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165B1 -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165B1
KR101279165B1 KR1020110097116A KR20110097116A KR101279165B1 KR 101279165 B1 KR101279165 B1 KR 101279165B1 KR 1020110097116 A KR1020110097116 A KR 1020110097116A KR 20110097116 A KR20110097116 A KR 20110097116A KR 101279165 B1 KR101279165 B1 KR 10127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ston
main body
sub
cha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185A (ko
Inventor
구창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65B1/ko
Priority to US13/421,282 priority patent/US9669814B2/en
Priority to CN201210134237XA priority patent/CN103016440A/zh
Publication of KR2013003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77Systems in which the booster is used as an auxiliary pressur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valve means of the relay or driver controll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15B7/08Input units; Master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과, 본체의 내측면과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SUB MASTER CYLIMDER AND BRAKE APPARATUS THEREWITH}
본 발명은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을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또는 기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장치는 달리고 있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제동장치는 보통 운전자의 조작력 또는 보조동력으로 발생한 마찰력을 이용해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 등으로 바뀌어 제동 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승용차에는 대부분 마찰식 가운데서도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힘이 중간 매체인 유압을 거쳐 바퀴의 제동력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5919호 (발명의 명칭 : 마스터 실린더)에 개시되어 있다.
제동장치에서 클램핑력(Fclamp)은 아래 계산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1074960631-pat00001
따라서 제동장치의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즉 클램핑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하기 위해, 종래에는 페달비(Pedal Ratio)를 증가시키거나 캘리퍼 사이즈(Acaliper)를 증대하였다.
그러나 페달비를 증가시킨 경우 페달 브라켓에 부가되는 하중이 증가하여 모멘트에 의한 페달 브라켓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캘리퍼 사이즈를 증대하는 경우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또는 기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홈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판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제1원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관통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이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외측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돌기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외측돌기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홈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판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제1원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컵홈과 이격되어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중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중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동장치는: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직렬 연결되고, 차륜 제동을 위해 상기 제1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거나, 제1유압라인을 통해 전달된 유압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서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로 전환하거나,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 연결되는 상기 유압라인으로 전환하는 유압전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동장치는: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직렬 연결되고, 차륜 제동을 위해 상기 제1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거나, 제1유압라인을 통해 전달된 유압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서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로 전환하거나,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 연결되는 상기 유압라인으로 전환하는 유압전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을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또는 기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장이 축소됨에 따라 엔진룸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자동차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일반적인 작동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에서 라인의 페일(FAIL)시 작동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에서 모터의 페일(FAIL)시 작동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압력 생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동장치는 마스터 실린더(20), 서브 마스터 실린더(30), 모터(50, 동력전달부재(60), 유압전환부재(70)를 포함한다.
리저버(10)는 오일을 보관하며, 마스터 실린더(20)와 서브 마스터 실린더(30)에 오일을 공급한다.
마스터 실린더(20)는 내부에 직렬 연결된 제1피스톤(21)과 제2피스톤(22)을 포함하고, 제2유압라인(2) 및 제3유압라인(3)과 연결된다.
서브 마스터 실린더(30)는 브레이크 페달(40)과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40)의 작용력에 따라 내부의 서브 피스톤(31)이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모터(50) 및 동력전달부재(60)는 마스터 실린더(20)의 제1피스톤(21)이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재(60)는 볼 스크류이다. 이 볼 스크류는 모터(5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어 제1피스톤(21)에 그 운동력을 전달한다.
유압전환부재(70)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30)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80)로 전환하거나, 마스터 실린더(20)로 연결된 제1유압라인(1)으로 전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전환부재(70)는 제1밸브(71)와 제2밸브(72)를 포함한다.
제1밸브(71)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30)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80)로 전환한다. 제2밸브(72)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30)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제1유압라인(1)으로 전환한다. 제1밸브(71)는 NC(Normal Close)타입이고, 제2밸브(72)는 NO(Normal Open)타입이며,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을 때, 브레이크 페달(40) 측에 위치한 각 섹서나 스크로크 센서와 같은 센서에 의해 발생한 신호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된다. ECU는 열려 있던 유압전환부재(70)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열려있던 제1밸브(71)는 닫히게 되고, 닫혀 있던 제2밸브(72)는 열리게 된다.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브레이크 페달(40) 답력은 페달 시뮬레이션(80)의 고무와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하여 형성된다.
