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997A -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997A
KR890008997A KR1019880015185A KR880015185A KR890008997A KR 890008997 A KR890008997 A KR 890008997A KR 1019880015185 A KR1019880015185 A KR 1019880015185A KR 880015185 A KR880015185 A KR 880015185A KR 890008997 A KR890008997 A KR 89000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substrate
dopant
reg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 모셔 댄
알.트로골로 조우
Original Assignee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라이스 머레트,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라이스 머레트
Publication of KR89000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5Later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04Emitte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3Anode or cathode regions of thyristors or gated bipolar-mode devices
    • H01L29/0839Cathode regions of thyr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절차의 여러가지 단계로 구성되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Claims (29)

  1.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부 표면을 갖고 있는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내에 형성된 제1트렌치,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기 제1트렌치내의 에미터 영역, 반대 전도성 형태의 상기 제1트렌치를 포위하는 상기 기판내의 베이스 영역, 상기 베이스 영역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기 기판내의 콜렉터 영역, 및 상기 각각의 에미터, 베이스 및 콜렉터 영역에의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으로서 반대 전도성 형태의 에피택셜 층을 위에 포함하고, 상기 에피택셜 층이 상기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트렌치내의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트렌치내의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의 제2트렌치로 구성되고,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의 제2트렌치로 구성되고,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의 제2트렌치로 구성되고,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의 제2트렌치로 구성되고, 상기 콜렉터 영역이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이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14.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부 표면을 갖고 있는 반도체 기판, 및 상기 기판내의 다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각각의 트랜지스터가, 상기 기판내에 형성된 제1트렌치,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기 제1트렌치내의 에미터 영역, 반대 전도성 형태의 상기 제1트렌치를 둘러싸는 상기 기판내의 베이스 영역, 상기 베이스 영역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기 기판내의 콜렉터 영역, 및 상기 각각의 에미터 , 베이스 및 콜렉터 영역에의 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기판과 반대 전도성 형태의 에피택셜층을 위에 포함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이 상기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이 상기 제1트렌치의 측벽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트렌치내에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제1트렌치내에 선정된 형태의 전도성으로 도프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19. 내부에 형성된 트렌치를 갖고 있는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기판, 상기 트렌치내에 배치된 전자 방출 및 제어 영역을 갖고 있는상기 기판내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의 전자 집중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0.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상부 표면을 갖고 있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내에 반대 전도성 형태의 얕은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얕은 영역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기판내에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트렌치로 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기판내에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상기 기판과 반대 전도성 형태의 에피택셜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기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에미터 영역 형성 단계가 반대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상기 트렌치내에 피착하고 그 다음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상기 트렌치내에 피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마지막으로 언급된 도팬트를 피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트렌치를 채우고 상기 도팬트가 상기 폴리실리콘으로 부터 상기 트렌치의 측벽내로 확산할 수 있게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가 제2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상기 트렌치내로 피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팬트를 상기 제2트렌치내에 피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제2트렌치를 채우고 상기 도팬트가 상기 폴리실로콘으로 부터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가 제2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상기 트렌치내로 피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도팬트를 상기 제2트렌치내에 피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제2트렌치를 채우고 상기 도팬트가 상기 폴리실로콘으로 부터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가 제2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상기 트렌치내로 피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팬트를 상기 제2트렌치내에 피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정된 전도성 형태의 도팬트를 포함하는 폴리실리콘으로 상기 제2트렌치를 채우고 상기 도팬트가 상기 폴리실로콘으로 부터 상기 제2트렌치의 측벽내로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5185A 1987-11-19 1988-11-18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890008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0487A 1987-11-19 1987-11-19
US121,204 1987-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97A true KR890008997A (ko) 1989-07-13

Family

ID=2239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185A KR890008997A (ko) 1987-11-19 1988-11-18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16562A3 (ko)
JP (1) JPH021937A (ko)
KR (1) KR8900089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538A (en) * 1988-12-28 1991-03-19 Synergy Semiconductor Corporation Bipolar sink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CN108511340A (zh) * 2018-03-27 2018-09-07 刘自奇 一种横向晶体管及其制作方法
CN109087942A (zh) * 2018-08-23 2018-12-25 盛世瑶兰(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沟槽型三极管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966A (en) * 1968-09-18 1973-10-02 Gen Electric Method of fabricating high emitter efficiency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base resistance by selective diffusion of base impurities
JPS51134074A (en) * 1975-05-15 1976-11-20 Fujitsu Ltd Method to manufacture the semiconductor unit
GB2180693B (en) * 1983-07-06 1987-12-02 Stc Plc Semiconductor structures
DE3586341T2 (de) * 1984-02-03 1993-02-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Bipolartransistor mit in schlitzen gebildeten aktiven ele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37A (ja) 1990-01-08
EP0316562A3 (en) 1989-08-09
EP0316562A2 (en) 198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434A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970013321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00004031A (ko)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880014679A (ko) 샐로우 npn 에미터 및 mosfet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기 위한 bicmos 방법
KR900013642A (ko) Bicmos 프로세스내에 에미터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910019143A (ko) 고성능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870006673A (ko) 자기정열된 쌍극성트랜지스터 구조의 제조공정
KR920001655A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용 자기정렬된 콜렉터 구조 및 이를 주입하는 방법
KR880003438A (ko) 폴리실리콘 리본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US4902633A (en) Process for making a bipolar integrated circuit
KR910007162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890012359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890011104A (ko) 두꺼운 산화물 하부에 트랜지스터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920003508A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970054357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890005882A (ko) 수직 반도체 소자
KR890008997A (ko) 트렌치내에 베이스 및 에미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US4721682A (en) Isolation and substrate connection for a bipolar integrated circuit
KR910019205A (ko) 저 저항성 규소화 기판 접점
US5001538A (en) Bipolar sink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orming same
KR970003934A (ko) BiCMOS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188971A (en) Process for making a self-aligned bipolar sinker structure
KR950021533A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900001036A (ko) 분리식 수직형 바이폴라 및 jfet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처리 공정
KR890013792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