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139Y1 - 담수 직파기 - Google Patents

담수 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139Y1
KR900010139Y1 KR2019850011107U KR850011107U KR900010139Y1 KR 900010139 Y1 KR900010139 Y1 KR 900010139Y1 KR 2019850011107 U KR2019850011107 U KR 2019850011107U KR 850011107 U KR850011107 U KR 850011107U KR 900010139 Y1 KR900010139 Y1 KR 900010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eshwater
float
rice transplant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236U (ko
Inventor
슈우이찌 시미스
세쓰오 부노
요오소오 오오가끼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filed Critical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01C7/201Mounting of the seed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수 직파기(直播機)
제1도는 담수 직파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담수 직파기의 뒷면도.
제3도는 메인 플로우트, 센터 플로우트, 사이드 플로우트의 배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부착용 프레임부분 측면도.
제5도는 부착용 프레임부분 뒷면도.
제6도는 모재치대를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파종장치 10 : 모재치대
16 : 모재치대 프레임 26 : 모심는 조(爪)
본 고안은 이앙기에서 담수 직파기로 하거나, 반대로 담수 직파기에서 이앙기로 변경가능하게 하기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담수 직파기는 이앙기에 파종장치나 플로우트등을 장착하여 개조(改造)하고 전용기계로서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모 재치대나 모심는 조 또는 파종장치등의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담수 직파기에서 이앙기로 하거나, 반대로 이앙기에서 담수 직파기로 하거나 하는 것은 될 수 없었던 것이다. 담수직파는 근년에 와서 실용화된것이며, 모든 논을 담수로 하여 그 담수 직파론 형하는 경우는 적은 것이다.
단 못자리 만들기등을 행하는 수고가 생략되기 때문에 대폭적인 노력절약화가 될 수 있어서 몇함인가는 담수직파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담수직파 및 이앙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는 기계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앙기를 기본으로 하는 담수직파기를 전용기계로해 버려서는 이앙작업이 될 수 없게되며, 또 새로 담수 직파기를 구입하는 것은 가격이 높게되어 버리고 만다.
또 이앙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담수 직파기로 함에는 도출장치를 모재치대의 앞쪽에 배치하여 중심(重心)이 올라가버려서 기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이다.
이앙기에서 담수 직파기로, 반대로 담수 직파기에서 이앙기로 변경가능하게 하는 담수 직파기에 있어서, 모재치대(10), 모심은 조(26)등을 용이하게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모 재치대(10) 대신에 모 재치대 프레임(16)윗쪽에 파종장치(5)를 배설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과 같으며, 첨부된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과 아울러 작용을 설명하면, 제1도는 담수 직파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담수직파기의 뒷면도, 제3도는 메인 플로우트, 센터 플로우트, 사이드 플로우트의 배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부착용 프레임부분 측면도, 제5도는 부착용 프레임부분 뒷면도, 제6도는 모 재치대를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기계의 담수 직파기로서의 전체구성은 제1도, 제2도에서 설명하면, 앞부분 본넷트(1)내에 엔진(6)을 탑제하고, 그 엔진(6)으로 부터의 동력을 밋숀케이스(7), 전동축(8)을 개재하여 모심는 전동케이스(9)에 전달된다.
또 밋숀케이스(7) 옆부분에서 스윙케이스(12)(12)를 설치하고, 뒷부분에 래그 차륜(13)(13)이 축받이되며, 제인등을 개재하여 래그 차륜(13)에 동력을 전달한다.
그 스윙케이스(12)는 경작지반의 요철에 의하여 담수 직파기가 지그재그형태로 구행하거나, 모심는데 누락이 없도록 링크(11)등을 개재해서 유압실린더(14)에 의하여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모심는 전동케이스(9) 뒤쪽 끝에서 핸들(17)이 비스듬이 윗쪽으로 돌출설치되고, 핸들(17)의 경사부에 모 재치대 프레임(16)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핸들(17) 아래부분에 모심는 깊이를 조절하는 레버(2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모심는 전동케이스(9)의 중간정도 및 아래쪽 끝에서 부착용 프레임(2)이 장착되고, 파종장치(5) 및 사이드 플로우트(4)(4)등을 고정설치하고 있다.
