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69B1 - 폴리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69B1
KR900000569B1 KR1019860008466A KR860008466A KR900000569B1 KR 900000569 B1 KR900000569 B1 KR 900000569B1 KR 1019860008466 A KR1019860008466 A KR 1019860008466A KR 860008466 A KR860008466 A KR 860008466A KR 900000569 B1 KR900000569 B1 KR 90000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polymer
amount
ethylene
unsaturate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061A (ko
Inventor
게라르드 이벤스 게오르게
티이쎈 요한네스
마리아 콘스탄트 쿠세만스 루크
Original Assignee
스태미카본 베.뷔.
제이.에이.크루이트 : 더블유.씨.알.후그스트라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태미카본 베.뷔., 제이.에이.크루이트 : 더블유.씨.알.후그스트라텐 filed Critical 스태미카본 베.뷔.
Publication of KR87000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5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에틸렌, 에틸렌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15몰%의 양의 탄소원자가 3-18개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급 알켄-1과, 적어도 7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고 전이금속 촉매하에 중합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비공역 이중결합(non-conjugated double bond)을 가진 폴리-불포화 화합물로 형성된 폴리머에 관한 것이며 또한 후술되는 변형된 폴리머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에틸렌, 고급 알켄 및 디엔으로 구성된 터폴리머는 자주 문헌에 기술된다. 이들은 보통 러버성 폴리머 즉, 10%이하의 결정성을 갖는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에텔렌, 선택으로 고급 알켄-1과 디엔으로 된 비러버성 폴리머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출원제 30 212 73호와 같은 곳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된 디엔내 이중결합은 전이금속 촉매의 영향으로 이들 모두를 중합시킬 수 없다.
에틸렌, 프로필렌 및 에틸리덴노르보 르넨으로된 폴리머는 유럽특허 출제원 0 120 503호에 기술되어 있다. 전이금속 촉매의 영향으로 이중결합이 모두 중합될 수 없는 디엔은 총 폴리머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2.3몰%의 양으로 존재한다.
에틸렌, 선택적으로 알켄-1과 이중결합이 공역되지 않고 전이금속 촉매의 영향으로 중합될 수 있는 디엔으로된 폴리머는 독일특허 출원제 22 18 166 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디엔은 폴리머의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고(150℃와 190℃에서 용해 용융물의 흐름 지수비로 계산됨)점성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그러므로 폴리머에 사용된 디엔의 양은 총 폴리머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0.33-2.7중량%이다.
디엔의 이러한 양은 교차결합 또는 가지를 생기게 함으로써 폴리머의 점성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키지만 그러나 그 결과 기계적 특성은 손상된다. 에틸렌과, 에틸렌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최고 15몰%의 양의 탄소원자가 3-18개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켄-1으로된 코폴리머는 한동안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코폴리머들은 소위 저압 공정에 의해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하에서 제조되며 최고 940kg/㎥의 밀도를 갖는다.
오랫동안 알려져온 고압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LDPE처럼 LLDPE도 필름으로 가공될 수 있다. 여러면에서 LLDPE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LDPE+ 필름보다 우수하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외에, 필름은 높은 광택성 및 낮은 불투명도와 같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LLDPE와 HDPE (940kg/㎥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의 취입성형필름(blown film)으로 이점에서 이용도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입성형필름(blow molding film)으로 가공했을 때 바람직한 기계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지금까지 알려진 HDPE 와 LLDPE보다 뛰어나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HDPE 및/또는 LLDPE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에틸렌 및 : 에틸렌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15몰% 양의 탄소원자가 3-18개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급알켄-1으로 형성된 폴리머를, 폴리머의 점성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가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존재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정도의 소량의, 적어도 7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비공역 이중결합을 가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불포화 화합물로 변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된 소량은 어느 정도 사용된 폴리-불포화화합물에 따라 좌우된다.
만약 폴리-불포화 화합물이 저분량을 갖는다AUS 원하는 광학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몰%는 일반적으로 고분량인 경우보다 높다. 만약 분자량이 더 높다면 예를 들어 파괴저항 및 파열저항과 같은 취입성형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광학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1몰% 만큼의 소량으로도 충분하다.
상기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최소 0.001몰%와 최고 0.1몰%의 폴리-불포화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이 좋으며, 0.005-0.06몰%가 바람직하고, 특히 0.005-0.03몰%가 좋다. 놀랍게도 상기와 같이 변형된 HDPE 및/또는 LLDPE는 같은 조건하에 취입성형 필름으로 가공하였을 때 지금까지 알려진 HDPE와 LLDPE보다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반면에 현재 보편화된 측정방법에 따르면, 폴리머의 점성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활성화 에너지외, 예들 들어 용융 흐름지수비 및 점도비와 같은 다른 유동성 폴리머 특성도 역시 불포화 화합물의 존재에 현저하게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의 소량의 폴리-불포화 화합물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놀랄만한 일이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의 장점이 있다. 폴리머의 성질은 다른 촉매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촉매에 따라, 흐름성질, 봉인성질, 기계적 성질과 같은 다른 성질의 결합과 다른 등급의 물질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소량의 폴리-불포화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다른 성질은 영향을 받지 않고 광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는 9kcal/몰 이하, 특히 8kcal/몰 이하의 활성화 에너지를 가진다.