페달 시뮬레이터(80)는 제2밸브(72)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따라 차륜에 가할 제동압을 위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ECU로 전달한다. 이에 ECU는 해당 제동압이 차륜에 가해지도록 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50)는 ECU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모터(50)의 회전 운동은 볼 스크류(60)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화되고, 이 운동력은 마스터 실린더(20)의 제1피스톤(2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피스톤(21)이 작동되고, 제1피스톤(21)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유압 및 스프링 반력이 제2피스톤(22)을 작동시킨다.
제1피스톤(21)에 의해 발생한 유압은 제2유압라인(2)을 통해 차륜의 좌측 프런트(FL) 휠 실린더, 우측 리어(RR) 휠 실린더 또는 우측 프런트(FR) 휠 실린더, 좌측 리어(RL) 휠 실린더에 전달되어 제동압을 형성한다.
제2피스톤(22)에 의해 발생한 유압은 제3유압라인(3)을 통해 차륜의 우측 프런트 휠 실린더, 좌측 리어 휠 실린더 또는 좌측 프런트 휠 실린더, 우측 리어 휠 실린더에 전달되어 제동압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제1유압라인(1)의 페일(FAIL) 영향으로 제2유압라인(2) 또한 압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터(50)의 구동으로 볼 스크류(60)에 연결된 제1피스톤(21)이 작동하여 제2피스톤(22)을 기계적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제3유압라인(3)에 유효하게 압력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동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모터(50)의 구동이 불가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모터(50)에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다르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아도 제1밸브(71)는 그대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2밸브(72)는 그대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밸브(72)가 열려 있으므로, 서브 마스터 실린더(30)에서 발생한 유압은 마스터 실린더(20)의 제1피스톤(21)과 제2피스톤(22) 사이의 공간에 전달된다. 이 유압에 의해 제2유압라인(2)에 압력이 형성되며, 또한 제2피스톤(22)이 운동하게 되어 제3유압라인(3)에도 압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동이 가능해진다.
이 때, 서브 마스터 실린더(30)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을 줄이게 되면, 운전자는 기존보다 작은 힘의 페달 작동력을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하더라도 차량의 제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30)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을 줄이면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110), 제1서브 피스톤(120), 제2서브 피스톤(130),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간부(113)가 구비된다. 공간부(113)는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155)를 이룬다.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151, 153)이 안착되는 제1컵홈(111, 112)이 형성된다. 제1씰컵(151, 153)은 제2서브 피스톤(13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본체(1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155)는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제1씰컵(151, 153) 및 제1컵홈(111, 112)은 본체(1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된다.
제1컵홈(111, 112)은 본체(110)의 내측면에 2개가 구비되며, 이에 맞춰 제1씰컵(151, 153) 역시 2개가 설치된다.
제1서브 피스톤(120)은 일단이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서브 피스톤(120)은 압입 등의 방법으로 본체(110)에 고정된다.
제1서브 피스톤(120)은 타단이 본체(1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로써 제1서브 피스톤(120)은 챔버(15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제1서브 피스톤(120)은 제1원통부(121), 제1원판부(1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121)의 일단은 본체(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1원통부(121)의 타단은 챔버(155)를 관통하도록 본체(1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원판부(122)는 제1원통부(121)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제1원판부(122)의 외측 둘레면은 제2서브 피스톤(130)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된다.
