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717B1 -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717B1
KR970007717B1 KR1019950014414A KR19950014414A KR970007717B1 KR 970007717 B1 KR970007717 B1 KR 970007717B1 KR 1019950014414 A KR1019950014414 A KR 1019950014414A KR 19950014414 A KR19950014414 A KR 19950014414A KR 970007717 B1 KR970007717 B1 KR 97000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orce
hydraulic line
parking
piston
maintenan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920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1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717B1/ko
Publication of KR96004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의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오일탱크 14 : 유압펌프
18 : 유량제어밸브 20 : 제어기
30 : 주차 브레이크레버 32 : 케이블
34 : 와이어 40 : 유압실린더
42 : 유입포트 44 : 배출포트
46 : 리턴스프링 50 : 피스톤
L1, L2 : 제1, 2유압라인 58 : 압력센서
S1, S2 : 제1, 2솔레노이드 밸브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시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유지하는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채용하고 있는 제동장치를 대별해 보면, 주행중감속 및 일시적인 정차를 위해 사용하는 휠 브레이크와, 장기간 정차 및 주차시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있으며, 저속 구간에서의 빈번한 정차시에는 이들 2개의 브레이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에서도 휠 브레이크 작동시 자동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도의 1888년 6월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공보 제90-609호에 개시된 차량용 제동유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의 단면도로, 이것의 대략적인 구성을 보면,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브레이크 연동축(2)과, 이 연동축(2)과 연결된 축제동판(4)과, 축제동판(4)에 부착된 플런저(6) 및 솔레노이드(8)의 통전시 내벽을 따라 플런저(6)가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는 하우징(9)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솔레노이드(8)에 전기를 공급하는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량이 정차하여 제동스위치(10)가 온(on)되면 솔레노이드(8)에 전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플런저(6)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축제동판(4)이 브레이크 연동축(2)를 고정하여 리턴되는 것을 제지하므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브레이크압이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의 정차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차량용 제동유지장치에 있어서, 차체중량이 크거나 경사가 심한 언덕길에서 전자 솔레노이드가 충분한 힘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동력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속구간에서 자주 정차하거나 대형차량의 경우에도 제동력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라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유동하는 구동유체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제1유압라인과, 제2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라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선택적으로 구동유체를 배출하는 제2유압라인과, 제1유압라인을 통해 구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제2유압라인을 통해 구동유체를 배출하는 배출포트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내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헤드부와, 피스톤 헤드부에서 연장되며 일단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레버와 연동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뒷바퀴에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와이어가 연결된 피스톤 로드부로 구성된 피스톤과, 가속신호, 엔진회전수, 차속신호, 브레이크 작동신호 주차 브레이크 작동신호등의 각종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첨부된 제2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의 계통도로, 이것의 기본적인 개념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시 동력조향장치의 구동유체를 이용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유지하는 바, 대략적인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오일탱크(12)와, 유압펌프(14)와, 유압펌프(14)의 구동으로 조향휠(16)의 좌우 회전에 따라 구동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량제어밸브(18)로 구성되는 통상의 동력조향장치와, 각종 제어신호에 따라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1), (S2)를 개폐하는 제어기(20)와,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레버(30)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S1)는 통전시간에 비례하여 개폐되어 오리피스의 직경을 변화시키는 형식의 가변오리피스 솔레노이드를 채용하였으며, 온상태에서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18)와 오일탱크(12)를 연결하는 유압라인(L)을 유동하는 구동유체는 선택적으로 제1유압라인(L1)으로 공급된다. 또, 제2솔레노이드 밸브(S2)는 온/오프식 솔레노이드를 채용하였으며, 제어기(20)에 의해 온상태로 되면 제2유압라인(L2)을 통해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18)와 오일탱크(12)를 연결하는 유압라인(L)으로 구동유체를 배출하여 주차상태를 해제한다. 또, 유압실린더(40)는 제1유압라인(L1)을 통해 구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42) 및 제2유압라인(L2)을 통해 구동유체를 배출하는 배출포트(4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기(20)는 가속신호(21), 엔진회전수(22), 차속신호(23), 브레이크 작동신호(24) 및 주차레이크 작동신호(25)등의 각종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와 제 2솔레노이드 밸브(S2)를 제어하게 된다.
또,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S2), (S2)의 제어에 의해 유량이 선택적으로 공급/배출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40)내에는 피스톤(50)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스톤(50)은 피스톤 헤드(52)와, 이 피스톤 헤드(52)에서 연장되며 일단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레버(30)와 연동하는 케이블(32)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뒷바퀴(38), (38')에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36), (36')를 조작하는 와이어(34)가 연결된 피스톤 로드(54)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압실린더(40)내에는 브레이크의 해제시 피스톤(50)을 가압하기 위한 리턴스프링(46)이 정착되어 있으며, 로드(54)의 양단에는 케이블(32)과 와이어(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에서는 운전자가 손으로 주차 브레이크레버(30)를 당기면, 이 견인력을 주차케이블(32)로 전달되어 피스톤 로드(54)와 와이어(34)를 통해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36), (36')를 당기게 되며, 그로 인해 좌우측 휠 브레이크에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한편, 유입포트(42)를 통해 유입된 구동유체가 피스톤(50)을 가압하면 피스톤 로드(54)가 화살표방향(P)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34)를 당겨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또, 유압실린더(40)에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기(20)로 보내는 압력센서(58)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유압라인(L1)상에는 체크밸브(62)가 설치되어 있어 유압실린더(40)내에 형성된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 장치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 주차 브레이크 작동시]
운전자가 손으로 주차 브레이크레버(30)를 당기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32)을 화살표방향(P)으로 당기게 되며, 피스톤로드(54)와 와이어(34)를 통해 전달된 견인력은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36), (36')를 작동시켜 주차제동력을 얻는다.
