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479B1 -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479B1
KR101251479B1 KR1020050122147A KR20050122147A KR101251479B1 KR 101251479 B1 KR101251479 B1 KR 101251479B1 KR 1020050122147 A KR1020050122147 A KR 1020050122147A KR 20050122147 A KR20050122147 A KR 20050122147A KR 101251479 B1 KR101251479 B1 KR 10125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ylinder
piston
vehicle
hydraulic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331A (ko
Inventor
서동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4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에서 시작한 작동 과정이 릴리즈 포크,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거쳐 클러치 커버 조립체 및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작용하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측이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릴리즈 포크에 연결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원상 복귀를 가능케 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유압라인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유압라인; 및 상기 압력센서 및 복수의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한다.
클러치, 엑츄에이터, 밸브, 전자제어장치, 피스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CLUTCH SYSTEM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로직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페달 25 : 릴리즈 포크
27 :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29 : 클러치 커버 조립체
29b : 다이아프램 스프링 31a : 압력판
31b : 클러치 디스크 33 : 전자제어장치
35 : 피스톤 37 : 실린더
39 : 압력센서 41 : 제1 유압라인
43 : 제2 유압라인 45 : 리턴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변속기의 연료 저감의 장점과 자동 변속기의 작동 편의성을 모두 갖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은 구동 바퀴에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작동을 하며, 엔진의 시동 시 또는 변속기 기어의 변속 시에 엔진의 동력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이러한 클러치 시스템은 조작력 전달방법에 따라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사용하는 유압식이 있다.
도 1에서는 종래 유압식 클러치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클러치 페달(1)에 의해 작동하는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3)가 호스(5)를 통하여 클러치 릴리이스 실린더(7)와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릴리이스 실린더(7)의 푸시로드(9)는 릴리이스 포크(11)와 연결 관계를 갖는다.
즉, 클러치 페달(1)에서 시작한 작동 과정은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3), 호스(5),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7), 클러치 포크(11),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13)을 거쳐 클러치 디스크(15)에 작용하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클러치 시스템은 페달 및 유압 실린더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구조상 불리할 뿐 아니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직접 작동하고, 운전자의 능숙함에 따라 차량의 운행 및 주행 안정성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클러치 시스템이 수동 변속기의 운전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소라 할 수 있고 운전자들이 자동 변속기 차량을 선호하게 되는 직접적인 이유가 된다.
그러나 자동 변속기 차량은 수동 변속기 차량에 비해 연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최근의 고유가 시대에 맞는 연비가 좋은 차량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에 부합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변속기 차량에 비해 연비가 뛰어난 수동 변속기 차량의 장점과 저속에서의 반복되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으로 인한 운전의 피로감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에서 시작한 작동 과정이 릴리즈 포크,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거쳐 클러치 커버 조립체 및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작용하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측이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릴리즈 포크에 연결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원상 복귀를 가능케 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유압라인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유압라인; 및 상기 압력센서 및 복수의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전 자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유압라인 각각은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과 실린더를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라인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은 클러치 페달(21)과, 클러치 페달(21)과 연결된 채 클러치 하우징(23) 내부에 설치되는 엑츄에이터부(A)와, 클러치 페달(21)의 작동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동하는 릴리즈 포크(25)와, 릴리즈 포크(25)의 끝단에 고정된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27)과,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27)에 접촉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29)와, 클러치 커버 조립체(29)의 내부에 설치되고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31)와, 전자제어장치(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러치 페달(21)은 힌지 연결된 로드 등을 통하여 엑츄에이터부(A)와 연결되어 엑츄에이터부(A)의 유압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클러치 페달(21)에서 시작한 작동 과정은 릴리즈 포크(25),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27)을 거쳐 클러치 커버 조립체(29) 및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31)에 작용하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한다.
