쉬로드(106)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13)의 선회동작은 허용되며,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14)의 선회동작이 금지되어 있다.다음에, 푸쉬로드(106)를 회전 조작하여 상상선으로 도시한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했다고 하자. 그러면, 변위부재(126)는 푸쉬로드(106)에 밀려서 회전하고, 와이어(125)를전륜 캐스터(113)에 가까운 전방 위치에 가져오게 한다. 그 결과, 전방 슬라이더(12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회전 요크(116)에 걸려 이 회전 요크(116)의 회전 동작을 금지한다. 한편, 후방 캐스터(124)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회전 요크(120)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이 회전 요크(120)의 회전 동작을 허용할 수 있게된다. 이렇게해서, 유모차(100)를 대면 밀기의 상태에서 이동 조작할 때에는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14)의 선회동작이 허용되며,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13)의 선회동작이 금지된다.
제35도에는 전륜 캐스터(11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륜 캐스터(113)는 전각(101)에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115)과, 이 고정 브래킷(115)에 회전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있는 회전 요크(116)를 구비하고 있다.
제35도의 XXXⅦ - XXXⅦ 선을 따라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제37도를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115)에는 전방 슬라이더(123)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115)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슬라이더(123)는 이 안내홈(128)이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되며, 안내홈(128)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방 슬라이더(123)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세로구멍(1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세로구멍내에 복귀 스프링(130)이 수용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30)은 전방 슬라이더(123)를 항상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다. 후륜 캐스터(114)로부터 연장해온 와이어(125)의 일단을 멈춤핀(131)을 거쳐서 전방 슬라이더(123)에 연결되어 있다.
제35도의 XXXⅧ - XXXⅧ 선을 따라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38도를 참조하면, 회전 요크(116)의 상단 부분에는 계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홈(132)은 상술한 전방 슬라이더(123)의하단부를 받아들이도록 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3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전방 슬라이더(123)가 상방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회전 요크(116)의 계합홈(132)이 전방 슬라이더(123)와는 반대측의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회전 요크(116)가 180°회전하고, 게다가 전방 슬라이더(123)가 하방 위치로 이동하면, 전방 슬라이더(123)와 계합홈(132)이 걸어 맞춰지고, 그에 따라 회전 요크(116)의 회전 동작을 금지한다.
제35도의 XXXX - XXXX 선을 따라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제40도를 참조하면, 고정 브래킷(115)에는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는 고정 브래킷(115)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개구(134)내에 수납되고, 이 개구(134)내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소정 위치에 고정해두기 위해,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에는 두세트의 계합돌기(137, 138)가 형성되고, 고정 브래킷(115)에는 두세트의 계합홈(135, 136)이 형성되어 있다. 제35도 및 제40도에는 도시한 상태에서는, 한쪽의 계합돌기(137)가 한쪽의 계합홈(135)에 걸리고 다른쪽의 계합돌기(138)가 다른쪽 계합홈(136)에 걸리므로서,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손 또는 발로 조작해주므로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두세트의 계합돌기(137, 138)가 함께 하방에 위치하는 계합홈(136)에 걸리고, 그에 따라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그 위치에서 고정한다. 계합돌기(137)가 계합홈(135)로부터 벗겨질때,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는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지만, 이 휨동작을 용이하게 행하게 해주기 위해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에는 긴 구멍(139)이 형성되어 있다.
제3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는 상방의 위치에 가져오게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손 또는 발로 조작하므로서 하방의위치로 이동시키면,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의 하단부와 회전 요크(116)의 계합홈(132)이 걸어 맞취진다. 그 결과, 회전 요크(116)의 회전동작은 금지된다.
유모차(100)가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밀기의 상태로 이동 조작되어 있을때, 전륜캐스터(113)만이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주행시에는 전륜 캐스터(113)가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유모차(100)를 예를 들어 凹凸이 심한 나쁜 길 위에서 이동 조작할때, 전륜 캐스터(113)가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음면, 전륜 캐스터(113)가 도로상의 凹凸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도리어 유모차의 조작성을 나쁘게 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손 또는 발로 조작해주므로서 하방 위치로 이동시켜, 전륜 캐스터(113)의 선회동작을 금지한다.
