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443Y1 -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443Y1
KR890007443Y1 KR2019860012314U KR860012314U KR890007443Y1 KR 890007443 Y1 KR890007443 Y1 KR 890007443Y1 KR 2019860012314 U KR2019860012314 U KR 2019860012314U KR 860012314 U KR860012314 U KR 860012314U KR 890007443 Y1 KR890007443 Y1 KR 890007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valve
power
brak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482U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선 filed Critical 박종선
Priority to KR2019860012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443Y1/ko
Publication of KR880004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워실린더 2 : 지지판
3 : 다이아프람 7 : 밸브실린더
9 : 밸브 로드 10 : 다이아프람
10' : 제어실린더 10a: 제동 제어구
11 : 누름판 13 : 흡입관
13' : 진공도관 14 : 진공탱크
15 : 전자밸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지한 파워 브레익 장치에 있어서, 파워 실린더의 다이아프람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된밸브 실린더의 후부에 제어실린더와 다이아프람및 누름판으로 구성된 제동제어구를 일체로 결합형성하여 진공탱크와 3방 전자밸브가 형성된 진공도관을 엔진의 진공흡입간과 제어실린더칸에 연관되게 관접한다음 정지중의 차가 불의하게 구르면 바퀴의 회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릴레이가 동작되면서 전자밸브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밸브의 절환동작으로 제어실린더에 진공탱크의 흡입력이 작용되면서 제동제어구의 누름판이 파워실린더의 밸브로드를밀어 브레익 패달의 조작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파워 제동시키어 차의 구름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파워 브레익장치는 대부분 브레익 패달의 조작으로 제동하게되어 있기 때문에 차가 비탈길을 오르다 정지중에 출발하기 위하여 브레익 패달을 밟던 발을 떼어 악세레이터 패달을 밟으려는 교체작업중 운전자의 미숙으로 차가 뒤로 굴러불의하게 사고를 내는 일이 빈번하고 또한 정차후 차에서 운전자가 내린상태에서 제동기구가 어떤 원인으로 풀리면서 차가 굴러 큰 사고를 이르키는 일이 허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공지된 파워 브레익장치에 있어서, 파워실린더의 다이아프람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된 밸브실린더의 후부에 내경이 보다 작은 제어실린더와 디이아프람 및 누름판으로 구성된 자동제어구 일체로 결합형성하고 3방 전자밸브와 진공탱크가 중간에 형성된 진공도관을 엔진의 진공 흡입관과 연관되게 제어실린더에 관접하여 엔진의 흡입력으로 파워실린더와 진공탱크를 진공으로 유지하며 제어실린더 내부는 대기압이 미치게한다음 비탈길을 오르다 정차중인 차가 뒤로 구르거나 또는 경사지면에 세워둔 차가 제동기구가 풀리면서 뒤로 구르면 바퀴의 회전감지신로에 의하여 릴레이가 전자적으로 동작되면서 그 접점의 접속으로 전자밸브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밸브의 절환동작으로 진공탱크와 제어실린더가연관되면서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람과 누름판이 파워실린더의 밸브로드를 밀어 브레익 패달의 인위적인 조작여부에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파워 제동시키어서 운전에 미숙한 초보자라도 비탈길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하는 동시 차의 구름에의한 사고를 안전하게 방지할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익 파워 실린더(1)의 내부에 변공(2')(2")이 형성된 다이아프람(3) 지지판(2)을 스프링(4)으로 설치하여 지지판(2)의 일측에 형성된 밀대(5)가 브레익 유압실린더(6')의 피스톤(6)을 밀어 제동할 수 있게 하고 지지판(2)과 일체로 형성된 밸브실린더(7)내부에는 변공(2')을 개폐하는 밸브(8)와 통기공(2'")을 개폐하는 보조밸브(8')를 스프링(4')으로 탄설한 밸브로드(9)를 지지판(2) 중앙후부에 연접되게 스프링(4")과 함게 설치하여 브레익 폐달과 연동되는 밸브로드(9)의 작동으로 파워 제동하게된공지한 것에 있어서, 보다 작은 내경의 제어실린더(10')와 다이아프람(10)및 누름판(11)으로 구성된 제동제어구(10a)를 밸브실린더(7)의 후부에 일체로 결합형성하고 누름판(11)에 형성된 슬리브(11')가 밸브로드(9)의 접촉판(9')을 밀어 밸브로드(9)의 작동으로 제동시킬 수 있게 하며 파워 실린더(1)의 흡입구(12)가 연결된 진공흡입관(13)과 제어실린더(10')의 흡입구(12')사이에 체크밸브(14')를 가진 진공 탱크(14)와 3방 전자밸브(15)가 나란히 형성된 진공도관(13')을 관접하여 엔진의 흡입력으로 파워 실린더(1)와 진공 탱크(14)가 진공으로 유지될 수 있게하고 전자밸브(15)의 전자석의전원도선에는 차의 일정속도 이상에서 개방되는 가버너 스위치(KS)와 클러치 패달을밟을때 접속되는 클러치 패달 스위치(CS), 변속기어를 중립으로 넣은때 접속되는 변속레버 스위치(TS), 전진감지센서(FS)와 후진감지센서(BS)에 선택스위치(S)가 절환접속되는 전자제어기(IC)및 릴레이(RY)의 접점(K)을 연결하여 회전판(W)의 회전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릴레이(RY)의 동작으로 접점(K)이 접속하여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 전원을공급하여 연동작으로 제동할 수 있게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엔진의 가동중에는 엔진의 흡입력에 의하여 파워 실린더(1)및 진공탱크(14)내부공기가 흡입관(13)을 통하여 흡인되어 파워제동에 필요한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제어실린더(10')내부에는 전자밸브(15)및 진공도관(13')을 통하여대기와 연관되어 공기가 유입되어 있다.
