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205B1 -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205B1
KR890003205B1 KR1019840004911A KR840004911A KR890003205B1 KR 890003205 B1 KR890003205 B1 KR 890003205B1 KR 1019840004911 A KR1019840004911 A KR 1019840004911A KR 840004911 A KR840004911 A KR 840004911A KR 890003205 B1 KR890003205 B1 KR 89000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lever
suppor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87A (ko
Inventor
다까오 심보
히로또 구로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5000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정면도.
제2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디스크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측 상세도.
제5도는 제4도의 디스크 받침대 상세도.
제6도는 제2도에서의 디스크 받침대의 착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디스크 홀드레버의 잠금해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제8도는 제7도의 디스크 홀드레버 설치도.
제9도는 제7도의 디스크 홀드레버 동작도.
제10도는 제2도의 디스크 받침대의 배면측 상세도.
제11도는 제2도에서 디스크 받침대를 제거하여 나타내는 배면측 상세도.
제12도는 제11도의 디스크 정지선에 의한 디스크 탈락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3도는 제2도에서 보조 디스크 받침대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구동기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15도, 제16도는 제13도의 디스크 정지레버의 동작상태도.
제17도, 제18도는 제1도, 제2도의 각부를 제어하는 전기회로계의 예시 개념도.
제19도는 제2도의 디스크의 전체적인 이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20도, 제21도는 각각 제2도의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제22도는 제14도의 요부 평면도.
제23도, 제24도는 제20도의 선택와이어 구동기구 및 구성 설명도.
제25도는 제3도의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의 감지기와 기억번지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26도, 제27도는 각각 제24도의 동작설명 상태도.
제28도는 제22도의 잠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제29도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와 디스크선택 연주 기구부와의 상태도.
제30도는 제29도의 잠금동작 설명 상태도.
제31도 및 제32도는 각각 제20도의 디스크 이송기구부의 사시도.
제33도 내지 제36도는 제20도의 디스크 연주 기구부의 요부사시도 및 측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앰프케이스 101 : 주 디스크 받침대 수납부
102 : 보조 디스크 받침대 수납부 103 : 조작부
104 : 키이 조작부 105 : 표시부
106 : 레벨표시부 107 : 조작부
108 : 현재곡명표시부 109 : 다음곡 표시부
110 : 헤드폰 플러그 삽입부 111 : 원격조정장치용 플러그 삽입부
112 :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조작부 121 : 주받침대
122, 123 : 보조 받침대 200 :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
201 : 디스크 202 : 디스크 받침대 본체
203 : 디스크 수납구 204 : 스프링
205 : 디스크 홀드레버 206 : 결합, 분리안내부
207 : 슬릿(Slit) 208 : 칸막이벽
209 : 절결부 210 : 걸림부
253, 254 : 디스크 받침대지지 253a-253c : 창부
255 : 안내핀 256 : 레일
257 : 걸림부 258, 259 : 잠금핀
260 : 디스크 받침대 지지레버 261 : 로울러
262 : 스프링 263, 264 : 디스크 받침대 지지레버
265, 266 : 로울러 267 : 스프링
268 : 판스프링 269 : 완충부재
270 : 인출부 300 :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
301 : 보조 디스크 받침대 302 : 디스크 수납구부
303 : 보조 디스크 받침대틀 304 : 안내축
305 : 하부레일 306, 307 : 슬라이드 베아링
308 : 로울러 309 : 랙(Rack)
310 : 디스크 정지레버 311 : 스프링
312 : 스토퍼 313 : 로울러
314 : 경사캠 350 :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
351 : 모우터 352 : 워엄기어
353 : 워엄휘일기어 354 : 클럿치기어
355-358 : 기어 370 : 우선회로
371 : 구동제어회로 372 : 보조 디스크 받침대 검출스윗치
380 : 절결부 381 : 걸림부
382 : 칸막이부 400 :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
401 : 레일 402 : 안내축
403 : 선택와이어 404 : 기어번지판
405 : 스프링 406 : 디스크스토퍼와이어
407-410 : 풀리 420 : 설치대
421 : 안내공 422 : 안내부
423 : 축 424 : 설치판
425 : 감지부 500 : 디스크 선택부
510 : 디스크 버팀기구 511 : 모우터
512 : 워엄기어 513 : 워엄휘일기어
514 : 작동레버 515 : 호울
516 : 축 517 : 버팀레버
518, 519 : 축 520 : 스프링부재
521 : 잠금부 522 : 캡부
530 : 선택와이어 구동기구 531 : 모우터
532 : 워엄기어 533 : 워엄휘일기어
534 : 풀리부 535 : 제동부
536 : 스프링 537 : 점탄성부재
538 : 스프링부재 539 : 제1제동레버
540 : 제2제동레버 541 : 축
542 : 스프링부재 543 : 맞춤돌기부
544 : 캠 545 : 제1캠부
546 : 제2캠부 547 : 제1맞춤부
548 : 제2맞춤부 549 : 제1스윗치
550 : 제2스윗치 551, 552 : 작동부
600 : 디스크 이송기구부 610 : 제1로딩(Loading)
611 : 로울러 630 : 제2로딩(Loading)
631 : 로울러 650 : 안내레일
651 : 스롯부 652 : 디스크검출기
653 : 제1검출 스윗치 654 : 설치대
655 : 로딩경로 656 : 렉 기어
657 : 안내구 658 : 제2설치대
659 : 안내로울러 660 : 모우터
661 : 워엄기어 662 : 워엄휘일기어
663 : 클럿치기어 664 : 제1톱니바퀴
665 : 제2톱니바퀴 666 : 제2아이들러기어
667 : 제3톱니바퀴 668 : 벨트차
669 : 타이밍벨트 670 : 제4톱니바퀴
671 : 안내로울러 672 : 제1설치대
673 : 제5톱니바퀴 674 : 제6톱니바퀴
675 : 제1아이들러 톱니바퀴 676 : 링크레버
677 : 제2검출스윗치 700 : 디스크 연주 기구부
701 : 모우터 702 : 톱니바퀴
703 : 제1감속 기어 704 : 제2감속 기어
705 : 캠기어 706 : 설치판
707 : 크램프레버 708 : 크램프 조정레버
709 : 축 710 : 조정나사
711 : 맞춤돌부 712 : 캠부
713 : 맞춤핀 714 : 안내레버
715 : 홈부 716 : 핀
717 : 클램프호울더 718 : 구멍
719 : 클램퍼 720 : 판스프링
721 : 턴테이블 722, 723 : 절곡부
724 : 디스크안내부 725, 726 : 작동부
727, 728 : 스프링부 729 : 디스크포켓부
730 : 가로대 731 : 걸림부
732 : 삽입공 733 : 삽입부
734 : 제2디스크 검출기 735 : 절곡 맞춤부
736 : 스프링 737 : 검출슬라이더
910 : 조작부 920 : 제어회로
930 : 표시부
본 발명은 CD(Compact Disk)에 적합한 디스크 자동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향기기 분야에서는 가능한한 고충실도의 재생화를 꾀하기 위해 PCM(Pulse Code Modulation)기술을 이용한 DAD(Digital Audio Disc)재생장치가 개발되었고, 특히 그중에도 CD방식에 의한 것이 급속하게 보급되어지고 있다.
