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01Y1 -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01Y1
KR900000401Y1 KR2019860021819U KR860021819U KR900000401Y1 KR 900000401 Y1 KR900000401 Y1 KR 900000401Y1 KR 2019860021819 U KR2019860021819 U KR 2019860021819U KR 860021819 U KR860021819 U KR 860021819U KR 900000401 Y1 KR900000401 Y1 KR 900000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ngine
accelerator pedal
valv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988U (ko
Inventor
강우규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2585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040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2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01Y1/ko
Publication of KR880011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가 적용된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계통도로서, (a)는 정지 상태도, (b)는 전진 상태도, (c)는 후진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속페달 2 : 누름봉
3 : 시이소오 눌림봉 4 : 연료조절레버
6,6´: 콘트롤케이블 7 : 리모트콘트롤 밸브
8 : 엔진 콘트롤 레버 Eg : 엔진
EgP : 엔진이젝트펌프 M : 유압모터
CV : 콘트롤밸브 ABV : 전후진 선택밸브
W : 차륜
본 고안은 예컨데 굴삭기와 같은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회전수조절에 연동하여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토록한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등의 유압구동식 주행장치는 엔진에 의해 가동되는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작동유를 콘트롤 밸브를 통해 유압모터에 공급하여 유압모터를 회전시키면 유압모터의 회전력은 변속장치와 차동장치를 통해차륜에 전달되어 차륜이 회전되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는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할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유량은 ON/OFF 제어만 행하고, 엔진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이 제어되도로 하는 것으로, 이 방식에서는 미속 주행제어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주행과 동시에 따라 작업장치가 복합적으로 구동할 경우 출력의 적절한 제어와 배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번째 방식은, 엔진회전수를 레버에 의해 조정(고정)하고, 콘트롤밸브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방식에서는 주행과 여타 작업장치의 복합구동은 가능하나, 별도 조작을 하지 않는한 엔진회전수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주행시 미속제어가 곤란하고, 연륜의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상한 두가지 방식의 제어방식의 문제점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미속제어 및 타작업장치와의 복합제어를 가능케하고, 연료절감을 기할 수 있도록한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a)(b)(c)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장치는, 엔진(Eg)의 회전에 의해 유압펌프(P)가 작동유탱크(미도시)로 부터 작동유를 가압 이송하여 콘트롤밸브(CV)를 통해 유압모터(M)를 회전구동시키고, 유압모터(M)의 회전력은 변속장치(VS)와 차동장치(Dg)를 통해 차륜(W)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엔진(Eg)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가속페달(1)의 전단 하부에는누름봉(2)이 연결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누름봉(2)에 의해 눌러서 시이소오 눌림대(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이소오 눌림대(3)의 후단부는 엔진 이젝트펌프(Egp)의 연료 조절레버(4)에 당김부재(5)와 콘트롤케이블(6)로써 연결되어있다.
한편 상기 가속페달(1)의 중간 후방측에는 리모트 콘트를밸브(7)가 피붓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콘트롤밸브(7)는 가속페달(1)에 의한 눌림 정도에 따라 압력이 승강되는 강압밸브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P)와 함께 엔진(Eg)에 연결된 파일로드 펌프(P´)는 상기 콘트롤밸브(CV)를 동작시키는 파일로드 작동유를 가압 이송하는 것으로, 파일로트 펌프(P´)에서 가압 이송되는 파일로드 작동유는 리모트콘트롤밸브(7)와 전후진 선택밸브(ABV)를 거쳐 콘트롤밸브(CV)의 모드(Mode) 즉, 정지모드, 진진모드,후진모드로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엔진 콘트롤레버(8)의 하단부는 연료 조절레버(4)에 당김부재(5)를 통해 연결되어 작업시 필요에 따라서 엔진 이젝트 펌프(EgP)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9)는 시이소오 눌림대(3)의 수평복귀용 스프링이며,(10)은 가속폐달(1)의 후단부를 받혀주는 스톱퍼이다.
상기 구성에서 리모트 콘트롤밸브(7)는 가속페달(1)에 의한 눌림정도에 따라 작동하는 구조의 것이며, 전후진 선택밸브(ABV)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콘트롤밸브(CV)는 파일로드 불이 밸브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 (a)는 주행정지 상태로서 가속페달(1)을 밟아서 파일로트 펌프(P')로 부터의 파일로드 작동유가 리모트 콘트롤밸브(7)를 통해 전후진 선택 밸브(ABV)에 이르게 되더라도 콘트롤밸브(CV) 측으로 공급되지않고 작동유탱크로 배출된다.
