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54B1 -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 Google Patents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54B1
KR900008354B1 KR1019830004841A KR830004841A KR900008354B1 KR 900008354 B1 KR900008354 B1 KR 900008354B1 KR 1019830004841 A KR1019830004841 A KR 1019830004841A KR 830004841 A KR830004841 A KR 830004841A KR 900008354 B1 KR900008354 B1 KR 90000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roduct
grooves
groove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98A (ko
Inventor
에이. 랭포드 이.
엘. 닐 알.
알. 제임스 에스.
Original Assignee
피에프디 리미티드
에이. 랭포드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프디 리미티드, 에이. 랭포드 이. filed Critical 피에프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4000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parts of bearings; sleeves; valve seats or the like
    • B21D53/1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parts of bearings; sleeves; valve seats or the like cages fo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parts of bearings; sleeves; valve se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6Making machine elements elements not mentioned in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21K1/762Coupling members for conveying mechanical motion, e.g.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6Making machine elements elements not mentioned in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21K1/762Coupling members for conveying mechanical motion, e.g. universal joints
    • B21K1/765Outer elements of coup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50Planing
    • Y10T409/502624Means for cutting groove
    • Y10T409/502788Arcuate groove
    • Y10T409/502952For rif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공구 및 공구 고정기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공구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공구의 변형예의 사시도.
제4도는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중간 제품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표 A방향에서 본 중간제품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공구로 제작된 중공 제품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완성된 제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구고정기 15 : 제1부재
16 : 로드 17 : 제1부분
18 : 돌출부 21 : 제2부재
22 : 슬리이브(제2부분) 23 : 핑거(제2부분)
23a : 성형부분(제2부분) 24 : 돌출부
27 : 스프링 31,32 : 베어링
40 : 압출다이 57,58,59,60,61,62 : 홈
63,64,65 : 요홈 66 : 리브
본 발명은 중공제품 제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사선 형태의 홈을 갖는 등속 유니버설 조인트(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의 외측 부재의 제작 방법을 개선시킨 것이다. 이러한 조인트는 홈이 형성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재에는 2세트의 나선형 홈이 있고, 상기 2세트의 나선형 홈은 반대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홈에는 보올(ball)이 결합되며, 이 보올은 케이지(cage)에 고정된다. 홈의 구조가 사선형태이기 때문에, 보올은 조인트의 부품들이 관절 연결될때 조인트의 이등분 평면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이 사선 형태의 홈을 갖는 등속 조인트의 외측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선한 것이지만, 그 구멍 내에 상이한(다음에 정의됨) 종방향 대칭축(다음에 정의됨)이 있는 2개 이상의 홈을 갖는, 특정한 형태로서 다음에 설명되는, 형태의 중공 제품에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2세트 이상의 홈을 가질수 있으며, 이 홈들은 구멍의 종축 주위에 이격되어 있고 동일한 종방향 대칭축(다음에 정의됨)을 가지며, 1세트의 홈의 종방향 대칭축은 다른 세트의 홈의 종방향 대칭축과는 다르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홈의 종방향 대칭축이라 함은 홈의 연부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구멍 표면의 연속으로서 상기 연부를 포함하는 가상 표면에 위치하는 가상선을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종방향 대칭축이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축의 한쪽 단부(end ; 端部)에서 다른쪽 단부로 동시에 이동하는 점의 궤적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종방향 대칭축이 상이하다는 것은 상기와같이 이동하는 점의 궤적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관계로 유지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축은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나선형이거나, 또는 동일 방향의 나선형으로서 피치(pitch)가 다르거나, 반대 방향의 나선형으로서 피치가 상이한 축이 된다. 또한, 축중의 일부는 직선으로 하고 나머지 축은 나선형으로 할 수도 있다.
