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458A -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458A
KR19980077458A KR1019970014584A KR19970014584A KR19980077458A KR 19980077458 A KR19980077458 A KR 19980077458A KR 1019970014584 A KR1019970014584 A KR 1019970014584A KR 19970014584 A KR19970014584 A KR 19970014584A KR 19980077458 A KR19980077458 A KR 1998007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vehicle speed
clutch structure
solenoid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환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1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7458A/ko
Publication of KR1998007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458A/ko

Links

Landscapes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튜브에 차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클러치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분기 연결함에 따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작동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혼잡한 시내주행을 하더라도 오토밋션장치와 같이 편리한 운전이 가능토록 한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본 발명은 차속이 일정 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작동되어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엔진이 꺼지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는 엔진 플라이 휠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며,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장치로서, 변속기의 기어를 바꿀 때나 엔진 시동시는 동력을 차단하고, 출발시에는 동력을 서서히 연결해 주는 작용을 한다.
클러치의 조작기구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으로, 와이어에 의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기계식 조작기구와 유압을 이용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유압식 조작기구가 있는데, 유압식은 기계식에 비하여 클러치 페달을 밟은 힘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유압식 클러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리저버 탱크(8)가 내통되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14)의 단부는 클러치 페달(7)에 연결되는 마스터 실린더(9)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9)로부터 튜브(13)에 의해 연결되며 클러치(12)를 작동하도록 클러치(12) 측부에 부착되는 릴리스 실린더(12)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클러치 구조는 클러치 페달을 밟은 힘이 적더라도 클러치가 동작하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차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질때마다 클러치를 밟아주지 않으면 엔진이 꺼지게 되므로 오토밋션장치에 비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혼잡한 시내주행과 같은 주행조건에서는 클러치 조작 횟수가 더 많아지게 되므로 조작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혼잡한 시내를 장시간 운전하게 될 경우,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해 왼쪽다리에 계속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근육통등을 수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튜브에 차속이 일정속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클러치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분기 연결함에 따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작동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혼잡한 시내주행을 하더라도 오토밋션장치와 같이 편리한 운전이 가능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속센서로부터의 차속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마스터 실린더측의 유압신호에 의해 작동해제되도록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가 동작함에 따라 클러치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튜브에 분기 연결되어지는 펌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설명하는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구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설명하는 유압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2 : 프레셔 릴리프 밸브
3 : 솔레노이드 밸브4 : 컨트롤러
5 : 압력센서6 : 프레셔 릴리프 밸브
7 : 클러치 페달8 : 리저버 탱크
9 : 마스터 실린더10 : 리턴 스프링
11 : 릴리스 실린더12 : 클러치
13 : 튜브14 : 피스톤로드
15 : 차속 센서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구조를 설명하는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구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제어흐름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상부에는 리저버 탱크(8)가 내통하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14)의 단부는 클러치 페달(7)에 연결되는 마스터 실린더(9)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9)로부터 튜브(13)에 의해 연결되며 클러치(12)를 작동하도록 클러치(12) 측부에 부착되는 릴리스 실린더(12)로 구성되는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차속센서(15)로부터의 차속신호에 의해 작동 명령을 출력하고 마스터 실린더(9)의 출구측 튜브(13)에 분기 연결된 압력센서(5)로부터의 유압신호에 의해 작동해제 명령을 출력하는 컨트롤러(4)와, 상기 컨트롤러(4)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제어단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를 사이에 두고 상기 튜브(13)에 오일을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펌프(1)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1)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1)의 출구에 프레셔 릴리프(2)가 분기 연결될 수 있으며, 튜브(13)내 오일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리스 실린더(11)와 연결된 튜브(13)에 프레셔 릴리프(6)가 분기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4)는 차속센서(15)로부터 일정속도 이하의 차속값이 압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의 작동명령을 출력시키며, 상기 압력센서(5)로부터 일정압력이상의 압력값이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의 작동해제 명령을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도2참조)
차량 주행중 차속이 일정속도(약5Km/h)이하로 떨어지면 컨트롤러(4)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 작동명령을 출력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펌프(1)로부터의 압유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와 튜브(13)를 경유하여 릴리스 실린더(11)에 공급되므로 클러치(12)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다시 가속하기 원할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7)을 가볍게 밟아 줌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0)의 출구측 튜브(13)의 오일 압력이 설정치 압력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압력센서(5)로부터의 압력신호에 의해서 컨트롤러(4)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의 작동해제 명령을 내리게 된다.
따라서 펌프(1)로부터 클러치(12)로의 유량공급이 중단되며, 종래의 유압식 클러치 구조에서와 같이 클러치 페달(7)만의 조작에 의하여 클러치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일반 주행시에는 종래의 유압식 클러치 구조에서와 같이 작동되면서, 일정속도이하로 감속될시에는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실린더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튜브에 차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클러치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분기 연결함에 따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작동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혼잡한 시내주행을 하더라도 오토밋션장치와 같이 편리한 운전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Claims (4)