클러치 커버 조립체(29)는 클러치 커버(29a)에 다이아프램 스프링(29b)이 설 치되고,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31)는 압력판(31a)과 클러치 디스크(31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안된 엑츄에이터부(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21)에 미도시된 로드 등을 통하여 일측이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릴리즈 포크(25)에 연결되는 피스톤(35)과, 피스톤(35)이 삽입되는 실린더(37)와, 실린더(37)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39)와, 실린더(37)와 연통된 제1 유압라인(41) 및 제2 유압라인(43)와, 피스톤(35)과 클러치 하우징(23) 사이에 연결되어 피스톤(35)의 원상 복귀를 가능케 하는 리턴 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즉,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1)을 조작하면, 클러치 하우징(23) 내부에서 클러치 페달(21)에 힌지 연결된 엑츄에이터부(A)의 피스톤(35)이 작동하면서 릴리즈 포크(25)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부(A)는 클러치 하우징(23)의 내부에 구비되고, 클러치 페달(21)은 일단부가 차량 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일측이 미도시된 격벽을 관통하는 로드(미도시) 등을 통해 엔진룸 내부 다수의 엔진부품 및 변속기와의 간섭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클러치 하우징(23)의 엑츄에이터부(A)에 각각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페달(21)은 운전자의 답력이 전달될 경우, 회전되면서 상기 피스톤(35)을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엔진룸과 실내를 차단하는 미도시된 격벽과 엔진룸에 구비되는 다수의 엔진부품 및 변속기와의 간섭 발생이 방지되면서, 피스톤(35)을 통해 릴리즈 포크(25)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격벽은 엔진룸과 차량 실내를 구획하는 대쉬 패널이며, 로드는 상기 클러치 페달(21)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격벽인 대쉬 패널을 관통하여 엑츄에이터부(A)의 피스톤(35)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기재되지 않았으나, 이는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하 구조 및 연결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센서(39)는 일정 간격으로 실린더(37) 내부의 압력을 비교해서 전자제어장치(33)에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1)을 작동 중인지 릴리즈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이용한다.
제1 유압라인(41)은 작동 유체를 저장하는 제1 저장통(41a)과, 제1 저장통(41a)에서 실린더(37)로 연결된 제1 유압라인(41)의 중간에 설치된 제1 밸브(41b)로 구성된다.
제2 유압라인(43)은 제1 유압라인(41)과 마찬가지로 작동 유체를 저장하는 제2 저장통(43a)과, 제2 저장통(43a)에서 실린더(37)로 연결된 제2 유압라인(43)의 중간에 설치된 제2 밸브(4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실린더(37)와 연통되는 제1 유압라인(41)과 제2 유압라인(43)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기로는 제1 유압라인(41)의 직경이 제2 유압라인(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실린더(37)의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유출입 량이 제1 유압라인(41)에서 더 많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밸브(41b)와 제2 밸브(43b)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33)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 4에 도시한 작동로직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압력센서(39)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실린더(37) 내부의 압력을 비교하게 되며, 압력센서(39)에서 측정된 압력값은 ΔT-t 시간과 ΔT 시간의 평균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이 감소하면 전자제어장치(33)에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1)을 작동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유압라인(41)의 제1 밸브(41b)를 오픈함과 동시에 제2 밸브(43b)를 클로즈하여 작동 유체가 실린더(37)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 피스톤(35)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릴리즈 포크(25)를 정방향으로 회동시켜 릴리즈 베어링(27)이 다이아프램 스프링(29b)을 누르게 되고, 클러치 디스크(31b)와 압력판(31a)이 떨어지면서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한편, 일정시간 간격으로 비교한 압력이 증가하면 특정 차속 이상(차속이 5km/h 보다 큰지)이고 기어 단수가 2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특정 차속 보다 빠르고 2단 이상이면 제1 밸브(41b)와 제2 밸브(43b) 모두를 모두 오픈하여 실린더(37)의 내부에 채워진 작동 유체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피스톤(35)은 리턴 스프링(45)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빠르게 복귀하고 클러치 페달(21)도 빠르게 릴리즈 된다.