현재, 사선형 홈을 갖는 등속 조인트의 외부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에, 단조, 압출 또는 다른 금속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중간제품을 만든다음, 구멍안을 기계 가공함으로써 상기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계 가공은 재료를 절삭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장치의 가격이 고가로 되게 된다. 재료를 절삭하지 않고 구멍내에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현재보다는 기계 가공을 덜 요하는 다소 부정확한 홈을 형성한다면 이는 더욱 간편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홈의 종방향 대칭축이 상이하기 때문에, 단일체로 된 공구는 홈을 형성한 후에 구멍으로부터 발출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의 목적은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형성된 홈에 기계 가공이 덜 필요하거나 또는 필요하지 않는 등속 조인트의 외측 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공구 주위에 제품의 재료를 성형한 다음에 공구를 발출하는 방법으로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공구가 제공되는데, 이 공구는 공구의 축(공구의 사용시 상기축은 제품 구멍의 종방향과 일치함)에 대해 평행하게 그 주위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그 구성 부품들이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 및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성 부분들의 각각은 홈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돌출부를 지지하고, 제1부분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홈은 제2부분의 돌출부로 형성된 각각의 홈의 종방향 대칭축과 다른(위에서 정의되었음) 종방향 대칭축을 가지며, 여기에서 하나의 부분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경우에는 그 부분상의 돌출부들은 종방향 대칭축이 같은(위에서 정의되었음)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호 결합되는 부분들의 배치는 제1부분 상의 돌출부들이 그 돌출부 주위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부분이 제2부분과는 별도로 성형된 제품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공구를 사용하여 특정한 형태의 중공제품을 제작할 때에, 공구의 부재들을 상호 결합시켜 돌출부의 주위에 제품의 재료를 성형한 후에 상기 부재들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공구축에 관하여 상대적인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함으로써 발출될 수 있다.
제1부재는 상기 제1부분을 한쪽 단부에 갖는 로드를 구비하고, 제2부재는 로드를 감싸고 있어 그 주위에서 활주 및 회전할 수 있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이브는 그 한쪽 단부에 상기 제2부분을 갖고있다.
탄성 장치는 부재들의 다른 단부들사이에서 작용하여 상기 부분들을 가압하여 상호결합될 수 있도록하며, 이때 이러한 작용은 단지 중력에 의한 힘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공구는 슬리이브가 베어링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된 공구 고정기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목적은 그 구멍내에 홈을 갖는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중간 제품의 구멍에 요홈을 마련하는 단계와, 공구의 부분들이 상호 결합되고 공구의 돌출부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공구를 구멍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중간 제품의 재료를 상기 돌출부 주위에 가압하여 홈을 형성하는 중간 제품 성형 단계와, 구멍으로부터 공구의 부재들을 발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중공형 중간 제품으로부터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공구의 각 부재들의 돌출부들이 종방향 대칭축이 동일한 홈들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부재들은 제품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한쪽 부재를 발출할 때 다른쪽 부재는 구멍내에 잔류하며, 다음에 다른쪽 부재를 발출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할 때에, 상기 중간 제품은 상기 요홈의 반대편에 외측 리브(rib)들을 갖출수 있고, 상기 성형 단계는 중간제품을 다이(die)를 통해 압출시켜 상기 리브들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돌출부 주위에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할 때에 각 요홈은 각 부분의 돌출부를 하나씩 2개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히 등속 조인트의 외측 부재를 제작하는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겠다.
도면에는 전기한 사선형 홈을 갖는 등속 연결 부재의 외측 부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여기에서 홈들은 압출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다른 성형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플랜지(11)을 갖는 상부 공구 고정기(10)을 도시하였으며, 이 고정기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프레스 램(press ram)에 장착된다. 공구 고정기(10)의 하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은 고정핀(14)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유지판(13)을 수용하는 하부부분(12)를 갖는다. 공구 자체는 로드(16) 형태인 제1부재(15)를 구성하는데, 로드(16)은 그 하부 단부에 슬로트(20)사이에 형성된 핑거(finger)위에 위치한 돌출부(18)를 갖춘 제1부분(17)을 포함한다. 로드(16)을 수용하는 구멍이 있는 슬리이브(22)를 구비하는 제2공구 부재(21)이 로드(l5)를 감싼다. 슬리이브(22)의 하부 단부에는 그 위에 돌출부(24)가 위치한 핑거(23)이 제공되며, 핑거(23)사이는 슬로트(25)로 되어 있다. 핑거 및 슬로트는 공구의 제2부재(21)의 하부 부분(26)에 형성된다.
