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312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312B1
KR900000312B1 KR1019860002910A KR860002910A KR900000312B1 KR 900000312 B1 KR900000312 B1 KR 900000312B1 KR 1019860002910 A KR1019860002910 A KR 1019860002910A KR 860002910 A KR860002910 A KR 860002910A KR 900000312 B1 KR900000312 B1 KR 9000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conductor
contact
movable
conducto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728A (ko
Inventor
아끼라 다니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01H77/107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the blow-off force generating means, e.g. current loops
    • H01H77/10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the blow-off force generating means, e.g. current loops comprising magnetisable elements, e.g. flux concentrator, linear slot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 차단기
제1도~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폐로상태에서의 전체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한류상태에서의 전체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트립상태에서의 전체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고정접촉자의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폐로상태에서의 요부의 종단측면도 및 종단정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트립상태에서의 요부의 종단측면도 및 종단정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종래예의 폐로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종단측면도 및 종단정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다른 종래예를 나타낸 각각 제9도 및 제 10도 상당도.
본 발명은 부하전류에 응동하여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개방 분리시키는 자동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특히 저임피던스단락등에 의하여 대전류가 흐를 때 상기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간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상기한 자동트립장치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그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개방 분리시켜 이때에 있어서의 양접촉자간의 아크저항에 의하여 한류작용을 얻게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저임피던스단락등에 의하여 대전류가 흐를 때에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간에 작용하는 전자 반발력에 의하여 양 접촉자를 개방 분리 시켜서 한류작용을 얻게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그 전자반발력을 증대시켜 차단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촉자 근방에 자성체를 배치함이 생각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이와 같은 수단을 채용한 일예로서 일본국 실공소 49-4444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나타냈다. 즉 제9도는 회로 차단기의 폐로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종단측면, 제10도는 제9도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1은 몰드케이스 2에 지지된 고정접촉자이고 이것은 일단이 외부도체 접속용 부하측단자 3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은 대략 U자상으로 접어 되돌려져 그 되돌려진 선단상면에 접점 1a가 설비되어 있다. 4는 접점 4a를 갖는 가동접촉자이고, 이것은 보지체 5에 접점압력부여용 코일스프링 6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또 7은 양 접촉자 1 및 4를 둘러쌓는 것 같이 설비된 디 아이언 소호장치이며, 그리드 7a 및 지지를 7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 8은 대략 U자상을 이룬 것이고 그 기부(중앙부분)가 상기한 고정접촉자1에 있어서의 가동접촉자 4와의 대향도체부 1b의 뒷면에 절연물 8a를 거쳐서 위치하고 또 양측부가 소호장치 7의 양측면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과 고정접촉자 1의 도체부 1b와 가동접촉자 4에는 제9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며 저임피던스단락등에의하여 대전류가 흐를 때에는 도체부 1b 및 가동접촉자 4시간에 작용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가동접촉자 4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이때에 있어서의 양접검 1a, 4a간의 아크저항에 의하여 통과전류가 제한되는 한류작용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부 1b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 ø1및 가동접촉자 4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 ø2의 각 통로의 자기저항이 자성체 8의 존재에 의해서 저감되고 따라서 도체부 1b, 가동접촉자 4간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이 양접촉자 1, 4간에 개방분리거리의 증대에 따라서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의 자성체 8이 소호장치 7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자성체 8에 의한 자기저항 저감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고는 말할 수 없고 양접촉자 1, 4간의 전자반발력이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는 사정하에 있다.
