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27B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27B1
KR890004727B1 KR1019840006739A KR840006739A KR890004727B1 KR 890004727 B1 KR890004727 B1 KR 890004727B1 KR 1019840006739 A KR1019840006739 A KR 1019840006739A KR 840006739 A KR840006739 A KR 840006739A KR 890004727 B1 KR890004727 B1 KR 89000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magnetic flux
phase
indu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983A (ko
Inventor
히로시 가마이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1Asynchronous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47V/F converter, wherein the voltage is controlled proportionally with th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제 1 도는,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인버터장치에 의한 교류전동기 제어방식의 권상기의 일부를 절경하여보인 측면도.
제 2 도는 유도전등기에 있어서의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의 설명용 단면도.
제 3 도는 마찬가지로 로터와 스테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 4 도는 축이 휠때의 회전각도와 자속과의 관계를 보인 특성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한 예를 보인 블럭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VVVF 제어장치의 회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있어서의 보정신호 발생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보정신호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보정 개인 연산회로의 구체적 예를 보인 회로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제10도는 편향활차를 써서 로빙(roving)하는 형식의 설명도.
제11도는 편향활차를 사용한때의 전동기 로터와 스테이터의 축 휨에 의한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편향활차를 사용한 경우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정신호 발생장치의 예를보인 블럭도.
제13도는 제12도의 보정신호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Figure kpo00001
θ분 발생회로의 구체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도전동기 3 : 축
7 : 활차 11 : 메인로프
12 : 엘리베이터카 13 : 균형추
14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 제어장치
15 : 2상/3상변환회로 16a-16c : 변류기
17 : 3상/2상변환회로 18, 28, 30, 33, 35, 46 : 감산기
19 : 적분기 20 : 곱셈회로
21 : 제산기 24 : 적분회로
25 : 함수발생기 26 : 회전계 발전기
27 : 자속 지령신호 발생회로 29 : 보정신호 발생장치
31 : 자속 제어회로 32 : 속도지령 신호발생회로
34 : 속도제어회로 36 : 토크 전류제어회로
37 : 하중 검출기 38 : 하중표시회로
39 : 역행용 콘버터 40 : 회생용 콘버터
41 : 평활콘덴서 42 : 전압검출기
43 : 게이트회로 44 : 인터버
45 : 베이스 구동회로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며, 특히 축이 휨으로 인하여 생기는 유도전동기의 에어갭(air gap) 변동에 의한 자속리플을 제거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기에는 유도전동기가 이용되며 그 유도전동기를 정지상태에서 전속도까지의 광범위에 걸쳐 속도를 제어하는 수단에는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방식의 인버터가 사용되고 있다.
제 1 도는 상기한 유도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보인것으로서, 1은 권상기의 베드, 2는 베드(1)위에 설치한 유도전동기이며, 이 유도전동기(2)는 스테이터(2a) 및 로터(2b)를 구비하고 로터(2b)는 유도전동기(2)의 중심축선(軸線)상에 배치한 축(3)에 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축(3)의 한끝은 유도전동기(2)와 일체로 된 브래킷(bracket) (2c)에 베어링(4)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착되고 축(3)의 다른끝은 유도전동기(2) 밖으로 연장되어 베드(1)위에 설치한 브래킷(5)에 베어링(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착되고 있다.