불포화 화합물은 전이금속 촉매의 영향을 받아 중합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적합한 불포화 화합물은 1,6-헵타디엔, 1,7-옥타디엔, 1,8-노나디엔, 1,9-데카디엔, 1,4,9-데키트리엔, 1,5,9- 데카트리엔, 사이클릭 엔도메틸엔등과 같은 것이 있다. 불포화 화합물은 디엔, 특히 선형 a, w-디엔 또는 사이클릭엔도메틸디엔이 좋다.
선형 a, w-디엔을 이용할 때 탄소원자가 8-12개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특허 1,9-데카디엔이 좋은 결과를 낳는 화합물이다. 최소한 탄소원자가 7개를 가지며 전이금속 촉매의 영향으로 중합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비공역 이중결합을 가진 폴리-불포화 화합물이 소량 존재함으로써, 부텐 및 헥센 또는 옥텐이 코모노모인 LLDPE 같은 모든 종류의 등급의 HDPE와 LLDPE로부터 제조된 취입성형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폴리머의 여러특성이 가장 바람직하게 결합되는 것은 코모노머가 최소 4개와 최고 10개의 탄소의 원자를 갖는 본발명에 따라 변형시킨 LLDPE로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에틸렌 : 에틸렌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50몰%의 3-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하나 이상의 알켄-1 : 및 생성된 폴리머의 점성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가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존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만큼의 소량의, 최소한 7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전이금속 촉매하에 중합될 수 있는 최소한 두 개의 비공역이중 결합을 가진 폴리 불포화 화합물이 전이금속촉매 존재하에 불활성 분산제에서 서로 반응하는 변형된 폴리에틸렌의 제조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은 그 화합물의 반응성에 따라 다르며, 당해 촉매의 영향으로 폴리머에 결합될 수 있는 정도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고 다른 여러촉매에 따른 여러 모노머의 잔응성 정도를 알고 있는 자이면 최적의 광학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서는 어느 정도의 폴리-불포화 화합물이 필요한가를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 용기내 존재하는 불포화 화합물이 양은 일반적으로 모노머의 총수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0.3몰%를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09F 몰%, 가장 좋기로는 0.06몰%을 초과하지 않는다.
높은 정도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선형의 a,w-불포화 화합물 및/또는 바나듐을 포함한 촉매 시스템의 존재하에서 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1,9-데카디엔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는 것이 좋은 결과을 낳는다.
중합은 바람직하기로는 불활성 분산제가 액상으로 존재하는 소위 현탁시스템 또는 용액 시스템에서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공지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중 특히 적당한 것은 중합온도가 135℃이상으로 높아서 용액 중합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다. 안정화제, 윤활제, 앤티블로킹제와같은 보통의 첨가제가 보통의 방법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변형된 LLDPE 또는 HDPE로부터 제조한 물건, 특히 필름에 관한 것이기도 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로 더욱 자세히 설명되지만 꼭 그것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
2L의 연속 중합 반응기에 가솔린 12.31(끊는점 : 66-74℃)을 넣는다. 가솔린에 용해된 에틸렌(1.98kg/hr),옥텐(1.1kg/hr)과 표에 따른 제 3의 화합물의 185℃의 온도와 50바의 압력으로 작동되는 반응기에 공급된다.
촉매성분의 용액을 가솔린에서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
SEAC : 50mmoles/1, EBM : 10mmoles/1
TBT : 4mmoles/1 및 IPC1 : 10mmoles/1
상기와 같이 혼합된 촉매 흐름을 반응기로 공급하며 반응기에서의 체류시간은 약 5분이다.
상기 용어들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SEAC : 세스키에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EBM : 에틸부틸 마그네슘
TBT : 테트라부톡시 티타늄
IPC1 : 이소프로필 클로라이드
[필름제조]
50㎛의 두께를 가진 취입성형된 필름이 스크류 직경이 20mm이고 길이 대직경의 비가 20이고 생산량이 1.2kg/hr인 세구역 스크류로된 콜린 압출기에 의해 제조된다.
슬릿 직경은 20mm이고 슬릿 폭은 20mm이다.
용해물의 온도는 190℃이고, 블로우-엎 비는 3이고 프로스트 라인 높이는 8㎝이다.