만일 특정 차속 이하이고 기어 단수가 1단일 때에는 클러치 페달(21)을 너무 빨리 릴리즈 시키면 시동이 꺼질 수 있으므로 제1 밸브(41b)만 클로즈(차단)하고 제2 밸브(43b)는 오픈하여 실린더(37) 내부의 작동 유체가 제2 유압 라인(43)을 통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유압라인(41)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유압라인(43)만 오픈됨으로 실린더(37) 내부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두 라인 모두 오픈되었을 때와 제1 유압라인(41)만 오픈되었을 때보다 느리게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기어 단수가 2단 이상이고 차속이 10km/h 이하에서는 2단 출발로 인식하여 천천히 릴리즈된다.
이와 같은 작동로직은 최초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1)을 작동시킨 후에 클러치 페달(21)에서 발을 떼는 동작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일단 클러치 페달(21)을 작동시킨 후에는 클러치 페달(21)에서 발을 떼어도 기어 변속이나 엑셀레이터의 작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클러치 페달(21) 작동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은 잦은 클러치 페달의 동작과 반클러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발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 단수 1단 또는 2단에서와 같은 저속 운전에서 자동 변속 자동차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료를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클러치 페달에서 시작한 작동 과정이 릴리즈 포크,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거쳐 클러치 커버 조립체 및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작용하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에 일측이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릴리즈 포크에 연결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원상 복귀를 가능케 하는 리턴 스프링;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유압라인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유압라인; 및
    상기 압력센서 및 복수의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압라인 각각은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과 실린더를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라인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
  3. 삭제
KR1020050122147A 2005-12-12 2005-12-12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KR10125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147A KR101251479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147A KR101251479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331A KR20070062331A (ko) 2007-06-15
KR101251479B1 true KR101251479B1 (ko) 2013-04-05

Family

ID=3835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147A KR101251479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825A (ja) 1985-02-26 1986-09-02 Hino Motors Ltd 油圧クラツチ
JPS6228531A (ja) 1985-07-29 1987-02-06 Hino Motors Ltd 油圧クラツチ
KR19980077458A (ko) * 1997-04-19 1998-11-16 오상수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20040046708A (ko) * 2002-11-28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825A (ja) 1985-02-26 1986-09-02 Hino Motors Ltd 油圧クラツチ
JPS6228531A (ja) 1985-07-29 1987-02-06 Hino Motors Ltd 油圧クラツチ
KR19980077458A (ko) * 1997-04-19 1998-11-16 오상수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클러치 구조
KR20040046708A (ko) * 2002-11-28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331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7207C (en) Brake fluid pressure retaining apparatus
CN102149935B (zh) 通过主动发动机转速控制实现可选择的单向离合器或机械二极管的接合
CN106195259B (zh) 一种自动变速器空挡控制方法
CN102985726A (zh) 滑行控制装置
EP3379113B1 (en) Gear shifting control device
US10578133B2 (en) Clutch actuator
JPH0791537A (ja) 電子制御変速機
JP4058868B2 (ja) 車両用多段変速機
JP3858960B2 (ja) エンジン自動停止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回路
EP3633223B1 (en) Vehicular transmission system
JP2007536479A (ja) 自動化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制御方法
KR101251479B1 (ko) 차량용 클러치 시스템
CN106704576A (zh) 一种用于汽车手动变速箱的自动离合器控制系统
Nordgård et al. Developments in automated clutch management systems
CN110005799A (zh) 离合器控制装置
KR100718495B1 (ko) 유압구동 자동차
KR100316912B1 (ko) 차량용 반자동 변속기의 중립 제어방법
CN113153858B (zh) 汽车离合器自动控制系统
JP3797220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CN109838474A (zh) 离合器控制装置
JPH0440215B2 (ko)
KR101887492B1 (ko) 유압 구동식 작업 기계의 브레이크 등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JP4911995B2 (ja) 自動二輪車
CN110431328A (zh) 液压阀单元及跨骑型车辆
KR0148338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28

Effective date: 2013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