또 상기 유도전동기(2)와 브래킷(5) 사이에 위치하는 축(3)의 부분에는 활차(7)가 장착되고, 다시 활차(7)의 한쪽 언저리에는 브레이크드럼(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드럼(8)의 외주축(外周側)에는 브레이크슈(9a)을 지닌 암(9)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 암(9)은 브레이크 마그넷(10)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상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약칭함) 및 균형추는 활차(7)에 감겨진 메인로프에 매달린 관계상 엘리베이터의 하중은 활차(7)에 걸리고, 이 때문에 양끝을 지지하는 축(3)은 하방으로 휘게된다. 또 측(3)이 하방으로 휘면, 제 2 도에 보인 유도전동기(2)의 스테이터(2a)와 로터(2b) 사이에 에어갭(Ga)은 상부측에서는 크게, 하부측에서는 적게된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기자력(起磁力)을 유도전동기에 준 때의 회전자속은 자로(磁路)저항의 작은 경로를 지날때, 즉 제 3 도를 빌어서 풀이하면, 자속의 향방이 화살표와 같이 위에서 아래, 혹은 아래에서 위로인때 최대가 되며, 또 우에서 좌, 혹은 좌에서 우로의 방향인때는 자로 저항이 큰 에어갭을 보다 긴 거리를 지나므로, 자속은 최소가 된다.
이 상태를 제 4 도에 보인다. 제 4 도는 횡축에 자속벡터(vector)의 각도 (제 3 도에서 위에서 아래로의 자속벡터인때의 0)를 종축에 자속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직선(I)로 나타낸 기준자속에 대하여 축의 휨에 따른 자속벡터는 곡선(Ⅱ)처럼 로터(2b)가 1회전하는 사이에 2사이클 변동하는 사인파상(波狀)이 된다.
또 유도전동기가 발생하는 로크는,
T=i2g°ø
단, i2g : 2차전류의 회전자게에 직각인 성분이 되므로, 자속 ø가 제 4 도의 곡선(Ⅱ)와 같은 리플(ripple)형태이면, 토크도 같은 리플주파수로 진동하여 엘리베이터의 탑승감을 몹시 나쁘게 한다.
그래서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축(3)에 엘리베이터 하중이 걸려도 축이 휘지않도록 축의 강도를 크게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는 축을 굵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고, 권상기가 중량화되는 등 현실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며, 2차 쇄교자속과 평행한 성분 및 직각의 성분중 어느 한 성분에 소정 주파수의 정형파 또는 이에 유사한 보정신호를 중첩시켜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축의 휨으로 유도전동기에 에어갭의 변동이 있어도 토크 리플이 생기지 않는 탑승감 좋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제 6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그중 제 5 도는 PWM(펄스폭변조)인버터 제어의 유도전동기를 사용한 자속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경우의 엘리베이터 제어방식의 구성도다.
제 5 도에 있어서, 11은 활차(7)에 감겨진 메인로프이며, 이 메인로프(11)의 한끝에는 카(12)를 매달고, 다른 끝에는 균형추(13)를 매달고 있다. 상기 활차(7)를 구동시키는 3상유도 전동기(2)에는 3상전원 R, S, T에 접속된 VVVF(가변전암 가변주파수) 제어장치(14)에서 전압지령 Vu*, Vv*, Vw*에 가까운 1차전압 Vu, Vv, Vw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VVVF 제어장치(14)에는 2상/3상 변환회로(15)에서 전압지령 Vu*, Vv*, Vw*가 공급되도록 되어있으며, 이 2상/3상 변환회로(15)는 연산증폭기로 이루어진 가감산기 및 곱셈기 또는 D/A 콘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16a, 16b, 16c는 각각 유도전동기(2)의 U상(相), V상, W상의 1차전류에 대응한 전류귀환신호 iu, iv, iw를 인출하기 위한 변류기이며, 이 각각의 변류기(16a)-(16c)에서 인출된 전류귀환신호 iu, iv, iw는 3상/2상 변환회로(17)에 가해지도록 되어있다.
상기 3상/2상 변환회로(17)는 연산증폭기로 이루어진 가감산 회로 및 곱셈기 혹은 D/A 톤버터로 구성되며, 전류귀환신호 iu, iv, iw를 유도전동기(2)의 2차자속벡터의 각 주파수 w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좌표축상의 성분 idas 및 iges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 변환은 다음 (1)식에 의하여 행해진다.
Figure kpo00002
단 (1)식의 Sinθ, Cosθ는 후술하는 함수발생기 (25)의 정현파 출력이다.
