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33B1 -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33B1
KR910003033B1 KR1019880004134A KR880004134A KR910003033B1 KR 910003033 B1 KR910003033 B1 KR 910003033B1 KR 1019880004134 A KR1019880004134 A KR 1019880004134A KR 880004134 A KR880004134 A KR 880004134A KR 910003033 B1 KR910003033 B1 KR 91000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edal
clutch
valv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03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선 filed Critical 박종선
Priority to KR101988000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033B1/ko
Publication of KR89001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제어장치의 전체개략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방향감지센서의 상세단면도.
제3도는 부스타실린더가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제4a도는 제1도의 제2·3방향전자밸브의 작동상태단면도, 제4b도는 정차된 차량이 출발할때의 제2·3방향전자밸브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4c도는 고속주행시 제2·3방향전자밸브의 작동상태단면도.
제5도는 클러치페달 작동스위치가 변속레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부스트실린더 2 : 진공탱크
3 : 제1·3방향전자밸브 4 : 중심축
5 : 방향감지구 6 : 제2부스타실린더
7 : 3방향전자밸브 8 : 클러치작동스위치
9 : 전기회로제어부 10, 11 : 체임버
12 : 다이아프램 13 : 플레이트
14 : 브레이크페달 15 : 레버
16 : 푸시로드 17 : 지지핀
18 : 장공 19 : 구멍
20 : 파이프 21 : 스프라킷
22 : 스위치레버 23 : 고정핀
24 : 스프링 25 : 1방향베어링
26 : 핀 27 : 제1솔레노이드
28 : 스푸울 29, 30 : 파이프
31 : 대기통로 32 : 제1밸브
33 : 제2솔레노이드 34 : 스푸울
35 : 대기통로 36 : 구멍
37, 38 : 스프링 39 : 구멍
40, 41 : 체임버 42 : 다이아프램
43 : 플레이트 44 : 클러치페달
45 : 레버 46 : 푸시로드
47 : 지지핀 48 : 장공
49 : 구멍 50 : 파이프
51 : 레버스위치 52 : 클러치스위치
53 : 릴레이 54 : 후방스위치
55 : 선택스위치 56 : 속도스위치
57 : 악셀레이터스위치 58 : 다이오드
59 : 정차스위치 60 : 메인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페달이 상호 연관되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가 가동될 때 엔진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이로 동작하게 되는 부스타실린더가 브레이크페달과 클러치페달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 각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페달의 부스타 실린더를 진공압 또는 대기압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3방향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주행하지 않고 있을때의 후진형상을 감지해서 필요한 경우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적절히 제어해 주는 전기적제어부와 연결됨으로써, 비주행상태에서 자동차가 후진하게 될 때 자동적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클러치 페달이 록크 상태가 되도록 해주고, 변속을 하고자 할 때는 간단히 스위치를 조작해 줌으로써 자동적으로 클러치 페달이 작동되어지도록 된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오름비탈길에서 정차시켜 놓은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이나 핸드브레이크를 사용해서 제동시켜 놓게되고, 이어 출발시키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페달을 떼면서 악셀레이터페달을 밟아줌과 동시에 클러치페달로부터 발을 떼어 출발시켜 주어야 하는바,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순차적으로 빠른 시간에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부주의하거나 운전이 미숙하면 자동차가 후진해서 뒷차와 충돌하게 되는 위험이 있고, 특히 운전자가 당황해서 제동조작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큰 사고가 유발될 위험이 있게 되어, 초보운전자는 말할 것도 없고 운전에 숙련된 자도 오름경사길에서 정차했다가 출발할때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또 만일 오름경사길에다 자동차를 정치시켜 놓고 운적석을 떠나게 되는 경우 제동력이 부족하게 되면, 자동차가 경사길을 미끄러져 후진해서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게 될 위험도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위험을 다소나마 해소시켜 주기 위해 종래에도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어져 있는바, 그예로서는 본 출원인 출원한 1988년 특허출원 제1194호에 게재된 바와같이, 2개의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파워브레이크 유니트가 외부조건을 센서가 감지해서 한쪽 체임버를 대기압이하(진공)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대기압상태인 