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0621A - 감광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광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0621A
KR890010621A KR1019880016486A KR880016486A KR890010621A KR 890010621 A KR890010621 A KR 890010621A KR 1019880016486 A KR1019880016486 A KR 1019880016486A KR 880016486 A KR880016486 A KR 880016486A KR 890010621 A KR890010621 A KR 890010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composition
group
alkali
soluble resin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31B1 (ko
Inventor
루미코 호리구찌
스지 하야세
야스노부 오니시
도루 우시로구찌
Original Assignee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126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40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2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40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20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613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68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41544A/ja
Application filed by 아오이 죠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아오이 죠이찌
Publication of KR89001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2Photosensitive compositions not covered by the groups G03C1/005 - G03C1/705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5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i-O, Si-C or Si-N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16Diazonium salts or compounds
    • G03F7/0163Non ionic diazonium compounds, e.g. diazosulphonates; Precursors thereof, e.g. triaze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4Chrom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광성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20)

  1.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감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상기 식중, R1및 R2는 탄소수 1-20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1-20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콕시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기,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옥시기,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날리노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또는 R2또는 R1및 R2모두가 실리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알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1.0㎛의 두께를 가진 막으로 형성되었을 때 248nm의 파장을가진 빛에 5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노보락수지, 폴리이소프로페닐, 폴리비닐페놀, 벤젠링 또는 하이드록시기에 도입된 실리콘 함유 알킬기를 가진 폴리비닐페놀 및, 비닐 페놀모노머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1-100중량부의 상기 감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7.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벤젠링에 직접 결합되는기를 가지며 감광제로 사용되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아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1.0㎛의 두께를 가진 막으로 형성되었을 때 빛에 50%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노보락 수지, 폴리 이소프로페닐페놀, 폴리비닐페놀, 벤젠링 또는 하이드록시기에 도입된 실리콘 함유 알킬기를 가지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 비닐페놀 및, 비닐페놀 모노머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조성물이 다음 일반식(Ⅲ)(Ⅳ)(Ⅴ)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상기 식중 R은 수소, 탄소수 1-10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고, m은 1-6 범위의 정수이고, 1 및 n은 0-5 범위의 정수이며 단 1+m+n=6이다.
    상기 식중 R은 수소, 탄소수 1-10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며 : 1,1',m,m',n 및 n'는 0-5 범위의 정수이며 단, 1+m+n=1'+m'+n'=5이고, m+m'≠0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탄소수 1-10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이고, m은 1-5 범위의 정수이며 1 및 m은 0-4 범위의 정수이고, 단, 1+m+n=5이다.
  12. 제7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1-100중량부의 상기 감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3.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4-12개의 탄소원자와로 표시되는 1-4개의 그룹을 가지며 감광제로 사용되는 지방족 화합물 또는 아리사이클릭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아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1.0㎛의 두께를 가지는 막 형태로 되었을 때 248nm의 파장을 가진 빛에 5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노보락 수지, 폴리이소프로페닐, 폴리비닐페놀, 벤젠링 또는 하이드록시기에 도입된 실리콘 함유 알킬기를 가지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비닐페놀 및, 비닐페놀 모노머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1-100중량부의 상기 감광제를 포함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18. 실리콘 함유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 실리콘 함유 나프토 퀴논디아지드, 실리콘 함유 아지드 및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함유 감광성 조성물.
    상기 식중 R1-R4는 수소, 탄소수 1-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아릴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1-50중량부의 감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6486A 1987-12-10 1988-12-10 감광성 조성물 KR910005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2658? 1987-12-10
JP62312658A JPH01154048A (ja) 1987-12-10 1987-12-10 感光性組成物
JP62312657A JPH01154047A (ja) 1987-12-10 1987-12-10 感光性組成物
JP312.658 1987-12-10
JP312.657 1987-12-10
JP??62-312657? 1987-12-10
JP320.414 1987-12-18
JP??62-320414? 1987-12-18
JP62320414A JPH01161336A (ja) 1987-12-18 1987-12-18 ケイ素含有レジスト
JP??63-68387? 1988-03-23
JP63068387A JPH01241544A (ja) 1988-03-23 1988-03-23 感光性組成物
JP68.387 198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621A true KR890010621A (ko) 1989-08-09
KR910005031B1 KR910005031B1 (ko) 1991-07-22

Family

ID=2746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486A KR910005031B1 (ko) 1987-12-10 1988-12-10 감광성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5031B1 (ko)
DE (2) DE3841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0735A1 (de) * 1989-01-12 1990-07-26 Hoechst Ag Neue mehrfunktionelle (alpha)-diazo-(beta)-keto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KR950011927B1 (ko) * 1989-12-07 1995-10-1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감광성 조성물 및 수지봉지형 반도체장치
DE4014648A1 (de) * 1990-05-08 1991-11-14 Hoechst Ag Positiv arbeitendes strahlungsempfindiches gemisch und strahlungs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fuer die belichtung mit duv-strahlung
DE4014649A1 (de) * 1990-05-08 1991-11-14 Hoechst Ag Neue mehrfunktionelle verbindungen mit (alpha)-diazo-ss-ketoester- und sulfonsaeureester-einhei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EP0552548B1 (en) * 1991-12-16 1997-03-19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Resist material
JP2007246417A (ja) * 2006-03-14 2007-09-27 Canon Inc 感光性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表面修飾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4916A (nl) * 1969-11-11 1971-02-17 Agfa Gevaert Nv Fotopolymerisatie van ethylenisch onverzadigde organische verbindingen
US4624909A (en) * 1984-04-27 1986-11-25 Nec Corporation Silicon-containing novolak resin and resist material and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same
US4521274A (en) * 1984-05-24 1985-06-04 At&T Bell Laboratories Bilevel resist
DD241795A1 (de) * 1985-10-21 1986-12-24 Univ Berlin Humboldt Uv-empfindlicher, negativ arbeitender, siliciumhaltiger photokopierl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44739C2 (de) 1995-09-07
DE3841571A1 (de) 1989-06-29
KR910005031B1 (ko) 199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2545A (ko) 자외선 흡수에 유용한 도료
KR930004807A (ko) 개선된 해상력 및 감소된 결정화 경향을 갖는 포지티브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및 신규 테트라(히드록시페닐)알칸
KR880011127A (ko) 비닐실릴알콕시 아릴베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uv 흡수조성물
KR920004516A (ko) 박리 조절성 첨가제로서의 에폭시 관능화 실록산 수지 공중합체
NZ510810A (en) Photocurable siloxane polymers
KR900014516A (ko)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930010622A (ko) 네가티브형 레지스터 조성물
KR960038480A (ko) 화학적으로 증폭된 포지티브형 레지스터 조성물
KR9100120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40018701A (ko)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880011623A (ko) 감광 조성물
KR890010621A (ko) 감광성 조성물
KR920001243A (ko) 포지티브 감 방사선성 레지스트 조성물
KR920015158A (ko)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940020174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전자 부품용 보호막
KR920000010A (ko) 방사선-감작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900002125A (ko) 내식막 조성물
KR920702890A (ko)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910020496A (ko)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930022147A (ko) 네가티브형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KR900014446A (ko) 고경도 투명수지 및 신규중합성단량체
KR930020225A (ko)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KR920020260A (ko)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KR930004806A (ko)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960034308A (ko) 불활성 블록킹 그룹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