상기 3상/2상 변환회로(17)에서 출력되는 신호성분 ides은 감산기(18)에 가해지며, 계수곱셈회로(20)에서의 출력신호와 차이신호는 적분기(19)에 가해지도록 되어있으며, 또 적분기(19)의 출력신호는 상기 계수곱셈회로(20) 및 제산기(12)에 가하고 또한 제산기(21)에는 상기 3상/2상 변환회로(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성분 iges을 가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감산기(18), 적분기(19), 계수곱셈회로(20) 및 제산기(21)는 슬립 각 주파수 PWS 및 2차자속을 연산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산기(21)의 출력신호가 슬립 각 주파수 PWS, 곱셈회로(20)의 출력신호가 2차 자속이 된다.
또 상기 계수 곱셈회로(20)의 Rr, Lr는 각각 제어회로에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사용되는 유도전동기(2)의 2차 저항치 및 2차 인퍼런스치로서 실험에 바탕을 둔 정확한 값을 사용함으로서 고정밀도의 벡터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22는 제산기(21)는 출력신호인 슬립각 주파수 PWS와 상기 유도 유도전동기(2)에 직결된 회전계발전기(26)으로 얻는 회전자 각속도 Wr을 곱셈기(23)에 의하여 극짝수 P를 곱하여 얻어지는 회전자각주파수 Pwr에서 2차 자속벡터의 각주파수 w를 구하기위한 가산기, 24는 가산기(22)에서 구한 각주파수 w를 적분하여 2차 자속벡터의 위상각 θ를 산출하기 위한 적분회로이며, 이 적분회로(24)에서 산출된 위상각 θ의 신호를 함수발생기(25)에 가함으로서 함수발생기(25)로 부터는 위상각 θ를 지닌 정현파신호 Sinθ 및 여현파신호 Cos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정현파신호 Sinθ 및 여현파신호 Cosθ는 상기 2상/3상 변환회로(15) 및 3상/2상 변환회로(17)에 가해지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함수발생기(25)는 A/D 변환기, D/A 변환기 및 ROM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27는 자속지령 신호발생회로이며, 이 회로(27)로부터의 자속지령신호(27a)는 감산기(28)에 입력되고, 이 감산기(28)에 있어서 자속지령신호(27a)와 보정신호 발생장치(29)로부터의 보정신호(29a)의 차이를 구하고, 그 차이신호는 감산기(30)에 있어서 상기 곱셈회로(20)의 2차 자속신호와 비교감산되고 이로 인하여 검출된 자속편차를 자속제어회로(31)에서 증폭되고, 또 유도전동기(2)의 자속이 항상 소정의 지령치에 같게 되도록 제어한다.
즉 자속제어회로(31)에서는 전압지령 Vdes*가 생성되고, 이 전압지령 Vdes*은 2상/3상 변환회로(15)에 입력된다. 또 32는 속도지령신호 발생회로이며, 이 회로(32)로부터의 속도지령신호 Wr*와 상기 회전계 발전기(26)에서 얻어진 유도전동기(2)의 회전속도신호 Wr는 감산기(33)에 의하여 비교 감산되며, 이에 의하여 검출된 속도편차(Wr*-Wr)을 속도제어회로(34)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속도편차에 대응하여 유도전동기(2)의 로크 전류지령 ides*를 생성하도록 되어있다.
또 속도제어회로(34)에서 출력되는 로크전류지령 iges*와 상기 3상/2상 변환회로(17)로부터의 로크전류 귀환신호 iges는 감산기(35)에서 비교 감산되며, 이로인하여 검출된 로크전류편차(iges*-iges)는 토크전류 제어회로(36)에서 연산되어 전압지령 Vges*로서 생성된다.