핑거(23)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로트(20)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 및 위치가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슬리이브(22)의 핑거(23)사이의 슬로트(25)는 돌출부(18)을 지지하는 제1부분(17)의 핑거를 수용한다. 따라서, 부분(17,22,23)들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 결합되지만 발출시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상대적인 나선형 이동에 의해)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부재들은 스프링(27)에 의해 부분(17,22,23)들이 결합되도록 가압되며, 스프링(27)은 로드(16)위의 칼러(collar : 28)과 슬리이브(22)에 형성된 요홈(29)사이에서 작용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리이브(22)의 상부 부분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어 부재(30)의 원추형 요홈내에 삽입된다. 부재(30)은 니들 로울러 베어링(needle roller bearing : 31,32) 및 로울러 베어링(33)으로 상부 공구 고정기의 요홈내에 수직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로울러 베어링(33)은 부재(30)을 수직으로 지지하고 유리판(13)과 부재(30)의 플랜지(34)사이에서 작동한다. 슬리이브(22)는 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한 요홈 내에 수용된 드러스트 판(trust plate : 35)에 대해 힘을 가한다.
공구의 하부 부재는 견부링(42)에 수용된 압출 다이(40)를 구비하며, 압출 다이(40)은 구멍이 형성된 판(44)에 의해 스트리퍼 부분 하우징판(stripper segm ent housing plate : 46)상의 제자리에 고정된다. 상기 구멍이 형성된 판(44)는 수렴된 내부면을 가지며, 고정핀(45)에 의해 고정링(43)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고정링(43)은 판(46)을 받침링(47)위에 고정하며, 고정링(43)은 또한 로드(48)에 의해 프레스의 기부에 고정되며 판(46)에 겹쳐지는 부분(49)를 포함한다. 받침링(47)에는 간격(50)을 형성하여 성형된 중공 제품을 수용하며, 성형된 제품은 도면부호 51로 표시하였다.
판(46) 및 받침링(43)은 다수의 스트리퍼 핑거를 지지하는데, 그 중의 하나를 도면부호 52로 표시하였다. 각 스트리퍼 핑거는 슬로트(53)위에서 활주식으로 스프링(54)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스트리퍼 핑거의 내측방향 이동은 슬로트(56)내에서 작동하고 있는 핀(55)에 의해 제한된다.
제2도에 도시한 공구의 변형예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돌출부(24)는 핑거(23)보다 넓은 성형 부분(23a)위에 마련되며, 그 측면 형상은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성형 부분(23a)는 공구의 부분(17)에 위치하는 대응된 형태의 요홈(20a)내에 삽입된다. 그들의 폭이 먼저 실시예보다 넓어졌기, 성형 부분(23a)는 핑거(23)보다 강하며, 공구의 양 부분은 제1도 및 제2도를 참도로 하여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대적인 나선형 이동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된다.
제6도 및 제7도에는 홈이 3개씩 2세트로 형성된 완성된 중공 제품을 도시하였으며, 각 홈들은 호형 단면을 갖고, 나선형 종방향 대칭축들을 갖는다.
1세트의 홈을 도면 부호 57,58 및 59로 표시하였으며,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홈들은 제품의 위에서 볼때 반시계 방향인 나선형으로 위치한다. 홈(60,61,62)들은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나선형으로 위치한다. 현재, 이러한 형태의 등속 조인트의 외측 부재를 제작할 때에 상기 홈들을 단조 또는 압출된 중간제품에 기계 가공으로 형성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홈들이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체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홈들을 형성할 경우에 제품의 압출 과정 중에 그 공구를 발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바와같이 홈(60,61,62)들은 돌출부(24)에 의해 형성되고, 홈(57,58,59)들은 돌출부(18)에 의해 형성된다. 홈을 형성한 후에, 제2공구부재(21)은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이동을 동반한 나선 이동에 의해 제품으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부분(26)이 제1부분(17)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부분(17)을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 이동을 동반한 반대 방향의 나선 이동에 의해 제품으로부터 발출한다. 공구를 2개의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한 후에 공구를 발출할 수 있게 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중공 제품으로 제작되는 중간 제품을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중간 제품이 그 벽에 형성된 3개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홈들은 도면부호 63,64,65로 표시하였다. 요홈들의 축방향 길이는 완성된 제품에 형성된 홈의 축방향 길이와 동일하며, 각 요홈은 돌출부(18)들 중의 하나와 돌출부(24)들 중의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각 요홈(63a)의 측벽은 이격되어 있고 또한 돌출부(18,24)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어 중간 제품을 공구 상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중간 제품은 각 요홈의 반대편에 돌출 리브(66)을 포함한다.
