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57B1 - 형광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형광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57B1
KR900000357B1 KR1019860008122A KR860008122A KR900000357B1 KR 900000357 B1 KR900000357 B1 KR 900000357B1 KR 1019860008122 A KR1019860008122 A KR 1019860008122A KR 860008122 A KR860008122 A KR 860008122A KR 900000357 B1 KR900000357 B1 KR 900000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glass tube
discharge path
glas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551A (ko
Inventor
히또시 이마무라
아끼히로 이노우에
히데노리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광 램프장치
제1도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일부단면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굴곡형 형광램프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 중의 III-III 선의 단면도.
제4a도 내지 e도는 유리관의 형상을 나타내며 제4a도는 평면도.
제4b도는 정면도.
제4c도는 저면도.
제4d도는 우측면도.
제4e도는 제4b도중의 E-E선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5도는 일부 단면의 전체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중의 VI-VI선의 단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7도는 일부 단면의 전체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중의 VIII-VIII 선의 단면도.
제9도는 유리관의 정면도.
제10도는 또 다른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커버 3 : 글로브(globe)
4 : 기판 6,20,30 : 굴곡형 형광램프
7 : 꼭지쇠 8a-8c,21a-21d,31a,31b,40 : 유리관
10 : 방전로 11,11 : 전극
본 발명은 굴곡형 형광램프를 사용한 한 쪽 꼭지 쇠형의 형광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곽용기내에 'U'자형,'W'자형, 안장형등의 굴곡형 형광램프와 함께 안정기나 점등관 또는 콘덴서 등의 점등회로 부품을 수용하여 이 외과용기에 백열전구용 꼭지쇠를 부착한 형광램프장치가 개발되어 있어서, 백열전구와 호환성이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형 광원으로서 보급되어 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류의 형광램프 장치에 있어서,는 현재 가일층의 콤팩트화 및 고출력화의 방향으로 개발이 진척 되어 가고 있다.
콤팩트화 하는데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장치는 유리관을 가늘게 하는 것, 굴곡하는 곡율을 작게 하는 것으로 굴곡곡율을 작게하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유리관 끼리를 가능한한 근접시켜서 구불구불한 형태의 방전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관 끼리를 맞붙여 성형하기도 한다.
한편, 고출력화 하는데 있어서,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방전로를 가능한한 길게 하므로서 콤팩트화와 동일하게 세관화(細管化)와 굴곡곡율을 작게하는 것이 행하여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지름이 가늘어져 가면 램프 입력이 동일하더라도 유리관의 관벽의 온도가 상승한다.
램프의 발열량을 결정하는 램프입력이 일정하더라도 램프의 방열효율을 결정하는 램프 표면적은 유리관지름이 가늘어지면 보다 작아지므로 유리관의 관벽온도는 상승한다.
또한, 굴곡곡율이 작아지면 유리관 끼리가 근접 배치되므로 방열을 필요로 하는 유리관의 옆에 발열체가 존재하는 것과 같게되어 개개의 유리관의 방열효율은 한층저하된다.
따라서 유리관의 관벽온도는 상승하여 이 결과 형광체의 열의 둔화가 현저해진다는 결점이 생긴다.
또한 유리관의 온도상승은 형광램프로서의 수은 증기압의 제어가 곤란해진다는 문제를 가져온다.
이와같은 결점은 형광램프 전체를 글로브를 씌우는 경우에는 가일층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광램프의 관벽온도의 상승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는 형광램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불구불한 형태의 방전로를 형성하는 굴곡형 형광램프에서 방전로; 단면형상을 편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방전로의 단면 형상을 편평하게 함으로써 방전로의 단면적을 바꾸지 않고, 즉 관의 가늘기를 바꾸지 않고 유리관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고 따라서 유리관의 방열 면적이 증가하여 온도상승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형광체의 피착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발광면적을 증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제1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한다.
도면에서 (1)은 외곽용기로서 금속제의 커버(2)와 유리, 투광성 수지등으로 된 투광성 글로브(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곽용기(1)내에서는 예를들어 세라믹등의 절연재료로 된 기판(4)으로 간막이 되어 있고, 커버(2)쪽과 글로브(3)쪽으로 나뉘어져 있다.
전술한 커버(2), 기판(4) 및 글로브(3)는 각각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전술한 기판(4)과 커버(2)로 에워싸여진 공간에는 전자 점등회로부품(5)…이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전술한 기판(4)과 글로브(3)로 에워싸여진 공간에는 굴곡형의 형광램프(6)가 수장되어 있다.