즉, 이 CD방식에 의한 것은 직경 12㎝, 두께 1.2㎜의 투명수지제 원판에다 디지탈(PCM)화 데이타에 대응한 피트(pit, 0과 1을 이용하여 다른 광반사율이 얻어지는 요철 상부)를 형성하는 금속부막을 피착하여 이루는 디스크를 일정선속도(CLV; Constant Linear Velocity)방식에 의해 약 500-200rpm의 가변회전속도로 회전시켜 그것을 반도체 레이저와 광전변환소자를 내장한 광학식 픽업으로 내주측에서 외주측을 향해 리니어 트랙킹(Linear Tracking)식으로 재생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CD는 한면에만 약1시간의 스테레오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방대한 정보량의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재래의 아나로그식 디스크에 비해서 재생특성의 점에서나 기록 밀도점에서 현격하게 우수한 것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CD가 갖추는 뛰어난 특징을 살리기 위한 사용방식으로서 예를들면, 업무용 멀티디스크 자동연주장치를 생각하게 되는바, 이것은 아나로그식 디스크의 경우에서도 실용화되고 있는 소위 자동전축과 손님접대용 앰프에 상당하는 것으로 디스크 자동변환장치 의해 실현가능하다. 그렇지만 종래로부터 알려져있는 이런종류의 디스크 자동변환장치는 아나로그식 디스크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으나, 구조가 복잡함과 동시에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서 조각상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작의 확실화라고 하는 점에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많게할 수 없음과 동시에 디스크의 교환속도도 빨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CD용에 종래의 디스크 자동교환 장치를 그대로의 형식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많은 문제가 있고, 역시 CD용에 적합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긴급과제로 대두되어왔다.
더구나, 레이저비데오 디스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소위전자 파일 (file)화의 일원으로서 실용화되어 가고 있는 광디스크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급적 적은 크기의 용적으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크 교환속도의 향상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하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의 확실화라고 하는 요청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극히 양호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다수의 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 받침대로 부터 소정의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디스크 연주부에 교환 공급토록하는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받침대에서 상기 디스크를 디스크 연주부에 이송하고, 그 다음에 상기 디스크 연주부에서 상기 디스크를 끌어내기 상기 디스크 받침대에 이송하는 제1 및 제2로딩(Loading)부와 상기 제2 및 제2로딩부를 동일 구동원으로 연동하도록 연결되어진 디스크 이송기구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CD용의 멀티 디스크 자동연주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의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후술하는 디스크 자동변환기구를 수납하여 이루는 앰프케이스(100)의 정면외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수(이 경우 60매)의 디스크를 수용하는 주 디스크 받침대 수납부(101)를 갖추고, 소수(이 경우 1매)의 디스크를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소위 한장 디스크 받침대로 되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수납부(102)이다.
또한, 디스크의 작동개시, 일시정지, 연주해제, 재작동 등의 연주상태 지정조작부(103), 5곡까지 선택할 수 있는 키이 조작부(104)와 그것의 표시부(105)는 곡의 피치(Pitch) 조작 및 키이제어를 나타내는 표시부이며, 106은 신호 레벨 표시부, 107은 키이조작부, 108은 현재 연주중인 곡명표시부, 109는 다음 연주곡 표시부이다.
한편, 110은 헤드폰 플러그 삽입부, 111은 원격조정장치용 플러그 삽입부이고, 112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용 조작부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 제1도의 앰프케이스(100)로 부터 끄집어 낸 디스크 자동교환기구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 받침대(121) 및 좌우 양측의 보조받침대(122)(123)사이에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 및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 (40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동교환창지의 동작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미리 소정수의 디스크(201)가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디스크 수납구(203)에 각각 소정의 피치로 수직 나열하여 수납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 (200), 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 에 대해 우선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가 디스크 진행정보에 근거로 해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디스크(201)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201)를 끄집어내어 연주상태로 준비시키고 계속하여 해당 디스크(201)를 연주 종료후에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상의 원위치에 돌려 넣은 후, 다음 디스크 진행정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하도록 이루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는 그 합성 수지제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가 주 받침대(121)위에 설립된 좌, 우 디스크 받침대 지지대(253), (254)에 대해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는 그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에 의해 화살표 C, D방향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다시,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는 디스크 선택부(500), 디스크 이송 기구부(600) 및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가 일체적인 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주 받침대(121)에 지지된 레일(401) 및 안내축(402)을 안내하여 선택 와이어(403)의 구동력에 의해 도시된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제3도중 합성수지제의 기억번지판(404)은 주 받침대(121)상에 지지되고, 상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에 형성된다. 이 경우 60개의 디스크 수납구(203)에 1 : 1로 대응한 절대 번지를 광학식으로 검출 가능한 이진법에 의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지, 상기 기억번지판(404)의 주 받침대(121)에 대한 지지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각 부위를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4(a)도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를 빼내어 표시한 것으로 약 1/4 반원주상의 60개의 디스크 수납구(203)를 가진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와 상기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양측부간에 자유회동스프링(204)을 삽입시켜 지지되는 디스크 홀드레버(205)와 똑같게 양측부에 형성되는 결합 분리안내부(206)와 똑같이 디스크 수납구(203)의 각 출입구부에 대응하여 그링(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형성된 60개의 위치 출구용으로 되는 슬릿(207)을 형성하고 있다.
제5(a)도, 제5(b)도, 제6(c)도는 상기 디스크 받침대본체(202)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며, 각각 수납되는 디스크(201)에 적합한 곡률반경 R1을 골짜기로 하여 그위에 소정형상의 돌출부, 즉 소정의 높이의 칸막이벽(208)을 가지며, 약 1/4 반원주상의 60개 디스크수납구(203)가 직사각형 방향으로 피치(예시한 도면의 경우 1.2㎜ 두께의 CD용으로서 4㎜, 다만 입구부에서의 곡폭이 1.45㎜이며, 또 한 하부(깊숙한 부분)에서의 그 폭이 2.8㎜로서 밑이 넓은 모양으로 되어있다)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디스크수납부(203)의 각각의 하부에 절결부(209) 및 걸림부(210)가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출입구에 상기한 슬릿(20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크 수납구(203)의 칸막이벽(208)은 디스크(201)의 수납시에 있어서 디스크(201)의 선단부가 칸막이벽(208)의 상부에 들어맞아 수납 불가능으로 되는 것을 방지함과 같이 디스크(201)의 수납방향에서 각부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즉, 디스크(201)는 도시한 화살표 E방향으로 수납되어지지만 칸막이벽(208)의 높이에 대해서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디스크 수납구(203)내에서 디스크(201)가 수납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운 경우에 디스크(201)의 선단부가 해당 위치에서 칸막이벽(208)의 상부와 들어맞게 된다. 이때문에 칸막이벽(208)은 그 각각 부분의 상부가 디스크(201)의 수납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에서 디스크 외주원 P의 접선 Q보다도 외측으로 경사하는 선상에 위치토록하며, 디스크(201)보다도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과같이 설정해두면 상술한 바와 같은 불평형이 발생되지 않고 디스크(201)를 부드럽게 수납할 수 잇다.
더구나, 제4도중 절결부(209)는 상기 각 디스크 수납구(203)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밀어 올림용의 절결부이다. 계단형의 걸림부(210)는 상기 절결부(209)의 한측에 형성되는 디스크 받침대 본체 잠금용으로 되어 있으며 인출부(270)의 상세한 설명은 뒤에서 언급할 것이다.
제6도는 이상과 같은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결합, 분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결합, 분리시에는 상기 좌우 한대의 디스크 받침대 지지대(253)(245)에 설치되어지는 안내핀(255)과 레일(256)에 대해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분리 안내부(206)를 도시된 화살표 F방향으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단지, 이 경우에는 삽입전에 디스크홀더레버(205)가 미리 스프링(204)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선위치에 있고, 디스크 받침대 본체(203)로 부터 어떠한 디스크(201)라도 부주위로 탈락되는 것을 공통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살표 F방향으로의 삽입과정에서 디스크홀더레버(205)는 그 양선단 걸림부(257)가 디스크 받침대 지지대(253), (254)에 설치되어져 있는 잠금핀(258)(259)과 걸어 맞추어 도시쇄선의 위치로 되는 것과 같이 도시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해당 삽입방향의 최종위치에 잠기게 된다.