다른쪽 체임버와 압력차이에 의해 다이아프램을 동작시켜 주고, 이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플레이트에 연결된 푸시로드가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켜 이 마스터실린더가 다시 바퀴에 설치되어 있는 휠실린더를 동작시켜줌으로써,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 브레이크제동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고 감지센서의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제동되어지게 되는 경우 차종이 크거나 부하가 크게되면 부하를 이기지 못해 자동차가 뒤로 밀려지게 됨은 물론, 제동시에 플레이트에 부착된 다이아프램의 작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급격한 제동이 걸리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4, 590, 406호에는,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에서 브레이크실린더로 연결된 유로를 차단시켜 제동이 이루어진 다음 브레이크실린더의 오일이 역류되지 못 하도록 해줌으로써 제동력이 계속유지되도록 된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모두 브레이크 실린더가 직접 휠실린더를 작동시켜 주도록 된 직접제동식으로서, 이러한 직접제동식 브레이크장치들은 대형차량이나 특수차등과 같이 부하가 많이 걸리는 차종마다 그에 알맞는 용량을 각기 달리하는 브레이크 실린더를 설치해 주어야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주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기존의 자동차에 쓰여지고 있는 파워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페달레버와 클러치페달레버에 각기 연결되어 파워브레이크의 부스타실린더가 작동함에 따라 브레이크페달과 클러치페달이 작동하도록 된 것으로, 자동차가 오름경사면에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속도스위치가 "ON"됨과 동시에 방향감지구도 ON되어져 한쪽 부스타실린더가 작동하게 됨으로서, 브레이크페달이 잡아당겨져 종래의 파워브레이크실린더가 작동해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됨과 더불어, 클러치페달쪽 부스타실린더도 동작해서 클러치페달이 당겨져 동력을 차단시킬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페달의 레버에 연결되는 로드와 일체로 된 플레이트와, 다이아프램, 이 다이아프램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2개의 체임버, 이들 체임버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과 대기통로를 교대로 절환시켜 주는 제1·3방향전자밸브와 제2·3방향전자밸브가 각기 구비된 각각의 부스타실린더, 상기 각 전자밸브에 연결되는 진공탱크와 진공파이프, 자동차의 구동축 또는 속도계케이블축에 연결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클러치베어링을 갖춘 일방향센서, 자동스위치, 릴레이 및 레버스위치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어장치는 자동차가 오름경사길에서 정차했다가 출발할 때 운전부주의등으로 뒷쪽으로 밀려 후진하게 되는 경우, 자동스위치가 ON되어진 상태에서 1방향센서가 바퀴의 역회전을 감지해서 릴레이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러한 릴레이의 동작으로 3방향전자밸브의 솔레노이드가 자화되어져 진공 탱크에 연결된 파이프를 차단시켜 주고 있던 밸브를 열려지게 함과 더불어, 상부의 대기통로를 막아줌으로써 부스타실린더의 한쪽 체임버가 진공탱크로 연통시켜 지도록 해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른쪽 체임버의 대기압과의 차이로 힘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힘에 의해 부스타실린더의 플레이트가 이동시켜 지게 되어, 이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로드가 브레이크페달을 잡아당겨 주게 됨으로써 이 페달에 연결진 파워브레이크실린더의 푸시로드가 작동하게 되어 자동차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스타실린더의 플레이트가 동작해서 이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로드가 브레이크페달을 당겨자동차를 제동시켜주는 동안에는 엔진으로부터 밋숀을 거쳐 차축으로 전달되어지는 동력이 차단되어 엔진이 정지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는바, 이는 클러치페달이 동작시켜 지도록 또다른 부스타실린더에 연결된 제2·3방향전자밸브의 제1 솔레노이드를 자화시켜 주게되어, 이 제2전자밸브에 연결된 진공파이프를 통해 클러치페달작동 부스타실린더에 설치된 플레이트가 상기 설명과 같이 브레이크의 부스타실린더와 같은 방법으로 클러치페달을 당겨지게 해서 차축으로 전달되어지는 동력을 차단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를 정차시켰다 출발시키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페달로부터 발을 떼어 악셀레이터페달을 밟아주게되면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의 솔레노이드코일이 자성을 잃게되어 진공파이프를 개방시켜주고 있던 밸브를 닫혀지게 해줌과 동시에 대기통로를 막고 있던 밸브는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이 밸브중앙에 형성된 작은구멍을 거쳐 서서히 부스타실린더로 유입되어져 반클러치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제동상태가 풀려지면서 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브레이크 부스타실린더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램의 