커버(2)에는 나사형의 꼭지쇠(7)가 부착되어 있고 이 꼭지쇠(7)는 전자점등회로 부품(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굴곡형의 형광램프(6)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8a),(8b),(8c)는 대략 'U'자형의 방전로가 있는 유리관으로서 이들 유리관(8a),(8b),(8c)는 예를들어 금속 또는 유리로 된 속이 비어있는 중간 접속부재(9a),(9b)를 통하여 유리접착제등으로 접속되고, 접속된 경우에 하나의 구불구불한 방전로(10)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방전로(10)의 내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형광체가 피착되어 있고, 또한 방전로(10)의 양단부에는 전극(11)이 배치되어 있다.
전극(11)은 기판(4)에 밀봉부착되어 있으며 전술한 방전로(10)의 양단부가 이들 전극에 덮여지도록 하여 유리관(8b),(8c)의 단부가 기판(4)에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전술한 각 유리관(8a),(8b),(8c)는 그 하나의 유리관(8a)을 제4도에 대표하여 나타내는 바와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유리관(8a)에서의 방전로(10a)는 단면이 기다란 원,타원 또는 긴사각 또는 초승달 형등의 편평 형상을 이루고 있고 따라서 방전로(10a)를 에워싼 유리관의 단면 형상도 편평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대략 'U'자형을 이루도록 연속하므로써 동일 평면에서 단면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방전로(10a)는 편평 형상의 각각의 기다란 축 X-X가 서로 대략'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략 'U'자형을 이루도록 연속하는 유리관(8a)은 그 직선부분이 연속벽(12)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각 유리관(8a),(8b),(8c)는 굵은 지름의 유리튜브를 가열 연화시켜 놓고서 한쌍의 금형으로 누름으로서 일체형성할 수가 있다.
전술한 각 유리관(8a),(8b),(8c)는 전술한 중간 접속부재(9a),(9b)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 각 편평형을 이루는 방전로(10a)가 기다란 축 X-X 방향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방향이 되도록 하여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6)를 기판(4)에 부착한 경우 기판(4)의 중심선, 즉 램프 장치의 중심선 0-0에 대하여 전술한 각 편평형을 이루는 방전로(10a)의 기다란 축 X-X 방향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형광램프(6)내에는 소정량의 수은과 시동용 영족기체(noble gas)가 봉하여져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의 실시예는 방전로(10)의 단면 형상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방전로(10)의 주위의 유리관의 단면도 편평하게 되어 단면적이 원형인 경우와 동일한 경우에는 원형의 것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지므로 방열면적도 증가하여 형광램프(6)의 온도상승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표면적이 커지므로 따라서 형광체의 피착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발광면적이 증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편평형을 이루는 방사로(10a)의 기다란 축 X-X방향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장치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넓은 면적을 가진 X-X 방향에 따른 편평한 양쪽면이 각각 글로브(3)쪽으로 향하므로써 넓은 면적의 발광면을 램프장치의 다른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어서, 다른 쪽 발광량을 많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넓은 면적을 가진 편평한 양쪽면이 각각 글로브(3)쪽으로 향하므로서 바깥을 향하여 열방산성도 좋아져서 램프(6)의 온도상승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글로브(3)로 램프(6)를 덮고 있는데 글로브(3)을 벗겨내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열방산성에 유리하며 형광체 피막의 열 둔화나 안정기 및 전자점등 회로부품(53)…에 대한 램프(6)로부터의 열전달도 적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5도 및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글로브를 사용하지 않고 형광 램프(20)가 노출되어 부착되어 있다.
형광램프(20)는 예를들어 네 개의 대략 'U'자형을 한 유리관(21a),(21b),(21c) 및 (21d)을 하나의 방전로(10)을 형성하도록 접속한 것이다.
이 경우, 각 유리관(21a),(21b),(21c) 및 (21d)는 각각의 양단부를 기판(4)에 접합하여 인접하는 유리관(21a),(21b),(21c) 및 (21d) 상호는 기판(4)의 뒷면에 접합한 속이 비어있는 중간접속부재(22)…를 통하여 도통(導通)되어 있다.
각 유리관(21a),(21b),(21c) 및 (21d)에서의 방전로(10a)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단면이 원형인 것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지며 따라서 방열면적이 커지므로 형광램프(20)의 온도상승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형광체의 피착면적을 크게할 수가 있어서, 발광면적이 증대된다.
전술한 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방전로(10a)는 그 기다란 축 X-X 가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하는 방전로(10a)의 기다란 축X-X 와 함께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리관(21a),(21b),(21c) 및 (21d) 전체는 기판(4)에 부착된 경우 기판(4)의 중심선 즉, 램프장치의 중심선 0-0에 대하여 전술한 각 편평형을 이루는 방전로(10a)의 기다란 축 X-X 방향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원주는 기판(4)의 외각선보다 약간 작은 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인 경우에는 유리관(21a),(21b),(21c) 및 (21d) 전체가 통형상을 하므로 통형상의 전면이 발광하는 것 같이 보여서 배광분포도 균등해진다.