제7도는 걸리는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경과도이고, 제7(a)도는 상기 화살표 F방향으로의 삽입과정에서 디스크 홀드레버 (205)의 걸립(257)가 잠금핀(258)(259)과 접한 상태를 나타내며, 제7(b)는 다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걸림부(257)가 잠금핀(258)(259)사이를 빠져나와 디스크홀더레버(205)가 화살표 H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7(c)도는 다시 삽입되는 것에 따라 스프링(204)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 홀드레버(205)의 걸림부(257)가 잠금핀(258)과 맞추어져 잠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잠겨지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장착 완료시에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크 홀드레버(205)가 제6도의 쇄선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회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의 선택적인 출입이 공통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걸리는 장착 완료시에는 제6도 및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크 받침대 지지대(253)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받침대 지지레버(260)의 선단에 지지된 로울러(261)가 창부(253a)로 부터 침입하여 있기 위해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결합, 분리 안내부(206)의 선단부가 스프링(262)의 탄성력에 의해 도시화살표방향으로 압압(押壓)되어 있음과 함께, 똑같이 스프링(267)을 끼워 X가 상으로 맞추어 결합된 한대의 디스크 받침대 지지레버(263)(264)의 각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로울러(265)(266)가 창부(253b), (253c)에서 침입하여 있기 때문에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대응하는 측선단부가 도시화살표 J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도,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장착이 완료하고 걸리는 장착완료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잠금작용 및 압압작용에 의해 모양새 등을 생기는 것 없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걸리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고정에 의해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는 -열적으로는 제2도, 제3도의 우측선단을 기준으로서 좌측선단이 신축자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기억번지판(404)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각 디스크 수납구(203) 및 슬릿(207)에 1 : 1로 대응한 관계에서 지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2도,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주 받침대 (121)에 대해 판스프링(268)과 고무등의 완충부재(269)를 끼워 역TL 열적으로 좌측선단을 기준으로서 우측선단이 신축자재로 되는 것과 같이 지지하여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가령 주위온도의 변화가 있다고 있도 디스크 받침 대본체(202)와 기억번지판(404)를 같은 종류의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과 같이 열적으로 동일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두면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각 디스크 수납구(203) 및 슬립(207)과 기억번지판(404)의 절대기억번지 검출용 방식과는 열적인 신축이 같은 양으로 되어 1 : 1의 관계가 보호 유지되므로 항시 정확한 기억번지검출 및 후술하는 위치선정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를 본체로부터 끌어내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제8도 및 제10도에 나타난 실선위치에 있는 디스크 홀드레버(205)에 손을 걸어 상기 디스크 홀드레버(205)를 약간 밑쪽으로 압압하고서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부(270)에 손을 걸고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의 화살표 M방향으로 인출하면 좋다.
제9도는 걸리는 인출(잠금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경과도이며, 제9(a)도는 디스크 홀드레버(205)의 걸림부(257)와 잠금핀(258)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이다.
제9(b)도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가 도시화살표 L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에 의해 디스크 홀드레버(205)의 걸림부(257)가 잠금핀(258)(259)의 사이를 빠져나가 같은 방향으로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인출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디스크 홀드레버(205)가 스프링(204)의 탄성력에 의해 제10도의 쇄선의 위치, 결국 제6도의 실선위치에 복귀하게 되므로 인출시 및 인출후에 디스크(201)가 디스크 받침대본체(202)로 부터 부주의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더구나, 걸리는 인출동작의 과정에서 디스크 홀드레버(205)에 손을 걸어 도시된 화살표 K방향으로 밀어내린 채, 그 상태에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를 인출가능으로 한 것에는 상기 디스크 홀드레버(205)에 의한 인출시의 디스크 탈락 방지 효과를 이룰 수 없게 되어 버리지만 실제로는 상기에서 상술한 것처럼 인출과정에서 디스크 홀드레버(205)의 걸림부(257)가 제7(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핀(259)과 맞추어지는 상태로 디스크 홀드레버(205)가 강제적으로 손에서 떨어지게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 홀드레버(205)는 도시된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제10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삽입전 실선위치에 복귀하고 디스크 탈락방지효과를 확실하게 이룰 수 있게된다.
이상에 의해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결합, 분리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된다. 그런데, 상기 작동으로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가 본체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본체에 주어지는 외적인 진동등에 의해 디스크(201)가 본체내에서 부주의로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로 부터 탈락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문에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의 전단에 스프링(405)을 끼워 그 양단에 걸린 디스크 스토퍼와이어(406)를 보조 받침대(122)(123)에 지지되는 폴리(407)(408)(409)(410)에 의해 루우프(LOOP)상으로 벌리어 설치함에 의해 도시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되는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가 어떠한 위치를 가졌다고 하여도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가 그것에 연동하는 것으로 되므로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가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에 수납되어 있는 어떠한 디스크(201)와 대향되도록 되므로서(제3도 참조). 본체내에서의 부주의한 디스크 탈락 방지를 방지할 수 있게되어 있다.
더구나, 걸리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어떠한 디크(20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에 의해 선택되어 연주되고 있을때에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출입은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제13도는 이상에 있어서,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를 끄집어 내어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도시된 화살표 C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는 이 경우 한장의 디스크(201)를 수납되도록 하는 1/4 반원주상의 디스크 수납구부(302)를 앞부분으로 가지고, 뒷부분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틀(303)를 가지어 합성수지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틀(303)이 상기 우측의 보조 받침대(123)집합에 상하로 분리되어 설치된 안태축(304)과 하부레일(305)에 대해 각각 슬라이드 베아링(306)(307) 및 로울러(308)을 개입시켜 도시된 화살표 C, D방향으로 접하여 작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조 디스크 틀(303)의 안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랙(309)부가 후술하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에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에서 말한 제1도의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조작구(112)의 첫번째 및 두번째 조작에 따라 움직여 자동적으로 본체로 부터 인출 및 끌어들이는 것과 같이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걸리는 제13도와 같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뒷쪽에 위치하는 거와 같이 디스크 정지레버(310)가 회동됨에 따라 디스크(201)가 뒷쪽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3도에 있어서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는 상술한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하부에 연속하여 디스크 밀어올림용의 절결부(380) 및 상기 절결부(380)의 한쪽에 보조 디스크 받침대 잠금용으로 이용되는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381)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부분들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출입구쪽(제13도에서는 후반부)에는 전술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수납구(203)의 출입구쪽에 형성된 위치 설정용의 슬릿(207)같은 슬릿(도시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있다.
제14도는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부의 상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우터(351)에서 부터의 구동력을 워엄기어(352)→워엄 휘일기어(353)→클러치기어(354)→제1기어(355)→제2기어(356)→제3기어(357)→제4기어(358)로 되는 일련의 동력전달 경로를 거쳐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틀(303)과 일체의 랙(309)에 전달시키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 경로에 끼워 넣어져 있는 클러치기어(354)는 최종적으로 랙(309)에 전달되는 최대 토오크를 제한하여 워엄기어(352)와 워엄휘일기어(353)사이에 엇물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깅 위한 것이다.
