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30B1 - 세탁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4730B1 KR890004730B1 KR1019850003380A KR850003380A KR890004730B1 KR 890004730 B1 KR890004730 B1 KR 890004730B1 KR 1019850003380 A KR1019850003380 A KR 1019850003380A KR 850003380 A KR850003380 A KR 850003380A KR 890004730 B1 KR890004730 B1 KR 8900047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me
- water level
- pressure sensor
- tank
- inner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제2도는 반도체 압력 센서의 구성도.
제3도는 반도체 압력센서와 정 전류회로의 관계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블록회로도.
제5도는 반도체 압력센서의 수위에 대한 출력특성도.
제6도는 온도 보상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의 제5도 상당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상이한 수온에서의 급수공정을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
제8도는 씻는 공정과 헹그는 공정시에 있어서의 반도체 압력센서의 시간에 대한 출력특성도.
제9도는 씻는 공정과 헹그는 공정을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9도 상당도.
제11(a)도는 탈수공정시에 있어서의 반도체 압력센서의 시간에 대한 출력특성도.
제11(b)도는 마찬가지로 시간에 대한 구동모우터의 회전수의 특성도.
제12도는 탈수공정을 표시하는 플로우 챠아트.
제13도는 브레이트장치의 단면도.
제14도는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플로우 챠아트.
제15(a)도 및 제15(b)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
제16도는 제4도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
제17도는 제 5도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조 4 : 내조(세탁 겸 탈수조)
5, 5a : 탈수공 8 : 구동모우터
10 : 반도체 압력센서
본 발명은 세탁기의 씻는 공정과 헹그는 공정 및 탈수공정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계한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처음에 코오스를 설정하면 스위나 세탁물의 양(부하량)에 관계없이 씻거나 혹은 헹그는 시간이 일정하다. 또한 특공소 55-24914호 공보등에도 표시되어 있듯이, 회전익의 반전사이클도 일정하다.
그러나 세탁물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물이 이동하기 힘들기 때문에 세정력이 저하하기 대문에 가령 최대 부하일 때에 충분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해 두면 세탁물이 적은 경우에는 세탁물의 이동이 심해지고 옷감의 손상과 물의 튀어나옴등이 발생한다.
즉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세정력과 헹금성능에 차가 생기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실공소 55-19261호 공보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전자동세탁기의 탈수공정은 일정시간 탈수조를 회전시킨후 구동모우터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더욱 브레이크 소리의 저하 및 각부의 기계의 보호를 위하여 잠깐 타성회전시켜서 회전속도가 저하하고 나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탈수조의 회전시간 및 타성회전의 시간은 세탁물의 양과 함수량이 많을수록 길게 설정하지 않으면 않되고 가령 최소부하시에 적절한 탈수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시간을 설정하면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그 만큼 탈수효율이 열화하는데다. 타성회전속도의 저하가 불충분한 때에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높은 브레이크 소리를 낸다.
또한 반대로 최대부하에 대응하는 시간을 설정하면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 탈수를 지나치게 하여 옷감의 손상이나 주름이 생기는 데에 시간을 낭비한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과 함수량에 상응하는 빨래 헹굼 또는 탈수를 자동적으로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수위검지수단으로부터의, 변동검지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모우터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하고, 또한 이 절환한 회수에 의하여 세탁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탈수 개시시부터 외조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반도체 압력센서의 출력변화가 대략 일정하게 되기 까지의 시간 T를 계수하고, 이시간 T의 소정배의 시간을 구동모우터의 작동시간으로 한 것이다.
또한 구동모우터로의 통전차단후 전술한 시간 T의 소정배의 시간 경과후에 제동을 거는 것이다.
즉, 세탁물의 양과 함수량에 따라서 변동하는 수위에 대응하여 회전익의 회전을 제어하고, 또한 구동모우터의 동작이 절환된 회수가 소정의 회수에 도달하면 빨래공정과 헴굼공정을 끝내는 것이다.