그리고 또한, 이와 같은 램프장치는 꼭지쇠(7)를 도시하지 않은 소케트에 끼우고 또한 떼어내는 경우 글로브가 없으므로 유리관(21a),(21b),(21c) 및 (21d)를 직접 잡음으로써 각 유리관(21a),(21b),(21c) 및 (21d)의 어딘가에는 제6도의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이 되어 유리관(21a),(21b),(21c) 및 (21d)의 기판(4)에 대한 접합된 밑 부분이 균열등의 파손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제2의 실시예의 경우 유리관(21a),(21b),(21c) 및 (21d)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제6도의 화살표 방향의 힘에 대하여 기계적 강도가 강해져서 접합된 밑부분에 파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굴곡형 형광램프(30)는 두 개의 유리관(31a),(31b)이 속이 비어있는 중간 접속부재(32)를 통하여 접합되므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유리관(31a),(31b)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W'자형의 방사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방전로(10a)의 단면형상은 편평할 뿐만 아니라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유리관(31a),(31b)의 선단부 즉 제7도에서 하단부(33)는 램프장치 중심선 0-0을 향하여 안쪽으로 만곡시켜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더라도 유리관(31a),(31b)이 전체가 통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통형상의 전면이 발광하는 것 같이 보이고, 또한 넘어지거나 밑부분에 파손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유리관(31a),(31b)의 선단부(33)를 램프 장치 중심선 0-0을 향하여 안쪽으로 만곡시켰으므로 형광면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향하여 아래쪽에 대한 밝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이것에서도 제7도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글로브(35)를 사용하는 경우에 선단부(33)가 글로브(35)의 형상에 합치되어 글로브(35)에 대한 수용성이 좋아져서 콤팩트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편평한 형상의 기다란 축X-X 가 직선형일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방전로의 편평한 형상의 기다란 축과 동일선상에 있는 것 같은 여러개의 유리관(40)…을 원주방향에 따라 잇닿게 배치하므로써 램프장치의 중심선에 대한 원주방향에 따라 잇닿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굴곡형 형광램프에 있어서,의 방전로의 단면형상을 편평하게 하였으므로 방전로의 표면적이 커지므로써 방열 면적이 증가하여 온도상승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표면적이 커지므로 형광체의 피착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발광면적을 증대할 수가 있다.

Claims (3)

  1. 꼭지쇠(7)을 갖춘 커버(2)내에 점등회로부품(5)을 수장하는 동시에 전술한 커버의 꼭지쇠가 반대쪽에 유리관으로 구불구불한 방전로를 형성하는 굴곡형 형광램프(6),(20),(30)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전술한 굴곡형 형광램프는 단면형상이 편평한 방전로(10)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2. 제1항에서 있어서, 굴곡형 형광램프는 대략 'U'자형의 방전로를 형성하는 여러개의 유리관 (8a),(8b),(8c)을 연결하므로써 전체로서 구불구불한 방전로를 형성하고 또한 인접하는 유리관과의 단면형상이 대략 'V'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써 방전로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유리관의 기다란 축이 램프장치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형상이 되도록 각 유리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굴곡형 형광램프는 대략 'U'자형의 방전로를 형성하는 여러개의 유리관(21a),(21b),(21c),(21d),(31a),(31b),(40)을 연결하므로써 전체로서 구불구불한 방전로를 형성하여 방전로와 직각으로 교차되는 유리관의 기다란 축이 램프장치의 중심선에 대한 원주방향에 따라 잇닿도록 각 유리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램프장치.