또 고정접촉자 1은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접촉자 1, 4간의 전자반발력이 적다는 사정도 같이 합쳐져 그 접촉자 1, 4간의 개장분리거리를 크게 하는데 스스로 제한이 있고 한류효과가 작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술한 회로 차단기와는 별도의 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55-53839호 공보등에 기재된 것이 있고 제11도 및 제12도는 이 공보에 기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11도는 회로 차단기의 폐로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종단측면을 나타내고 제12도는 제11도 중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9는 고정접촉자이며 이것은 외부도체에 연결되는 도체부 9a에 대하여 가동접촉자 10에 대향된 도체부 9b를 핀 9c를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되었으며 그 도체부 9b의 선단에 가동접촉자 10측의 접점 10a와 대향된 접점 9d가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략 U자상을 이룬 자성체11은 그 기부(중앙부분)가 고정접촉자 9의 도체부 9a와 9b사이에 위치되고 또 그 양측부가 고정접촉자 9의 도체부 9b와 가동접촉자 10d 대해서 나란히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도 제11도에 나타냄과 같이 고정접촉자 9의 도체부 9b 및 가동접촉자 10에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것이고 단락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는 그 도체부 9b와 가동접촉자 10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이들 도체부 9b, 가동접촉자 1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자성체 11이 도체부 9b와 가동접촉자 10사이에 작용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이들 도체부 9b와 가동접촉자 1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에 자성체 11이 도체부 9b 및 가동접촉자 10의 각각 주위에 생기는 자속 ø1과 ø2(제2도 참조)의 통로의 자기저항을 저감시키게하는 기능을 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동접촉자 9의 도체부 9b와 가동접촉자 10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을 증대시켜 이들 도체부 9b 및 가동접촉자 10을 큰 가속도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개방분리속도를 높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아크저항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고 이것에 의해서 양호한 한류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또 이 경우에는 고정접촉자 9측도 회동되므로 양접촉자 9, 10간의 개방분리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 이것으로 한류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런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고정접촉자 9의 도체부 9b의 하면에 대해서 나란히 자성체 11의 기부가 위치되어 있어서 그 도체부 9b의 회동이 규제됨으로 도체부 9b의 회동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할 수가 없고, 따라서 양접촉자 9, 10간의 개방분리거리가 아직도 불충분하여 한류효과를 촉진하는데 개량의 여지가 남아 있다.
더욱이 가동접촉자 10이 상방으로 회동된 후에 그 반작용에 의해서 되튀어서 재차 폐로상태로 되돌아 가버릴 우려도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되튀어 돌아오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 전체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력을 높일 수 있어서 그 전자력에 의한 양접촉자의 개방 속도를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한류작용을 발휘하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접촉자가 전자력에 의하여 개방분리 되었을 때는 대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 그 전류에 의한 전자력을 이용하여 가동접촉자의 되튀겨 돌아오는 작용을 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이 되튀겨 돌아오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 구조의 복잡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없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류가 흐를 경우에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간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자동트립장치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개방분리시켜 차단전류가 한류되게 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접촉자를 외부도체와 연결하기 위한 제1의 도체부와 상기한 가동접촉자와의 접점부분을 갖고 그 가동접촉자와 대향하는 제2의 도체부와 이들 제1과 제2의 도체부 사이가 접속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가동접촉자의 측부에 대해서 나란히 위치된 역U자상으로 된 제3의 도체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고정접촉자의 제2의 도체부, 제3의 도체부 및 상기한 가동접촉자를 덮어 씌우게 자성체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서 대전류가 흐를 때는 고정접촉자의 제2의 도체부와 가동접촉자간의 반발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고정접촉자의 제3의 도체부와 가동접촉자 사이의 전자 흡인력이 작용되게 하고 또 제2, 제3의 도체부 및 가동접촉자의 각각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통로의 자기저항이 자성체에 의해서 저감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의 종단측면을 나타내고, 제2도는 동 회로 차단기의 한류상태에서의 종단측면을 타나내고, 제3도는 동 회로 차단기의 자동트립장치에 의한 트립 동작시의 종단측면을 나타내고 제4도는 고정접촉자 단체의 외관을 나타내고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상기한 회로 차단기의 페로상태에 있어서 요부의 종단측면 및 종단정면을 나타내고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상기한 회로 차단기의 트립상태에 있어서의 요부의 종단측면 및 종단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21은 절연재료제의 모울드케이스, 22는 같은 절연재료제의 모울드커버이며 이들의 내부에 회로 차단기의 본체 부분이 설비된다. 즉, 23은 선단에 접점 23a가 부착된 가동접촉자이고, 이것은 핀 24를 거쳐서 보지체25에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 23은 그 기단측이 가요성 도체 26, 중간도체 27을 거쳐서 부하측 단자판 28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부하측 단자판 28에는 외부도체 29가 연결된다. 상기한 보지체 25에는 핀 30이 돌설되어 있고, 이 핀 30에는 가동접촉자 23의 접점압력 부여용 비틀림 코일스프링 31이 감져 걸려 있다. 상기한 가요성 도체 26, 중간도체 27, 부하측 단자판 28은 통전로의 수(극수)에 따른 수만큼만 설치되며, 각 보지체 25는 이들 사이를 지나게 설비된 크로스바 3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크로스바32는 심금 32a와 이 심금 32a를 덮어씌우게 설비된 절연체 32b로 되어 있다. 33은 몰드 케이스 21에 세워져 설비된 지지를, 34는 이 지지를 33에 핀 35를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캐치이며, 이 캐치 34의 선단은 캐치받침구 36에 걸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캐치받침구 36은 핀 3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자식 또는 열동식 또는 기타 형식의 잘 알려진 자동트립장치 38에 의하여 회동되었을 때에 캐치 34의 걸린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9 및 40은 중간핀 41을 거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링크 및 하링크이다. 상링크 39의 상단은 핀 42를 거쳐서 상기한 캐치 3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링크 40의 하단은 상기한 핀 2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43은 절연재료제의 핸들, 44는 이 핸들 43의 하면에 고정된 핸들받침구이고, 이 핸들 받침구 44는 회로 차단기가 트립동작된 상태(제3도의 상태)로부터 핸들 43이 도면의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 되었을 때 캐치 34를 밀어 회동시켜서 캐치받침구 36에 걸려 멈추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핸들 43과 상기한 중간핀 41과의 사이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 45가 걸려 있다.
