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222Y1 -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222Y1
KR200198222Y1 KR2020000011591U KR20000011591U KR200198222Y1 KR 200198222 Y1 KR200198222 Y1 KR 200198222Y1 KR 2020000011591 U KR2020000011591 U KR 2020000011591U KR 20000011591 U KR20000011591 U KR 20000011591U KR 200198222 Y1 KR200198222 Y1 KR 20019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elay
solenoid valve
piston plat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상호
Original Assignee
편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상호 filed Critical 편상호
Priority to KR2020000011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탱크를 구비한 대형 차량에 있어서 편리하게 조작할수 있도록 한 클러치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도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및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클러치 부스터의 피스톤 플레이트 후방과 에어탱크사이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이 쉬프트레버의 리미트스위치와, 브레이크 제동등 릴레이 접점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에 추가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 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시동과 가속, 감속을 위한 운전조작시에 클러치 페달을 전혀 조작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운전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켜 안전운행에 기여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Clutch Control Apparatus for Large Vehicle}
본 고안은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탱크를 구비한 대형 차량에 있어서 편리하게 조작할수 있도록 한 클러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동 변속기가 부착된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출발이나 변속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며, 클러치 페달을 밟아 유압이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고 제어밸브가 에어탱크와 클러치 피스톤간을 연통시켜 에어탱크의 압력이 클러치 피스톤을 밀어 냄으로써 피스톤이 클러치를 작동시켜 엔진의 동력이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되게 한후 쉬프트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진다음 클러치 페달을 놓아 클러치 페달에 의한 유압이 소실되면서 제어밸브가 닫히고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피스톤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클러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동력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여 엔진의 동력이 클러치를 통하여 트랜스미션에서 적정 회전수로 바뀐후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시켜 주행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미션을 장착한 대형 차량은 교통의 정체시나 차속 변환시 반드시 페달 조작이 실시 조작되어야 하는 것인바, 특히 여러 계기의 조작이 동시 다발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대형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 조작의 부담을 가중시켜 운전자를 피로하게 하고 운전 조작의 실수를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자동변속기를 채택한 대형 차량도 보급되고 있으나,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토크 컨버터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하여 연비가 낮아지므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며, 대형 차량용 자동변속기는 그 가격이 매우 높아 차량 가격을 크게 앙등시켜 수요자의 부담을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차량용 자동 변속기는 그 내구성이 충분한 수준이 아니므로 대형 차량에서는 채택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도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변속이 가능하도록 한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를 보인 것으로 작동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를 보인 것으로 작동시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부스터 2:피스톤 플레이트
3:스프링 4:푸쉬로드
5:에어탱크 6:솔레노이드밸브
7:릴레이 8:제동등 릴레이의 접점
9:접점 10:쉬프트레버
11,12:리미트스위치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엔진과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부스터(1)와, 클러치 부스터(1)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킴에 따라 공기압이 공급되어 전진되고 스프링(3)에 의하여 후진되는 피스톤플레이트(2)와 피스톤플레이트(2)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을 하면서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푸쉬로드(4)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입구가 에어탱크(5)와 연통되도록 하고, 출구가 피스톤플레이트(2)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솔레노이드 밸브(6)와,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7)와, 릴레이(7)를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레버(10)에 내장된 리미트스위치(11)로 되거나 제동등 릴레이의 접점(8) 및 브레이크 페달에 추가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2)로 된 조작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출발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만으로 크러치가 차단상태로 되어 이러한 상태에서 시동키를 돌려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상시 오프 상태에 있던 제동등 릴레이 접점(8)이 온되면서 상시 온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에 추가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2)를 통하여 전원이 릴레이(7)에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7)의 접점(9)을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밸브(6)의 입구와 출구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에어탱크(5)의 공기압력이 피스톤 플레이트(2)의 후방에 공급된다. 