중공 제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중간 제품은 단조, 압출 또는 다른 편리한 방법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중간 제품을 그 테이퍼형 부분(67)이 압출다이(40)에 놓이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에 상부 공구 고정기(11)은 상기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퇴시킨다. 다음에 공구 고정기(11)을 하향 이동시켜 공구를 중간 제품내로 삽입시킨다. 이때에 부재들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중간부재르 진입되고 1세트의 돌출부(18,24)들은 각 요홈(63 내지 66)에 위치하게 된다.
이제 상부 공구 고정기를 하향 이동시켜 중간제품을 다이(40)을 통해 가압시킨다. 중간 제품이 하향으로 가압될 때 리브(66)들의 재료는 돌출부(18,24)들의 주위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홈(57 내지 62)들이 형성되게 된다. 공구는 중간 제품을 다이(40) 및 스프링 하중을 받는 스트리퍼 핑거(52)를 통해 가압하며, 스트리퍼 핑거는 스프링의 하중을 극복하고 이동하여 이러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품이 제1도의 도면 부호51 지점에 위치한 후에, 스트리퍼 핑거는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귀환하여, 상부 공구 고정기(11)을 상승시겨 공구를 발출시킬 때 제품의 상부 표면이 스트리퍼 핑거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공구의 부재들은 연속적으로 발출되는데, 우선 제2공구 부재(21)이 나선형으로 이동하여 돌출부(24)들이 홈(60 내지 62)들로부터 분리되어 발출되며, 돌출부들은 홈들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나선형 이동은 베어링(31,32,33)들에 의해 용이해진다. 제2부재(21)이 제품으로부터 발출되게 되면 스프링(27)이 압축되어, 제1공구 부재(15)는 제품 내에 잔류하게 된다. 핑거(23)이 슬로트(2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제1공구 부재를 제2공구 부재(21)의 나선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품으로부터 발출한다.
홈(57 내지 62)는 각기 종방향 대칭축을 갖는데, 홈(57 내지 59)의 종방향 대칭축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상태이고, 상술한 것처럼 홈(60 내지 62)의 종방향 대칭축과는 상이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제품의 구멍의 종방향축을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하였다. 각 홈의 종방향 대칭축은 홈의 번호에 a를 부기하였다. 각 홈의 종방향 대칭축은 홈의 연부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하여 1점 쇄선(101)로 표시한 가상 실린더, 즉 제품의 구멍을 포함하는 실린더 위에 위치한다.
제6도에 종방향 대칭 축(57a,60a,62a)들을 도시하였으며, 여기에서 축(60a,62a)들은 한쪽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종방향 대칭축(57a)는 다른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홈(60,61,62)의 종방향 대칭축은 각 홈의 대칭축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 동시에 이동하는 점의 궤적이 서로에 대해 일정한 관계로 유지되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제품을 형성한 후에 제품으로부터 공구 부재(21)을 발출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홈(57 내지 59)의 종방향 대칭축을 이동하는 점의 궤적은 서로에 대해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제1공구 부재(15)를 제품을 형성한 후에 발출할 수 있게 된다.
공구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홈이 제품의 축에 대해 반대 방향인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도 공구를 제품으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Claims (7)

  1. 공구 주위에 제품의 재료를 성형한 다음에 공구를 발출하는 방법으로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공구에 있어서, 제품 구멍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는 공구축에 평행하게 그 주위로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게 장착되어 그 구성 부분(22,23,23a,17)들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제1 및 제2부재(15,21)을 구비하고, 상기 각 구성 부분들의 각각은 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8,24)를 지지하고, 제1부분(17)의 돌출부(18)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홈은 제2부분(22,23,23a)의 돌출부(24)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홈과는 종방향 대칭축이 다르며, 여기에서 하나의 부분의 1개 이상의 돌출부를 갖는 경우에는 그 부분 상의 돌출부들은 종방향 대칭축이 같은 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호 결합되는 부분(22,23,23a,17)들의 배치는 제1부분(17)상의 돌출부(18)들이 그 돌출부 주위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부분(17)이 제2부분(22,23)과는 별도로 성형된 제품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제품 제작에 사용하는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재(15)는 상기 제1부분(17)을 한쪽 단부에 갖는 로드(16)을 구비하고, 제2부재(21)은 로드를 감싸고 있어 그 위에서 활주 및 회전할 수 있는 슬리이브(22)를 구비하고, 슬리이브(22)는 한쪽 단부에 상기 제2부분(23,23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제품 제작에 사용하는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인 스프링(27)이 부재(15,21)들의 다른쪽 단부들 사이에서 작용하여 상기부분(17,22,23,23a)를 가압하여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제품 제작에 사용하는 공구.