제35도에는 도시하는 전륜 캐스터(113)는 유모차(100)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유모차(100)의 우측면에서 위치하고 있는 전륜 캐스터는 와이어(125)에 관련한 부분을 빼고 제35도에는 도시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도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된 전방 슬라이더를 갖고 있다. 이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123)가 동일 움직임을 하도록,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123)는 전방 연결봉(141)을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제39도에는 전방 슬라이더(123)의 평면도가 되시되어 있다. 이 제39도와 제35도를 참조하면, 전방 슬라이처(123)는 유모차의 내측으로 향해 돌출하고 있는 내측 돌출부(140)를 갖고 있다. 또, 고정 브래킷(115)에는 전방 연결봉(141)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전방 연결봉(141)은 고정 브래킷(115)으로부터 나온 곳에서 일단 직각으로 구부러지며, 전방 슬라이더(123)의 내측 돌출부(140)내에 받아들여진다. 그후, 이 전방 연결봉(141)은 내측 돌출부(140)내에서도 직각으로 구부러져, 내측 돌출부(140)를 따라 유모차의 내측을 향해 연장한다. 전방 연결봉(141)은 유모차의 우측면에까지 연장하며, 그곳에서는 우측 전륜 캐스터의 전방 슬라이더의 내측 돌출부내에 받아들여진 후, 고정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35도를 참조하면, 전방 슬라이더(123)가 후술하는 와이어(125)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 전방 연결봉(141)은 고정 브래킷(115)내에 삽입된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우측 전륜 캐스터의 전방 슬라이더(123)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해서, 좌우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123)는 전방 연결봉(141)을 사이에 끼이게 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움직임을 하게 된다.
제36도에는 후륜 캐스터(114)의 단면도가 됫되어 있다. 후륜 캐스터(114)는 후각(102)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119)과, 이 고정 브래킷(119)에 회전가능하게 보유지지된 회전 요크(12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19)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홈(142)내에 후방 슬라이더(124)가 수납되어 있다. 후방 슬라이더(124)는 안내홈(1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6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방 슬라이더(124)는 하방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그 결과, 후방 슬라이더(124)의 하단부가 회전 요크(12)의 계합홈(146)에 걸리고, 회전 요크(120)의 회전을 금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후방 슬라이더(12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후방 슬라이더(124)의 하단부와 회전 요크(120)의 계합홈(146)과의 걸어멎춤 상태가 해제되고, 회전 요크(120)는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후방 슬라이더(124)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홈(143)이 형성되어 있으명, 이 세로홈(143)내에 복귀 스프링(144)이 수납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144)은 후방 슬라이더(124)를 항상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다.
전륜 캐스터로부터 연장해온 와이어(125)의 타단은 멈춤핀(147)을 거쳐서 후방 슬라이더(12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125)가 도시한 상태로부터 전륜 캐스터를 향해 이동하면, 후방 슬라이더(124)는 복귀스프링(144)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된다.
제36도는 유모차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좌측 캐스터(114)를 도시하고 있지만, 유모차의 우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우측 캣스터는 와이어(125)에 관련한 부분을 제외하고 좌측 후륜 캐스터(114)의 구조와 동일하다. 유모차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124)는 후방 연결봉(145)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후방 연결봉(145)은 제35도에 도시한 전방 연결봉(141)과 마찬가지로 그 양단이 좌우에 위치하는 고정 브래킷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후륜 캐스터(114)의 후방 슬라아더(12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후방 연결봉(145)이 회전운동을 하고, 그 결과 우측 후륜 캐스터의 후방 슬라이더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1도는 푸쉬로드(106)를 배면 밀기의 상태 및 대면 밀기의 상태로 각각 고정하기 위한 후크(108)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푸쉬로드(106)를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유모차의 내측에 면한 푸쉬로드(106)의 내측면에는 후크(108)가 배치되고, 외측면에는 손잡이(110)가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110)와 후크(108)는 푸쉬로드(106)내를 관통하는 핀(148)에 의해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따라서, 손잡이(110)를 회전 조작하면 후크(108)도 회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108)에는 2개의 계합 凹부(149, 150)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계합 凹부(149)는 난간(104)의 후방 부분에 세워 설치된 계함핀(111)에 걸리고, 다른쪽 계합 凹부(150)는 난간(104)의 전방 부분에 세워 설치된 계합핀(112)에 걸린다.