이러한 에어탱크(5)의 압력은 상당히 고압이므로 스프링(3)의 탄력을 이기고 피스톤 플레이트(2)를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며, 그 결과 클러치의 푸쉬로드(4)를 전방으로 밀어 클러치에 의하여 동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동키를 꽃아 돌리면 스타트 모우터가 작동하면서 엔진의 각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연료가 공급되면서 엔진이 정상 기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엔진은 크러치의 차단상태에 의하여 동력을 변속기측으로 전달하지 않고 있으므로 자유롭게 기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이 기동된후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제동상태가 풀리면서 상시 오프인 제동등 릴레이의 접점(8)에 의하여 릴레이(7)에 흐르던 전원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7)의 접점(9)이 반전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6)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밸브(6)의 입구와 출구가 차단되며, 피스톤 플레이트(2)의 후방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솔레노이트밸브(6)의 배기구로 배출됨과 아울러 피스톤 플레이트(2)가 리턴 스프링(3)에 의하여 원위치되면서 푸쉬로드(4)가 원위치되므로 크러치가 다시 붙게 되어 정상적인 동력전달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 가속 주행할수 있고,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되게 하며, 쉬프트레버(10)를 조작하여 변속되게 하거나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할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변속시에는 트랜스미션의 쉬프트레버(10)에 내장된 리미트스위치(11)를 누르면 릴레이(7)에 흐르던 전원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7)의 접점(9)이 반전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전류가 흘러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탱크(5)의 압력으로 피스톤 플레이트(2)와 푸쉬로드(4)가 전진하면서 클러치를 차단시키는 상태로 된다. 이때 쉬프트레버(10)를 움직여 변속을 실시하고 다시 쉬프트 레버(10)에 내장된 리미트 스위치(11)를 놓으면 오프되어 조작전의 상태와 같이 리턴스프링(3)에 의하여 피스톤 플레이트(2)가 후퇴되어 푸쉬로드(4)가 후퇴하므로 클러치가 정상적으로 이어지면서 동력전달이 재개되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액셀러레이터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가속이나 감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제동등 릴레이의 접점(8)이 온되어 평상시 온되어 있던 리미트 스위치(12)를 통하여 릴레이(7)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바,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탱크(5)의 에어가 피스톤 플레이트(2)를 밀어 내어 푸쉬로드(4)가 전진함으로써 클러치가 떼어지므로 브레이크만의 제동력에 의하여 차량이 제동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동력은 차량 속도가 낮은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언덕을 내려가는 경우나 중속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다가 정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페달의 윗부분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12)를 발로 밟아 상시 온상태인 접점(9)이 오프상태로 반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7)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고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 탱크(5)에 의한 공기압력 공급이 차단되면서 피스톤 플레이트(2)가 리턴 스프링(3)에 의하여 원위치되면서 푸쉬로드(4)가 원위치되므로 크러치가 다시 붙게 되어 정상적인 동력전달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타이어의 제동상태가 트랜스미션, 클러치를 거쳐서 엔진과 연동되는 상태이므로 소위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어서 탁월한 제동력을 발휘하여 안전하게 정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대형 차량에서는 매니홀드의 흡기측을 차단시켜 엔진의 일시 정지 상태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한 제동력을 얻을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도 기어 변속이 가능하므로 수동변속기를 채택한 대형 차량에서도 운전조작의 부담이 크게 경감될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브레이크 페달 및 이에 근접하여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적절한 상태로 제동이 이루어 질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출발과 주행, 제동, 가속과 관련한 일련의 운전조작중에 클러치 페달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므로 운전조작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 줌으로써 안전운행에 기여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엔진과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부스터(1)와, 클러치 부스터(1)에 설치되어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킴에 따라 공기압이 공급되어 전진되고 스프링(3)에 의하여 후진되는 피스톤플레이트(2)와 피스톤플레이트(2)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을 하면서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푸쉬로드(4)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입구가 에어탱크(5)와 연통되도록 하고, 출구가 피스톤플레이트(2)의 후방과 연통되도록 하여서 된 솔레노이드 밸브(6)와,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7)와, 릴레이(7)를 구동하기 위한 쉬프트레버(10)에 내장되거나 제동등 릴레이의 접점(8) 및 브레이크 페달에 추가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2)로 된 조작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2020000011591U 2000-04-24 2000-04-24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200198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91U KR200198222Y1 (ko) 2000-04-24 2000-04-24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91U KR200198222Y1 (ko) 2000-04-24 2000-04-24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222Y1 true KR200198222Y1 (ko) 2000-10-02

Family

ID=1965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91U KR200198222Y1 (ko) 2000-04-24 2000-04-24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2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673B2 (en) Electric creep torque control in vehicles having a manual/mechanical transmission
KR100339093B1 (ko) 차량의브레이크제어장치
CN111348044B (zh) 车辆的控制装置及具有控制装置的车辆
US6336689B1 (en) Brake fluid pressure retaining unit
KR200198222Y1 (ko)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JP2009524544A (ja) 自動車のドライブトレーン
KR0136741B1 (ko) 엔지시동 오프시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작동 장치
KR100245636B1 (ko) 자동변속기의 주행-중립 레인지 자동 변환장치 및 그 방법
JP4722280B2 (ja) 車両の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KR200254615Y1 (ko) 자동차용 클러치 패달 조작장치
JPS6283243A (ja) 車両用ブレ−キ装置
KR0133292Y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KR890007443Y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KR0148338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JPH09142270A (ja)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KR0152630B1 (ko) 자동변속기 자동차의 주정차 파킹시스템
KR100251172B1 (ko) 자동차 후진시 가속페달 작동장치
JP3018521U (ja) 転圧機械用ブレーキ装置
KR100373243B1 (ko) 배기브레이크스위치겸용오토매틱변속레버의홀드버튼
KR100207212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910004258Y1 (ko) 차량용 수동식 클러치장치
KR100251183B1 (ko) 자동차 페달조작구조
KR91000303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KR20230093393A (ko) 차량용 급발진 안전시스템
KR100212437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