제1서브 피스톤(120)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152)이 안착되는 제2컵홈(123)이 형성된다. 제2컵홈(123)은 제1원통부(121)와 제1원판부(122)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제2씰컵(152)은 제2서브 피스톤(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123)에 안착된다. 이로써 챔버(155) 내에 저장된 오일이 제2서브 피스톤(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서브 피스톤(130)은 제2원통부(131), 제2원판부(132)를 포함한다. 제2서브 피스톤(1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원통부(1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원판부(132)는 제2원통부(131)의 일측 단부를 폐쇄한다. 제2원통부(131)와 제2원판부(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서브 피스톤(130)은 본체(110)의 내측면과 제1서브 피스톤(12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13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130)은 챔버(15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제2서브 피스톤(130)은 도 5에서 도 6과 같이 챔버(15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제2서브 피스톤(130)이 챔버(15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151, 153)은 제2서브 피스톤(13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152)은 제2서브 피스톤(13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155) 내에서 제2원통부(131)의 이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동 작동시 챔버(155) 내에는 제2원통부(131)의 단면적(도 7의 A)만큼에 해당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공 형상을 이루는 제2원통부(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됨에 따라, 아래 계산식에서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 줄일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1074960631-pat00002
이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6)에 있던 제2서브 피스톤(130)은 대기위치(도 5)로 복귀한다. 제2서브 피스톤(130)의 복귀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제1원판부(122)에 고정된다. 탄성부재(140)의 타단은 제1원판부(122)와 마주하는 제2원판부(132)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140)는 제1원판부(1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원판부(132), 즉 제2서브 피스톤(1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13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210), 제1서브 피스톤(220), 제2서브 피스톤(230),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10)의 내부에는 공간부(213)가 구비된다. 공간부(213)는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255)를 이룬다.
본체(210)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251, 253)이 안착되는 제1컵홈(211, 212)이 형성된다. 제1씰컵(251, 253)은 제2서브 피스톤(23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본체(2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255)는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제1씰컵(251, 253) 및 제1컵홈(211, 212)은 본체(2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된다.
제1컵홈(211, 212)은 본체(210)의 내측면에 2개가 구비되며, 이에 맞춰 제1씰컵(251, 253) 역시 2개가 설치된다.
제1서브 피스톤(220)은 일단이 본체(2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서브 피스톤(220)은 압입 등의 방법으로 본체(210)에 고정된다.
제1서브 피스톤(220)은 타단이 본체(2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로써 제1서브 피스톤(220)은 챔버(25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은 제2원통부(231), 제2원판부(232)를 포함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원통부(2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원판부(232)는 제2원통부(231)의 일측 단부를 폐쇄한다. 제2원통부(231)와 제2원판부(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통부(231)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252)이 안착되는 제2컵홈(235)이 형성된다. 제2원통부(231)의 내측면에는 제1서브 피스톤(220)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233, 23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돌기부(233, 234)는 제2컵홈(235)을 이루며, 제1서브 피스톤(220)의 외측면에 밀접하게 형성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이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도 8), 제2씰컵(252)은 하나의 제1씰컵(251)과 다른 하나의 제1씰컵(253) 사이에 배치된다.
제2씰컵(252)은 제1서브 피스톤(2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235)에 안착된다. 이로써 챔버(255) 내에 저장된 오일이 제2서브 피스톤(2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서브 피스톤(230)은 본체(210)의 내측면과 제1서브 피스톤(22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230)은 챔버(25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제2서브 피스톤(230)은 도 8에서 도 9와 같이 챔버(25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이 챔버(25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251, 253)은 제2서브 피스톤(23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252)은 제1서브 피스톤(22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255) 내에서 제2원통부(231)와, 제2씰컵(252)의 이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동 작동시 챔버(255) 내에는 제2원통부(231) 및 제2씰컵(252)의 단면적(도 10의 A)에 해당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되면서,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9)에 있던 제2서브 피스톤(230)은 대기위치(도 8)로 복귀한다. 제2서브 피스톤(230)의 복귀는 탄성부재(2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240)의 일단은 제1서브 피스톤(220)에 고정된다. 탄성부재(240)의 타단은 제1서브 피스톤(220)의 타단과 마주하는 제2원판부(232)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240)는 제1서브 피스톤(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원판부(232), 즉 제2서브 피스톤(2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23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310), 제1서브 피스톤(320), 제2서브 피스톤(330), 탄성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10)의 내부에는 공간부(313)가 구비된다. 공간부(313)는 본체(310)의 내부 일측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355)를 이룬다.
제1서브 피스톤(320)은 일단이 본체(3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서브 피스톤(320)은 압입 등의 방법으로 본체(310)에 고정된다.
제1서브 피스톤(320)은 타단이 본체(3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로써 제1서브 피스톤(320)은 챔버(35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은 제2원통부(331), 제2원판부(332)를 포함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원통부(3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원판부(332)는 제2원통부(331)의 일측 단부를 폐쇄한다. 제2원통부(331)와 제2원판부(3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통부(331)의 외측면에는 제1컵홈(337)이 형성된다. 제1컵홈(337)은 제2원통부(331)의 외측면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333, 3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씰컵(352)은 제1컵홈(337)에 안착되며, 본체(3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본체(310)의 타측 단부(311)에는 오링(312)이 장착된다. 오링(312)에 의해 본체(310)의 내측면과, 제2원통부(231)의 외측면과의 기밀성은 향상된다.