또한 탈수시에 있어서 세탁물의 양과 함수량에 상응한 시간을 구동모우터의 작동시간 및 제동전의 타성회전시간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각 도면에서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1)은 세탁기의 기틀, (2)는 기틀, (1)안에 설치되고 저부에 배수공(3)을 가지는 외조이고, (4)는 외조(2)내에 설치되고 구위 및 저부에 다수의 탈수공(5)(5a)을 가지는 내조이고 (6)은, 내조(4)의 개구부에 취부한 밸란스 링(balance ring)이고, (7)은 마찬가지로 내조(4)의 저부에 축지한 회전익이고, (8)은 구동모우터이고, (9)는 구동모우터(8)의 회전을 전달통제하는 클러치 장치를 내장한 베어링케이스이다.
전술한 구동모무터(8)는 세탁시에는 회전익(7)을 감속기를 개재하여 회전시키고 탈수시에는 내조(4)까지도 회전시킨다. (10)은 외조(2)의 하부측벽에 취부한 한쌍의 전극이고, (11)은 배수공(3)에 배수전자 밸브(12)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배수호오스이고, (13)은 급수전자밸브(14)를 가지며 내조(4)내에 급수를 하는 급수파이프이고, (15)는 외조(2)의 저부 일각에 설치되고 조내의 수위에 상응하여 내부의 공기압을 변화시키는 에어트랩이고, (16)은 후술하는 반도체 압력센서이고, (17)은 에어트랩(15)과 압력센서(16)하고를 접속하는 압력호오스이다.
여기서 제2도는 전술한 압력센서(16)의 구조를 표시한다.
해더(header)(18)에 다이어프램부가 되는 시리콘 펠렛(19)이 접속되고 외측에는 압력호오스(17)가 접속된 압력도입관(20)을 가지는 캡(21)이 용착되어 있다.
시리콘펠렛(19)의 다이어프램부에는 네개의 피에조확산 저항 (22)-(25)이 설치되어 있다.
압력도입관(20)으로부터 에어트랩(15)내의 압력이 도입되면 다이어프램부가 변형하고, 페어조확산저항 (22)-(25)의 저항치가 변화한다. 피에조확산저항 (22)-(25)를 제 3도처럼 브릿지결합함으로서 그 저항치의 변화를 감도 좋게 전압변화로 변경하여 출력단자(26)(26')로부터 취출한다.
제3도에서(27)은 정 전류회로이고 브릿지에 1.5(mA)의 정전류를 공급한다. 외부저항(28)(29)(30)은 압력센서(16)의 온도보상 및 감도, 그리고 영 점의 조정용이다.
압력센서(16)의 출력전압은 제5도처럼 내조(4)의 수위에 비례한다. 제2도에서 (31)은 접착제이고, (32)는 절연재이고, (33)은 도선이고, (34)는 6개의 리이드 단자이고, 제3도의 포인트(P)에 상당한다.
제4도는 제어장치의 블록회로도를 표시하고 본 실시예의 세탁기의 제어는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의하여 실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5)에는 스타-트 버튼(button)(36)과 수위설정버튼(37)로 부터의 정보와, 압력센서(16)와 전극(10)으로 부터의 정보가 또는 후술하지만, 수위 변동에 따르는 압력센서(16)의 출력변동치의 설정버튼(38)과 구동모우터(8)의 반전 회수 N의 설정버튼(39)을 별도로 설치했다면 이들 정보도 입력되고 이 정보를 판단하여 구동모우터(8) 급수전자밸브(14), 배수전자밸브(12) 브레이크장치(40) 버저회로(41) LED표시장치(42)등을 제어한다. 도면에서 (35a) 및 (35b)는 계면을 표시한다.
급수공정으로부터 순서대로 설명을 하면 우선 제5도는 수위에 대한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특성이다.
즉 도면과 같이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전압은 수위에 비례한다. 여기서 출력전압을 y수위를 x로하면 이 출력특성은 식 y=ax+b로 표시할수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전극(10)을 취부한 위치 즉 외조(2)의 저부로부터 전극(10)까지의 높이 h (정수) 또한 급수 완료시의 수위 Ho=nh를 입력해 둔다.
즉 고수위일때는 n=n1 저수위일때는 n=n2(n1>n2)의 식으로 미리 n을 설정해 둔다.