제15(a)도, 제15(b)도는 상기 디스크 정지레버(310)를 끄집어 내어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의 모우터(35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도시된 화살표 D방향으로 끌어넣어지도록 되는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그 끌어넣음 동작의 시작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뒷쪽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정지레버(310)는 그 선단이 스프링(311)에 의한 탄성력으로 스토퍼(312)에 접해 있는 것에 의해 그 다른쪽 선단부가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뒷쪽부분인 디스크 출입구쪽에 대향한 위치로 되어있다. 그리고, 디스크를 끌어넣음 동작이 되면 그 과정에서 디스크 정지레버(310)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로울러(313)는 주 받침대(121)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캠(314)의 경사부에 접하게 되기 때문에 디스크 정지레버(310)가 상기 스프링(31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시된 반시계방향의 화살표 N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 정지레버(310)는 끌어넣음 동작 종료시에는 제16(a)도, 제16(b)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다른쪽 선단부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뒷쪽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과 같이, 디스크 출입구부와 비대향의 위치로 이루기 때문에 뒤에서 말하는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에 의하 디스크(201)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는 끌어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에 의해 상기 디스크 수납구부(302)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가 본체내에서 부주의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끌어냄 시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의 경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13도에 나타난 상태로 된다.
더구나, 걸리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는 후술되는 내용과 같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에 의해 선택되어 연주시에 전술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출입은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이 경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를 선택하여 연주상태로 하는 것은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는후술하는 내용과 같은 구동상태로 되어 지지만, 만약 이것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글어넣음 동작 전이나 그 동작중이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를 선택하여 연주상태가 되지 않는 오동작을 생기게 하기 쉽다. 이때문에 제1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리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의 진행시작 지정 조작부(103)(제1도 참조)에 대해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 조작부(112)(제1도 참조)에 의해 조작이 먼저 선택되는 것과같은 우선회로(370)을 개입시켜 구동제어회로(371)에 시작신호기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 조작부(112)의 첫번째 인출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의 두번째 끌어넣음 조작이 있고서부터 끌어넣음에 요하는 시간까지는 진행시작 지정조작부(103)에 의한 시작신호가 구동제어회로(371)에 공급되지 않도록하여 보조 디스크 받침대 출입 조작부(112)의 조작이 진행시작 지정 조작부(103)의 조작에 우선되도록 하고, 이로써 전술한 오동작을 생기는 것 없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의 선택동작 및 연주동작을 확실하게 이루게 하게된다. 결국, 이 경우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에 의해 완전하게 본체내의 소정위치에 끌어 넣어진 후로 하지 않으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는 구동상태로 작동이 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더구나, 제17도의 보조 디스크 받침대 검출 스윗치(372)는 예를들면, 제13도에서 보조 받치대(123)의 뒷쪽부분 등에 설치되어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이고,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검출 스위치(372)에 의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끌어 넣음 종료를 검출하고서 진행시작 지정 조작부(103)의 조작에 의한 시작신호의 받아들임을 허용하게 구성하여도 상술한 오동작을 방비할 수 있다.
제18도는 이상과 같은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개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각종 조작부(103), (104), (105), (107)등을 포함하게 되는 조작부(910)에서 각종 조작 지령신호에 근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되는 제어회로(920)를 설치하여 상기 각 기구부(350), (400)를 소정의 상태로 구동하여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로 부터 원하는 디스크(201)를 자동적으로 교환 연주시키는 것이다.
더구나, 제18도의 표시부(930)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표시부(104), (105), (106), (108), (109)등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및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의 특징으로 되는 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점으로서는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 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구조에 관한 디스크(201)의 약 1/4 반원주부를 보호 유지하는 디스크 수납구(203) 또는 디스크 수납구부(302)를 가지는 것이만 그것들의 칸막이벽(208) 또는 칸막이부(382)는 그 각부분의 상부가 디스크(201)의 수납방향에 있어서 각 위치에서의 디스크 외주원의 접선보다도 바깥측면으로 경사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을 들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해 디스크(201)의 수납시에 디스크(201)의 선단부가 칸막이벽(208) 또는 칸막이부(382)의 상부에 있어서, 수납 불가능으로 되지만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되고 디스크(201)의 수납을 부드럽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점으로서는 본체에 대해서 결합 불리가 자유롭게 되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에 관해 본체로 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로 부터 디스크(201)의 낙하를 공통으로 방지하는 제1의 위치를 취함과 동시에 본체내에 결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에서 디스크(201)의 선택적인 출입을 공통으로 가능하게 하는 제2의 위치를 취하는 디스크 홀드레버(205)와 같은 디스크 홀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을 들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해 특히 본체로부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디스크(201)가 부주의로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내에서 장착된 상태에서는 디스크(201)의 선택적인 출입을 공통으로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3점으로서는 마찬가지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에 관해 상기 디스크 홀드레버(205)와 같은 잠금부재로 가져 본체내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잠금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를 강제해제 하지 않으면 분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되는 것처럼 하여 부주의한 이탈상태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디스크(201)의 낙하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제4점으로서는 똑같이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지지구조에 관해 번지검출용의 번지판(404)과 같은 번지 검출용부재의 지지구조와 열적으로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하여 서로 한쪽측을 기준으로서 다른쪽 측이 열적으로 신축 자유롭게 되므로서 항시 정확한 번지검출(진행) 및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제5점으로서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및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 및 보조 디스크 받침대(300)에 관해 양자 공히 본체내의 소정위치에 들어간 상태에서 이들에 수납되어 있는 각 디스크(201)의 출입측에 대향하여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를 그 양단부가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에 걸린 상태에서 주행이 자유롭게 되는 것과 같이 루프상으로 펼쳐 설치한 점을 들수 있다. 결국 이것에 의해 본체내에서 디스크(201)는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 또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로 부터 부주의로 탈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6점으로서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에 관해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가 본체에 대하여 출입되는 것에 이어 움직여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의 디스크 출입측에 대향 또는 비대향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정지레버(310)와 같은 디스크 정지부재를 설치한 점을 들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와의 별개로 자동적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300)는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크(201)가 부주위로 본체내로 낙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내에 끌어 넣어진 상태에서는 디스코(201)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제7점으로서는 마찬가지로 보조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300)에 관한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 구동기구(350)에 의해 완전하게 본체내의 소정위치에 끌어넣어진 후에 하지 않으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는 구동상태가 안되도록 이우어져 있는 점을 들수 있다.
결국, 이것에 의해 만약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끌어넣음 동작 전이나 동작중과 같이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는 본체내의 소정위치에 없는 상태에서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가 구동상태로 된 경우에 생기는 오동작, 결국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의 선택 및 연주가 되지 않게되어 버린다고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상술한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의 상세를 설명하는데 앞서서 먼저 로팅 및 비로딩(Unloading)시에 있어서 디스크(201)의 전체적인 이동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19도에 있어서 01내지 02는 각각 전기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에서 빼내어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에 로딩되는 디스크(201)의 이동과정에 있어서 중심위치의 궤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로딩 시에는 생략된 반대의 궤적을 채택하여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원위치에 수용된다.