  4. 슬리이브가 베어링(31,32)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공구 고정기(10)과 제1항에 청구된 공구의 조합체.
  5. 중공형 중간 제품으로부터 특정한 형태의 중공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청구된 공구의 돌출부(18,24)들을 수용하도록 중간제품의 구멍 내에 요홈(63,64,65)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부분(17,22,23,23a)들이 상호 결합되고 돌출부(18,24)들이 요홈(63,64,65)들내에 수용되도록 하면서 공구를 구멍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중간 제품의 재료를 상기 돌출부(18,24)들의 주위에 가압하여 홈(57 내지 62)들을 형성하는 중간 제품 성형 단계와, 구멍으로부터 공구의 부재들을 발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제품 제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중간 제품은 상기 요홈(63 내지 65)들의 반대편에 외부 리브(66)들을 갖고 있고, 상기 성형 단계는 중간 제품을 다이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제품 제작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각 요홈(63 내지 65)의 크기는 제1부분(17) 및 제2부분(22,23,23a)으로부터 각기 하나씩 2개의 돌출부(18,2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제품 제작방법.
KR1019830004841A 1982-10-14 1983-10-13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KR900008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229392 1982-10-14
GB8229392 1982-10-14
GB83,29392 1982-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98A KR840006298A (ko) 1984-11-29
KR900008354B1 true KR900008354B1 (ko) 1990-11-17

Family

ID=1053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41A KR900008354B1 (ko) 1982-10-14 1983-10-13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59803A (ko)
EP (1) EP0121531B1 (ko)
JP (1) JPS59501858A (ko)
KR (1) KR900008354B1 (ko)
AU (1) AU566178B2 (ko)
CA (1) CA1245042A (ko)
DE (1) DE3372259D1 (ko)
ES (1) ES8406915A1 (ko)
GB (1) GB2132514B (ko)
IT (1) IT1160220B (ko)
MX (1) MX159606A (ko)
SU (1) SU1642950A3 (ko)
WO (1) WO1984001530A1 (ko)
ZA (1) ZA837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4321D0 (en) * 1984-02-18 1984-03-21 Pfd Ltd Tool
JPS60222622A (ja) * 1984-04-18 1985-11-07 Toyota Motor Corp クロス溝を有する自在継手の外輪
GB8520641D0 (en) * 1985-08-17 1985-09-25 Pfd Ltd Tool
DE3712301C2 (de) * 1987-04-10 1994-04-28 Loehr & Bromkamp Gmbh Preßwerkzeug
DE4024201A1 (de) * 1990-07-31 1992-02-06 Fichtel & Sachs Ag Planetenradtraeger mit freigelagerten planetenraedern
US5551270A (en) * 1994-07-18 1996-09-03 Ford Motor Company Extrusion forming of internal helical splines
US5732586A (en) * 1996-09-19 1998-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ld extrusion for helical gear teeth
DE19915879A1 (de) * 1999-04-08 2000-10-12 Hirschvogel Umwelttechni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eichlaufgelenken
US6240813B1 (en) * 1999-07-07 2001-06-05 Hand Tool Design Corporation Drive socket
CN102363260B (zh) * 2011-08-19 2013-11-06 江苏森威精锻有限公司 等速万向节星形套热-冷联合成形方法
CN102350615B (zh) * 2011-08-19 2013-10-02 江苏森威精锻有限公司 星形套分流闭塞成形方法
DE102013101555B3 (de) * 2013-02-15 2014-05-22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Achszapfens
CN103567717B (zh) * 2013-08-31 2016-03-23 浙江欧迪恩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Bj型等速万向节钟形壳滚道成型工艺及其精整设备
CN105317861B (zh) * 2014-07-29 2017-10-27 上海纳铁福传动系统有限公司 内外球笼连体锻件及其锻造模具
CN104723047A (zh) * 2015-04-10 2015-06-24 江苏大洋精锻有限公司 一种精密锻件星形套的加工工艺
JP6181219B1 (ja) * 2016-02-16 2017-08-16 Ntn株式会社 等速自在継手の外側継手部材の鍛造方法
CN110773956A (zh) * 2019-10-23 2020-02-11 浙江尚福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星形套的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7791A (en) * 1955-07-21 1958-10-28 Gerhard H Appel Mandrel