작동거리가 길게 되어 제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될뿐만 아니라 변속레버의 작동만으로도 클러치페달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는 엔진구동에 의한 진공흡인력으로 브레이크페달을 작동시켜 주는 제1부스타실린더(1)와, 이 제1부스타실린더(1)의 내부를 진공탱크(2)와 대기로 절환연시켜주는 제1·3방향전자밸브(3), 차량이 제동될 때 차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켜 주기 위해 클러치페달을 작동시켜 주는 제2부스타실린더(6), 이 제2부스타실린더(6)의 내부를 상기 진공탱크(2)와 대기로 상호절환연결시켜 주는 제2·3방향전자밸브(7) 및 전기회로제어부(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제어부(9)는 자동차가 후진할 때 차륜이 뒤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해 내는 방향감지구(5)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클러치페달을 작동시켜 주는 클러치작동스위치(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스타실린더(1) 내부에는 제1체임버(10)와 제2체임버(11)를 구획지워 주는 다이아프램(12)과, 이 다이아프램(12)과 일체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13) 및, 이 플레이트(13)의 중앙부로부터 브레이크페달(14)의 레버(15)를 연결해 주는 푸시로드(16)가 설치되고, 이 푸시로드(16)의 한쪽끝에는 상기 레버(15)의 지지핀(17)이 끼워지는 장공(1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브레이크페달(14)을 밟아주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레이크페달(14)이 상기 장공(18)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파워브레이크(도시안됨)의 밸브로드(16')를 동작시켜 자동차를 제동시켜 주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제1체임버(10)에는 항상 대기와 연통되도록 구멍(19)이 형성되어 있고, 제2체임버(11)에는 파이프(20)를 통해 진공탱크(2) 또는 대기와 연통시켜주는 제1·3방향전자밸브(3)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감지구(5)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축(4)에 볼(4a)을 갖춘 1방향베어링(4)이 동심축상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이 1방향베어링(4) 바깥쪽에는 잇빨이 한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스프라킷(21)이 핀(26)에 의해 역시 동심축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라킷(21)상부는 "ㄱ" 자형상의 스위치레버(22)가 회동핀(23)과 지지스프링(24)으로 회동할수 있도록 지지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22) 뒷쪽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삽입된 스위치핀(22a)에 의해 단속되게 되는 스위치(5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감지구(5)는 차량이 정방향으로 주행할때는 상기 중심축(4)만 화살표(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후진할 때는 상기 중심축(4)과 스프라킷(21)이 함께 화살표(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방향감지구(5)를 작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7)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밸브(32)와 제2밸브(32')가 상하로 설치된 2중 구조로 되어 있는바, 즉 제1밸브(32)에는 제1솔레노이드코일(27)과 스프링(37)에 탄력지지된 스푸울(28)이 구비되어, 상기 제2부스타실린더(6)로 연결된 파이프(30)를 진공파이프(29) 또는 대기통로(31)로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되고, 상기 제2밸브(32')에는 제2솔레노이드코일(33)과 스프링(38)에 탄력지지된 스푸울(34)이 구비되어, 이 스푸울(34)이 외부로 통하는 대기통로(35)를 제1밸브(32)의 대기통로(31)와 연결 또는 차단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푸울(34) 중앙에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코일(33)이 자화되어 대기통로(35)를 차단시켜 주고 있을 때 소량의 외부대기가 상기 대기통로(31)로 들어갈수 있도록 작은 구멍(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대기통로(31)의 벽에는 상기 제2밸브(32')의 스푸울(34)이 대기통로(35)를 막고 있을 때 다량의 외부대기가 제1밸브(32)내로 들어가도록 해주기 위해 구멍(39)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스타실린더(6)에는 제1체임버(40)와 제2체임버(41)를 구획지워 주는 다이아프램(42)과, 이 다이아프램(42)과 일체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43), 이 플레이트(43)와 일체로 이루면서 중앙부에서 클러치페달(44)의 레버(45)를 연결해 주는 푸시로드(46)가 설치되고, 이 푸시로드(46)의 한쪽 끝에는 상기 레버(45)의 지지편(47)이 끼워지는 장공(48)이 형성되어있어 상기 클러치페달(44)을 밟아주면 상기 장공(48)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클러치페달(44)의 작동이 이루어져 동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체임버(40)에는 항상 대기와 연통하는 구멍(49)이 형성되고, 제2체임버(41)는 파이프(50)를 