KR1019860008122A 1985-09-28 1986-09-27 형광 램프장치 KR900000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503 1985-09-28
JP60215503A JPS6276149A (ja) 1985-09-28 1985-09-28 けい光ランプ装置
JP60-215503 198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551A KR870003551A (ko) 1987-04-18
KR900000357B1 true KR900000357B1 (ko) 1990-01-25

Family

ID=1667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22A KR900000357B1 (ko) 1985-09-28 1986-09-27 형광 램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46835A (ko)
JP (1) JPS6276149A (ko)
KR (1) KR900000357B1 (ko)
DE (1) DE3632810A1 (ko)
GB (1) GB21821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01439B (en) * 1988-06-15 1990-10-28 Jozsef Ladanyi Light source constructed from gas discharge tubes
DE4209763A1 (de) * 1991-06-18 1992-12-24 Hartmut Dipl Phys Schmidt Elektronisch betriebene kompaktleuchtstofflampe
DE4121281A1 (de) * 1991-06-27 1993-01-07 Holzer Walter Elektronische kompaktlampe
DE4220690A1 (de) * 1992-06-23 1994-01-05 Elpro Ag Anordnung der Bauelemente elektronischer Vorschaltgeräte für einseitig gesockelte Kompakt-Leuchtstofflampen
DE4313018A1 (de) * 1993-04-21 1994-12-22 Kuemmerling Andreas Kompakte Leuchtstofflampe
HU214536B (hu) * 1994-07-20 1998-03-30 Ge Lighting Tungsram Rt. Egyoldalon fejelt kisülőlámpa
DE4442203A1 (de) * 1994-11-17 1996-05-23 Promatec Gmbh Berlin Entladungsgefäß für eine Kompaktlampe
DE29500786U1 (de) * 1995-01-19 1995-04-06 Piruzram Mansur Energiesparlampe
DE19501500A1 (de) * 1995-01-19 1996-07-25 Mansur Piruzram Energiesparlampe
DE19509112A1 (de) * 1995-03-16 1996-09-19 Holzer Walter Kompaktleuchtstofflampe mit kreisrundem Gasentladungsgefäß
AU4697597A (en) * 1997-04-04 1998-10-30 Zhejiang Sunlight Group Co., Ltd. A high power compact fluorescent lamp
US6437502B1 (en) * 1997-06-11 2002-08-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having specified tube geometry, luminous flux, lamp efficiency and power requirements
DE20016020U1 (de) * 2000-09-15 2001-11-08 Kratz Josef Gmbh Strahler und Bräunungsgerät
JP4944047B2 (ja) * 2001-11-14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球形蛍光ランプ及び発光管の製造方法。
JP4116808B2 (ja) * 2001-11-14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球形蛍光ランプ
AU2003221405A1 (en) * 2002-03-29 2003-10-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ght emitting tube and low-pressure mercury lamp
US8896206B1 (en) * 2013-06-24 2014-11-25 Cai Cheng Technology Co., Ltd. Three-dimensional lamp tub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2517C (de) * 1932-05-23 1933-08-16 Patra Patent Treuhand Elektrische Leuchtroehre
NL238268A (ko) * 1958-04-18
GB966077A (en) * 1959-04-30 1964-08-06 Ass Elect In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 discharge lamps
US3953761A (en) * 1974-04-03 1976-04-27 Thomas Lo Giudice Fluorescent light bulb for use in conventional incandescent bulb fixture
US3899712A (en) * 1974-05-01 1975-08-12 Gen Electric Tapered helical compact fluorescent lamp
DE2862125D1 (en) * 1977-08-10 1983-01-20 Hitachi Ltd Low pressure metal vapour discharge lamp
NL7812539A (nl) * 1978-02-14 1979-08-16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NL7810672A (nl) * 1978-10-26 1980-04-29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NL8001280A (nl) * 1980-03-04 1981-10-01 Philips Nv Lagedrukontladingslamp.
JPS58172857A (ja) * 1982-03-31 1983-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螢光ランプ
US4524301A (en) * 1982-09-30 1985-06-18 Gte Products Corporation Compact fluorescent lamps
JPS60172158A (ja) * 1984-02-15 1985-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螢光ランプ
DE8333920U1 (de) * 1983-11-25 1985-05-0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Kompakte niederdruckentladungs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46835A (en) 1988-05-24
JPH0434259B2 (ko) 1992-06-05
GB2182199B (en) 1990-03-21
DE3632810C2 (ko) 1989-01-12
GB8623367D0 (en) 1986-11-05
KR870003551A (ko) 1987-04-18
DE3632810A1 (de) 1987-04-02
JPS6276149A (ja) 1987-04-08
GB2182199A (en) 198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357B1 (ko) 형광 램프장치
EP2156463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lamp
US4772819A (en) Compact high efficacy fluorescent lamp
JP5047733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100386750B1 (ko)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US5675215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a helical lamp envelope and an efficient mounting arrangement therefor
JP200512320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3704204B2 (ja) ハロゲン電球
JPS58112238A (ja) けい光ランプ
JP4045508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装置
JPH0969309A (ja) 蛍光ランプ装置
US11393966B2 (en) Omnidirectional LED light wire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light source and lamp
JPH11283413A (ja) 蛍光ランプ装置
JP200729413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507173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100349897B1 (ko) 메탈할라이드램프
JP200512320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装置
JP200702672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S62103961A (ja) けい光ランプ
JP3767680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3168388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S6298551A (ja) 低圧金属蒸気放電灯
JP2008047542A (ja) 蛍光ランプ装置
EP1054434A2 (en) U-shaped low 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004718A (ja) 蛍光ランプ、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