FR1347448A (fr) * 1963-02-06 1963-12-27 Boucke & Co Gmbh Procédé et dispositif de forgeage d'ébauches pour arbres porte-galet de directiondestinés à des voitures automobiles à partir de tronçons de barre
US3842646A (en) * 1973-04-20 1974-10-22 Gleason Works Process and apparatus for densifying powder metal compact to form a gear having a hub portion,and preferred powder metal compact shape for use therewith
JPS5944138B2 (ja) * 1975-08-20 1984-10-26 エヌテ−エヌ東洋ベアリング (株) 自在接手の外輪のしごき加工法及び装置
DE2559239A1 (de) * 1975-12-30 1977-07-14 Fritz Werner Ind Ausruestung Ausbildung der entlastungsrillen in der patronenkammer eines schusswaffenlaufes
DE2830275C3 (de) * 1978-07-10 1984-02-09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Preßwerkzeug zur Herstellung einer Innenkontur eines vorgeformten Werkstücks
AT358365B (de) * 1978-11-29 1980-09-10 Ver Edelstahlwerke Ag Schmiedegesenk
DE2853230A1 (de) * 1978-12-09 1980-06-12 Metallumform Hubert Eing Verfahren und gesenkwerkzeug zur herstellung einer gelenkhaelfte eines homokinetischen gelenkes
JPS5852454B2 (ja) * 1979-12-24 1983-11-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鍛造装置
JPS59297B2 (ja) * 1979-12-24 1984-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鍛造装置
DE3004024C2 (de) * 1980-02-05 1985-08-01 Liebergeld, Rudolf, Dipl.-Ing., 8500 Nürnberg Werkzeug zum Herstellen eines Gelenkkörpers
JPS5762831A (en) * 1980-10-02 1982-04-16 Nissan Motor Co Ltd Forging die for part having reverse gradient
JPH05224978A (ja) * 1992-02-12 1993-09-03 Hitachi Ltd 生産ライン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368066A0 (it) 1983-10-14
GB2132514B (en) 1985-10-09
AU566178B2 (en) 1987-10-08
GB8326461D0 (en) 1983-11-02
GB2132514A (en) 1984-07-11
US4559803A (en) 1985-12-24
JPH0359777B2 (ko) 1991-09-11
AU2071283A (en) 1984-05-04
ES526495A0 (es) 1984-08-16
IT1160220B (it) 1987-03-04
KR840006298A (ko) 1984-11-29
SU1642950A3 (ru) 1991-04-15
EP0121531A1 (en) 1984-10-17
ES8406915A1 (es) 1984-08-16
JPS59501858A (ja) 1984-11-08
MX159606A (es) 1989-07-13
ZA837329B (en) 1984-05-30
WO1984001530A1 (en) 1984-04-26
DE3372259D1 (en) 1987-08-06
CA1245042A (en) 1988-11-22
EP0121531B1 (en) 198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354B1 (ko) 중공제품 제작 방법 및 그 공구
JPS641218B2 (ko)
JPS61278467A (ja) 弁スリ−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299112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ynchronizer ring
US459078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t least two forgings on a hot-forming press
US5544548A (en) Cold forming method of toothed ring-shaped products and forming apparatus for its use
DE3712301C2 (de) Preßwerkzeug
JPS61501831A (ja) くぼみのある製品の製作用治具と製作方法
JPH0767591B2 (ja) 中空物品の製造用工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22372A1 (en) Apparatus for forge-forming outer-ring of constant velocity joint and method thereof
JP3720567B2 (ja) 軸受素形材の形成用素材
JPS6341666B2 (ko)
JP3720565B2 (ja) 軸受素形材の製造方法
CN212168703U (zh) 一种自动退出侧冲模具
JPS59206136A (ja) 回転鍛造による管材のフランジ加工方法
JP6922773B2 (ja) 鍛造用金型
JP3430115B2 (ja) 鍛造機の金型装置
JP2659129B2 (ja) パイプのダボ成形装置
JP3720564B2 (ja) 軸受素形材の製造方法
JP3720566B2 (ja) 軸受素形材の分離・打抜き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90425Y2 (ja) スリット付き筒状部品の圧造成形装置
JP2553232B2 (ja) 鍛造素材の保持装置
JP3125455B2 (ja) 鍛造装置
EP1186363A1 (de) Taumelwerkzeug
SU10316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сад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