제2원통부(331)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353)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된다. 제2컵홈은 제2원통부(331)의 내측면에서 제1서브 피스톤(3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335, 336)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씰컵(353)은 제1서브 피스톤(3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에 안착된다. 이로써 챔버(355) 내에 저장된 오일이 제2서브 피스톤(3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씰컵(352)과 제2씰컵(353) 모두 제2서브 피스톤(330)의 내외측 둘레면에 안착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은 본체(310)의 내측면과 제1서브 피스톤(32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330)은 챔버(35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제2서브 피스톤(330)은 도 11에서 도 12와 같이 챔버(35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이 챔버(35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352)은 본체(3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352)은 제1서브 피스톤(32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355) 내에서 제2원통부(331), 제1씰컵(352) 그리고 제2씰컵(353)의 이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동 작동시 챔버(355) 내에는 제2원통부(331), 제1씰컵(352) 및 제2씰컵(353)의 단면적(도 13의 A)에 해당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되면서,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12)에 있던 제2서브 피스톤(330)은 대기위치(도 11)로 복귀한다. 제2서브 피스톤(330)의 복귀는 탄성부재(3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340)의 일단은 제1서브 피스톤(320)에 고정된다. 탄성부재(340)의 타단은 제1서브 피스톤(320)의 타단과 마주하는 제2원판부(332)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340)는 제1서브 피스톤(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원판부(332), 즉 제2서브 피스톤(3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4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33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410), 제1서브 피스톤(420), 제2서브 피스톤(430),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410)의 내부에는 공간부(413)가 구비된다. 공간부(413)는 본체(410)의 내부 일측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455)를 이룬다.
제1서브 피스톤(420)은 일단이 본체(4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서브 피스톤(420)은 압입 등의 방법으로 본체(410)에 고정된다.
제1서브 피스톤(420)은 타단이 본체(4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로써 제1서브 피스톤(420)은 챔버(455)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제1서브 피스톤(420)은 제1원통부(421), 제1원판부(4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421)의 일단은 본체(4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1원통부(421)의 타단은 챔버(455)를 관통하도록 본체(41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원판부(422)는 제1원통부(421)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제1원판부(422)의 외측 둘레면은 제2서브 피스톤(430)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된다.
제1서브 피스톤(420)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453)이 안착되는 제2컵홈(423)이 형성된다. 제2컵홈(423)은 제1원통부(421)와 제1원판부(422)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제2씰컵(453)은 제2서브 피스톤(43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423)에 안착된다. 이로써 챔버(455) 내에 저장된 오일이 제2서브 피스톤(4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서브 피스톤(430)은 제2원통부(431), 제2원판부(432)를 포함한다. 제2서브 피스톤(4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원통부(4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원판부(432)는 제2원통부(431)의 일측 단부를 폐쇄한다. 제2원통부(431)와 제2원판부(4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통부(431)의 외측면에는 제1컵홈(435)이 형성된다. 제1컵홈(435)은 제2원통부(431)의 외측면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433, 3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씰컵(452)은 제1컵홈(435)에 안착되며, 본체(4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본체(410)의 타측 단부(411)에는 오링(412)이 장착된다. 오링(412)에 의해 본체(410)의 내측면과, 제2원통부(231)의 외측면과의 기밀성은 향상된다.
제2서브 피스톤(430)은 본체(410)의 내측면과 제1서브 피스톤(42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서브 피스톤(43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430)은 챔버(45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제2서브 피스톤(430)은 도 14에서 도 15와 같이 챔버(45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제2서브 피스톤(430)이 챔버(45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452)은 본체(4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452)은 제2서브 피스톤(43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455) 내에서 제2원통부(431) 및 제1씰컵(452)의 이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동 작동시 챔버(455) 내에는 제2원통부(431) 및 제1씰컵(452)의 단면적(도 16의 A)에 해당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되면서,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15)에 있던 제2서브 피스톤(430)은 대기위치(도 14)로 복귀한다. 제2서브 피스톤(430)의 복귀는 탄성부재(44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440)의 일단은 제1원판부(422)에 고정된다. 탄성부재(440)의 타단은 제1원판부(422)와 마주하는 제2원판부(432)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440)는 제1서브 피스톤(4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원판부(432), 즉 제2서브 피스톤(43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서브 피스톤(43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510), 서브 피스톤(520), 탄성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510)의 내부에는 공간부(513)가 구비된다. 공간부(513)는 본체(510)의 내부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545)를 이룬다.