푸쉬로드(106)의 내측면성에서 후크(108)의 하방에는 핀(151)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핀(151)과 후크(108)의 하단 부분은 복귀 스프링(152)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52)은 후크(108)를 항상 제41도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다. 제4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계합 凹부(149)와 계합핀(111)이 걸려 있으며, 그에 따라 푸쉬로드(106)를 배면 밀기의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다. 이 고정상태는 복귀 스프링(152)의 작용에 의해 단단히 유지되어 있다. 푸쉬로드(106)를 대면 밀기의 상태로 절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10)를 복귀 스프링(152)의 힘에 저항하여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고, 계합 凹부(149)와 계합핀(111)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제42도 및 제43도는 와이어(125)의 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변위부재(126)에 관련한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설명에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42도는 푸쉬로드(106)가 배면 밀기의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제43도에서는 푸쉬로드(106)가 대면밀기의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 제44도 및 제45도에는 변위부재(126)가 되시되어 있다.
변위부재(126)는 핀(127)을 거쳐서 후각(10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44도 및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부재(126)는 외측 즉 종이표면쪽으로 노출한 외측 돌출부(153)와, 내측으로 돌출한 내측 돌출부(154)와, 저부에 형성된 저벽부(155)를 갖고 있다. 저벽부(155)에는 둥근 구명(156)이 형성되어 있다. 후륜 캐스터(114)의 후방 슬라이더(124)로부터 연장해온 와이어(125)의 단부에는 멈춤핀(15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멈춤핀(157)은 변위부재(126)의 둥근 구멍(156)내에 받아들여져 있다.또, 변위부재(126)의 내측 돌출부(154)내에는 둥근 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전륜 캐스터(113)의 전방 슬라이더(123)로부터 연장해온 와이어(125)의 단부에는 멈춤핀(159)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멈춤핀(159)은 내측 돌출부(154)의 둥근 구멍(158)내에 받아들여져 있다. 이렇게해서, 변위부재(126)는 전륜 캐스터(113)와 후륜 캐스터(114)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125)의 도중 위치에 연결된 것으로 된다.
후방 슬라이더(124)를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144)(제36도)의 스프링력은 전방 슬라이더(123)를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130)(제35도)의 스프링력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44)의 스프링력과 복귀 스프링(130)의 스프링력의 차에 의해, 변위부재(126)에는 항상 제42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바와 같은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변위부재(126)의 저벽부(155)가 후각(102)에 맞닿음으로서 그 종단을 규정하고 있다.
푸쉬로드(106)의 내측면에는 누름용 돌기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로드(106)가 배면 밀기의 상태로 고정되어 있을때에는, 누름용 돌기부(160)는 변위부재(12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125)는 상대적으로 후륜 캐스터(114)에 가까운 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되어있다. 그리고, 푸쉬로드(106)를 회전 조작하여 제43도에 도시하는 대면 밀기의 상태로 하면, 푸쉬로드(106)의 누름용 돌기부(160)가 변위부재(126)의 외측 돌출부(153)를 누르고, 변위부재(126)를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변위부재(12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와이어(125)는 전륜 캐스터(113)에 가까운 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변위부재(126)는 푸쉬로드(106)에 의해 회전 조작된다. 따라서, 변위부재(126)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소망하는 상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즉, 푸쉬로드(106)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고정되어 있을때에는, 와이어(125)는 후방 위치에 가져오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는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전륜 키스터(113)의 선회동작은 허용되지만,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14)의 선회동작은 금지되어 있다.