이때 전원스위치(MS)를 접속한채 차를 전진하는 경우 인위적으로 선택스위치(S)는 후진감지센서(BS)측으로 접속하여두며 변속레버는 전진단에 넣게됨으로 변속레버 스위치(TS)는 개방되고 차가 일정한 속도 예컨대 4㎞이상의 속도로 주행시에는 가버너스위치(KS)가 작동으로 개방되어 있어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어 전자밸브의 동작이 없고 따라서 제동제어구(10a)의 동작이 없으므로 차의 주행중에는 자동으로 제동되는 일이 없다. 차의 주행시에는 브레익 페달의 조작으로 속도를 제어하거나 제동하며 브레익 페달을 밟으면 이에 연결된 밸브로드(9)가 밀리면서직접 파워 실린더(1)의 지지판(2)과 밀대(5)를 연쇄적으로 밀어 유압실린더(6')의 피스톤(6)을 작동시키어 제동되게 하거나, 또는 밸브로드(9)가 움직이면서 밸브(8)가 변공(2')을 차단하는 동시에 변공(2")과 통기공(2'")을 개방하여 누름판(11)중앙부의 슬리브(11')내부공간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관기공(2'")및 변공(2")을 통하여 파워 실린더(1)의 다이아프람(3)뒷족 후실에 유입되어 진공인 앞쪽 전실과의 편압에 의하여 다이아프람(3)과 지지판(2)이 밀리면서 밀대(5)를 밀어 제동되게한다.
후진시에는 선택스위치(S)를 전진감지센서(FS)측으로 절환하여두며 후진중에는 전진때와 동일하게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어 후진중에도 불의하게 자동으로 제동되는 일이없다.
또한 주행중 차를 정차하였을때 특히 비탈길에서 정지한경우 변속레버를 그대로 두거나 중립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나 클러치 패달을 밟고 있으므로 클러치패달 스위치(CS)가 접속되고 정차중이므로 가버너 스위치(KS)도 물론 접속되어 있으며 바퀴의후진이 없으므로 후진 감지센서(BS)의 감지신호가 없어 릴레이(RY)의 동작이 없음으로 그 접점(K)이 개방되어 있어서,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어 제동제어구(10a)의 동작도 없다. 이상태에서 전진하기 위하여 브레익 페달을 밟은 발을 떼어 악세레이터 패달로 교체하는 순간 브레익의 이완에 의하여 차가 제동력을 잃고 뒤로 구르게 되면 회전판(W)의 회전을 후진감지센서(BS)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자제어기(IC)에 입력하여 전자제어기의 전자적 작동으로 릴레이(RY)를 동작시키어 그 접점(K)을 접속하여서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환동작되게 한다.
전자밸브(15)의 절환동작에 따라 지금까지 대기와 연관 진공도관(13')이 진공탱크(14)에 연관되는 동시 흡입관(13)을 통한 엔진의 흡입력과 진공탱크(14)의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제동제어구(10a)의 내부공기가 흡인되면서 제어실린더(10')의 다이아프람(10)과 누름판(11)이 함께 흡인동작으로 밸브로드(9)를 밀어 상기한 브레익 페달의 조작으로 제동할때의 동일한 물리적 작동으로 파워 실린더(1)의 지지판(2)과 밀대(5)가 연동하여 제동하여서 차가 뒤로 구르는 것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차가 출발하면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고 차가 주행중이므로 가버너 스위치(KS)와 클러치 레버 스위치(CS)도 개방되어 전원이 차단됨으로 전자밸브(15)는 원상으로 복귀되어 진공탱크(14)와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와 연관되어 제어실린더(10')내부에 다시 공기가 유입되면서 원상으로 복귀되고 따라서 스프링(4")이 의하여 밸브로드(9)가 복귀되면서밸브(8)가 변공(2)를 개방하는 동시 변공(2"')은 보조밸브(8")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 파워 실린더(1)의 앞뒤 공간은 변공(2")을 통하여 모두 같은 진공으로 되어 지지판(2)은 편압 상태에서 평형으로 되어 결국 스프링(4)의 탄발력으로 원상 복귀되어 제동을 해제한다.