[나. 휠 브레이크 작동시]
주행중 운전자가 감속 및 정차를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어기(20)는 입력되는 브레이크 신호(24)와 차속신호(23)를 바탕으로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여 차속이 0인 경우,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S2)에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의 작동으로 유압라인(L)에 설치된 오리피스(60)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유량제어밸브(18)에서 오일탱크(12)로 배출되는 구동유체는 제1유압라인(L1)을 경유하여 유입포트(42)를 통해 유압실린더(40)내로 공급됨과 동시에, 피스톤(50)을 화살표방향(P)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피스톤(50)은 화살표방향(P)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34)를 당계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36), (36')를 조작하여 주차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주차표시등 신호(26)를 보내 주차상태 임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58)에서 감지한 유압실린더(40)내의 압력이 규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기(20)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1)를 오프상태로 하여 제1유압라인(L1)으로 선회하던 유체를 오일탱크(12)로 배출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40)내의 유압은 체크밸브(62)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에, 정차후 재발진을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고 가속페달을 밟으면, 제어기(20)는 엔진회전수(22)와 가속신호(21)등의 신호를 바탕으로 가속상태임을 판단하여 제2솔레노이드 밸브(S2)를 온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40)내의 유체는 배출포트(44)를 빠져나와 제2유압라인(L2)을 경유하여 오일탱크(12)로 배출됨과 동시에, 피스톤(50)은 리턴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 화살표방향(P)과는 반대로 이동하여 주차 브레이크레버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주차상태를 해제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조향장치의 유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자동으로 주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에 있어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라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유동하는 구동유체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제1유압라인과, 제2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따라 동력조향장치의 유량제어밸브와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선택적으로 구동유체를 배출하는 제2유압라인과, 상기 제1유압라인을 통해 구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제2유압라인을 통해 구동유체를 배출하는 배출포트를 구비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내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헤드부와, 상기 피스톤 헤드부에서 연장되며 일단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주차 브레이크레버와 연동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뒷바퀴에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 작동레버를 조작하는 와이어가 연결된 피스톤 로드부로 구성된 피스톤과, 가속신호, 엔진회전수, 차속신호, 브레이크 작동신호, 주차 레이크 작동신호등의 각종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리턴스프링이 추가로 설치된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추가로 설치된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라인상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입포트로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추가로 설치된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부의 양단에는 케이블과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1019950014414A 1995-05-31 1995-05-31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97000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414A KR970007717B1 (ko) 1995-05-31 1995-05-31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414A KR970007717B1 (ko) 1995-05-31 1995-05-31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20A KR960040920A (ko) 1996-12-17
KR970007717B1 true KR970007717B1 (ko) 1997-05-16

Family

ID=1941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414A KR970007717B1 (ko) 1995-05-31 1995-05-31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32B1 (ko) * 2008-02-28 2010-05-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스티어링 유압을 사용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234629B1 (ko) * 2006-08-09 201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29B1 (ko) * 2006-08-09 201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0958132B1 (ko) * 2008-02-28 2010-05-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스티어링 유압을 사용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20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61875A (en) Automatic vehicle brake control system e g for hill starts
KR970007717B1 (ko)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100428100B1 (ko) 자동차의 주차제동장치
JPS61102336A (ja) 車両の制動装置
KR0118034Y1 (ko) 차량용 제동력 유지장치(device for maintaining brake force for a vehicle)
KR0118032Y1 (ko)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Brake Force for an Automobile)
KR100243606B1 (ko) 브레이크라인의 자동공기배출장치
KR0125123Y1 (ko)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JPH0848222A (ja) 車両用停止維持装置
KR0138550B1 (ko) 유압식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0170155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200227704Y1 (ko) 자동주행시스템용부스터의제동스위치장착구조
KR0118033Y1 (ko)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hydraulic brake system)
KR0170156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19980047508A (ko) 브레이크 작동시 클러치의 자동 동력차단장치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050000938A (ko) 자동차의 정차시 제동방법 및 그 장치
KR200330501Y1 (ko) 자동차의 정차시 제동장치
KR0151803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JPH0840255A (ja) 車両用停止維持装置
KR100222317B1 (ko) 유압식브레이크씨스템의 유압단속장치 설치방법
KR0150802B1 (ko) 자율 주행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16721A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JPH08150907A (ja) 車両用停止維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