매개하여 상기 제2·3방향 전자밸브(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어회로부(9)의 방향감지구(5)와 상기 3방향전자밸브(3)사이에는 변속기어가 중립일 때 "ON"되는 변속레버스위치(51)와 클러치페달(44)을 밟을 때 "ON"되는 클러치스위치(5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향감지구(5)의 다른쪽에는 후진시 작동하게 되는 릴레이(53)와 후방스위치(54)가 직렬연결되어져 있어서, 이 후방스위치(54)가 변속레버를 후진위치로 해 놓았을 때 자동적으로 ON 됨으로써 릴레이(53)가 a 단자쪽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정방향운행시에는 항시 b단자쪽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제어회로부(9)에는, 운전자가 직접작동시켜 주도록 된 선택스위치(55)와, 속도계 케이블(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일정속도 즉 20㎞/h 이하에서만 "ON"되어지게 되는 속도스위치(56) 및 악셀레이터 페달을 동작시켜 주기 않을 때 "ON"되어지는 악셀레이터스위치(57)가 설치되어져 있는바, 이 악셀레이터스위치(57)에는 상기 클러치작동스위치(8)가 "ON" 되어질 때 전류가 역류되지 않도록 해주는 다이오드(58)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59는 자동차를 장시간 정차시켜 놓기 위한 주차스위치이고, 60은 메인 스위치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기제어회로부(9)가 설치된 안전제동장치 및 클러치페달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선택스위치(55)를 ON 시켜 놓은 상태에서 오름경사면에 자동차를 정차시켰다 출발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진속도가 저속(약 20㎞/h) 이 되므로 속도스위치(56)가 자동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렇게 자동차가 정방향으로 저속주행하는 동안 방향감지구(5)로부터 전류가 차단되어지게 되는 한편, 밧데리(B)로부터 공급된 전류류에 의해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7)의 제2솔레노이드코일(33)이 자화되어 제2밸브(32')의 스푸울(34)이 대기통로(35)를 차단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름경사면에서 제출발하기 위해 클러치페달(44)과 브레이크페달(14)에서 발을 뗀다음 악셀레이터페달을 밟기까지 시간차이가 있게 되어도 상기 클러치페달(44)에 의해 클러치스위치(51)에 ON상태가 되고, 또 오름경사면에서 있는 자동차의 중력에 의한 아랫쪽 경사면쪽의 분력이 상기 방향감지구(5)에 설치된 스프라킷(21)을 화살표(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방향감지구(5)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제1도와 반대방향으로 전원이 연결되고, 이때 후진스위치(54)는 OFF상태이므로 릴레이(53)에는 전원이 b단자쪽으로 접속되게 되어, 밧데리(B)의 전류가 메인스위치(60)와 속도스위치(56), 선택스위치(55), 방향감지구(5) 및 클러치스위치(51)를 거쳐 제 1·3방향전자밸브(3)로 인가되어 이 전자밸브(3)를 대기쪽으로 절환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상태(2)로부터 진공압이 상기 제2체임버(11)로 전달되어, 제1체임버(10)와 사이에 압력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3)를 이동시켜 주게되고, 그 때문에 이 플레이트(13)와 일체로된 푸시로드(16)가 이동하면서 브레이크페달(14)이 잡아당겨져 브레이크가 계속작동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가 후진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악셀레이터페달로부터 발을 떼어 브레이크페달(14)로 옮겨 놓게 되는바, 이때는 이미 상기 제1부스타실린더(1)가 작동해서 자동차와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부가적으로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주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악셀레이터페달로부터 발을 떼게되면 상기 악셀레이터스위치(57)가 접속되어져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7)의 제1솔레노이드코일(27)을 자화시켜 스푸울(28)이 대기통로(31)를 차단시켜 주게된다.
이어 진공파이프(29)로부터의 진공부압이 상기 제2부스타실린더(6)의 제2체임버(41)로 이어져 상술한 제1부스타실린더(1)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클러치페달(44)을 잡아당겨 차축으로 동력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부스타실린더(1, 6)가 작동해서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출발시켜줄려면, 브레이트페달(14)을 밟고 있던 발을 악셀레이터페달로 옮겨 가속시켜 주게되는 순간에 상기 악셀레이터스위치(57)가 단절되어져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3방향전자밸브(7)의 제1솔레노이드코일(27)이 단전되게 됨으로서, 스푸울(28)이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대기통로(31)를 개방시켜 줌과 더불어 진공파이프(29)를 막아 주게 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제2솔레노이드코일(33)은 계속 자화되어져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밸브(34)가 대기통로(35)를 막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대기가 상기 밸브(35)의 작은구멍(36)을 통해 서서히 제2체임버(41)내로 유입되게 되어 클러치페달(44)의 동작이 점차 회복되게 된다.