이 경우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는 진행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디스크(201)를 선택한면, 먼저 후술하는 디스크 밀어올림구조가 구동되어 디스크(201)를 02위치까지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201)의 원주부는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의 로딩 및 비로딩용의 제1 및 제2로딩부(610), (630)의 각 로울러(611), (631)에 접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의 로딩부(610), (630)는 각 로울러(611), (631)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내레일(650)을 따라 화살표 K1방향에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크(201)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화살표 K1방향에 로딩된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의 로딩부(610), (630)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디스크(201)는 디스크 로딩용의 슬롯부(651)를 능가하면 상기 각 로울러(611), (631)로부터 격리되어 그 자중에 의해 후술하는 수용부에 도달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201)는 상기 슬롯부(651)에 배치된 디스크 검출기(652)에 의해 그 통과를 검출하게 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통과검출에 따라 움직여 후술하는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는 구동되어 디스크 연주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의 디스크 연주 동작이 종료하면 상기 디스크 이동기구부(600)는 반전 구동되므로서 상기 제1 및 제2의 로딩부(610), (630)은 각 로울러(611)(631)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대의 원만한 곡선형의 안내 레일(650)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울러(611), (631)를 디스크(201)의 원주부에 접한다. 이 결과 디스크(201)는 상기 제1 및 제2의 로딩부(610)(630)의 화살표 K2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울러(611)(631)에 의해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구르게 되어 상술한 로딩과 생략된 반대의 궤적을 채용하여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디스크(201)는 소정의 위치까지 비로딩되면 상기 제1및 제2의 로딩(610)(630)은 정지되기 때문에 로울러(611)(631)로 부터 격리되고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상기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소정 위치인 01의 위치까지 구르도록 수옹된다. 여기서 제20도 및 제21도는 각각 상기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의 로딩 전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면중 설치대(420)의 한쪽선단부에는 상술한 디스크 선택부(500)를 구성하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제2도 참조)에 대해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후술하는 선택 와이어 구동기구 및 선택한 디스크(20)를 밀어 올리는 디스크 버팀기구(510)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버팀기구(510)에 대응한 상기 설치대(420)의 상면부에는 밀어올려진 디스크(201)의 로딩 및 연주종료후의 비로딩을 행하는 디스크 이송기구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대 (4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로딩된 디스크(201)의 연주를 행하는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대(420)의 하부면에는 그 한쪽 선단부에 안내축(402)(제3도 참조)을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지지하는 안내공(421)이 형성되고, 다른쪽 선단에레일(401)(제3도 참조)을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지지하는 안내부(422)가 형성된다.
이 결과 상기 설치대(420)는 선택와이어 구동기구가 구동되면 상기 선택와이어(403)(제3도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A, B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시 도면중 2쌍의 포우터 커플러(Photo coupler)에 의한 감지부(425)는 제2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슬릿(207)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감지부(425)는 상기 설치대(4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설치대(420)의 정밀 위치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슬릿(207)에 대하여 차동(差動)을 검출한다.
또한, 도면중 제1검출 스윗치(653)은 상기 제1 및 제2의 로딩(610)(630)의 로딩 개시위치(즉, 비로딩 종료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제1의 검출 안내레일(65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 제1검출 스위치(653)는 상기 제1로딩부(610)가 가장 K2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여 비로딩을 종료시키기위해 후술하는 로딩 구동용 모우터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23도 및 제24도는 각각 상기 디스크 선택부(500)를 구성하는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 및 디스크 버팀기구(510)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선택와이어 구동용(531) 및 버팀레버구동용 모우터(511)를 나타낸다.
즉 모우터(531)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532)가 지지되고, 상기 워엄기어(532)는 워엄휘일기어(533)에 결합된다. 이 워엄휘일기어(533)는 와이어를 감는 풀리부(534) 및 제동부(5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대(420)에 설치된 축(423)에 대해 스프링(536) 및 절탄성부재(537)를 삽입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는 축방향(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동부(535)가 상기 점탄성부재(537)에 접해 그 회전 구동력이 제동된다. 그리고 상기 워엄휘일기어(533)의 풀리부(534)에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한쪽 선단이 상기 보조받침대(122)에 지지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보조받침대(123)에 대하여 스프링부재(538)를 삽입설치하여 지지된 선택와이어(403)의 중간부가 감아지게 된다. 또 상기 워엄휘일기어(533)의 상면부에는 제1제동레버(539)의 한쪽 선단이 맞추어지고 이 제1제동레버(539)의 중간부에는 제2제동레버(540)의 선단부 축(541)을 삽입설치시켜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제동레버(539)(540)는 그 다른쪽 선단부간에 스프링부재(542)가 이어붙어지고 서로의 간격을 소정의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제동레버(540)의 다른쪽 선단부에는 캠 접접용의 맞춤돌기부(543)가 형성되어 상기 맞춤돌기부(543)는 제동용 캠(544)의 제1캠부(545)에 걸어 맞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캠(544)은 모우터(511)의 회전축에 지지된 워엄기어(512)에 결합하는 워엄휘일기어(51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캠부(545)에 대응하여 디스크 밀어 올림용의 제2캠부(546)가 설치된다. 제2캠부(546)에는 작동레버(514)의 일단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상기 작동레버(514)는 그 중간부에 설치된 호울(515)에 축(516)이 삽입되어 화살표 K3, K4방향에 이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514)의 다른쪽 선단에는 버팀레버(517)의 선단이 축(518)을 끼워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이 버팀레버(517)는 그 중간부가 상기 설치대(420)에 설치된 설치판(424)에 대해 축(519) 및 스프링부재(520)를 삽입설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버팀레버(517)의 다른쪽 선단에는 예를들면 생략된 계단형의 잠금부(521)는 상기 디스크 받침대본체(301)의 디스크 수납구부(302)의 한부에 설치된 절결부(380)의 계단형의 걸림부(38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예를 들면 탄성체로 되는 디스크 보호용의 캠부(52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캠(544)에는 소정의 위치에 제1 및 제2 맞춤부(547)(548)는 각각 캠 위치 검출용의 제1 및 제2 스윗치(549)(550)의 각 작동부(551)(552)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 결과 상기 캠(544)은 그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그 제1 및 제2 맞춤부(547)(548)는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윗치(549)(550)를 on-off하는 것에 따라 위치 검출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및 디스크 버팀기구(51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의 선택상태에서 있어서는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를 구성하는 모우터(531)가 소정의 상태로 회전 구동된다. 그렇게하면 상기 모우터(531)는 워엄기어(532)를 개입시켜 워엄휘일기어(53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워엄휘일기어(533)의 풀리부(534)에는 선택와이어(403)가 감아 동여진다. 이 결과 상기 선택와이어(403)는 폴리부(534)에감아 동여질때에 소정의 구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디스크선택연주 기구부(400)를 화살표 A, B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디스크(201)를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는 제25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설치대(420)의 한쪽면에 설치된 광학식의 감지(P1)-(P6)에 의하여 상기 기억 번지판(404)이 검출되면 다음에 상기 차동검출용 감지부(425)가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슬릿(207)에 대하여 차동을 검출하여 정밀한 위치결정이 행해져 디스크(201)의 선택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를 제1 및 제2의 제동레버(539)(54)를 개입시켜 제동하는 캠(544)는 제1 맞춤부(547)가 제1의 스윗치(549)를 ON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크(201)의 선택을 완료하면 상기 모우터(513)는 설치대(420)가 위치결정된 상태로 구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다음에 모우터(511)가 구동되어 제2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엄휘일기어(513)및 상기 캠(544)을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캠(544)은 우선 제1 캠부 제1제동레버(539)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함과 동시에 그 제1 맞춤부(547)가 제1 스윗치(549)의 작동부(551)로 부터 격리되어 상기 제1 스윗치(549)를 off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동레버(539)는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를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하여 제동부(535)를 점탄성부재(537)에 접하게 하고 워엄휘일기어(533)를 제동(소위 잠금)한다. 