전진 주행시에는 전후진 선택레버(미도시)를 전진 주행상태로 절환하면 전기적 접속에 의해 전후진 선택밸브(ABV)가 제1도 (b)와 같이 전진선택모드로 되어 파일로트 펌프(P')에서 가압이송되는 파일로드 작동유는 리모트 콘트롤밸브(7)와 전후진 선택밸브(ABV)를 통해 콘트를밸브(CV)의 파일로트부에 이르러 콘트롤밸브(CV)를 전진 제어모드로 절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펌프(P)에서 가압이송되는 작동유는 콘트를밸브(CV)의 전진측 유로를 통해 유압모터(M)로 공급되어 유압모터(M)는 정회전하게 되고, 유압모터(M)의 회전력은 변속장치(Vs)와 차동장치(Dg)를 통해 차륜(W)에 전달되어 차륜(W)이 정회전하에 되며, 결국 건설기계는 전진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후진 주행시에는 전후진 선택레버(미도시)를 후진 주행상태로 절환하면, 전기적 접속에 의해 전후진 선택밸브(ABV)가 젤1도(c)와 같이 후진 선택모드로 되어 파일로트 펌프(P')에서 가압 이송되는 파일로트 작용유는 리모트 콘트를밸브(7)와 전후진 선택밸브(ABV)를 통해 콘트롤밸브(CV)의 파일로트부에 이르러 콘트롤밸브(CV)를 후진 제어모드로 절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펌프(P)에서 가입이송되는 작동유는 콘트롤밸브(CV)의 후진축 유로를 통해 유압모터(M)로공급되어 유압모터(M)는 역회전하게 되고, 유압모터(M)의 회전력은 변속장치(Vs)와 차동장치(Dg)를 통해차륜(W)에 전달되어 차륜(W)이 역회전하게 되며, 결국 건설기계는 후진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속페달(1)을 밟는 정도에 따라 가속페달(1)에 피봇연결된 리모트 콘트롤밸브(7)의 눌림정도가변동되면서 감압밸브인 리모트 콘트롤 밸브(7)의 감압작용으로 전후진 선택밸브(ABV)를 통해 콘트롤밸브(CV)의 파일로트부로 이송되는 파일로트 작동유의 압력은 증감된다.
즉, 파일로트 작동유의 압력은 가속페달(1)을 깊이 밟을수록 증가됨과 아울러 콘트를밸브(CV)를 통해 유압모터(M)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증가되어 유압모터(M)가 고속 주행 상태로되고, 가속페달(1)에서 발을떼면 미속 주행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속페달(1)의 족답에 따른 유량제어 작용과 동시에, 가속페달(1)의 전단부에 설치된 누름봉(2)이 시이소오 눌림대(3)를 누르게되고, 이에 따라 시이소오 눌림대(3)의 후단이 상승되면서 당김부재(5)를 통해 엔진이젝트 펌프(EgP)의 연료 조절레버(4)에 연결된 콘트롤케이블(6)을 당기게 되어 연료조절 레버(4)가 회동되면서 엔진 이젝트 펌프(EgP)를 제어하게 됨에 따라 엔진(Eg)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Eg)의 회전수는 가속페달(1)의 누름정도에 따라 가변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는 과정에 있어 가속페달(1)을 처음밟기 시작한 초기상태에서는 가속페달(1)은 후단부가 스톱퍼(10)에 닿는 상태에서 눌려지며 이때 리모트콘트롤밸브(7)의 스푸울이 눌림과 아울러 시이소오눌림봉(3)이 눌리면서 콘트롤케이블(6)과 당김부재(5) 및 연료조절레버(4)를 통해 엔진 이젝트 펌프(EgP)를작동시키게 엔진(Eg)의 회전수가 정격회전수의 1/2-2/3 정도로 제어되는 상태에서 리모트 콘트롤밸브(7)의 스푸울은 최대점까지 작동되는 상태로 매칭된다.
가속페달(1)을 계속 밟음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밸브(7)의 스푸울이 최대로 하강될때 까지는 가속페달(1)의 후단부가 스톱퍼(10)에 닿은 상태(제2도의 쇄선표시상태)에서 작동되며 리모트 콘트롤밸브(7)의 스푸울이최대로 하강한 후에는 가속페달(1)이 리모트 콘트롤밸브(7)의 스푸울과 연결되는 피붓부를 중심으로 지렛대작용을 하게 되어 가속페달(1의 후단부가 제2도의 쇄선 표시와 같이 들리면서 전단부가 계속 하강하게 되고,이에 따라 연료 조절레버(4)가 계속 당겨져서 엔진(Eg)의 회전수를 최대점까지 가속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주행시 미속제어가 가능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연료절감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작업 장치와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복합작업시에는, 엔진콘트롤베러(8)를 조정 및 고정하여 콘트롤케이블(6')를 통해 연결된 연료조절레버(4)를 일정회수 상태로 고정하면 가속페달(1)을 밟더라도 연료조절레버(4)가 동작하지 않게 되고 리모트 콘트롤밸브(7)만 제어되어 이에 따라 엔진(Eg)는 일정 회전수로 고정되므로 이 상태에서 작업장치를 조작하면서 가속 페달(1)을 밟아 주행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미속제어성, 타작업장치와의 복합제어성 및 연료절감을 기할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차륜(W)을 구동하는 유압모터(M)를, 엔진(Eg)에 직결된 유압펌프(P)에 전후진 선택밸브(ABV)와 콘트롤밸브(CV)를 통해 유압라인으로 연결하고, 가속페달(1)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1)의 전단부에 설치된 누름봉(2)의 하부에 시이소오 눌림대(3)를 설치하여 시이소오 눌림대(3)의 후단부를 엔진 이젝트펌프(EgP)의 연료조절레버(4)에 콘트롤케이블(6)로 연결하고, 가속페달(1)의 중간후방측 저부에는 리모트콘트롤밸브(7)의 스푸울을 피봇 연결설치하며, 엔진 콘트롤레버(8)를 설치하여 그 하단부를 연료조절레버(4)에 콘트롤케이블(6')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제어장치.
KR2019860021819U 1986-12-30 1986-12-30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KR900000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19U KR900000401Y1 (ko) 1986-12-30 1986-12-30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19U KR900000401Y1 (ko) 1986-12-30 1986-12-30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88U KR880011988U (ko) 1988-08-26
KR900000401Y1 true KR900000401Y1 (ko) 1990-01-30