한편, 46은 고정접촉자이고 이것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 47은 외부도체 48이 연결되는 제1의 도체부인 전원측 단자판이고 49는 상기한 가동접촉자 23의 접점 23a와의 접촉부분인 접점 49a를 갖는 제2의 도체부이고 이 제2의 도체부 49는 핀 50을 거쳐서 가동접촉자 23의 개방분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 51은 2개씩 설비된 각각 역U자상으로 된 제3의 도체부이고 이들 제3의 도체부 51은 특히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가 평행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한쪽 단부가 전원측 단자판 47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또 각각의 다른쪽 단부는 가요성 도체 52를 거쳐서 상기한 제2의 도체부 49의 기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 제3의 도체부51은 가동접촉자 23의 양측에 대해서 나란히 위치하도록 세워져 있고 이때 특별히 그 중앙부분 51a는 가동접촉자23이 개방분리위치로 이동된 상태(제2도, 제3도, 제7도, 제8도의 상태)에서 이 가동접촉자 23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게 배치되어 있다. 53은 제2의 도체부 49를 상시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압축코일 스프링, 54는 이 제2의 도체부 49상방으로의 희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이다. 또 55는 역 U자상으로 된 자성체이며, 이것은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의 제2의 도체부 49, 제3의 도체부 51(특히 그 중앙부분(51a) 및 가동접척자 23을 덮도록 배치되고 이때 그 내측에는 절연층 56(제6도, 제8도 참조)이 설비되어 있고, 특히 제3의 도에부 51의 중앙부분 51a는 이 절연층 56에 묻힌 상태로 되어 있다. 자성체 55는 제 2의 도체부 49의 측면 및 상방만을 덮게 설비되어 그 제2의 도체부 49의 하방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한 가동접촉자 23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그 중앙부분 51a에 의해서 절연층 56을 거쳐서 규제하는 스톱피의 역할을 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57은 그리트 57a 및 지지를 57b로 이루어지는 디 아이언 소호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도에 나타낸 폐로상태로부터 이것을 수동조작으로 개로할 경우에는 핸들 43을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렇게하면 핸들받침구 44 및 인장코일 스프링 45가 핸들 43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장코일 스프링45의 중심선이 핀 42 및 중간핀 41을 연결하는 선을 넘어서 화살표C방향 쪽까지 이동하면 그 인장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서 하링크 40이 들어올려져 이에 응하여 가동접촉자23이 보지체 25와 함께 크로스바32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서 가동접촉자 23 및 고정접촉자 46간이 개방분리 된다. 또 이와 같은 개로상태는 인장코일 스프링 45의 스프링에 의해서 보지된다.
또 이와 같은 개로상태로부터 핸들 43을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술한 것과 역작용이 행해져서 제1도의 폐로상태로 되돌아 간다.
또 제1도에 나타낸 폐로상태에 있어서 과부하전류 혹은 고임피던스단락으로 인한 비교적 큰 전류가 소정시간이상 계속하여 흐르면 이것을 검지한 자동트립장치 38이 캐치받침구 36을 회동시켜서 캐치 34의 걸려 멈춰진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인장코일 스프링 45의 스프링 힘에 의해서 캐치 3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이것에 응동되어 하링크40이 상방으로 끌어 올라가고 이에 응하여 가동접촉자23이 보지체 25와 함께 크로스바 32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 되어서 가동접촉자 23과 고정접촉자 46사이가 개방 분리되는 트핍동작이 행해진다. 또, 이때에는 핸들 43이 제3도에 나타냄과 같은 중간위치에 정지되고 따라서 트립동작이 행해졌다는 것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트립상태로부터 제1도의 폐로상태로 되돌릴려면 핸들 43을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캐치 34가 핸들받침구 44에 의해서 밀려 회동되어 캐치 36에 걸려 멈춰지게 되므로 그후에 핸들 43을 화살표 C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전술한 개로상태로부터 폐로상태로 되돌릴 경우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제1도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그런데 제1도의 페로상태에 있어서 저임피던스단락등으로 인하여 대전류가 흐르던 고정접촉자 46 및 가동접촉자 23에 제5도에 화살표로 나타냄과 같은 전류가 흐른다.
