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72Y1 - 자동차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72Y1
KR970006772Y1 KR92025061U KR920025061U KR970006772Y1 KR 970006772 Y1 KR970006772 Y1 KR 970006772Y1 KR 92025061 U KR92025061 U KR 92025061U KR 920025061 U KR920025061 U KR 920025061U KR 970006772 Y1 KR970006772 Y1 KR 970006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olenoid
brake pedal
long hol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565U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2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772Y1/ko
Publication of KR940015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제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감속 및 정지를 위한 제동시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주차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브레이크 페달16 : 레버
20 : 돌출부22 : 장공
24 : 걸림턱26, 28 : 제1, 2솔레노이드
30 : 전자제어유닛34, 38 : 동작봉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풋브레이크의 페달로 하여금 감속 및 정지는 물론 주차시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풋 브레이크인 주차 브레이크와, 주차 상태를 유지시키는 풋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로 대분된다.
상기에서 주 브레이크인 풋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매스터 실린더와, 이의 유압으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케 하는 휘일 실린더, 그리고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유압식 브레이크를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핸드브레이크와, 주 브레이크와 같이 운전자의 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작동식 브레이크가 있는데, 최근 자동 변속기 탑재차량이 증가되면서 후자인 작동식 브레이크가 점차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동장치를 주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로 이원화하여 적용하는 경우에는 주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른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생산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 브레이크의 페달로 하여금 자동차의 감속, 정지는 물론 주차 브레이크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일원화된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목적의 달성으로 인하여 제동장치의 부품수를 줄이고, 이에 따른 생산성을 높이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을 행하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형성하는 레버의 전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방을 향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의 돌출부의 중간부에 전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을 형성하고 선단부 하측에 운전자측으로 향하는 후크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의 일측에는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동작봉이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유동구간을 제한하는 제1 솔레노이드를 배치하고,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주차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동작봉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주차 제동을 유지시켜 주는 제2솔레노이드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2)을 밝으면, 이의 동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4)에서 유압이 발생되고, 이의 유압은 유압라인(6)을 타고 이동되어 각 휠에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휠 실린더(8)로 공급된다.
그러면 각각의 휠 실린더(8)에서는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이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이에 연동되는 브레이크 슈우(10)를 확장시켜 브레이크드럼(12)과 밀착되면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동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2)의 일측에 이의 브레이크 페달(2)의 조작 범위를 제한하는 기구를 배치하여 풋 브레이크 기능은 물론 주차시 제동을 유지시켜 주어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일반적인 브레이크 페달은 제2도에서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단부 소정위치에 힌지부(14)가 형성되는 레버(16)와, 상기 레버(16)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발로 밟으면서 조작할 수 있는 답판(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레버(16)의 중간부 상측에는 마스터 실린더(4)의 푸시로드(19)가 힌지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레버(16)의 전측(운전자의 위치와 반대측 방향으로 실제 차량에 있어서는 전방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체형의 돌출부(20)를 형성하되, 이의 돌출부(20)의 중간부에는 전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0)의 선단부 하측에는 운전자측으로 향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턱(24)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장공(22)과 걸림턱(24)의 일측에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제1, 2솔레노이드(26)(28)가 배치되는 데, 이의 제1, 2솔레노이드(26)(28)는 전자제어유닛(ECU, 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의 전자 제어유닛(30)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28)는 전자제어유닛(30)과의 사이에 주차 스위치(32)가 개재되어 차량의 현 조건에 따른 전자제어유닛(3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2솔레노이드(26)(28)의 작동봉(34)(36)이 선택적으로 장공(22)과 걸림턱(24)에 걸리면서 페달(2)의 작동 범위를 제한 또는 억제하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전자 제어유닛(30)은 미도시된 차속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들 제1, 2솔레노이드(26)(28)를 제어하게 되는데, 먼저 자동차가 주행하는 상태에서 감속 또는 정지할 때에는 제1솔레노이드(26)를 제어하여 제3도에서와 같이 그의 작도봉(34)이 돌출부(20)의 장공(2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페달(2)은 장공(22)의 