차를 경사지면에 정차하였을때 대개의 경우는 인위적으로 제동기구를 조작하여 제동상태로 하지만 혹 제동기구가 풀리거나 또는 처음부터 제동기구를 조작하지 않아 차가 뒤로 구르는 경우 이때에는 변속 레버가 중립이고 클러치 페달은 밟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들 스위치(TS)(CS)는 모두 접속상태이고 속도가 없음으로 가버너 스위치(KS)도 접속되어 있으므로 후진감지센서(BS)에 의한 감지신호가 전자제어기(IC)에 입력되어 릴레이(RY)의 동작으로 스위치(K)를 접속하여 전자밸브(15)의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환동작시킨다.
따라서 제동제어구(10a)는 진동도관(13')을 통하여 진공탱크(14)에 연관되어엔진의 가동중이면 엔진의 흡인력에 엔진이 정지된 경우에는 진공탱크(14)의 진공흡인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람(10)과 누픔관(11)이 흡인작동되어 상기한 기구적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시키어 차의 구름을 방지한다.
또한 차가 비탈길을 후진하다 정지중에 앞쪽으로 차가 구르는 경우에는 모든 동작은 전진중에 차가 구를때와 같고 다만 변속 레버가 후진단에 넣어져 있고 선태스위치(S)는 인위적으로 전진감지센서(FS)측으로 접속하고 있어서, 바퀴의 전진 회전을 감지하여 결국 릴레이스위치(K)를 접속시키어 제동케하며 제동후에 출발할때 작동된 전자밸브(15)가 복귀되는 것은 전진할때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파워 브레익 실린더의 밸브실린더 후단부에밸브로드를 자동으로 조작할수 있는 제동제어구를 결합형성하고 제동제어구에 연관된진공도관에는 진공탱크와 전자밸브를 형성하여 바퀴의 회전감시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릴레이 동작에 의하여 전자밸브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동시킬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정지상태의 차가 불의하게 구르는 경우 센서감지 신호에 의하여 전자밸의 작동으로 제동제어구가 자동으로 작동하여서 브레익 페달 조작과는 상관없이 배브로드를 밀어 파워 브레익으로 제동할 수 있어 종래의 단순한 파워 브레익기구에 비하여 정차시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고 특히 비탈길에서 정지후의 출발시에 뒤로 차가 구르는것을 자동으로 방지하게되어 운전초보자라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또한 차의정차후에도 제동기구로 인한 여러가지의 사고를 미리 자동으로 제동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브레익 파워 실린더(1)의 내부에 다이아프람(3)의 지지판(2)을 내장하여 지지판(2)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실린더(7)에 이중밸브(8)(8')가 형성된 밸브로드(9)를 스프링으로 설치한 공지한 것에 있어서, 제어실린더(10')와 다이아프람(10) 및 누름판(11)으로 구성된 제동제어구(10a)를 밸브실린더(7)의 후부에 일체로 결합형성하여 누름판(11)에 형성된 슬리브(11')를 밸브로드(()의 후단부에 삽입하고 제어실린더(10')의 흡입구(12')에 엔진의 흡입관(13)과 연결된 진공도관(13')을 관접하여 진공도관(13')의 중간부에 체크밸브(14')를 가진 진공탱크(14)와 3방 전자밸브(15)가 나란히 형성하며 전자밸브의 전원선에 회전감지센서(FS)(BS)와 전자제어기(IC)및 릴레이(RY)를 결합하여서된 자동차의 자동제어장치.
KR2019860012314U 1986-08-13 1986-08-13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KR890007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314U KR890007443Y1 (ko) 1986-08-13 1986-08-13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314U KR890007443Y1 (ko) 1986-08-13 1986-08-13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82U KR880004482U (ko) 1988-05-10
KR890007443Y1 true KR890007443Y1 (ko) 1989-10-26

Family

ID=1925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314U KR890007443Y1 (ko) 1986-08-13 1986-08-13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4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01B1 (ko) * 1997-08-30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와 하드웨어장치간 인터페이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901B1 (ko) * 1997-08-30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와 하드웨어장치간 인터페이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82U (ko)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15840A (ja) ブレーキ装置
US2574821A (en) Brake holding device and vacuum switch actuated control circuit therefor
KR890007443Y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US3433336A (en) Throttle operated brake holder
KR890007444Y1 (ko) 자동차의 파워 브레익의 자동 제어장치
JPH0568396B2 (ko)
KR200148199Y1 (ko) 파킹브레이크작동시클러치연동장치
KR20020028311A (ko) 자동차의 언덕길 발진보조장치
JPS61196851A (ja) パ−キングブレ−キ制御装置
KR0133292Y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KR0144996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JPH10250541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2203559A (en) Automatic accelerator
KR930003215B1 (ko) 풋 클러치(foot clutch)의 자동제어장치
JPH10167032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0198222Y1 (ko) 대형 차량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20010104859A (ko) 자동차의 언덕길 발진보조장치
JPH09142270A (ja)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KR100341910B1 (ko) 파킹 브레크 자동 작동장치
KR20020052344A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레버 및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20050052140A (ko)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
KR19980013269U (ko) 자동 변속기의 제동장치
KR20020047928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0118953Y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20020052304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제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