  1. 상부에는 리저버 탱크(8)가 내통하도록 위치하며 그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14)의 단부는 클러치 페달(7)에 연결되는 마스터 실린더(9)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9)로부터 튜브(13)에 의해 연결되며 클러치(12)를 작동하도록 클러치(12) 측부에 부착되는 릴리스 실린더(12)로 구성되는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차속센서(15)로부터의 차속신호에 의해 작동 명령을 출력하고 마스터 실린더(9)의 출구측 튜브(13)에 분기 연결된 압력센서(5)로부터의 유압신호에 의해 작동해제 명령을 출력하는 컨트롤러(4)와,
    상기 컨트롤러(4)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제어단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를 사이에 두고 상기 튜브(13)에 오일을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펌프(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1)의 출구에 프레셔 릴리프(2)가 분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릴리스 실린더(11)와 연결된 튜브(13)에 프레셔 릴리프(6)가 분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는 차속센서(15)로부터 일정속도 이하의 차속값이 압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의 작동명령을 출력시키며, 상기 압력센서(5)로부터 일정압력이상의 압력값이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의 작동해제 명령을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1019970014584A 1997-04-19 1997-04-19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1998007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584A KR19980077458A (ko) 1997-04-19 1997-04-19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584A KR19980077458A (ko) 1997-04-19 1997-04-19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458A true KR19980077458A (ko) 1998-11-16

Family

ID=6595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584A KR19980077458A (ko) 1997-04-19 1997-04-19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7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14B1 (ko) * 1997-11-28 2004-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작동오일 자동공급장치
KR101251479B1 (ko) * 2005-12-12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KR20230023847A (ko) * 2021-08-10 2023-02-20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농기계용 파워 클러치 어셈블리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14B1 (ko) * 1997-11-28 2004-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작동오일 자동공급장치
KR101251479B1 (ko) * 2005-12-12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KR20230023847A (ko) * 2021-08-10 2023-02-20 한국도키멕 주식회사 농기계용 파워 클러치 어셈블리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441B1 (ko) 발진 클러치를 구비한 차량의 브레이크력 제어장치
US5036965A (en) Actuator device particularly suited to activating the friction clutch of a motor vehicle
EP0798480B1 (en) Automatic clutch unit for vehicle use
KR19980077458A (ko)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200299327Y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KR200155096Y1 (ko) 경사지에서 자동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0133292Y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JPH07237470A (ja) インチングシステム
KR0170155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0174179B1 (ko) 클러치 조작장치
KR970001763A (ko) 건설기계 주행시스템의 제어장치
KR930002048Y1 (ko) 유압구동식 중장비의 항속주행장치
KR0118954Y1 (ko) 제동시 클러치 자동 차단장치
KR100224397B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동력전달시점 조절장치
KR200275744Y1 (ko) 브레이크의 배기력과 연동되는 엔진출력제한장치
KR0118953Y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10022306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KR970045968A (ko) 유압식 클러치 조작장치
KR19980061731A (ko) 자동차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매뉴얼 타입 트렌스 밋션의 동력 단속장치
KR0170156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100267290B1 (ko) 변속레버 제어장치
KR950006985Y1 (ko) 자동차 유압 클러치의 클러치유 급속 귀환장치
KR970059524A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장치
KR0128696B1 (ko) 엑튜에이터(Actuator)를 이용한 차량용 클러치 조작장치
KR100309408B1 (ko) 자동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