길이를 넘지 않은 범위내에서 유동되면서 제동작용을 실시하여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완전히 정차하였을 때에는 전자제어유닛(30)에서 제1솔레노이드(26)를 오프 제어하여 그의 작동봉(34)이 장공(2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2)의 밟힘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차를 하고자 할 때에는 브레이크 페달(2)을 끝까지 밟은 상태에서 주차 스위치(32)를 조작하면 전자제어유닛(30)이 제2솔레노이드(28)를 제어하여 그의 작동봉(36)이 인출되면서 제4도에서와 같이 돌출부(20)의 걸림턱(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페달(2)은 걸림턱(24)이 제2솔레노이드(28)의 작동봉(36)에 걸리게 되는 바, 운전자가 발을 놓아도 복귀되지 않음으로써, 제동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어 주차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제2솔레노이드(28)는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봉(36)이 솔레노이드 측으로 이동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동작봉(36)이 인출되어 걸림턱(24)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와 반대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차시 전원의 소비로 인하여 배터리의 방전요인이 되기 때문에이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고자 할때에는 엔진 시동을 걸고 주차 스위치(32)를 조작하면 제2솔레노이드(28)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동작봉(36)이 걸림턱(24)으로부터 이탈되어 주차 제동을 마치게 되는 것이며,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제1솔레노이드(26)의 동작봉(34)이 장공(22)으로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2)의 적동범위 즉, 유동구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자동차의 제1솔레노이드(26)로서 브레이크 페달(2)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신호 대기와 같은 운행중의 일시적인 정차중에 운전자 또는 옆좌석 탑승자들의 실수로 인하여 주차 스위치(32)를 조작하거나, 제1솔레노이드(26)의 고장등으로 동작봉(34)이 작용으로부터 빠졌을 때 제2솔레노이드(28)의 작동봉(36)에 브레이크 페달(2)이 걸리는 경우 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동등이 꺼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장공(22)의 길이는 운행중 충분한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2)의 작동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풋 브레이크에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부가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핸드식 및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 또는 페달 등의 관련 부품 모두를 생략할 수 있게 되며, 제동장치의 일원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인으로 인한 제동장치의 부품수 절감으로 조립 및 생산성을 높이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을 행하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2)을 형성하는 레버(16)의 전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방을 향하는 돌출부(20)를 형성하고, 이의 돌출부(20)의 중간부에 전후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22)을 형성하고 선단부 하측에 운전자측으로 향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턱(24)을 형성하되,
    상기 장공(22)의 일측에는 전자제어유닛(30)에 위하여 제어되면서 동작봉(34)이 상기 장공(22)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2)의 유동구간을 제한하는 제1솔레노이드(26)를 배치하고,
    상기 걸림턱(24)의 일측에는 주차 스위치(32)의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30)에 제어되면서 선택적으로 동작봉(36)이 상기 걸림턱(24)에 걸리면서 주차 제동을 유지시켜 주는 제2솔레노이드(28)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장치.
KR92025061U 1992-12-10 1992-12-10 자동차의 제동장치 KR970006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061U KR970006772Y1 (ko) 1992-12-10 1992-12-10 자동차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061U KR970006772Y1 (ko) 1992-12-10 1992-12-10 자동차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65U KR940015565U (ko) 1994-07-19
KR970006772Y1 true KR970006772Y1 (ko) 1997-07-03

Family

ID=1934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061U KR970006772Y1 (ko) 1992-12-10 1992-12-10 자동차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565U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3336A (en) Throttle operated brake holder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970007717B1 (ko)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JPH02193747A (ja) 自動変速機を備える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217659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200148856Y1 (ko) 자동차 브레이크의 제동지속장치
KR100254219B1 (ko) 자동차용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1004280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작용시 운행 제어장치
KR200155015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200236934Y1 (ko) 자동변속기를 갖춘 자동차의 주차장치
KR100211706B1 (ko) 브레이크페달 연동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20050052140A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
KR19980054142A (ko)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0117373Y1 (ko) 정지후 출발시의 후진 방지 장치
KR19980040161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0120189Y1 (ko) 전원스위치로 작동되는 자동차 주차브레이크장치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KR0117285Y1 (ko) 종형으로 배열설치된 자동차용 브레이크 및 액셀러레이터 페달
KR0184842B1 (ko) 자동차의 주차보조장치
KR19980022374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해제장치
KR19980035845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라이닝슈우 자동리턴장치
KR20010044161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압 유지 및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