그리고 급수를 개시한다. 그리하면 우선 순위가 영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AI 볼트)을 입력하고 그 후에 수위가 h로 되면 전술한 전국(10)이 물을 매체에 도통시키기 때문에 이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A2)(볼트)을 입력한다.
따라서 A1,A2가 결정되기 때문에 전술한 출력특성의 식은이 되고, 더우기 X=Ho=n .h를 대입하면 순위 Ho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y1를 구할수 있다. 환언하자면,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y1이된 시점에서 급수를 정지한다.
또한 반도체 압력센서(16)는 온도보상을 실시하지 않으면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온도(T1-T4)에 의하여 그 출력특성이 평행이동한다.
그러나 전술한 수위설정의 수단은 직선상의 두 점을 검지하여 설정치를 산출하는 것이고, 외부 공기의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특성이 직선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위 설정에는 지장이 없다. 예컨데 온도(T2)일때는으로 구할수 있다.
즉,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위설정의 수단에 관하여는 온도보상등을 위한 외부저항(28)-(30)을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이다. 단, 반도체 압력센서(16)의 감도에 따라서는 외부저항(29)을 설치하여 감도조정을 실시한다.
상술한것을 제7(a)도의 플로우 챠아트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온도(T1)의 경우)
우선 세탁을 고수위에서 하는가 혹은 저수위에서 하는가를 결정하여 셀렉트스위치등을 조작하고 정수 n을 설정입력한다.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수위가 영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초기전압(A1)볼트을 입력한후 급수전자 밸브(14)를 개방한다. 그러면 내조(4) 및 외조(2)내에 급수가 개시되고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수위가 h로 되고 전극(10)이 도통되었을때의 압력센서(16)의 출력(A2)볼트를 입력한후에 Ho=n ×h 및을 계산한다.
그리고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y1이 되면 급수전자밸브(14)를 폐쇄하여 급수를 멈춘다.
제7(a)도에 표시하는 온도(T2)의 경우도 동일하고, 또한 온도(T3)(T4)의 경우도 동일하다.
급수가 끝나면 세탁, 헹굼 공정으로 옮겨간다.
다음은 세탁, 헹굼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 있어서 급수완료직후의 수위 Ho에 대하여 출력을 y1으로 하고 이 출력 y1은 미리 입력되어 있다.
그런데 급수완료후 세탁 혹은 헹굼을 실시하기 위하여 회전익(7)을 t1초간 ON, t2 초간 OFF의 주기로 반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익(7)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펌프작용에 의하여 내조(4)-외조(2)사이의 물이 탈소공(5a)으로부터 내조(4)내에 흡입되고 내조(4)-외조(2)사이의 수위가 일시적으로 저하하고,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도 감소한다.
여기서 미리 출력의 감소분을 설정치 11으로 하여 입력하여둔다. 회전익(7)이 정지하면 내조내에 흡입되어 있었던 물이 탈수공(5)(5a)로부터 유출하고 그 반동으로 다시 내조(4)-외조(2)사이의 수위가 상승하고 반도체 입력센서(16)의 출력도 증가한다. 여기서 미리 이 출력의 증가분을 설정치 12로서 입력해둔다.
이와같이 세탁. 헹그기는 회전익(7)을 ON-OFF 시켜서 행하는 셈이지만, 이들 세탁. 헹그기 공정시간을 회전익(7)이 ON-OFF하는 반전회수에 따라 결정한다.
즉, 회전익(7)구동모우터(8)의 ON의 신호를 세는 계수회로를 설치하고, 회수가 N로 되면 다음의 공정으로 이행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하여, 제8도 및 제9도에 입각하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정수위 Ho(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 y1)까지 급수를 행하면 (도중에서 C기간임)구동모우터(8)로 통전되고, 회전익(7)이 회전한다. (세탁할 때는 세제 투입후이다) 그러면 내조(4)-외조(2)사이의 수위가 저술한 바와같이 저하하기 시작하고, 그에 따라서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때에 구동모우터(8)는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y1보다 설정치 11만큼 감소하던가 혹은 구동모우터(8)의 ON시간인 t1초 동안 경과할때까지 ON상태를 지속한다.