그리고 상기 캠(544)은 제27도에 나타난 것처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제2맞춤부(548)는 제2스윗치(550)의 작동부(522)에 접해 제2스윗치(550)를 on한다. 이때 상기 캠(544)의 제2캠부(546)는 작동레버(514)를 화살표 k4방향으로 이동하여 버팀레버(517)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버팀레버(517)는 캡부(522)가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소정 디스크 수납부(203)의 절결부(209)에 삽입되어, 디스크(201)를 소정위치까지 밀어 올린 상태로 잠금부(521)는 상기 절결부(209)의 걸림부(210)에 대향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에 로딩된다. 그리고 디스크 연주를 종료하면 상기 디스크(201)는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디스크 수납부(203)에 비로딩 된다. 여기서 상기 모우터(511)는 반대로 회전되어 상기 워엄휘일기어(513) 및 캠(544)을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그러면 이 캠(544)은 그 회전에 따라서 면저, 제2캠부(546)는 디스크 버팀기구(510)를 빈대로 회전해 버팀레버(517)의 잠금부(521)를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의 절결부(209)의 걸림부(210)로 부터 이탈시키고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상기 캠(544)의 제1캠부(545)가 상기 제2제동레버(540)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제동레버(539)의 일단을 워엄휘일기어(533)로 부터 격리한다. 이 결과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는 그 제동부(535)가 스프링(536)의 용수철 힘에 의해 점탄성 부재(537)로 부터 격리되어 잠금이 해제되고 여기에 다음디스크(201)의 선택이 행해진다. 여기서 제2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 버팀기구(510)는 예를 들면 디스크 연주중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받침대본체(202)가 M방향으로 뽑아낸 경우에 상기 버팀레버(517)의 잠금부(521)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걸림부(210)를 걸리게 하여 이탈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버팀기구(510)는 앞서 말한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대해 서로 상기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와 마찬가지로 감지부(425)에 의해 슬릿(382)(제13도 중에서도 도시의 경우상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에 대하는 차동을 검출하여 정밀한 위치 결정이 행해진 상태에서 구동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크를 버팀기구(510)의 버팀레버(517)는 상술한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와 거의 같고, 캠부(522)가 디스크수납부(302)의 절결부(380)에 삽입되어 디스크(201)를 밀어올린 상태에서 잠금부(521)는 걸림부(381)에 대향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레버(517)는 제30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들면 디스크 연주중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가 C방향으로 뽑아낸 경우에 잠금부(521)는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걸림부(381)을 걸리게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한 디스크(201)를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까지 로딩하고 연주 종료후에 다시 원래의 디스크 받침대(202)의 디스크 수납부(203)까지 비로딩하는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31도 및 제32도는 각각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의 로딩전(즉, 비로딩 후) 및 후(즉, 비로딩 전)를 나타내는 것을 도면중 설치대(654)는 설치대(420)의 상단부에 고착되고, 앞에서 말한 상기 설치대(654)에는 한쌍의 안내레일(650)에 대응하여 한쌍의 랙기어(656)가 설치된다. 이 랙기어(656)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안내구(657)(도면에서는 한쪽만을 표시)가 형성되고, 이 안내구(657)에는 상기 제2로딩부(630)를 설치하게 되는 제2설치대(658)가 복수의 안내로울러(659)를 개입시켜 화살표 K1, K2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된다. 상기 제2설치대(658)에는 상기 로딩구동용 모우터(660)가 설치되어 모우터(660)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661)가 끼워 설치된다. 워엄기어(661)에는 워엄휘일기어(662)가 결합된다. 이 워엄휘일기어(662)는 클럿치기어(663)를 개입시켜 제1톱니바퀴(664)에 결합되고 제1톱니바퀴(664)는 상기 한쪽의 클럿치기어(656)에 결합된다.
또, 상기 워엄휘일기어(662)에는 제2톱니바퀴(665)를 개입시켜 제2아이들러기어(666)가 결합된다. 이 제2아이들러기어(666)는 그 한쪽면에 탄성체로 형성된 로울러(63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워엄휘일기어(662)에는 제3톱니바퀴(667)가 결합된다. 이 제3톱니바퀴(667)에는 일체적으로 동력전달용의 벨트차(6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벨트차(668)에는 링상의 전달용 타이밍 벨트(669)의 한쪽이 감겨진다. 그리고 이 타이밍 벨트(669)의 다른쪽은 제1로딩부(610)를 구성하는 제4톱니바퀴(670)의 벨트차도시되지 않았음)에 감겨진다. 이 제4톱니바퀴(670)은 상기 안내레일(650)에 대하여 복수의 안내로울러(671)를 개입시켜 화살표 K1, K2방향에 이동자재로 설치된 "
Figure kpo00001
"형의 젠1설치대(672)에 지지되어 있고, 제5 및 제6톱니바퀴(673)(674)를 제1아이들러기어(675)에 결합된다. 이 제1아이들러기어(675)는 그 한쪽면에 탄성체로 형성된 로울러(611)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설치대(672)(658)에는 한대의 링크레버(676)가 각각 회동자재로 이어 설치된다. 이 결과 상기 제1설치대(672)는 상기 제2설치대(658)가 상기 제1톱니바퀴(664) 및 한쪽의 랙기어(656)의 협동에 의해 화살표 K1, K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움직여 주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상기 설치대(654)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딩부(610)(630)의 로딩종료 위치(즉, 비로딩 개시위치)를 검출하는 제2검출스윗치(677)가 제1검출 스윗치(653)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 제2검출스윗치(677)는 상기 제2로딩부(630)가 가장 K1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여 로딩을 종료해야 하는 상기 모우터(660)를 정지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이송기구부(6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디스크 이송기구부(600)는전술한 것처럼 디스크 버팀 기구(510)에 의하여 디스크(201)가 밀어 올려지고 원주면부를 제1 및 제2아이들러기어(675)(666)의 각 로울러(611)(631)에 접하면 모우터(660)가 소정의 상태에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모우터(660)는 워엄기어(661)를 개입시켜 워엄휘일기어(662)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워엄휘일기어(662)는 제1아이들러기어(675)의 제3톱니바퀴(667) 타이밍벨트(669), 제4, 제5 및 제6톱니바퀴(670)(673)(674)를 개입시켜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함과 동시에 제2아이들러 기어(666)를 제2톱니바퀴(665)에 개입시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또한 제1톱니바퀴(664)를 클럿치기어(663)에 개입시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201)는 제1 및 제2아이들러기어(675)(666)의 로울러(611)(63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설치대(672)(658)가 상기 제1톱니바퀴(664) 및 랙기어(656)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 안내 레일(650) 및 안내구(657)에 안내되어 화살표 K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상기 디스크(201)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로딩경로(655)(제19도 참조)를 구르면서 상기 제1 및 제2설치대(672)(658)와 함께 화살표 K1방향으로 로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설치대(672)(658)는 제32도에 나타나는 소정 위치(즉, 디스크(201)가 연주 위치에 도달하는 약간 전)에 도달하면 제2검출스위치(677)를 on하여 상기 모우터(66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그 이동을 정지한다. 그렇게하면 상기 디스크(201)는 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로딩경로(655)(제19도 참조)를 따라 후술하는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의 소정위치에 구르는 것같이 수용되고, 여기에 상기 로울러(611)(631)로 부터 격리되어 로딩 동작을 종료한다. 또 디스크 언주를 종료한 디스크(201)를 비로딩할 경우 상기 디스크 이송기구부(600)는 먼저 상기 모우터(660)가 반대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아이들러 기어(675)(666) 및 제1톱니바퀴(664)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제1톱니바퀴(664)가 상기 래기어(656)와 협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설치대(672)(658)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아이들러기어(675)(666)의 로울러(611)(631)를 디스크(201)의 원주면에 닿게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201)는 로울러(611)(63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로딩경로(655)(제9도 참조)를 굴리면서 상기 제1 및 제2설치대(672)(658)와 함께 화살표 K2방향으로 비로딩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 2설치대(672)(658)는 제31도에 나타나는 위치(로딩 개시위치)에 도달하면 제1검출스윗치(653)(제20도 및 제21도 참조)를 on하여 상기 모우터(66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그 이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201)는 그 스스로의 무게에 의해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원래의 디스크 수납구(203)에 구르는 듯이 수용되고, 여기에 상기 로울러(611)(631)로 부터 격리되고 비로딩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로딩된 디스크(201)의 연주를 행하는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33도 제34도 제35도 및 제36도에 있어서, 모우터(701)의 설치대(420)의 다른쪽 선단부에 설치된 클램퍼와 구동용 모우터로 모우터(701)의 회전축에는 톱니바퀴(702)가 설치된다. 상기 톱니바퀴(702)는 제1 및 제2감속기어(703)(704)를 장착하여 구동용의 캠기어(705)에 결합된다. 또, 상기 설치대(420)의 밑쪽 선단부에는 설치판(706)이 설치되고 이 설치판(706)에는 거의 "