[측정방법]
-폴리머의 점성흐름의 활성화 에너지는 독일특허 출원제 2 2181 60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의 값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1
이고 MFI는 각각 190 및 150℃에서의 ASTM D 1238, cond.E에 따른 용융 흐름지수와 같다.
-밀도(d)는 ASTM D 1505에 따라 측정한다.
-용융 흐름지수(MFI)는 ASTM D 1238, cond.E 에 따른 측정.
-고부하에서의 용융 흐름지수(HLMFI)는 ASTM D 1238, cond.F 에 따른 측정.
-용융 흐름지수
Figure kpo00002
-광택성(45°)는 ASTM D 2457에 따른 측정.
-불투명도는 ASTM D 1003에 따른 측정.
-고유점도([n]dec.135)는 135℃의 데칼린에서 측정되었다.
-점도비(VR)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불포화 화합물을 가지고 제조된 같은 MFI를 가진 폴리머와 상기 불포화 화합물이 없이 제조된 폴리머의 고유 점도의 비이다.
Figure kpo00003
*반응성 데이터로 계산

Claims (7)

  1. 에틸렌 : 에틸렌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50몰%의 옥텐 : 및 옥타디엔, 데카디엔 및 데카디엔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아상의 폴리-불포화 화합물이 불활성 분산제어서 서로 반응하게 되는 에틸렌 : 옥텐 : 및 전이금속 촉매하에 중합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비공역 이중 결합을 가진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폴리-불포화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형성된 폴리머의 점성의 흐름의 활성화 에너지가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존재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반응용기에 있는 상기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용기내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이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3몰%보다 많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반응 용기내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이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09몰%보다 많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반응 용기내 폴리-불포화 화합물의 양이 모노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0.06몰%보다 많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서 제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반응이 티타늄 또는 바나듐 또는 티타늄 및 바나듐을 포함한 촉매 시스템과 하나 이상의 선형 a, w-디엔 또는 사이클릭 엔도메틸디엔, 또는 a, w-디엔 및 사이클릭 엔도메틸디엔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반응이 불활성 분산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가 최소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008466A 1985-10-09 1986-10-07 폴리머 제조방법 KR900000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502747A NL8502747A (nl) 1985-10-09 1985-10-09 Gemodificeerd polyethe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gemodificeerd polyetheen, en produkten vervaardigd uit gemodificeerd polyetheen.
NL8502747 1985-10-09
NL2747 1985-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061A KR870004061A (ko) 1987-05-07
KR900000569B1 true KR900000569B1 (ko) 1990-01-31

Family

ID=1984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466A KR900000569B1 (ko) 1985-10-09 1986-10-07 폴리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4868264A (ko)
EP (1) EP0219166B1 (ko)
JP (1) JPS6291511A (ko)
KR (1) KR900000569B1 (ko)
CN (1) CN1007894B (ko)
AT (1) ATE59659T1 (ko)
BR (1) BR8604915A (ko)
CA (1) CA1278148C (ko)
DE (1) DE3676417D1 (ko)
ES (1) ES2020659B3 (ko)
IN (1) IN168421B (ko)
NL (1) NL85027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512A (en) * 1987-09-05 1989-03-14 Mitsui Petrochemical Ind Molecular oriented formed article of ethylene-polyene copolymer hav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JP2538625B2 (ja) * 1987-11-13 1996-09-25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分枝α−オレフイ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法
JP2762482B2 (ja) * 1988-10-07 1998-06-04 三井化学株式会社 高級α−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738562B2 (ja) * 1989-05-25 1998-04-08 三菱化学株式会社 不飽和共重合体の製造法
WO1991017194A1 (en) * 1990-05-07 1991-11-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UNSATURATED α-OLEFIN COPOLYMER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GB9010887D0 (en) * 1990-05-15 1990-07-04 Ici Plc Olefin copolymers
JP2930371B2 (ja) * 1990-06-08 1999-08-03 東燃株式会社 両末端修飾エチレン重合体及びその製造法
CN1090195C (zh) * 1994-03-14 2002-09-04 三井化学株式会社 乙烯不饱和共聚物及其制备方法
US5405915A (en) * 1994-06-27 1995-04-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CA2194178C (en) * 1994-07-01 2006-02-07 Nicolaas Hendrika Friederichs Catalyst system for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TW344746B (en) * 1994-07-06 1998-11-11 Mitsui Petroleum Chemicals Ind Unsaturated copolymer of ethylen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5814714A (en) * 1995-11-30 1998-09-29 The Dow Chemical Company Mono-olefin/polyene interpolymers, method of prepa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articles made thereof
TW331569B (en) * 1995-12-29 1998-05-11 Mitsui Petroleum Chemicals Ind Unsaturated copolymer based on olefin and production and use
