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629B1 -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629B1
KR101234629B1 KR1020060075086A KR20060075086A KR101234629B1 KR 101234629 B1 KR101234629 B1 KR 101234629B1 KR 1020060075086 A KR1020060075086 A KR 1020060075086A KR 20060075086 A KR20060075086 A KR 20060075086A KR 101234629 B1 KR101234629 B1 KR 10123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piston
operating spa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502A (ko
Inventor
하기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by spring or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 레버와, 상기 주차 레버의 작동시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가하는 주차 브레이크 및 디스크 또는 (드럼)으로 구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버와 주차 브레이크의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의 도중에 작은 힘으로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겨 제동할 수 있는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케이블 도중에 장착하여 주차시 적은 힘으로도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길 수 있어 여성 또는 노약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산차 인라인에서도 콘솔 장착시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겨야 하는 콘솔 장착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차 레버, 케이블, 주차 브레이크, 디스크, 레버작동보조장치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Parking brake system}
도 1은 종래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4는 종래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작동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작동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차 레버, 200 : 케이블,
300 : 주차 브레이크, 400 : 디스크,
500 : 레버작동보조장치, 510 : 케이스,
520a : 제 1작동공간, 520b : 제 2작동공간,
530a : 제 1피스톤, 530b : 제 2피스톤,
540 : 스프링, 550 : 블리드 홀,
560 : 유압관로, 600 : 힌지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케이블 도중에 장착하여 주차시 적은 힘으로도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길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시된 도 1과 같이 주차 레버(100)와, 케이블(200)과, 주차 브레이크(300)와, 디스크(400)또는(드럼)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 브레이크 작동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된다.
먼저, 주차 레버(100)를 작동하는 단계로 도시된 도 2와 같이, 운전자가 힘으로 주차 레버(100)를 위로 올리면 주차 레버(10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 가이드(120)가 레버 힌지 중심축(140)을 기준으로 회전 변위(△α°)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블(200)의 변위가 발생하는 단계로 도시된 도 3과 같이, 상기 케이블(200)과 주차 레버(100)는 케이블 가이드(120) 끝단부에 너트로 연결되어 상기 주차 레버(100)의 작동시 발생되는 회전 변위각에 대응하는 케이블 위치 변위(△l = △α°)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주차 브레이크(300)의 주차 레버(100)가 작동하는 단계로, 도시된 도 4와 같이, 케이블 위치 변위(△ℓ)만큼 주차 브레이크(300)의 주차 레버(100)가 회전하여 라이닝 슈(340)를 밀어주어 상기 라이닝 슈(340)가 디스크(또는 드럼)(400)의 제동면에 밀착함으로써 주차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일반도로에서 주차 레버(100)의 작동시 적은 힘(약 5kgf)으로 라이닝 슈(340)를 밀어주면 상기 라이닝 슈(340)가 디스크(400)의 제동면에 밀착함으로써 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사로에서 주차 레버(100)를 작동시켜 상기 라이닝 슈(340)를 디스크(400)의 제동면에 밀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약 30kgf)이 필요하게 되는데, 노약자 또는 여성 운전자의 경우 경사로에서 주차시 충분한 주차 레버(100) 작동을 하지 못하여 경사로 주차시 차량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생산중인 차의 인라인에서도 콘솔 장착시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겨야 콘솔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주차 레버를 최대 작동시 근골격계(허리, 어깨)질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케이블 도중에 장착하여 주차시 적은 힘으로도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길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 레버와, 상기 주차 레버의 작동시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가하는 주차 브레이크 및 디스크 (또는 드럼)으로 구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버와 주차 브레이크의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의 도중에 작은 힘으로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겨 제동할 수 있는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레버작동보조장치(500)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 양측에 다른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과,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00)에 연결되는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과, 상기 제 2작동공간(520b)의 수직 내측면(522)과 상기 제 2피스톤(530b)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540)과, 상기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이 장착되는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측 공간을 연통하는 블리드 홀(550)과, 상기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이 장착되는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외측 공간을 연통하고 내부에는 오일(570)이 채워지는 유압관로(5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작동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차 레버(100)와, 상기 주차 레버(100)의 작동시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200)과, 상기 케이블(200)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가하는 주차 브레이크(300) 및 디스크(400)또는(드럼)와, 상기 케이블(200)의 도중에 장착하는 레버작동보조장치(500)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레버작동보조장치(500)를 제외하면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레버작동보조장치(500)는 제 1작동공간(520a)와 제 2작동공간(520b)가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상기 제 1작동공간(520a)와 제 2작동공간(520b)에 장착되는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과, 상기 제 1작동공간(520a)와 제 2작동공간(520b)에 연결되는 블리드 홀(550)과 유압관로(56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0)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에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이 형성되고, 여기서는 우측에 형성되는 제 2작동공간(520b)은 제 1작동공간(520a)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측과 외측으로 블리드 홀(550)과 유압관로(560)가 형성되는데 즉,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이 마주보는 내측으로 외부와 연결되는 블리드 홀(550)이 형성되고,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외측으로는 오일이 채워지는 U자 형 형상의 유압관로(56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는 외부를 향해 각각 돌출형성되는 로드(532a, 532b)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200)과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의 형성된 로드(532a 532b)와의 연결은 힌지(600)나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그의 기능을 수여하는 수단을 통해서 연결되며 여기서는 힌지(600)로 연결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에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로드(532a 532b)와 상기 케이스(510)가 맞닿는 면으로는 씰링(700)을 장착하여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2작동공간(520b)에 형성되는 수직 내측면(522)과 상기 제 2피스톤(530b) 사이에는 스프링(540)이 개재되는데, 상기 스프링(540)은 상기 주차 레버(100)의 해제시 스프링(540)의 탄성으로 제 2작동공간(520b)에 장착된 제 2피스톤(530b)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540)은 탄성이 큰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레버작동보조장치(50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작동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다른 면적을 가지는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블리드 홀(550)과 유압관로(56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블리드 홀(550)은 외부와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에 각각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을 장착한 후 유압관로(560)에 오일을 공급하고, 제 2작동공간(520b)과 제 2피스톤(530b)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40)을 개재하면 레버작동보조장치(500)는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차 레버(100)를 작동하면 상기 케이블(200)을당기는 힘(F1)이 상기 제 1피스톤(530a)에 전달되고 상기 유압관로(560)의 내부에는 일정한 압력(P)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 2피스톤(530b)에 발생하는 힘(F2)은 파스칼의 원리(밀폐된 유압관로 내부는 압력이 일정하다.)에 의해
Figure 112006056907210-pat00001
이 발생한다.