이 전압지령 Vges*는 2상/3상 변환회로(15)에 공급된다. 상기 자속제어회로(31) 및 로크전류제어회로(36)에서 생성된 2상의 전류지령 Vges*, Vges*가 상기 2상/3상 변환회로(15)에 공급됨으로써 3상의 전압지령 Vu*, Vv*, Vw*로 변환되어 VVVF 제어장치(14)에서 속도제어지령으로서 입력된다.
상기 변환은 다음 (2)식에 의하여 행해진다.
Figure kpo00003
이같이 얻어낸 3상의 전압지령이 VVVF 제어장치(14)에 공급되면 VVVF 제어장치(14)은 3상의 전압지령에 따라서 유도전동기(2)에 1차전압 Vu, Vv, Vw를 공급하게된다.
제 5 도에 있어서, 37은 카(12)에 설치한 카내하중에 대응하는 신호(37a)를 발하는 하중검출기이며, 이 하중검출기(37)의 하중신호(37a)는 하중표시회로(38)에 입력되도록 되었으며, 이 하중표시회로(38)은 하중신호에 따라서 하중표시 지령치(38a)를 발생하며, 그 하중표시지령치(38a)는 상기 보정신호 발생장치(29)에게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보정신호 발생장치(29)는 제 7 도에 보이듯이 게인 2의 정전(正轉) 증폭기(291)과, COS 발생기(292), 보정게인 연산회로(293) 및 곱셈기(29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적분회로(24) (제 5 도 참조)에서 출력되는 2차 자속벡터의 위상각 θ는 게인 2의 정전증폭기(291)에서 2θ로 증폭되며, 이 2θ의 신호는 COS 발생기(292)에 있어서 COS2θ로 변환된다.
COS2θ의 값은 보정게인 연산회로(293)으로부터의 출력신호(Ka)와 곱셈기(294)에서 곱셈이 되어 보정신호(29a)를 발생한다.
또 제 8 도는 상기 보정게인 연산회로(293)의 구체적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며, 연산증폭기(opl), 저항 R1-R4로 이루어진 가산기와, 연산증폭기(op2) 및 저항(R5-R7)로 이루어진 증폭기와, 부하에 관계없이 활차에 걸리는 하중에 대응하는 신호 D를 인출하는 가변저항기(VR)로 구성되며, 상기 가산기는 가변저항기(VR)에서 설정되는 신호(D)와 하중표시회로(38)로부터 출력되는 하중표시 지령치(38a)의 2입력을 가산하며, 중폭기로 중폭하여 출력신호(Ka)를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정신호 발생장치(29)로부터 출력되는 보정신호(29a)는 축의 휨에 따라 자속 ø의 변화(제 4 도에 보인 교류분에 상당)와 같은 위상이며 크기도 같은것이 된다.
제 6 도는 상기 VVVF 제어장치(14)의 구체적 회로도이며, 39는 교류전원 R, S, T가 3상 브리지에 접속된 사이리스터(39A)-(39F)에 의하여 3상 전파정류회로를 형성한 역행용 콘버터, 39Ag-39Fg는 사이리스터(39A)-(39F)의 게이트 40은 사이리스터(40A)-(40F)에 의하여 3상전파 정류회로를 형성하는 회생용 콘버터이며, 그 교류단측은 교류전원 R, S, T에 접속되며, 직류단측은 역행용 콘버터(39)의 직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40Ag-40Fg는 사이리스터(40A)-(40F)의 게이트이다.
또 41은 역행용 콘버터(39)의 직류탄 사이에 접속된 평활콘덴서, 42는 평활콘덴서(41)의 양단에 접속된 전압검출기이며 이것은 저항으로 구성되어있다.
43은 동기 각속도 신호w와 전압검출기의 출력신호(42a)를 입력하여 동기 각속도 신호w에 따른 점호신호(43a)-(43l)을 발생하는 게이트회로로서, 그 점호신호(43a)-(43f)는 역행용콘버터(39)의 각 사이리스터(39A)-(39F)의 게이트(39Ag)-(39Fg)에, 또 점호신호(43g)-(43l)은 회생용콘버터(40)의 각 사이리스터(40A)-(40F)의 게이트(40Ag)-(40Fg)에 각각 주어지도록 되어있다.