US6699955B1 (en) * 1999-11-19 2004-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dien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78691A (fr) * 1933-12-07 1935-03-22 Perfectionnements aux liaisons et joints élastiques
US3435020A (en) * 1958-03-07 1969-03-25 Hercules Inc Crystalline polymers of alpha,omega-diolefins
NL275509A (ko) * 1962-03-02
US3351621A (en) * 1964-02-06 1967-11-07 Chevron Res Copolymerization with alpha, omega-dienes
NL7008302A (ko) * 1969-06-11 1970-12-15
FR2087213A5 (ko) * 1970-05-11 1971-12-31 Aquitaine Petrole
US3819591A (en) * 1970-05-19 1974-06-25 J Campbell Branched-chain hydrocarbon elastomers
BE778691A (fr) * 1971-02-03 1972-05-16 Snam Progetti Procede de fabrication de copolymeres ramifies d'ethylene et copolymeres ainsi obtenus
CA980498A (en) * 1971-04-16 1975-12-23 Du Pont Of Canada Limited Ethylene polymers with long chain branching
US4028284A (en) * 1973-01-23 1977-06-07 Unitika Ltd. Phenolic chelate resin
JPS5117291A (ja) * 1974-08-01 1976-02-12 Mitsui Petrochemical Ind Tainetsuseinosugureta kakyonanshitsujushino seizohoho
FR2322883A1 (fr) * 1975-09-02 1977-04-01 Michelin & Cie Elastomeres du type e p t, et articles comportant de tels elastomeres
JPS52141888A (en) * 1976-05-21 1977-11-26 Nippon I P Rubber Kk Ethyleneepropylene copolymers rubber
US4189553A (en) * 1976-12-01 1980-02-19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efficiency catalyst for polymerizing olefins
US4551503A (en) * 1977-12-19 1985-11-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paration of interpolymers of alpha-olefins and nonconjugated alpha, omega-dienes
GB2047254B (en) * 1979-04-13 1983-03-09 Mitsui Petrochemical Ind Rubbery ethylene/1-butene/polyene copolym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S5630413A (en) * 1979-08-21 1981-03-2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Unsaturated copolymer
DE3021273A1 (de) * 1979-06-12 1981-01-08 Mitsubishi Petrochemical Co Ungesaettigte mischpolymerisate
DE3007725A1 (de) * 1980-02-29 1981-09-17 Hansjörg Prof. Dr. 2000 Hamburg Sin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thylen, polypropylen und copolymeren
JPS5956412A (ja) * 1982-09-22 1984-03-31 Mitsubishi Chem Ind Ltd 不飽和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S61148211A (ja) * 1984-12-21 1986-07-05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チレン系不飽和共重合体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96986A (en) 1992-03-17
IN168421B (ko) 1991-03-30
KR870004061A (ko) 1987-05-07
EP0219166B1 (en) 1991-01-02
JPS6291511A (ja) 1987-04-27
ATE59659T1 (de) 1991-01-15
US4868264A (en) 1989-09-19
CN1007894B (zh) 1990-05-09
NL8502747A (nl) 1987-05-04
ES2020659B3 (es) 1991-09-01
DE3676417D1 (de) 1991-02-07
CN86106849A (zh) 1987-04-08
EP0219166A1 (en) 1987-04-22
BR8604915A (pt) 1987-07-07
CA1278148C (en) 199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569B1 (ko) 폴리머 제조방법
EP0146620B1 (en) Interpolymers of ethylene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U747084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ethylene polymers
US5189106A (en) Polyethylene composition
US8829127B2 (en) Process for making ethylene interpolymers and interpolymers made thereby, and compositions and electrical devices containing such interpolymers
KR100849051B1 (ko) 에틸렌 중합체 조성물
CA2479704C (en) High density homopolymer blends
AU2006328905B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comprising a propylene copolymer component
AU704643B2 (en) New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broad MWD
EP1580207A1 (en) Propylene random co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U7001700A (en) Polyethylene moulding compound with an improved ESCR-stiffness relation and an improved swelling rate,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EP0227206B1 (en) Ethylene - higher alpha olefin polymers
CA2152157A1 (en)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based compositions with improved optics
FI76823B (fi) Etylenpolymerblandningar avsedda foer framstaellning av filmer.
EP1812629B2 (en) Drawn tapes, fibre and filaments comprising a multimodal polyethylene resin
KR100355650B1 (ko) 선상의저밀도폴리에틸렌을기재로하는고가공성의중합체조성물
US5173536A (en) Impact polymer blend
CA2205887C (en) High-molecular-weight ethylene-propylene reactor blend with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JPS5951905A (ja) 新規なエチレン共重合体
US3478130A (en)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 and process
JPH04293944A (ja) 熱融着性に優れた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