이중의 어느한 조건이 충족되었을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을 MLn(n=1.2...n)로 하고, 이 MLn을 입력한후 구동모우터(8)을 OFF상태로 한다.
회전익(7)이 정지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증가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때에 구동모우터(8)은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MLn보다 설정치 12만큼 증가하던가 혹은 구동모우터(8)의 OFF시간인 t2초 동안 경과하기까지 OFF 상태를 지속한다. 이중 어느한가지 조건이 충족됐을 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을 MHn(n=1.2...N-1으로 하고, 이 MHn를 입력한후 구동모우터(8)를 다시 ON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MHn에서 12만큼 감소하던가 혹은 시간 t2가 경과하기까지 ON상태를 지속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구동모우터(8)가 ON.OFF를 반복한후 구동모우터(8)의 ON의 신호가 N회 계수되면 구동모우터(8)를 정지하고, 배수전자밸브(12)를 열어서 배수공정으로 옮겨진다. 일반적으로 세탁을 할때는 부하(세탁물)가 클수록 구동모우터(8)를 장시간 ON으로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변화하는 내조(4)-외조(2)사이의 수위를 반도체 압력센서(16)에 의하여 검지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양에 적합한 세탁시간을 자동적으로 억제할수 있다.
즉, 예컨데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저항이 적기때문에 회전익(7)의 회전이 빠르고, 내조(4)-외조(2)사이의 수위의 저하가 빠르다. 따라서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11 (혹은 12)만큼 감소하는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구동모우터의 ON상태가 짧아진다.
이와같이 부하량에 따라서 구동모우터(8)의 반전시간을 제어할수 있기 때문에 반전시간이 일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하량이 많은 경우는 세탁물의 움직임이 나빠지기 때문에 그 만큼 구동모우터(8)의 ON시간을 길게하여 세탁성능을 유지하고, 부하량이 적은 경우는 세탁물의 움직임이 좋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구동모우터(8)의 ON시간을 단축하여 세탁물의 옷감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세탁. 헹그기 시간이 일정하면 이 일정시간내에서 구동모우터(8)의 반전시간이 부하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결과로서 세탁성능에 차이가 생긴다. 예로서, 표1에 부하량이 3Kg와 1㎏에서 세탁을 10분간 실시했을 때의 실험결과를 표시한다.
[표 1]
표중의 10분간에서의 세탁영향을 끼치는 반전회수 및 부하 1㎏에 대한 회전회수를 비교해도 알다시피 세탁시간이 일정하면 명백히 부하가 적은 폭이 세탁성능이 높다.
환언하자면 세탁시간을 일정하게 하면 부하량에 의하여 세탁성능이 달라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량이 변화하더라도 세탁성능을 동일하게 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이 부하량에 상응하여 회전익(7)의 반전시간이 변화하지만 반전 1회당의 세탁성능은 동일하다. 따라서 시간과 바뀌서 반전회수를 계수하기 때문에 소량의 세탁물은 단시간에서 대량의 세탁물은 비교적 긴 시간 세탁하고 여하한 부하량에서도 동일한 세탁성능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설정치 11,12는 물튀김등이 발생하지 않는 치로 하고, 구동모우터(8)의 최장 ON,OFF시간 t1 및 t2는 부하(세탁)량이 많더라고 충분히 세정할수 있는 치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반전회수 N는 구동모우터(8)의 OFF의 신호를 계수해도 좋고, 요컨대 반전회수 N을 계수하는 것이면 된다. 나아가서 11,12,t1, t2 및 N는 수위와 세조, 모아서 헹그기, 물부어 헹그기등의 각 공정에 따라서 정수배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11,12를 설정했지만 따로 12를 설정하지 않고 제10도의 플로우챠아트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구동모우터(8)의 OFF시간을 일정(t초)시켜도 무방하다.
나아가서 본 실시예외도 예컨데는 아래에 기술하는 실시예를 생각할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외에도 예컨데 아래에 기술하는 실시예를 고려할수 있다.