44는 평활콘덴서(41)의 양단에 접속된 인버터이며, 6개의 트랜지스터(44A)-(44F)를 갖추고 이것들을 서로 2개씩 직렬이 된것을 3조 병렬로 접속되고, 다시 이들 각 트랜지스터(44A)-(44F)는 각각 다이오드(39a)-(39f)가 병렬로 접속되었으며, 그리고 상기 직렬로 접속한 각조의 트랜지스터(44A)와 (44D), (44B)와 (44E), (44C)와 (44F)의 접속점으로부터 각각 교류출력전압 Vu, Vv, Vw를 발생하도록 되었다.
또 45는 2상/3상 변환회로(15)로부터의 1차전압지령치 Vu*, Vv*, Vw*을 입력하여 베이스 구동신호(45a)-(45f)를 방생하는 베이스 구동회로이며, 이 각 베이스 구동신호(45a)-(45f)는 상기 인버터(44)의 트랜지스터(44A)-(44F)의 베이스(44Aa)-(44Fa)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상기처럼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속지령 신호발생회로(27)에서 자속지령신호(27a)가 발생되면 그 지령신호(27a)는 감산기(28)에서 보정신호 발생장치(29)로부터의 보정신호(29a)와 감산되고, 다시 그 차이신호는 감산기(30)에 있어서 곱셈회로(20)으로부터의 자속신호(20a), 즉 실제로 전동기(2)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연산된 자속신호와 비교 감산되어서 양자의 편차신호가 출력된다.
이 펀차신호는 자속제어회로(31)을 통하여 2상/3상 변환회로(15)에 입력된다.
한편 속도지령신호 발생회로(32)로부터 출력된 속도지령치 Wr*은 감산기(33)에 입력되며, 회전계발전기(26)으로부터의 속도신호 Wr과 비교 감산되며, 양자의 차이인 편차신호를 출력한다.
이 편차신호는 속도제어회로(34)에 의하여 토크전류지령 iges*가 되고, 감산기(35)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3상/2상 변환회로(17)에서 출력되면 토크전류귀환신호 iges, 즉 실제로 전동기(2)에 흐른 전류의 토크전류성분과 비교 감산되며, 양자의 차인 편차신호는 토크전류 제어회로(36)에 의하여 전압지령 Vges*로서 2상/3상 변환회로(15)에 입력된다.
한편 슬립주파수신호 PWS는 속도신호 Wr에 곱셈기(23)에서 극짝수 P를 곱하여 얻은 회전자 각주파수 Pwr과 가산기(22)에서 가산되어 동기 각속도신호 w가 된다.
또 이 각속도 신호 w는 적분기(24)로 적분됨으로써 회전각 θ에 상당하는 회전각 신호가 된다. 함수 변환기(25)에서는 상기 회전각 θ에 대한 Sinθ에 신호(25a) 및 cosθ 신호(25b)가 연산되고 2상/3상 변환회로(15) 및 3상/2상 변환회로(17)호 송출된다.
2상/3상 변환회로(15)는 입력신호인 sinθ 신호(25a), cosθ 신호(25b) 및 전압지령치 Vdes*, Vges*를 변환시켜 1차 전압지령치 Vu*, Vv*, Vw*를 출력하여 이것을 VVVF 제어장치(14)에 공급한다.
VVVF 제어장치(14)의 게이트회로(43)은 전압검출기(42)의 출력신호(42a) 및 동기각속도신호 w로부터 전동기(2)가 역행 운전하고 있는지. 회생운전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며, 역행운전하고 있으면, 점호신호(43a)-(43f)를 역행용 콘버터(39)에게 보내고, 회생운전이면 점호신호(43g)-(43l)을 회생용 콘버터(40)으로 보낸다.