다음에, 푸쉬로드(106)를 대면 밀기의 상태에서 고정하면, 변위부재(126)가 푸쉬로드(106)의 누름용 돌기부(160)에 눌리어 회전하고, 와이어(125)를 전방 위치에 가져온다. 그 결과, 후방 슬라이더(124)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후륜 키스터(114)의 선회동작을 허용한다. 한편, 전방 슬라이더(123)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회전 요크(116)에 걸리어 전륜 캐스터(113)의 선회동작을 금지한다. 즉, 푸쉬로드(106)가 대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때에는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 캐스터(114)의 선회동작이 허용되고,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전륜 캐스터(113)의 선회동작이 금지된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서는 전륜 캐스터(113)가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133)를 갖고 있음에 대하여, 후륜 캐스터(114)기 그와 같은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후륜 캐스터(114)도 수동 캐스터 로크부재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2)

  1. 푸쉬로드(10)가 배면 밀기 및 대면 밀기의 2상태로 절환가능하게 설치되면, 또한 한쌍의 전각(3) 및 한쌍의 후각(5)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 캐스터(14) 및 후륜 캐스터(15)를 갖고 있는 유모차(1)이고, 상기 한쌍의 전륜 캐스터(14) 및 후륜 캐스터(15)는 각각 상기 전각(3) 및 후각(5)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래킷(20, 50)과, 이 고정 브래킷(20, 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또 차륜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는 회전 요크(21, 51)를 갖고 있으며, 상기 유모차(1)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전륜 캐스터(14)의 회전 요크(21)에 걸려 이 회전 요크(21)의 회전을 금지하는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후륜 캐스터(15)의 회전 요크(51)에 걸려 이 회전 요크(51)의 회전을 금지하는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과,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을 상기 제1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의하는 전륜측 복귀 스프링(44)과,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을 상기 제1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편의하는 후륜측 복귀 스프링(73)과, 한쪽단이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에 연결되고, 다른쪽단이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8)와, 상기 와이어(18)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상기 전륜 캐스터(14)에 가까운 전방 위치 및 상대적으로 상기 후륜 캐스터(15)에 가까운 후방 위치의 2상태로 절환하는 와이어 위치 절환수단(19)과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8)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상기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전륜 캐스터(14)의 회전 요크(21)에 걸어 맞춰지면, 한편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상기 후륜 캐스터(15)의 회전 요크(51)의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와이어(18)가 상기 후방 위치에 있을때에는,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전륜 캐스터(14)의 회전 요크(21)의 회전을 허용하며, 한편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상기 제1위치에 있고 상기 후륜 캐스터(15)의 회전 요크(51)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16)은, 좌우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전륜 캐스터(14)중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고정 브래킷(2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전방 회전 아암(37)과, 상기 전방 회전아암(3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 전방 회전 아암(37)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또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전륜 캐스터(14)의 회전 요크(21)에 걸어 맞취질 수 있도록 된 전방 스트퍼 로드(38)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8)의 한쪽단은 상기 전방 회전 아암(37)의 상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르로 하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17)은, 좌우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후륜 캐스터(15)중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고정 브래킷(5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후방 회전 아암(66)과, 상기 후방 회전아암(66)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 후방 회전 아암(6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또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후륜 캐스터(15)의 회전 요크(51)에 걸어 맞춰질 수 있도록 후방 스토퍼 로드(67)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8)의 다른쪽단은 상기 후방 회전 아암(66)의 상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측 복귀 스프링(44)은 상기 전방 회전 아암(37)의 하방부와 상기 고정 브래킷(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측 복귀 스프링(73)은 상기 후방 회전 아암(66)의 하방부와 상기 고정 브래킷(5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상기 와이어(18)의 연장선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19)은, 좌우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전각(3)중의 적어도 한쪽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 상기 와이어(18)에 연결되어 있는 미끄럼 슬리브(77)와, 상기 미끄럼 슬리브(77)를 미끄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78)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상기 한쌍의 전륜 캐스터의 고정 브래킷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보유지지된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123)와, 상기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가 동일한 움직임을 하도록 이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를 서로 연결하는 전방 