제2실시예를 제14도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수위시에 있어서는 소량 및 부하량이 많고 이 부하량에 대하여 충분한 세정력을 얻기 위하여 설정치 11,12를 큰치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저수위시에 있어서는 수량, 부하량 공히 적고 회전익(7)이 회전하기 쉬운 상태에 있고, 전술한 바와같이 고수위시와 마찬가지로 설정치11,12를 사용한다면은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되거나 휘감겨지게 된다.
그래서 표-2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수위설정 버큰(37)에 의한 수위설정(고,중,저)에 대응하여 설정치 1a(첫번재의 수위 변동출력) 1b(두번째 이후의 수위 변동출력) 및 반전회수 Nn를 정한다.
[표 2]
즉 수위가 높아질수록 전술한 1a, 1b, Nn의 치를 크게하고 설정수위에 대응한 1a, 1b, Nn 를 사용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다음은 제3실시예를 제15도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설정치 11 및 12는 세탁물에 대하여 적합한 세정을 실시할수 있는 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고 규정시간 t내에 설정치11 또는 12의 변동이 없다는 것은 부하가 너무 많다. 구동모우터(8)의 회전을 전달하는 벨트가 슬립하고 있다. 이물에 의하여 회전익(7)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할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우터(8)이 ON, OFF를 반복하고 있어도, 세정력이 저하하는 것뿐이 아니고, 구동모우터(8)가 과열하고 소손되는 사태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구동모우터(8)의 ON시간 t1초내에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설정치 12만큼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t1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구동모우터를 정지하고 일정량의 물을 보급한후에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예컨대 yo 증가할때까지)다시 구동모우터를 ON으로 한다. 이때에 변함없이 t1초내에 출력이 설정치12만큼 감소하지 않으면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이상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모우터(8)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버저를 명동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도중에서 점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수위가 최공 수위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그 이상물을 보급하더라도 소용이 없기 때문에, 물을 보급하지 않고 바로 구동모우터(8)를 정지하고, 버저를 명동시켜도 좋다. 마지막으로 제4 및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물과 온수 여름과 겨울, 그리고 지역등에 따라서 20℃정도의 수온의 차가 생기고 수온이 높을수록 세정력은 높아진다. 그런데 매번 같은 조건(설정치 11,12, 반전회수N등)에서 세탁을 하고 있었다면 세정력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온도보상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반도체 압력센서(16)가 제6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특성을 표시하는 것을 이용하고, 온도에 따라서 반전회수 N을 변화시킨다.
즉, 표-3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미리 온도 T1,T2(T1 T2)에 있어서의 수위가 영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 A1,B1수위가 h (전극 도통시에 있어서의)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 A2,B2를 규정해둔다.
[표 3]
이하 제16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수위가 영일때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 D1급수개시후 전극(10)도통시의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 D2을 측정하면, 마이크로컴퓨터(35)는 이출력D2를 전술한 A2,B2,C2와 비교하고, 표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우터(8)이 반전회수 N1, N2, N3를 설정한다. 여기서 D2<A2인 경우와 B2<D2인 경우에는 전자가 수온이 낮기 때문에 수온이 낮음에 의한 세정력의 저하를 반전회수 Nn 를 증가하는 것으로서 보완하고 있다. 즉 N1>N2>N3의 관계로 하고 있다. 그리고 D1, D2 압력센서(16)의 특성식으로부터 전술한 바와같이 급수제어를 실시하고 그후에 설정한 반전회수 Nn 에 입각하여 세탁공정을 제어한다.
또한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미리 표3에 있어서의 T1, A1,A2 및 반전회수 N만을 규정하여 두고, 예컨데 전술한 출력 D1,D2가 온도 To일때에 측정됐다고 하면, 이때의 반전회수 No로서, 규정치 A1과 출력 D1과의 차를 정수 Ko배하여 규정치 N에 추가한 차를 사용한다. 즉 No=N+Ko (A1-D1)을 설정한다.
그렇게 하면 T1>To 일때에는 A1- D1은 정의치가 되고 T1<To 일때에는 반대로 No<N로 된다. 따라서 수온이 낮을 수록 반전회수를 증가시킬수 있는 동시에 반전회수 No를 무단계로 설정할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4 및 제5실시예는 반도체 압력센서(16)에 온도보상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기에 소비되는 시간과 수고를 생략할수 있다.