즉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의 제2의 도체부 49 및 가동접촉자 23으로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 및 제2의 도체부 49와의 사이에도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흘러서 이들 제2의 도체부 49와 가동접촉자 23과의 사이 또 제2의 도체부 49와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과의 사이에서 전자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와 가동접촉자 23에 각각 서로 동일방향의 전류가 흘러서 이것들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와 가동접촉자 23 사이에 전자흡인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 23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31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회동되는 동시에 제2의 도체부49가 압축코일 스프링 53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회동되어 이에 응하여 접점 23a, 49a간의 아크전압 나가서는 아크저항의 상승을 초래하여 그로 인해서 통과전류가 제한된다는 한류작용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 가동접촉자 23은 제2의 도체부 49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 및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흡입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동되고 또 제2의 도체부 49는 가동접촉자 23 및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의 사이들에서 작용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더우기 이때에는 제2의 도체부 49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 ø1및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와 가동접촉자 23의 주위에 생기는 자속ø2는 이것들에 비교적 근접된 상태로 설비된 자성체 55를 거쳐서 흐르게 하고 따라서 각 자속ø12의 통로의 자기저항이 저감되어서 상기 자기반발력 및 자기흡인력이 강하게 높여지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가동접촉자23 및 고정접촉자 46에 있어서의 제2의 도체부 49의 회동가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양접촉자 23, 46의 개방속도가 높아지게 되어 이것에 의해서 양호한 한류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한류상태에 있어서 가동접촉자 23은 상세히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방으로의 회동이 자성체 55에 의해서 절연층 56을 거쳐서 규제되어서 제3의 도체부 51의 중앙부분 51a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가동접촉자 23과 중앙 부분 51a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전자흡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가동접촉자 23이 그 상방으로의 회동의 반작용에 의해서 되튀겨 돌아와 재폐로상태로 되돌아 가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2의 도체부 49도 하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이 제2의 도체부49의 하방에는 자성체 55가 위치하지 않게 구성되어서 그 회동하이 저해되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제2의 도체부 49의 회동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어 한류시에 있어서 양접촉자 23, 46간의 개방분리거리(구체적으로는 접점 23a,49a간의 개방분리거리)를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서 크게 할 수 있어 한류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한류작용의 진행과 동시에 자동트립장치 38도 동작하여 캐치받침구 36을 회동시켜서 캐치 34의 걸려 멈춰진 상태를 해제시킴으로 전술한 트립 동작시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제3도의 상태로 옮겨가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접촉자 46을 구성하는 제3의 도체부 51을 2개 설비하였지만 이것은 적어도 1개 갖추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전자반발력 및 전자흡인력 양자를 작용 시킬 수 있고 또 이들 전자력을 생기게 하기 위한 자속의 자기통로의 자기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이로 인해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간에 작용하는 전자력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서 대전류가 흘렀을 때에 상기 전자력에 의한 양 접촉자의 개방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양호한 한류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가동접촉자가 전자력에 의해 개방분리되었을 경우에는 대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 그 전자력을 이용하여 가동접촉자의 되튀겨 돌아오는 작용을 저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되튀겨 돌아오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가 필요없게 될 수 있어서 전체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는 효과도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4)

  1. 부하전류에 응동되어 고정접촉자(46) 및 가동접촉자(23)를 개방분리 시키는 자동트립장치(38)를 구비하고 대전류가 흐를때에는 상기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사이에 적용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서 상기한 자동트립장치(38)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그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를 개방 분리시켜 차단 전류가 한류되게 하는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접촉자를 외부도체와 연결하기 위한 제1의 도체부(47)와, 상기한 가동접촉자(23)와의 접촉부분을 갖고 그 가동접촉자(23)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의 도체부(49)와, 이들 제1도의 도체부(47)와 제2의 도체부(49)에 접속되게 설비되고 가동접촉자(23)의 양측부에 대해서 나란히 위치한 역 U자상으로 된 제3의 도체부(51)로 구성되고, 이와 같이 설비된 고정접촉자의 제2의 도체부(49), 제3의 도체부(51) 및 상기한 가동접촉자(23)를 덮어 씌우게 배치된 자성체(55)를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접촉자중의 제3의 도체부(51)의 중앙부분은 가동접촉자(23)가 개방분리된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 가동접촉자(23)와 대략 같은 높이가 되게 배치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접촉자중의 제3의 도체부(51)가 가동접촉자(23)의 양측부에 대해서 나란히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접촉자중의 제2의 도체부(49)는 가동접촉자(23)가 개방분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비되고 자성체(55)는 이 제2의 도체부(49)의 양 측면을 덮어 씌우게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19860002910A 1985-06-12 1986-04-16 회로 차단기 KR900000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8851 1985-06-12