본체(510)의 내측면에는 제1컵홈(511, 512)이 형성된다. 제1씰컵(541, 542)은 서브 피스톤(5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컵홈(511, 512)에 안착된다.
제1컵홈(511, 512)은 본체(110)의 내측면에 2개가 구비되며, 이에 맞춰 제1씰컵(541, 542) 역시 2개가 설치된다.
본체(510)의 내측면에는 제1컵홈(511, 51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컵홈(514)이 형성된다. 제2씰컵(543)은 서브 피스톤(5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514)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45)를 중앙에 두고 제1씰컵(541, 542)은 작동로드(41)에 더 근접하게 설치되고, 제2씰컵(543)은 탄성부재(530)에 더 근접하게 설치된다.
서브 피스톤(520)은 챔버(545)를 가로지르도록 본체(510) 내부의 공간부(513)에 배치된다. 서브 피스톤(520)은 제1원통부(521), 제2원통부(5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5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도 17 기준 좌측)에 장착홈부(524)가 형성된다. 장착홈부(524)에는 탄성부재(530)가 고정된다. 제2원통부(522)는 제1원통부(52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원통부(52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제1원통부(521)와 제2원통부(522)의 외경이 서로 다르므로, 제1원통부(521)와 제2원통부(522)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부(523)가 형성된다. 제1원통부(521)와 제2원통부(5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피스톤(52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서브 피스톤(520)은 챔버(545)를 가로질러 본체(5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서브 피스톤(520)은 도 17에서 도 18과 같이 챔버(54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서브 피스톤(520)이 챔버(54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541, 542)은 제2원통부(522)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543)은 제1원통부(521)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545) 내로 제2원통부(522)가 이동된다. 따라서 제동 작동 시 챔버(545) 내에는 제2원통부(522)와 제1원통부(521)의 외경 차이(도 19의 A)에 대응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2개의 원통부(521, 522)를 구비하는 서브 피스톤(520)이 챔버(545) 내로 이동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18)에 있던 서브 피스톤(520)은 대기위치(도 17)로 복귀한다. 서브 피스톤(520)의 복귀는 탄성부재(53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530)의 일단은 본체(510)의 일단에 고정된다. 탄성부재(530)의 타단은 장착홈부(524)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530)는 본체(5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피스톤(52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30)의 복원력에 의해 서브 피스톤(52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610), 서브 피스톤(620), 탄성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610)의 내부에는 공간부(612)가 구비된다. 공간부(612)는 본체(610)의 내부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645)를 이룬다.
본체(610)의 내측면에는 제2컵홈(613)이 형성된다. 제2씰컵(643)은 서브 피스톤(6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2컵홈(613)에 안착된다.
본체(610)의 타측 단부에는 오링(641)이 장착된다. 오링(641)에 의해 본체(610)의 내측면과 서브 피스톤(620)의 외측면과의 기밀성은 향상된다. 오링(641)은 본체(6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오링홈부(611)에 안착되면서 위치 고정된다.