Family

ID=1925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819U KR900000401Y1 (ko) 1986-12-30 1986-12-30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70B1 (ko) * 1998-11-25 2006-03-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의전후진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383B1 (ko) * 1998-11-25 2006-03-1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후진변속기
KR100571543B1 (ko) * 1999-06-30 2006-04-1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변속장치의 충격 완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70B1 (ko) * 1998-11-25 2006-03-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의전후진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88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537B1 (ko) 엔진 출력을 변속하여 주행 유닛에 전달하는 무단 변속장치를 구비한 작업차를 위한 변속 조작 시스템
US6527074B1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a hybrid vehicle
KR100221441B1 (ko) 발진 클러치를 구비한 차량의 브레이크력 제어장치
KR900000401Y1 (ko)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CN104290731B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KR200378443Y1 (ko) 유압구동식 건설장비의 주행제어장치
JP200405286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CN100562677C (zh) 油压行驶车辆的气蚀防止系统
KR0114060Y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KR100240090B1 (ko) 유압식 건설기계의 엔진 출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32293B2 (ja) 建設重装備用の走行連動装置
GB2395989A (en) Maximising run-away resistance in a drive in a near stationary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KR0138524Y1 (ko) 자동차 클러치의 이원화 제어 장치
KR100267290B1 (ko) 변속레버 제어장치
KR200198222Y1 (ko)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100208326B1 (ko) 차량용 유압변속제어장치
JP3321405B2 (ja) 振動締固め機の前後進操作機構
KR910004258Y1 (ko) 차량용 수동식 클러치장치
KR0160882B1 (ko) 유압펌프용 구동벨트의 절손시 차속 제한장치
JP2002021880A (ja) 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315127B1 (ko) 유압 크레인의 엔진가속 조절장치
KR19980077458A (ko)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20020047933A (ko) 가변식 가속기 페달시스템
KR19980053680U (ko) 무단 변속기용 오일 보조펌프
JP3031631B2 (ja) 油圧リモコン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71230

Effective date: 199806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1230

Effective date: 1999053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608

Effective date: 2000033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503

Effective date: 20010309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306

Effective date: 20010430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607

Effective date: 2001091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406

Effective date: 20011116

EXPY Expiration of term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28

Effective date: 20020429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28

Effective date: 20020429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605

Effective date: 200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