JP60128851A JPH0658785B2 (ja) 1985-06-12 1985-06-12 回路しや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28A KR870000728A (ko) 1987-02-20
KR900000312B1 true KR900000312B1 (ko) 1990-01-25

Family

ID=1499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910A KR900000312B1 (ko) 1985-06-12 1986-04-16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44307A (ko)
JP (1) JPH0658785B2 (ko)
KR (1) KR90000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023B2 (ja) * 1986-06-25 1995-08-02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装置
CA1310046C (en) * 1986-10-24 1992-11-10 John M. Winter Circuit breaker contact assembly
JPH01157013A (ja) * 1987-12-11 1989-06-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弧装置
US4996507A (en) * 1988-08-01 1991-02-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T quick change assembly and force transmitting spacer
US5184099A (en) * 1991-06-13 1993-02-02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with dual movable contacts
US5583328A (en) * 1992-07-02 1996-12-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igh voltage switch including U-shaped, slitted stationary contact assembly with arc extinguishing/magnetic blowout features
JPH07296707A (ja) * 1994-04-26 1995-11-10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磁気駆動鉄心絶縁装置
DE19629867C2 (de) * 1996-07-24 2003-07-24 Moeller Gmbh Strombegrenzender Leistungsschalter
EP1069584B1 (en) * 1998-12-28 2007-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urrent limiter and circuit breaker with current-limiting function
KR100357205B1 (ko) * 2000-10-28 2002-10-19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US6628185B2 (en) 2001-09-14 2003-09-30 Square D Company Blad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6774749B2 (en) * 2001-09-19 2004-08-10 Square D Company Trip cross bar and trip armatur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6842325B2 (en) 2001-09-19 2005-01-11 Square D Company Flexible circuit adhered to metal frame of device
US6624373B2 (en) 2001-09-19 2003-09-23 Square D Company Arc stack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ITMI20042234A1 (it) * 2004-11-19 2005-02-19 Abb Service Srl Interuttore automatico con cinematismo di sgancio azionato da contatto mobile
US8822866B2 (en) 2010-04-19 2014-09-02 Carling Technologies, Inc. Circuit interrupter with enhanced arc quenching capabilities
CN105047493B (zh) * 2015-09-18 2017-10-03 乐清市乐翔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4446A (ko) * 1972-08-31 1974-04-26
US3815059A (en) * 1972-12-01 1974-06-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comprising electromagnetic opening means
JPS5345256A (en) * 1976-10-05 1978-04-22 Fuji Photo Optical Co Ltd Transmission type wide view hologram for white light reproduction and preparation threr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28A (ko) 1987-02-20
JPH0658785B2 (ja) 1994-08-03
JPS61285627A (ja) 1986-12-16
US4644307A (en) 198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312B1 (ko) 회로 차단기
JP3352750B2 (ja) 配線用遮断器
JPS6243027A (ja) 回路遮断器
CA2364989A1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conductor commutating current out of the bimetal during short circuit interruption and method of commutating current out of bimetal
JP3099690B2 (ja) 回路遮断器
US4739291A (en) Magnetic vacuum circuit breaker
US4748428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er
JP4119650B2 (ja) 回路遮断器
JPS6185742A (ja) 回路しや断器の接触子装置
JP2864727B2 (ja) 反発形回路遮断器の接触子装置
US4849589A (en) Contact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JP2700040B2 (ja) 回路遮断器の限流機構
US5565827A (en)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conducting blow open latch
JP2001093395A (ja) 回路遮断器の接触子装置
JPH0334234A (ja) 回路遮断器
JP2991876B2 (ja) 開閉器
JPH0332029Y2 (ko)
JPS58192235A (ja) 接触子装置
CS201631B3 (en) Automatic current limiting switch
JPH0755795Y2 (ja) 回路しや断器
JPH0311518A (ja) 回路遮断器の接触子装置
JP2927802B2 (ja) 回路遮断器の接触子装置
JPH0142917Y2 (ko)
JPS61161633A (ja) 回路しや断器
JPS5949129A (ja) 回路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