서브 피스톤(620)은 챔버(645)를 가로지르도록 본체(610) 내부의 공간부(612)에 배치된다. 서브 피스톤(620)은 제1원통부(621), 제2원통부(6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6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도 20 기준 좌측)에 장착홈부(624)가 형성된다. 장착홈부(624)에는 탄성부재(630)가 고정된다. 제2원통부(622)는 제1원통부(62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원통부(62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제1원통부(621)와 제2원통부(6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피스톤(620)의 외측면에는 제1컵홈(623)이 형성된다. 제1컵홈(623)은 제1원통부(621)와 제2원통부(622)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제1씰컵(642)은 제1컵홈(623)에 안착되며, 본체(61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서브 피스톤(62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서브 피스톤(620)은 챔버(645)를 가로질러 본체(6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서브 피스톤(620)은 도 20에서 도 21과 같이 챔버(64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서브 피스톤(620)이 챔버(64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642)은 챔버(645)를 이루는 본체(6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643)은 제1원통부(621)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645) 내로 제2원통부(622)가 이동된다. 따라서 제동 작동 시 챔버(645) 내에는 제1씰컵(642)이 이루는 외경과, 제1원통부(621)가 이루는 외경 차이(도 22의 A)에 대응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2개의 원통부(621, 622)를 구비하는 서브 피스톤(620)이 챔버(645) 내로 이동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21)에 있던 서브 피스톤(620)은 대기위치(도 20)로 복귀한다. 서브 피스톤(620)의 복귀는 탄성부재(63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630)의 일단은 본체(610)의 일단에 고정된다. 탄성부재(630)의 타단은 장착홈부(624)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630)는 본체(6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피스톤(62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630)의 복원력에 의해 서브 피스톤(62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710), 서브 피스톤(720), 탄성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710)의 내부에는 공간부(712)가 구비된다. 공간부(712)는 본체(710)의 내부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745)를 이룬다.
본체(710)의 타측 단부에는 오링(741)이 장착된다. 오링(741)에 의해 본체(710)의 내측면과 서브 피스톤(720)의 외측면과의 기밀성은 향상된다. 오링(741)은 본체(7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오링홈부(711)에 안착되면서 위치 고정된다.
서브 피스톤(720)은 챔버(745)를 가로지르도록 본체(710) 내부의 공간부(712)에 배치된다. 서브 피스톤(720)은 제1원통부(721), 제2원통부(7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7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탄성부재(730)가 고정된다. 제2원통부(722)는 제1원통부(72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원통부(72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제1원통부(721)와 제2원통부(7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피스톤(720)의 외측면에는 제1컵홈(725)이 형성된다. 제1컵홈(725)은 제1원통부(721)와 제2원통부(722)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다. 제1씰컵(742)은 제1컵홈(725)에 안착되며, 본체(7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1원통부(721)에는 제1씰컵(742)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위치고정돌기(724)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서브 피스톤(720)의 외측면, 구체적으로 제1원통부(721)의 외측면에는 제2컵홈(723)이 형성된다. 제2컵홈(723)은 제1원통부(721)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제2씰컵(743)은 제2컵홈(723)에 안착되며, 본체(7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서브 피스톤(72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서브 피스톤(720)은 챔버(745)를 가로질러 본체(7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서브 피스톤(720)은 도 23에서 도 24와 같이 챔버(74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서브 피스톤(720)이 챔버(74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742)은 챔버(745)를 이루는 본체(7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743)은 챔버(745) 전방(도 23 기준 좌측)의 본체(71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745) 내로 제2원통부(722)가 이동된다. 따라서 제동 작동 시 챔버(745) 내에는 제1씰컵(742)이 이루는 외경과, 제2씰컵(743)이 이루는 외경 차이(도 25의 A)에 대응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2개의 원통부(721, 722)를 구비하는 서브 피스톤(720)이 챔버(745) 내로 이동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24)에 있던 서브 피스톤(720)은 대기위치(도 23)로 복귀한다. 서브 피스톤(720)의 복귀는 탄성부재(73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730)의 일단은 본체(710)의 일단에 고정된다. 탄성부재(730)의 타단은 서브 피스톤(720)의 일단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730)는 본체(7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피스톤(72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730)의 복원력에 의해 서브 피스톤(72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실린더는 본체(810), 서브 피스톤(820), 탄성부재(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810)의 내부에는 공간부(813)가 구비된다. 공간부(813)는 본체(810)의 내부에서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845)를 이룬다.
본체(810)의 내측면에는 제1컵홈(811, 812)이 형성된다. 제1씰컵(841, 842)은 서브 피스톤(8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컵홈(811, 812)에 안착된다. 이로써 본체(810)의 내측면과 서브 피스톤(820)의 외측면과의 기밀성은 향상된다.
제1컵홈(811, 812)은 본체(810)의 내측면에 2개가 구비되며, 이에 맞춰 제1씰컵(841, 842) 역시 2개가 설치된다.