다음은 배수후의 탈수공정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2도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 혹은 헹그기 공정 (도중 D기간)이 끝나면, 배수공정이 시작된다.
배수가 진행함에 따라서 수위가 저하하기 때문에 에어트랩(15)내의 공기 압이 감소하고,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도 감소한다(도중 E기간) 수위가 규정치 R까지 저하하면 마이크로 컴퓨터(35)가 구동모우터(8)에 신호를 보내고, 구동모우터(8)을 ON시키고 내조(4)를 회전시킴으로서 탈수를 개시한다.
탈수개시직후는 아직 조내에 물이 남아 있기 때문에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은 변동하지만(도중에서 F기간), 수위가 거이 영이되고 구동모우터(8)의 회전이 정상상태로 되면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이 거이 일정치를 표시한다. (도중에서 G기간).
여기서 말하는 일정치라 함은 출력의 변화율이 일정하게 될때에 예컨데 변화율 Z=dv/dt 가 극히 미소한치로 되는 것을 표시하며 마이크로 컴퓨터(35)는 구동모우터(8)가 ON되고 나서 반도체 압력센서(16)의 출력의 변화율이 일정해질때까지의 시간 (도중에서F기간)T를 계수하고 이것을 K1배하여 시간 (T+K21. T)만큼 구동모우터(8)을 ON시킨다(도중에서 F+G 기간).
그리고 시간 (T+K1 T)가 경과하면 다시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전술한 시간 T를 정수 K2배하여 시간 K2. T만큼 구동모우터(8)를 OFF시킨후(도중에서 J기간), 배수전자밸브(12)를 폐쇄하는 동시에 브레이크를 건다.
제13도에 전술한 브레이크의 장치를 표시한다.
(43)은 배수전자 밸브(12)와 연동하는 브레이크레버이고, 브레이크 조작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위치하고, 이 브레이크레버(43)의 구멍(44)에 받음그릇(45)를 걸친다.이 받음그릇(45)은 베어링케이스(9)안에서 탈수축(46)에 고정한 브레이크 휘일(47)에 브레이크라이닝(48)을 개재하여 감겨있고, 탈수중에는 연동회전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조작시에 브레이크레버(43)가 돌출했을때의 구멍(44)에 걸리고, 브레이크라이닝(48)에 의하여 브레이크 휘일(47)을 조이고, 그 마찰에 의하여 제동을 건다.
일반적으로 탈수를 실시하는 경우 부하량(세탁물)이 많을 수록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함수량)도 많기 때문에 장시간의 탈수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시간 T가 탈수시에 세탁물로부터 방출되는 물에 의하여 반도체 압력센서(16)가 변동하는 시간이고, 부하량이 많을 수록 즉 함수량이 많을수록 길어지는 점에 착안하고, 이시간 T를 정수배한 시간을 탈수시간으로 하였기 때문에 부하량에 대응한 탈수를 실시할수 있다.
또한 구동모우터(8)이 OFF된 후의 내조(4)의 타성회전력도 부하량이 많을수록 강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시간 T를 정수배한 시간만큼 타성회전시키고, 그후에 제동을 건다.
즉 부하량의 다소에 불구하고 타성회전이 저속회전수로 될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브레이크 조작음을 일정화하는 동 브레이크를 적절히 작동시킬수 있다.
상술한 일연의 공정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세탁물의 양에 알맞은 세탁 헹그기. 탈수를 완전히 자동적으로 실시할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익의 정지시와 회전시에 있어서의 외조내의 수위의 변동이 세탁물의 양이 많을수록 규정치에 도달하는 시간이 늦은 점을 이용하고,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회전익의 정지시간 혹은 회전시간을 자동적으로 제어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양이 많을 경우는 충분한 세정력을 얻을 때까지 씻는다. 또는 헹근다는 것이다.