Figure kpo00002
"형의 클램프레버(707) 및 클램퍼 조정 레버(708)의 일단이 축(709)을 개입시켜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그리고 클램퍼 조정레버(708)는 그 다른쪽 선단부 상기 클램퍼 레버(707)의 중간부에 조정나사(710) 및 스프링(736)(제35도 및 제36도만 도시)을 개입시키 연결된 상태로 그 중간부에 형성된 맞춤돌부(711)가 상기 캠기어(705)의 캠부(712)에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클램퍼레버(707)의 양쪽 선단부에는 각각 맞춤핀(713)(도면중에는 한쪽만 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대(420)의 상단부에는
Figure kpo00003
형의 안내레버(714)가 상기 클램프 레버(707)에 대응하여 회동자재 설치된다. 이 안내레버(714)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클램프레버(707)의 맞춤핀(713)이 삽입되는 홈부(715)(그림중에는 한쪽만 도시) 및 핀(716)(그림중에서는 한쪽만 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716)에는 클램프 호울더(717)의 일단에 형성된 긴구멍(718)(그림중에서는 한쪽만 도시)에 삽입된다. 이 클램프 호울더(717)는 중앙부에 자성체로 되는 원통상의 클램퍼(719)가 판스프링(720)을 개입시켜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상기 클램퍼(719)는 상기 디스크(201)가 장착되는 도전성 재료인 턴테이블(721)(제35도 및 제36도만 도시)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그 자기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201)를 턴테이블(721)에 대해 연주 가능하게 압력을 주어 접하게 하는 것과 같이 장착한다. 또 상기 안내레버(714)는 양단의 외측에 절곡부(722)(723)가 형성된다. 이들 절곡부(722)(723)는 디스크 안내용의 디스크 안내부(724)(제35도 및 제36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에 설치된 한쌍의 작동부(725)(726)에 대응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버(714)가 턴 테이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그 작동부(725)(726)에 접해 턴 테이블 방향으로 이동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안내부(724)는 상기 설치대(420)에 대해 출입 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버(714)가 반대로 회전되면 스프링부(727)(728)(제33도 및 제34도만 도시)에 의하여 원취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클렘프레버(707)에는 디스크 수납용의 디스크 포켓부(729)가 상기 디스크 안내부(724)에 대향하는 것같이 상기 턴 테이블(721)에 대응하여 회동자재로 설치된다. 이 디스크포켓부(729)는 로딩경로(65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배면부에는 안내용의 가로대(730)가 상기 설치대(420)에 설치된 규제용의 걸림부(731)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포켓부(729)의 중간부에는 삽입공(732)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732)에는 상기 설치대(420)에 대해 삽입부(733)를 개입시켜 지지된 디스크 수용의 유무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반사 감지에 의한 제2디스크 검출기(734)가 설치된다. 다시 상기 클램프 레버(707)의 중앙부에는 절곡 맞춤부(7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 맞춤부(735)의 선단이 상기 클램프 호울더(717)의 한쪽 선단부에 놓이는 것같이 맞추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 조정레버(708)를 작동하는 상기 캠기어(705)에는 검출 슬라이더(737)의 일단이 맞추어진다. 이 검출 슬라이더(737)는 상기 캠기어(705)의 캠부(712)가 채용되는 제1 및 제2위치(즉, 비클램프 및 클램프 위치)에 대응한 두 개의 위치를 채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한대의 마이크로 스윗치를 on-off하여 상기 모우터(701)를 소정의 상태에서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디스크 연주기구부(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로딩경로(655) 및 디스크 안내부(724)에 안내된 디스크(201)가 디스크 포켓부(729)에 수용되면 이것을 제2디스크 검출기(734)가 검출하여 모우터(701)를 소정 상태로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모우터(701)는 톱니바퀴(702), 제1 및 제2감속기어(703)(704)를 개입시켜 캠기어(705)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캠기어(705)는 상기 캠부(712)에 맞추어지는 맞춤돌부(711)를 개입하여 클램프 조정레버(70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구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면 상기 클램프 조정레버(708)는 클램프레버(707)를 같은 방향으로 회동 시키기 때문에 클램프레버(707)가 그 회동에 동반하여 안내레버(714)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제3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내레버(714) 및 클램프레버(707)는 각각 디스크 안내부(724) 및 디스크 포켓부(724)를 턴 테이블 방향으로 이동 구동함과 동시에 클램프 호울더(717)의 선단부를 구동하여 턴 테이블 방향으로 거의 평행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클램프 호울더(717)의 클램프(719)는 그 자기력에 의하여 턴 테이블(721)에 대해 디스크(201)를 개입시켜 끼워 톺추고 상기 디스크(201)를 연주 가능으로 장착하여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광학식 픽업(pick-up)이 구동되어 디스크 연주가 행해진다. 또, 상기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는 디스크 연주를 종료하면 상기 모우터(701)가 뒤집혀 상술한 디스크 장착 동작과 거의 역동작을 행해 제3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장착된 디스크(201)를 턴 테이블(721)로 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디스크 받침대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소정의 디스크 수납구(203)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제2디스크 검출기(734) 및 제1디스크 검출기(652)(제19도 참조)는 각각 디스크(201)의 유무 및 통과를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움직여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의 각부가 다음 동작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정의 상태로 제어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의 특징으로 되는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점으로서는 디스크 선택부(500)에 관해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를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대해 소정의 상태에서 구동하는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의 워엄휘일기어(533)과 같이 동력 폴리를 축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 상태에서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를 점탄성부재(537)에 접하게 하여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을 제동하도록 구성한 점을 들 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하면 상기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상기 워엄휘일기어(53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확실하게 하여 신속히 행해지는 것으로, 이같은 작동을 위해 디스크 선택부(500)의 각각의 부분과 관련에 있어서 전체의 제어성이 향상되어 디스크(201)교환속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점으로서는 똑같이 디스크선택(500)에 관해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대해 소정의 상태에서 구동되어 위치 결정이 되어지면 선택와이어 구동기구(530)를 제동하고 나서 디스크 버팀기구(510)를 작동하여 소정의 디스크(201)를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 점을 들수 있다.
결국 이것에 의하면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가 디스크 받침대 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에 대해 위치 결정 상태로 제동되고 부터 디스크(201)의 꺼집어 냄이 행해지기 때문에 디스크 버팀기구(510)는 잘못되는 동작없이 소정의 디스크(201)를 확실하게 끄집어 낼 수 있는 까닭이다.
제3점으로서는 디스크 받침대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디스크(201)를 끄집어 내는 디스크 버팀기구(510)에 관해 상기 디스크 버팀기구(510)의 버팀레버(517)와 같이 버팀부재를 디스크 밀어 올림상태로 디스크 받침대본체(202)의 걸림부(210)(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걸림부(381)에 대응되어 걸림이 가능하게 구성한 점을 들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하면 버팀레버(517)의 밀어올림 상태(즉 연주가능상태)로 디스크 받침대본체(202)(혹은 보조 디스크 받침대(301))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되기 때문에 오동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까닭이다.
제4점으로서는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관해 디스크(201)의 로딩 및 비로딩을 이루는 제1 및 제2로딩부(610)(630)을 링크레버(676) 및 타이밍벨트(669)등을 개입시켜 한 개의 모우터(660)으로 소정의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연결 구성한 점을 들 수 있다. 결국 이것에 의하면 제1 및 제2로딩부(610)(630)가 동일 모우터(660)에서 연동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제어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 및 전력 소비화의 효과적인 촉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5점으로서는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에 관해 디스크 이송기구부(600)로 이송된 디스크(201)가 수동되는 디스크 안내부(724) 및 디스크 포켓부(729)를 각각 턴 테이블(721)에 대해 출입자재로 설치하고 이들 디스크 안내부(724) 및 디스크 포켓부(729)와 함께 디스크(201)를 턴 테이블(721)까지 이동하며 연주가능으로 정착하도록 구성한 점을 들 수 있다.