즉, 유압이 채워져 있는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의 단면적이 A2 > A1 이므로 F2 하중이 F1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차 레버(100)를 위로 올리면서 발생하는 힘 F1에 의해 제 1피스톤(530a)이 이동하며 F1보다 큰 하중인 F2에 의해서 제 2피스톤(530b)이 움직여 적은 힘으로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주차 레버(100)가 제동력을 가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차 레버(100)를 해제하면, 제 2작동공간(520b)의 내부에 장착된 압축코일스프링(540)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 2피스톤(530b)을 밀게 되고 이와 함께 제 2피스톤(530b)가 유압을 발생시켜 제 1 피스톤(530a)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작동보조장치를 케이블 도중에 장착하여 주차시 적은 힘으로도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길 수 있어 여성 또는 노약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산차 인라인에서도 콘솔 장착시 주차 레버를 최대로 당겨야 하는 콘솔 장착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차 레버(100)와, 상기 주차 레버(100)의 작동시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200)과, 상기 케이블(200)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가하는 주차 브레이크(300) 및 디스크(400)(또는 드럼)으로 구성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레버(100)와 주차 브레이크(3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200)의 도중에 작은 힘으로 주차 레버(100)를 최대로 당겨 제동할 수 있는 레버작동보조장치(500)를 장착하며,
    상기 레버작동보조장치(500)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 양측에 다른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과,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부에 각각 장착되며 일부가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00)에 연결되는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과,
    상기 제 2작동공간(520b)의 수직 내측면(522)과 상기 제 2피스톤(530b)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540)과,
    상기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이 장착되는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내측 공간을 연통하는 블리드 홀(550)과,
    상기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이 장착되는 상기 제 1작동공간(520a)과 제 2작동공간(520b)의 외측 공간을 연통하고 내부에는 오일(570)이 채워지는 유압관로(5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00)과 제 1피스톤(530a)과 제 2피스톤(530b)의 연결은 힌지(600)나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그의 기능을 수여하는 수단을 통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작동공간(520b)의 수직 내측면(522)과 상기 제 2피스톤(530b)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54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060075086A 2006-08-09 2006-08-09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23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86A KR101234629B1 (ko) 2006-08-09 2006-08-09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86A KR101234629B1 (ko) 2006-08-09 2006-08-09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02A KR20080013502A (ko) 2008-02-13
KR101234629B1 true KR101234629B1 (ko) 2013-02-19

Family

ID=3934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86A KR101234629B1 (ko) 2006-08-09 2006-08-09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17B1 (ko) * 1995-05-31 1997-05-16 만도기계 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20060067700A (ko) * 2004-12-15 200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용 장력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17B1 (ko) * 1995-05-31 1997-05-16 만도기계 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20060067700A (ko) * 2004-12-15 200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용 장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02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2148B (zh) 具有至少一个用于将制动液再输送到制动增力器的工作室中的输送装置的制动设备及其操作方法
CN102442288B (zh) 用于汽车的制动系统和运行汽车制动系统的方法
CN108025718A (zh) 制动系统及用于运行制动系统的方法
JP2013541462A (ja) 作動装置、特に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装置
JP5431303B2 (ja) 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と車両ブレーキ装置を運転する方法
CN107792044B (zh) 电子控制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9126501A (ja) 駐車ブレーキ装置
EP2404799B1 (en) Adhesive attachment of the disc brake push rod plate to the diaphragm
CN105835857A (zh) 具有柔性冗余机构的车用线控制动装置
KR101234629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11034339B2 (en) Method for diagnostics on a brak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braking system
JP6049731B2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ブレーキマスタシリンダ用の一次ピストンアッセンブリ、ブレーキ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ブレーキ装置の作動方法
JP5707511B2 (ja) 車両用圧力伝達装置、パワーアシスト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79165B1 (ko)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KR101000165B1 (ko) 자동차용 제동력조절장치
JP4520852B2 (ja) 電気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主ブレーキシリンダユニット
CN218494068U (zh) 一种汽车干式电子制动器
KR100380177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의 파킹장치
US9457779B2 (en) Primary piston component for a master cylinder of a hydraulic brak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hydraulic brake system
KR100552788B1 (ko)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JPH0724283Y2 (ja) 産業車両のインチング機構
KR970002204Y1 (ko) 유압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200294872Y1 (ko)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
KR20050025429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0113376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