연결봉(141)과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25)의 한쪽단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중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전방 슬라이더의 하방 단부는 상기 한쌍의 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어 맞취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캐스터 로크 수단은, 상기 한쌍의 후륜 캐스터의 고정 브래킷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보유지지된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124)와, 상기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가 동일한 움직임을 하도록 이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연결봉(145)과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25)의 다른쪽단은 상기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중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후방 슬라이더의 하방 단부는 상기 한쌍의 후륜 캐스터의 회전 요크에 걸어 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측 복귀 스프링(130)은 상기 전방 슬라이더를 항상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측 복귀 스프링(144)은 상기 후방 슬라이더를 항상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편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위치 절환 수단은 상기 푸쉬로드의 회전 범위내에 위치하는 유모차 본체상에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를 변위할 수 있도록 부착된 변위부재(126)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부재는 상기 와이어(125)의 도중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변위부재의 위치는 상기 푸쉬로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절환하는 것이며, 상기 푸쉬로드가 배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변위부재는 상기 후방 위치에 있고, 상기 푸쉬로드가 대면 밀기의 상태에 있을때, 상기 변위부재는 상기 전방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19870009686A 1986-09-02 1987-09-02 유모차 KR900009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40286 1986-09-02
JP207402 1986-09-02
JP132246 1987-05-28
JP1322467 1987-05-28
JP62132246A JPS63184567A (ja) 1986-09-02 1987-05-28 乳母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28A KR890004928A (ko) 1989-05-10
KR900009099B1 true KR900009099B1 (ko) 1990-12-22

Family

ID=1653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686A KR900009099B1 (ko) 1986-09-02 1987-09-02 유모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84567A (ko)
KR (1) KR900009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037B1 (ko) * 1999-11-19 2006-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1435540B1 (ko) * 2007-04-09 2014-08-2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930B2 (ja) * 2001-03-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3967271B2 (ja)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JP4607835B2 (ja) * 2006-08-28 2011-01-05 保宏 藤田 車輪の横倒停止機構を備えたキャスター
TWI434783B (zh) * 2006-11-15 2014-04-21 Combi Corp 嬰兒車
JP4994925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36911B2 (ja)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661063B2 (ja) * 2012-04-23 2015-01-2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101744B2 (ja) * 2012-04-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128713B2 (ja) * 2012-04-23 2013-01-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203111278U (zh) * 2012-12-28 2013-08-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换向儿童推车
CN104044623B (zh) * 2013-03-15 2016-08-1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轮定向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载具
JP5766772B2 (ja) * 2013-11-15 2015-08-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209100B2 (ja) * 2014-02-17 2017-10-0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CN103879436B (zh) * 2014-03-13 2016-05-18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的推杆换向结构
JP5913546B2 (ja) * 2014-12-16 2016-04-2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037B1 (ko) * 1999-11-19 2006-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1435540B1 (ko) * 2007-04-09 2014-08-2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28A (ko) 1989-05-10
JPS63184567A (ja) 198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099B1 (ko) 유모차
KR0180752B1 (ko) 유모차 핸들상에 설치된 로킹/언로킹 조종 기구
US8448976B2 (en) Stroller
US4779879A (en) Baby carriage
EP2138375B1 (en) Stroller
KR101750774B1 (ko) 유모차
KR100923261B1 (ko) 유모차
JPS6339472B2 (ko)
JPS591622B2 (ja) 乳母車の押し棒の方向変更機構
US4453287A (en) Caster for baby carriages
KR900008899B1 (ko) 캐스터
KR910000131B1 (ko) 캐스터
JP2537980Y2 (ja) 乳母車
JP2960401B1 (ja)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折畳/組立操作機構
JPH0671887B2 (ja) 乳母車
JP2556788Y2 (ja) キャスタ
JPH0848254A (ja) 乳母車の押棒ロック機構
JP2004306929A (ja) キャスターの旋回制御装置
JPH11348790A (ja) 手押し車の押棒に用いられる連結杆
JPH0546543Y2 (ko)
JPH0723283Y2 (ja) 自在車輪の旋回ロツク装置
JP2530351Y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機構
JP2522136Y2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JPH0442183Y2 (ko)
JP2005238996A (ja) 折畳式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