이 결과 평활콘덴서(41)의 양끝의 전압을 변화시켜서 주지하는바 PAM(펄스진폭변조) 제어가 행해진다.
또 베이스 구동회로(45)에서는 1차전압지령치 Vu*, Vv*, Vw*에서 베이스 구동신호(45a)-(45f)를 인버터(44)에게 보내어 주지하는 바와같이 PWM(펄스폭변조) 제어가 행해진다. 이예따라 VVVF 제어장치(14)는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의 교류 출력전압 Vu, Vv, Vw가 발생하고, 유도전동기(2)는 구동되어 엘리베이터카(12)는 주행하며, 그 속도는 고정밀도로 자동제어된다.
또 이때의 자속지령은 기준치인 자속지령신호(27a)로부터 보정신호(29a)를 감한것이되고, 그리고 상기 보정신호(29a)는 축의 휨에 의한 자속리플을 제거할 수 있는 주파수, 위상, 크기를 갖고있기 때문에 실제로 자속은, 가령 축휨이 생겨서 에어갭이 로터의 위치에 따라 다르더라도 이것에 의한 토크리플은 발생하는 일이없다.
따라서 탑승감 좋은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 가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9 도에 있어서 제 5 도와 동일부호를 동일부분을 나타내며, 제 5 도와 다른 부분은 보정신호 발생장치(29)의 보정신호(29a)를 자속제어회로(31)의 출력신호에서 감하도록 자속제어회로(31)와 2상/3상 변환회로(15)와를 잇는 신호라인에 감산기(46)을 설치한 것에 있다.
이같이 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5 도에 보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효과가 기대된다. 또 도면에는 없지만, 보정신호(29a)를 속도제어회로(34)의 출력신호 혹은 토크전류의 제어회로(36)의 출력신호에서 감하도록 해도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속의 크기, 곱셈회로(20)의 출력신호나 그 회전각도 θ를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구하였지만, 이것을 홀(Hall)소자나 리솔버(resolver)를 사용하여 직접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10도-제13도는 편향활차를 사용한 경우의 보정신호의 발생방법을 표시한것이며, 메인로프(11)은 제10도와 마찬가지로 활차(7)와 편향활차(47)사이에 걸쳐있고, 활차(7)쪽에서 늘어진 메인로프 끝에는 카(12)를, 편향활차(47)측에서 늘어진 로프끝에는 균형추(13)가 각각 매달려 있다.
이때문에 축(3)은 편향활차(47)에 의한 편향과 수직방향의 함의 합성벡터로 당겨져서 제11도처럼 휘게된다. 이때의 합성백의 방향은 대략 편향 각 θd의
Figure kpo00004
이 된다. 따라서 자속이 최대가 되는 회전각은 제 3 도의 경우에 비하여
Figure kpo00005
θ만큼 변동된다.
Figure kpo00006
θ분만큼 수정한 보정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보정신호장치(29)의 구체적 회로를 제12도에 보인다.
이 제12도에 있어서 제 7 도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며, 또
Figure kpo00007
θ분을 수정하기 위하여 정전증폭기(291)의 입력측에 감산기(295)를 설치하고, 이 감산기(295)에는
Figure kpo00008
θ분 발생회로(296)에서
Figure kpo00009
θ신호를 입력하고 θ에 상당한 회전각도에서
Figure kpo00010
θ분에 상당한 신호를 감하고, 이것을 정전증폭기(291)에 입력하고, 또 COS발생기(292), 곱셈(294)를 지나게 함으로써
Figure kpo00011
θ분 수정된 보정신호(29a)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13도는 상기
Figure kpo00012
θ분 발생회로(296)의 구체적 예를 나타낸 것이며, 직선전원 E와 가변저항기 VRI로서 구성되어있다.
이상 설명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권상기의 축의 휨에 의하여 유도전동기의 에어갭이 변동하고 이에의한 자속리플이 원인이 되어 생긴 토크리플을 보정하도록 보정신호를 생성하여 그 보정신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하도록 하였으므로 가령 축의 휨이 있어도 토크리플이 없는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또 탑승감 좁은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 가 있다.