또한 세탁 및 헹그기를 시간으로 제어하지 않고 회전익의 반전회수로 제어했기 때문에, 세탁물의 양에 상응하는 세탁. 헹그기 시간을 자동적으로 제어할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과 함수량등의 부하량이 적은 경우에는 단시간으로 탈수를 실시하고, 부하량이 많은 경우에는 비교적 시간을 걸어서 탈수를 실시한다는 식의 작업을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구동모우터 정지후의 탈수조의 타성회전에 관해서도 부하량이 적은 경우는 타성회전의 관성력이 약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빨리 제동을 걸고, 부하량이 많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전술한 관성력이 약해질때까지 기다렸다가 제동을 건다.
즉 부하량이 적은 경우에는 시간을 단축할수 있고, 많은 경우에는 전술한 관성력이 여전히 강할때에 제동을 거는 것에 비하여 제동음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제동시의 충격에 의한 주변기계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수가 있다.
Claims (6)
- 세탁기의 기틀과 이 기틀에 내설된 외조와, 이 외조에 내설되고 주위에 탈수공을 가지는 내조와, 이 내조의 저부에 축지된 회전익과 이 회전익을 간헐 회전시에는 구동모우터와 전술한 외조내의 수위의 변동을 검지하는 수위검지 수단을 비치하고, 전술한 구동모우터는 전술한 수위검지수단의 변동검지수단에 상응하여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 세탁기의 기틀과 이 기틀레 내설된 외조와, 이 외조에 내설되고 주위에 탈수공을 가지는 내조와 이 내조의 저부에 축지된 회전익과, 이회전익을 간헐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와 전술한 외조내의 수위의 변동을 검지하는 수위검지수단을 비치하고, 전술한 구동모우터는 전술한 수위검지수단의 변동검지신호에 상응하여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하고, 더우기 절환한 회수에 따라 세탁시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구동모우터는 전술한 변동검지신호가 기정의 설정치에 도달했을 경우에 전술한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를 절환하고, 전술한 설정치 또는 상태절환의 회수를 설정수위에 상응하여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 제1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변동검지신호가 소정시간내에 있어서 전술한 설정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 전술한 각 조내에 소정시간급수를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 탈수공을 가지는 내조와 이 탈수조를 내설하는 외조와, 전술한 내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와 전술한 외조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반도체 압력센서와 탈수 개시시부터 전술한 반도체 압력센서의 출력변화가 대략 일정하게 되기까지의 시간 T를 계수하는 수단을 비치하고 전술한 시간 T의 소정배의 시간을 구동모우터의 작동시간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 탈수공을 가지는 내조와, 이 탈수조를 내설하는 외조와, 전술한 내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와, 전술한 외조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반도체 압력센서와, 탈수 개시시부터 전술한 반도체 압력 센서의 출력변화가 대체로 일정하게 되기까지의 시간 T를 계수하는 수단을 비치하고, 전술한 구동모우터의 통전 차단후에 전술한 시간 T의 소정배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동을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9100824A JPS60242882A (ja) | 1984-05-18 | 1984-05-18 | 洗濯機 |
JP59-100824 | 1984-05-18 | ||
JP100825 | 1984-05-18 | ||
JP59100825A JPS60242896A (ja) | 1984-05-18 | 1984-05-18 | 脱水機の制御装置 |
JP100824 | 1984-05-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8510A KR850008510A (ko) | 1985-12-18 |
KR890004730B1 true KR890004730B1 (ko) | 1989-11-25 |
Family
ID=2644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3380A KR890004730B1 (ko) | 1984-05-18 | 1985-05-17 | 세탁기의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4662193A (ko) |
KR (1) | KR8900047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223460A (en) * | 1988-02-09 | 1993-01-27 | Fisher & Paykel | Flow control system for two liquids entering a mixing chamber to maintain a desired temperature |
ES2056341T3 (es) * | 1989-11-22 | 1994-10-01 | Zanussi A Spa Industrie | Lavadora automatica del tipo de tambor rotativo. |
US5005383A (en) * | 1990-02-12 | 1991-04-09 | Raytheon Company | Washing machine motor with high rotor resistance |
IT1259201B (it) * | 1992-01-28 | 1996-03-11 | Zanussi Elettrodomestici |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 fase di centrifugazione per macchina lavatrice di biancheria |
GB9325017D0 (en) * | 1993-12-07 | 1994-02-02 | Heber Ltd | Washing machines |
SE508291C2 (sv) * | 1997-01-20 | 1998-09-21 | Electrolux Ab | Tvättmaskin med bottenventil och nivåavkänningsorgan |
JP3696398B2 (ja) * | 1997-04-28 | 2005-09-14 | Ntn株式会社 | 静圧磁気複合軸受およびスピンドル装置 |