(20)은 마아커이다.
다음에 제3도에 있어서 플로우트의 구성을 설명하면, (3)(3)은 센터 플로우트, (4)(4)는 사이드 플로우트(15)는 메인 플로우트이며, 센티 플로우트(3), 사이드 플로우트(4)는 제2도, 제3도와 같이 래그 차륜(13)(13)과 랩(lap)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터 플로우트(3)(3)은 메인 플로우트(15) 뒷부분에 부착설치되는 것이며, 메인 플로우트(15) 뒷부분 중앙에 브라켓(29)을 고정설치하고, 그 브라켓(29) 옆부분에서 부착용 파이프(28)를 고정부착하여 부착용 파이프(28) 뒤쪽끝에 프레임(30)을 횡방향으로 설치하며, 그 프레임(30)의 양쪽 끝부분 센터 플로우트(3)를 볼트로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30) 뒷면 중앙부에 파종장치(5)에서 연장설치되는 안내호오스(5c)의 슈우트(31)를 고정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플로우트(4)의 부착구성은 센터 플로우트(3)(3)의 양쪽에 배설되는 것이며, 모 재치대 레일(18)과 평행하게 고정설치한 부착용 프레임(2) 양쪽끝에서 아래쪽 뒷편으로 돌출설치한 사이드플로우트 부착용 프레임(2a)의 뒤쪽끝에 프레임(19)을 개재하여 부착된다.
그 프레임(19) 뒷면에 슈우트(34)가 고정설치되고, 파종장치(15) 아래쪽에서 연결설치한 안내호오스(5c)의 아래쪽 끝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9) 양쪽끝 아래면에서 탄성체를 개재하여 사이드 플로우트(4)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호오스(5c)는 부착용 프레임(2)의 윗쪽에 설치한 파종장치(5)에서 뒷쪽으로 연장설치하여 작업자로부터 보기쉬운 위치에 슈우트부를 설치하고 있다.
본 고안의 파종장치(5)나 모심는 장치의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의 구성을 제4도, 제5도, 제6도에서 설명하면, 부착용 프레임(2)은 모 재치대 레일(18)과 평행한 메인프레임(2m), 그 메인프레임(2m)의 중앙부 앞쪽에 돌출설치한 센터 프레임(2b), 그 메인 프레임(2m)에서 앞쪽 아래편으로 돌출설치한 앞부분 프레임(2c) 그 메인프레임(2m)에서 뒷쪽 아래편으로 돌출설치한 사이드 플로우트 부착용 프레임(2a), 그 메인 프레임(2m)에서 윗쪽으로 돌출설치한 윗부분 프레임(2d)로서 이루어지며, 사이드 플로우트 부착용 프레임(2a)에는 사이드 플로우트(4)를 고정설치하고, 윗부분 프레임(2b) 윗쪽끝에는 파종장치(5)를 고정설치한다.
또 이들을 장착한 부착용 프레임(2)은 센터 프레임(2b)이 모심는 전동케이스(9)의 중간성도에 손잡이 나사(22)로서 고정되고, 앞부분프레임(2c)이 종동 아암 부착부(21)에 손잡이나사(23)로서 고정 설치되므로 손잡이나사(22)(23)으로서 간단하게 붙었다, 떼었다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이다.
파종장치(5)의 도출장치(5a)의 구동은 모심는 전동케이스(9) 아래쪽 끝에 돌출설치한 구동축(24)에서 링크(25)를 개재하여 플레이트(35)의 왕복운동으로하고,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로울구동축(36)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있으며, 플레이트(35)에 뚫어서 설치한 조절구멍에 의하여 왕복운동의 폭을 변경해서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이앙기로하였을 경우의 모심는 조(36)의 구동은 구동축(24)에 의하여 아암(37)을 회전하여서 모심는 조(26)를 모심는 운동시키고 있다.
(41)은 줄고정용 핀이며, 논두렁근처등 한쪽만 작동시키고저 할 때에 핀을 뽑고 로울구동축을 공(空)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앙기로 한 상태는 제6도와 같으며, 담수 직파기에서 이앙기로 변경함에는 파종장치(5), 부착용 프레임(2), 센터 플로우트(3) 사이드 플로우트(4)등을 떼어내어서 모 재치대 프레임(16) 앞쪽끝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모 재치대 레일(18)위에 모 재치대(10)를 재치하고, 모 재치대(10) 아래쪽끝과 모 재치대 구동케이스(38)에 끼워서 장착한 횡방향 이송간(39)을 플레이트(40)로서 연결하여 횡방향 이송간(30)의 좌우왕복작동에 따라서 모 재치대(10)를 좌우로 왕복 미끄럼작동시키는 것이다.
또 이앙기에서 담수 직파기로 변경함에는 전기한 것과 반대로 행하면 좋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첫째로 손잡이나사를 떼어내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서 부착용 프레임 및 그것에 부착설치한 파종장치, 사이드 플로우트등을 떼어낼 수가 있어서 붙었다, 떼었다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 것이다.
둘째로, 도출장치의 로울구동축과 모심는 전동케이스의 구동축을 링크로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었으므로, 구동축에의 모심는 조나링크등의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도 용이하게된 것이다.
셋째로, 부착용 프레임 윗쪽에 파종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중심이 내려가서 안정된 구성으로 된 것이다.