한편 만일 클러치페달(44)이 동력전달상태 즉 반클러치상태까지 이르게 되면, 클러치스위치가 OFF되어 지면서 상기 3방향전자밸브(3)가 OFF되어지게 되어 상기 제1부스타실린더(1)의 제2체임버(11)가 대기압 상태로 바뀌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동상태가 풀려 자동차가 출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 출발이 이루어진 자동차가 상당한 속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면 속도스위치(56)가 OFF되어져 자동차에 불의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 고속주행중 변속을 하고자 할 때는, 제4c도와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상단에 설치된 클러치작동스위치(8)를 손으로 눌러 접속시켜 줌으로써 상기 제1밸브(32)만 작동하도록 해서 진공파이프(29)의 진공부압이 상기 제2체임버(41)로 연결되도록 해 주면 클러치페달이 자동적으로 작동되게 되는바, 이때 원하는 위치로 기어를 변속시켜 준 다음 다시 상기 클러치작동스위치(8)를 OFF시켜 주면 외부의 대기가 대기통로(35)와 구멍(39) 및 대기통로(31)를 통해 신속히 제2체임버(41)로 주입되어져 클러치페달(44)이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고속시에는 상기 밸브(35)가 대기통로(3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이아프램(12)의 작동거리 즉 푸시로드(16)의 작동거리가 길어 제동동작이 완만히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오토메틱자동차와 같이 클러치페달을 밟지않고도 기어를 변속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엔진의 공기흡입력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지도록 된 진공파이프(29)와 연결되어 브레이크페달(14)과 클러치페달(44)을 각각 작동시켜 주도록 된 제1 및 제2부스타실린더(1, 6)와, 이들 제1 및 제2부스타실린더(1, 6)쪽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부스타실린더(1, 6)가 대기압 또는 진공압이 되도록 전기적으로 선택제어해 주는 제1방향전자밸브와 제2방향 전자밸브(3, 7) 및, 상기 밸브(3, 7)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비주행상태에서 이동을 감지해서 상기 제1 및 제2부스타실린더(1, 6)의 내부를 진공과 대기상태로 절환시켜주는 전기회로제어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제어부(9)는 속도스위치(56)의 선택스위치(55)가 직렬연결되면서 이 선택스위치(55)와 상기 방향감지구(5) 사이에 후방스위치(54)와 릴레이(53)가 연결되고, 변속레버스위치(51)와 클러치스위치(52)가 병렬로 이루면서 한쪽으로는 상기 방향감지구(5)에 연결되고 다른쪽으로는 제1·3방향전자밸브(3)에 연결되며,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7)에 악셀레이터스위치(57)와 클러치작동스위치(8)가 병렬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구(5)가 자동차의 바퀴가 역회전할때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스프라킷(21)과 1방향베어링(25) 및 "ㄱ"자형 스위치레버(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의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회로제어부(9)의 클러치작동 스위치(8)가 변속레버상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3방향전자밸브(7)가 밸브(28)와 솔레노이드코일(27)을 갖춘 제1밸브(32)와 솔레노이드코일(33)을 갖춘 제2밸브(32')를 갖추고, 상기 밸브(34)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작은구멍(36)이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대기통로(31)의 벽에 구멍(3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KR1019880004134A 1988-04-12 1988-04-12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KR91000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134A KR910003033B1 (ko) 1988-04-12 1988-04-12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4134A KR910003033B1 (ko) 1988-04-12 1988-04-12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03A KR890015903A (ko) 1989-11-27
KR910003033B1 true KR910003033B1 (ko) 1991-05-17

Family

ID=1927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134A KR910003033B1 (ko) 1988-04-12 1988-04-12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0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03A (ko) 198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280B1 (ko) 작업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214734194U (zh) 一种叉车行走系统
CN112249981A (zh) 一种叉车行走系统
KR91000303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및 클러치페달 제어장치
US4518067A (en) Automobile brake device
US6659245B1 (en) One wheel brake system of automobile
US5101945A (en) (Clutch-brake pedal) brake system
JPH07121664B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スイッチバック走行における制動制御装置
JPS61257354A (ja) 制動油圧保持装置
JP3489995B2 (ja) 作業車
KR0148338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WO1990004733A1 (en) Speed change control method for hydraulically operated multistep transmissions
KR880002142B1 (ko) 자동차의 안전 제동장치
KR970007717B1 (ko)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200198222Y1 (ko)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100245727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 레인지 자동 선택장치
KR100245636B1 (ko) 자동변속기의 주행-중립 레인지 자동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0148352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JPH02193747A (ja) 自動変速機を備える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3497384B2 (ja) 作業車
JPS6111076Y2 (ko)
KR890007443Y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JPH0454369Y2 (ko)
KR0170156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JPH05349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