서브 피스톤(820)은 챔버(845)를 가로지르도록 본체(810) 내부의 공간부(813)에 배치된다. 서브 피스톤(820)은 제1원통부(821), 제2원통부(82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8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탄성부재(830)가 고정된다. 제2원통부(822)는 제1원통부(821)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원통부(82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제1원통부(821)와 제2원통부(8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피스톤(820)의 외측면, 구체적으로 제1원통부(821)의 외측면에는 제2컵홈(823)이 형성된다. 제2컵홈(823)은 제1원통부(821)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제2씰컵(843)은 제2컵홈(823)에 안착되며, 본체(8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서브 피스톤(820)은 브레이크 페달(4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을 밟는 경우, 작동로드의 움직임에 의해 서브 피스톤(820)은 챔버(845)를 가로질러 본체(8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브레이크 페달(40)이 작동되면 서브 피스톤(820)은 도 26에서 도 27과 같이 챔버(845) 내를 이동하게 된다.
서브 피스톤(820)이 챔버(845) 내를 이동할 때, 제1씰컵(842)은 제2원통부(822)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제2씰컵(843)은 챔버(845) 전방(도 26 기준 좌측)의 본체(81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40)을 밟게 되면,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845) 내로 제2원통부(822)가 이동된다. 따라서 제동 작동 시 챔버(845) 내에는 제2원통부(822)와 제1원통부(821)의 외경 차이(도 25의 A)에 대응되는 압력 작용 면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2개의 원통부(821, 822)를 구비하는 서브 피스톤(820)이 챔버(845) 내로 이동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의 압력 작용 면적(AM / cyl .)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Fpedal)을 경감시키면서도 기존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향상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운전자의 페달 작동력을 경감시키기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페달 브라켓의 변형이나 중량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작동위치(도 27)에 있던 서브 피스톤(820)은 대기위치(도 63)로 복귀한다. 서브 피스톤(820)의 복귀는 탄성부재(83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부재(830)의 일단은 본체(810)의 일단에 고정된다. 탄성부재(830)의 타단은 서브 피스톤(820)의 일단에 고정된다. 이로써 탄성부재(830)는 본체(8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피스톤(82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4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830)의 복원력에 의해 서브 피스톤(820)은 대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저버 20 : 마스터 실린더
30 : 서브 마스터 실린더 40 : 브레이크 페달
50 : 모터 60 : 동력전달부재
70 : 유압전환부재 110 : 본체
113 : 공간부 120 : 제1서브 피스톤
130 : 제2서브 피스톤 140 : 탄성부재

Claims (25)

  1. 삭제
  2.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홈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판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원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5.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관통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8.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이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외측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0.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1.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의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컵홈을 이루는 한 쌍의 외측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타단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컵홈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판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원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5. 삭제
  16.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컵홈과 이격되어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8.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중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20.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중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제2원통부의 연결 부위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챔버를 이루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22.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제1씰컵이 안착되는 제1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의 외측면에는 제2씰컵이 안착되는 제2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씰컵은 상기 제2원통부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씰컵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피스톤은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23. 제2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여 페달의 답력이 해제되면 상기 서브 피스톤을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24.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제1서브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제1서브 피스톤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제2서브 피스톤을 포함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직렬 연결되고, 차륜 제동을 위해 상기 제1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거나, 제1유압라인을 통해 전달된 유압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서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로 전환하거나,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 연결되는 상기 유압라인으로 전환하는 유압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25.