Claims (1)

  1. 이앙기에서 담수 직파기로, 반대로 담수 직파기에서 이앙기로 변경가능하게하는 담수 직파기에 있어서, 모 재치대(10), 모심는 조(26)등을 용이하게 붙었다, 떼었다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모 재치대(10) 대신에 모 재치대 프레임(16) 윗쪽에 파종장치(5)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직파기.
KR2019850011107U 1985-06-10 1985-08-29 담수 직파기 KR9000101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88109 1985-06-10
JP1985088109U JPH0424891Y2 (ko) 1985-06-10 1985-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236U KR870003236U (ko) 1987-03-27
KR900010139Y1 true KR900010139Y1 (ko) 1990-11-03

Family

ID=3064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107U KR900010139Y1 (ko) 1985-06-10 1985-08-29 담수 직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4891Y2 (ko)
KR (1) KR900010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40U (ko) * 2018-03-23 2018-10-12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무대용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719U (ko) * 1974-08-29 1976-03-05
JPS5845605B2 (ja) * 1976-07-21 1983-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ボルト・ナツト装置
JPS6036016B2 (ja) * 1977-12-15 1985-08-17 松下電工株式会社 ガス検知装置
JPS5845605U (ja) * 1981-09-24 1983-03-28 株式会社クボタ 田植用前処理作業機
JPS6036016U (ja) * 1983-08-17 1985-03-12 株式会社クボタ 播種兼用田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40U (ko) * 2018-03-23 2018-10-12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무대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4891Y2 (ko) 1992-06-12
JPS61204415U (ko) 1986-12-23
KR870003236U (ko) 198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4870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plantering av klumpplantor.
KR900010139Y1 (ko) 담수 직파기
JPS6124020Y2 (ko)
JP2988600B2 (ja) 苗載台における苗の縦搬送装置
JP3092397U (ja) 接地型移植機
JP2003339216A (ja) 動力伝達装置
CN218603959U (zh) 一种插秧机的秧爪间距调节机构
JPS58193604A (ja) 田植機
JPS61192209A (ja) 水田用動力農機
JPH053714A (ja) 田植機における苗送り装置
JPS5831446Y2 (ja) 播種機
JPH0455464Y2 (ko)
JPH044486Y2 (ko)
JP3580480B2 (ja) 移植機の苗箱送り装置
JPS582168Y2 (ja) 播種機におけるフロ−ト部構造
JPH08256525A (ja) 間欠作溝播種機
JP3266695B2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H0223888Y2 (ko)
JP3383943B2 (ja) 自走型移植機
JPS6038332Y2 (ja) 播種機
JPH0620344Y2 (ja) 施肥装置付歩行型田植機
JPH06901Y2 (ja) 田植機の植付装置
JP2552070Y2 (ja) 歩行型移植機
JPH11127639A (ja) 苗植付装置
JPH02334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