TW409738U (en) * | 1999-04-08 | 2000-10-21 | Lu Mau Wen | Washing machine of which the water level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
KR100415818B1 (ko) * | 2001-05-16 | 2004-0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US6609264B2 (en) | 2001-09-21 | 2003-08-26 | Maytag Corporation | Pump cycling control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
US7000278B2 (en) * | 2002-07-23 | 2006-02-21 | Maytag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d of cycle signal for laundry appliance |
US7370495B2 (en) * | 2003-06-20 | 2008-05-13 | General Electric Company | Clothes wash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US7930787B2 (en) * | 2008-03-31 | 2011-04-26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and/or setting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
US7930786B2 (en) * | 2008-03-31 | 2011-04-26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and/or setting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
US8245342B2 (en) * | 2008-07-30 | 2012-08-21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in a washing machine |
KR101487534B1 (ko) * | 2008-09-12 | 2015-0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
WO2011080225A2 (en) * | 2009-12-31 | 2011-07-07 | Arcelik Anonim Sirketi | A washing machine |
KR20120089098A (ko) * | 2011-02-01 | 2012-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US9758918B2 (en) * | 2012-09-28 | 2017-09-12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Washing machine |
US10066333B2 (en) * | 2014-02-21 | 2018-09-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
USD773147S1 (en) * | 2015-01-09 | 2016-11-29 | James Storey | Memorial marker |
KR102583484B1 (ko) * | 2016-02-01 | 2023-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수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KR102466662B1 (ko) * | 2016-06-14 | 2022-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CN114045632B (zh) * | 2021-10-29 | 2023-05-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55448A (en) * | 1958-02-10 | 1960-10-11 | Gen Electric | Clothes washer with an improved water level control system |
US3381503A (en) * | 1967-08-07 | 1968-05-07 | Robertshaw Controls Co | Washing machine system or the like |
JPS6039399B2 (ja) * | 1978-01-25 | 1985-09-0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洗濯機の稼動方法 |
-
1985
- 1985-05-14 US US06/733,977 patent/US466219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5-05-17 KR KR1019850003380A patent/KR8900047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
- 1987-01-23 US US07/006,724 patent/US473354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4662193A (en) | 1987-05-05 |
KR850008510A (ko) | 1985-12-18 |
US4733547A (en) | 1988-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4730B1 (ko) | 세탁기의 제어장치 | |
JPH03251295A (ja) | 洗濯機の制御方法 | |
GB2276394A (en) | 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 |
JP3755984B2 (ja) | 洗濯機 | |
JPH0838784A (ja) | 脱水兼用洗濯機 | |
JP3178352B2 (ja) | 洗濯機の制御方法 | |
JP3612904B2 (ja) | 全自動洗濯機 | |
JPH05269290A (ja) | 洗濯機の脱水制御装置 | |
JPH08173683A (ja) | 全自動洗濯機 | |
JP2004065638A (ja) | 洗濯機 | |
JPH07323180A (ja) | 全自動洗濯機 | |
JPH0561957B2 (ko) | ||
JPH0994372A (ja) | 全自動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 |
JPH0910470A (ja) | 全自動洗濯機の制御方法 | |
JPH0360699A (ja) | 全自動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 |
JPH0561959B2 (ko) | ||
JP2907889B2 (ja) | 全自動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 |
KR19990043320A (ko) | 세탁기의 간헐탈수 제어방법 | |
JPH09239187A (ja) | 洗濯機 | |
KR100493594B1 (ko) | 전자동세탁기의운전제어장치 | |
JP3233583B2 (ja) | 全自動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 |
JP3670673B2 (ja) | 全自動洗濯機 | |
JP3355808B2 (ja) | 洗濯機の制御装置 | |
JPH07679A (ja) | 全自動洗濯機の脱水制御装置 | |
JP2785898B2 (ja) | 全自動洗濯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111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