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챔버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내를 이동하는 서브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피스톤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원통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원통부를 포함하는 서브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직렬 연결되고, 차륜 제동을 위해 상기 제1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피스톤의 운동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거나, 제1유압라인을 통해 전달된 유압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이 운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서브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의 흐름을 페달 시뮬레이터로 전환하거나,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 연결되는 상기 유압라인으로 전환하는 유압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KR1020110097116A 2011-09-26 2011-09-26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KR10127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116A KR101279165B1 (ko) 2011-09-26 2011-09-26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US13/421,282 US9669814B2 (en) 2011-09-26 2012-03-15 Sub master cylinder and br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210134237XA CN103016440A (zh) 2011-09-26 2012-05-03 子主汽缸以及具有该子主汽缸的制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116A KR101279165B1 (ko) 2011-09-26 2011-09-26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185A KR20130033185A (ko) 2013-04-03
KR101279165B1 true KR101279165B1 (ko) 2013-07-05

Family

ID=4790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116A KR101279165B1 (ko) 2011-09-26 2011-09-26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69814B2 (ko)
KR (1) KR101279165B1 (ko)
CN (1) CN1030164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3959B2 (ja) * 2016-07-15 2019-12-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7092085B2 (ja) * 2019-04-03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12810589B (zh) * 2021-01-07 2022-03-22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制动主缸以及电动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60B1 (ko) * 2005-07-15 2006-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포켓형 마스터 실린더
JP2009179260A (ja) * 2008-01-31 2009-08-1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4827A1 (de) * 1984-12-08 1986-06-1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remsdrucksteuerung bei fahrzeugbremsanlagen
DE3731814A1 (de) * 1986-10-08 1988-04-14 Knorr Bremse Ag Belueftungseinrichtung fuer betaetigungszylinder, insbesondere bremszylinder fuer kraftfahrzeuge
FR2605061B1 (fr) * 1986-10-08 1993-09-24 Knorr Bremse Ag Dispositif d'alimentation en air pour des cylindres de commande, en particulier pour des cylindres de frein pour des vehicules automobiles
JPH09303321A (ja) * 1996-05-14 1997-11-25 Koshin Seikosho:Kk 複動型油圧シリンダ
DE19933165A1 (de) * 1999-07-15 2001-01-18 Wabco Gmbh & Co Ohg Zylindereinheit
JP4682480B2 (ja) * 2001-08-09 2011-05-1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
US6688211B1 (en) * 2002-02-20 2004-02-10 Vu H. Viet Dual linear actuator
US7174828B2 (en) * 2004-06-02 2007-02-13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Linear actuator
JP2009190425A (ja) * 2008-02-12 2009-08-27 Honda Motor Co Ltd ブレーキ装置および自動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CN201496429U (zh) * 2009-07-30 2010-06-02 温州市东启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导套密封式液压离合器主缸
JP5358358B2 (ja) * 2009-09-01 2013-12-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CN101813142B (zh) * 2010-04-16 2012-02-22 朱彦春 重型汽车离合器气动控制装置
CN201800705U (zh) * 2010-09-06 2011-04-20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应用于汽车制动系统的柱塞式制动主缸
CN201891760U (zh) * 2010-09-21 2011-07-06 深圳市五洲龙汽车有限公司 离合器分离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60B1 (ko) * 2005-07-15 2006-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포켓형 마스터 실린더
JP2009179260A (ja) * 2008-01-31 2009-08-13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185A (ko) 2013-04-03
US9669814B2 (en) 2017-06-06
US20130074491A1 (en) 2013-03-28
CN103016440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2026B (zh) 机动车的制动系统
KR20140030227A (ko) 페달 이동 시뮬레이터,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용의 작동 유닛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20120119150A (ko) 제동 안전 기능이 강화된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 장치
US20100012442A1 (en) Hysteresis characterizing typed electro pedal device
JP2017525611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ブレーキ倍力装置
US9604605B2 (en) Hybrid electro-mechanical brake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279165B1 (ko) 서브 마스터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제동장치
JP2010517840A (ja) ブレーキブースタ
CN102312948A (zh) 盘式制动器推杆板到横隔板的粘合附接
KR20120128862A (ko) 고장 대처 기능 및 주차 브레이크 기능이 구현된 스마트부스터 제동 장치
US10981553B2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vehicle
US20120117961A1 (en) Brake actuator unit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of the "brake-by-wire" type
US1195845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KR101316170B1 (ko)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용 브레이크패드 커버심
US20220373047A1 (en) Electric parking brake
KR20070009114A (ko) 자동차의 전자 버튼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CN201009878Y (zh) 连动液压煞车装置
US2022034817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CN106043264B (zh) 用于防止车辆的灵敏制动的装置和方法
KR101180803B1 (ko) 차량의 제동장치용 프로포지셔닝 밸브
KR100802699B1 (ko) 자동차의 휠 실린더
KR100224427B1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00791852B1 (ko) 드럼 브레이크의 휠 실린더
KR0178946B1 (ko) 전자 제어 브레이크용 유압 작동기가 장착된 유압식 브레이크
KR20060053686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