결국 이것에 의하면 디스크(201)를 디스크 안내부(724) 및 디스크 포켓부(729)에 수용한 상태에서 턴 테이블(721)에 대해 연주 가능으로 장착하는 것으로 디스크(201)의 보호 및 장치의 소형화의 효과적인 촉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6점으로서는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에 관해 디스크(201)의 통과를 제1디스크 검출기(652)로 검출하고 또한 상기 디스크(201)의 디스크 포켓부(729)에 대한 수용의 유무를 제2디스크 검출기(734)로 검출하여 각부를 소정의 상태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한 점을 들 수 있다.
요컨대, 이것에 의하면 로딩경로(655)와 같이 이송로 및 디스크 포켓부(729)로 2단식으로 디스크(201)를 검출한 상태에서 각부를 제어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디스크 연주중에 전기가 휴전되는 경우에 그 후 다음 디스크(201)를 디스크 연주 기구부(700)에 이송하는 거와 같이 오동작이 방지되는 안전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과 동시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제한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과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적은 용적으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향상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크의 교환 속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하고, 더나아가 간단한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요청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우수한 디스크 자동 교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디스크를 서로의 면이 평행하게 수납되고, 배열방향을 따른 한쪽에 각 디스크의 출입이 가능한 디스크 출입부가 형성된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와 상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디스크 출입부에 대향하여 디스크 배열방향으로 이동하여 임의 위치에서 디스크를 교환하는 개구를 갖춘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를 가지는 디스크 자동 교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선택 연주 기구부(400)와 동시에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의 개구와 대향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디스크 출입부를 항시 폐쇄하여 각 디스크가 상기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스크 선택연주 기구부(400)의 디스크 배열방향 양측에 걸리게 되는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는 주 디스크 받침대 기구부(200)양측에 위치하는 풀리(407-410)에 감아돌려지고, 양단이 상기 디스크 선택 연주기구부(400)의 양측에 걸려서 이루어진 디스크 스토퍼 와이어(4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KR1019840004911A 1983-12-27 1984-08-16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KR890003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44463A JPH0821188B2 (ja) 1983-12-27 1983-12-27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244463 198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87A KR850005687A (ko) 1985-08-28
KR890003205B1 true KR890003205B1 (ko) 1989-08-26

Family

ID=1711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11A KR890003205B1 (ko) 1983-12-27 1984-08-16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33452A (ko)
EP (1) EP0151807B1 (ko)
JP (1) JPH0821188B2 (ko)
KR (1) KR890003205B1 (ko)
DE (2) DE348075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898A (en) * 1984-06-15 1988-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JPH0721917B2 (ja) * 1985-08-08 1995-03-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ルチデイスクプレ−ヤ
BE904766R (fr) * 1985-09-12 1986-09-01 Staar Sa Appareil pour la reproduction et/ou l'enregistrement successif et/ou selectif de supports d'informations.
DE3732938A1 (de) * 1987-09-30 1989-04-20 Thomson Brandt Gmbh Cd-geraet mit dynamischer darstellung von funktionsablaeufen
JP2845890B2 (ja) * 1988-05-25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US4862584A (en) * 1988-08-01 1989-09-05 Rigidyne Corporation Disk drive assembly station
US5022020A (en) * 1989-08-14 1991-06-04 Kirk Langman Multiple play compact disk player
JPH0812734B2 (ja) * 1990-02-16 1996-0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ルチプルタイプcdプレーヤ用トレイストッパ
US5235579A (en) * 1990-03-15 1993-08-10 Cyberkinetics Ltd. Compact disc storage retrieval and loading device
US5335218A (en) * 1991-05-02 1994-08-02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transfer mechanism for plural disc changer
WO1994002941A1 (de) * 1992-07-20 1994-02-03 Martin Stetter Vorrichtung zum magazinieren und transportieren im wesentlichen runder, scheibenförmiger, gleich dimensionierter objekte
KR950703780A (ko) * 1992-10-01 1995-09-20 아리에 슐로모 디스크를 조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384856B2 (ja) * 1994-01-05 2003-03-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H07220359A (ja) * 1994-01-31 1995-08-18 Sony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US5431520A (en) * 1994-04-29 1995-07-11 Eastman Kodak Company Disc-shaped object storage and retrieval mechanis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907532A (en) * 1995-09-06 1999-05-25 Taylor; Vincent F. Data disc handling,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JP3090410B2 (ja) * 1995-09-12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JP3090411B2 (ja) 1995-09-22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JP3402888B2 (ja) * 1995-12-14 2003-05-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JPH09251701A (ja) * 1996-03-14 1997-09-22 Nippon Columbia Co Ltd 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US5936930A (en) * 1996-04-17 1999-08-10 Funai Electronic Co., Ltd. Automatic disk changer
GB2345375B (en) * 1999-06-10 2002-07-17 M4 Data Ltd Data storage
DE69908599D1 (de) * 1999-11-01 2003-07-10 Wing Sang Cheung Speichersystem für Platten
JP2014203483A (ja) * 2013-04-05 2014-10-27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ライブラリ装置
US9672863B1 (en) 2016-02-17 2017-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gripper for storage discs
US9633686B1 (en) 2016-02-17 2017-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storage cassettes
US9741389B1 (en) 2016-02-17 2017-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robotic optical storage system
US9741390B1 (en) * 2016-03-23 2017-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c drive
US11189257B2 (en) * 2018-06-11 2021-11-30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elf-contained, safety-confirming jukebox chassis and enclosure
US10529371B1 (en) 2018-10-29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tuator tip calibration for robotic optical storage system
US10600441B1 (en) 2018-12-07 2020-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gripper for storage disc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0786A (en) * 1944-07-06 1947-07-29 Erik Arne Landberg Improvements in automatic gramophones
US2673739A (en) * 1947-04-15 1954-03-30 Seeburg J P Corp Autoamtic phonograph
US2891797A (en) * 1953-07-06 1959-06-23 Wurlitzer Co Automatic phonograph
US4290846A (en) * 1978-08-08 1981-09-22 Ciba-Geigy Corporation Method of protecting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 from attack by microorganisms
JPS57181473A (en) * 1981-05-02 1982-11-08 Pioneer Electronic Corp Disc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1807A3 (en) 1987-04-08
DE3485819T2 (de) 1993-03-04
EP0151807B1 (en) 1989-12-13
EP0151807A2 (en) 1985-08-21
US4633452A (en) 1986-12-30
JPH0821188B2 (ja) 1996-03-04
DE3480751D1 (de) 1990-01-18
KR850005687A (ko) 1985-08-28
JPS60138769A (ja) 1985-07-23
DE3485819D1 (de) 199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205B1 (ko)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KR890003206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US5067116A (en) Automatic disc changer apparatus
US4734898A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JPS59231772A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KR910006084B1 (ko) 디스크오토 체인저 장치
JPS61156563A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US5666342A (en) United tape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united inserting part
KR900000640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H0142854Y2 (ko)
JPH0416280Y2 (ko)
JPH0679412B2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KR900000637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H0142853Y2 (ko)
EP0313110B1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JPH0821187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H0241097B2 (ja) Deisukuootochenjaasochi
JPH0634290B2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JPH0451908B2 (ko)
US568237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selectively playing an optical disc and a cassette-encased tape
JPH0823959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H07107771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2880224B2 (ja) ディスクの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JPS59231766A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JPS60138773A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