Claims (1)

  1. 유도전동기의 1차전류를 2차 쇄교자속과 평행한 성분과 직각인 성분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하중이 부하됨으로써 생기는 축의 휨에 의한 상기 유도전동기의 자속리플을 제거하는 소정주파수, 위치 및 크기를 가진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수단으로부터의 보정신호를 상기 2차 쇄교자속과 평행한 성분 및 직각인 성분중 어느 한 성분에 중첩하여 상기 1차전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19840006739A 1984-02-29 1984-10-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890004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38212 1984-02-29
JP59038212A JPS60183989A (ja) 1984-02-29 1984-02-29 エレベ−タ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3A KR850005983A (ko) 1985-09-28
KR890004727B1 true KR890004727B1 (ko) 1989-11-25

Family

ID=1251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739A KR890004727B1 (ko) 1984-02-29 1984-10-29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23042A (ko)
JP (1) JPS60183989A (ko)
KR (1) KR890004727B1 (ko)
GB (1) GB2155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948B2 (ja) * 1986-03-19 1995-11-0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制御方法
JPS6356187A (ja) * 1986-08-22 1988-03-10 Nippon Oochisu Elevator Kk 誘導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JPH0813194B2 (ja) * 1987-01-16 1996-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5252272A (en) * 1989-07-28 1993-10-12 Engelhard Corporation Thermal shock and creep resistant porous mullite articles prepared from topaz and process for manufacture
JP2503712B2 (ja) * 1990-03-08 1996-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US5334923A (en) * 1990-10-01 1994-08-0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otor torqu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5388052A (en) * 1993-03-31 1995-02-07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on motor
JP3301194B2 (ja) * 1994-01-28 2002-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装置
GB2310770B (en) * 1996-02-28 1998-02-04 Hitachi Lt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C motor such as that in elevator with high driving efficiency
KR100224764B1 (ko) * 1997-01-10 1999-10-15 윤종용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신호 입력버퍼
JP4146141B2 (ja) * 2002-03-12 2008-09-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振動調整装置および振動調整方法
EP3262750B1 (en) 2015-02-25 2020-01-29 Otis Elevator Company Interposition inductor arrangement for multiple drives in parall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5251A (en) * 1974-08-27 1976-03-01 Mitsubishi Electric Corp Erebeeta no seigyosochi
JPS5127253A (ko) * 1974-08-30 1976-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US4030570A (en) * 1975-12-10 1977-06-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S54113148A (en) * 1978-02-24 1979-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controlling system
JPS54162356A (en) * 1978-06-14 1979-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983A (ko) 1985-09-28
GB2155260A (en) 1985-09-18
US4623042A (en) 1986-11-18
GB2155260B (en) 1988-03-23
JPS60183989A (ja) 1985-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6575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C motor
US4240020A (en) Control system for suppressing torque ripple in synchronous motor
EP0330188B1 (en) Induction motor vector control
JP3720357B2 (ja) 交流機械の駆動装置において変換器を使用せずに磁束、位置及び速度を推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89000472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H03128691A (ja) 電圧形pwmコンバータ・インバータ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式
KR900007111B1 (ko) 3상 유도 전동기의 제어방법
KR960006854B1 (ko)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제어장치
JPS6152179A (ja) 電動機駆動用電源装置
JP4010195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US4677361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vator
JP3279457B2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3787803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4111599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3276840B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の補正ゲイン設定方法
Kaimoto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current source inverter-fed induction motor drives
JPS60139186A (ja) 電動機制御装置
KR92000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장치
CN1020882C (zh) 电梯控制设备
KR930004025B1 (ko)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 제어시스템
JPH07236294A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747425Y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319142B1 (ko) 전동기의 속도 제어장치
JPS60128176A (ja) エレベ−タ−制御装置
JPH0526246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