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637B1 -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637B1
KR900000637B1 KR1019850003943A KR850003943A KR900000637B1 KR 900000637 B1 KR900000637 B1 KR 900000637B1 KR 1019850003943 A KR1019850003943 A KR 1019850003943A KR 850003943 A KR850003943 A KR 850003943A KR 900000637 B1 KR900000637 B1 KR 90000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tray
auxili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645A (ko
Inventor
가오루 모리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앰프케이스를 제외한 제1도의 내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의 디스크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정면도.
제5a, 제5b도 및 제5c도는 제4도의 디스크 수납홈을 나타내는 확대상세도.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의 결합,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2도에 있어서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8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각부를 제어하는 전기회로의 계통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2도의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디스크트레이본체와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의 관계를 설명한 상태도.
제12도는 제9도의 고정안내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13a, 제13b도는 제12도의 고정안내부에 의하여 디스크 2매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규제부재를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
제14a도, 제14b도와 제15a도, 제15b도는 제13도의 규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크의 구성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제12도의 디스크 보호규제용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
제17도는 제9도의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8a도, 제18b도와 제19a도, 제19b도는 제12도의 고정안내부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앰프케이스 101 : 주디스크트레이수납부
102 : 보조디스크트레이수납부 103 : 조작부
104 : 키이조작부 105 : 표시부
106 : 레벨표시부 107 : 조작부
108 : 현재곡명표시부 109 : 다음곡명표시부
121 : 주샷시 122, 123 : 보조샷시
200 :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 201 : 디스크
201A : 표지면 201B : 광학면
202 : 디스크트레이본체 203 : 디스크수납홈
203A : 규제부 203B : 규제면부
203C : 경사부 203D : 지지부
207 : 슬릿 208A, 208B : 칸막이벽
253, 254 : 디스크트레이지지대 255 : 안내보스
258, 259 : 잠금핀 300 :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
301 : 보조디스크트레이 302 : 디스크수납홈부
303 : 보조디스크트레이틀 310 : 디스크정지레버
350 : 보조디스크트레이구동기구 381A, 381B : 칸막이부
400 :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 403 : 선택와이어
420 : 설치대 500 : 디스크선택부
510 : 디스크버팀기구 530 : 선택와이어구동기구
600 : 디스크이송기구부 651 : 고정안내부
651A : 디스크출입구 651B : 규제부재
651C : 완충부재 652 : 디스크검출기
653 : 검출스위치 654 : 설치대
700 : 디스크연주기구부
본 발명은 광학식 CD(Compact Disk)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동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향기기 분야에서는 가능한한 완벽한 음향의 재생을 꾀하기 위해 PCM(Pulse Code Modulation)기술을 이용한 DAD(Digital Audio Disk) 음향재생장치가 개발되어 왔고, 특히 그중에서도 CD방식을 채택한 것이 급속히 보급되어지고 있다.
즉, 이 CD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음향재생장치는 직경이 12Cm, 두께가 1.2mm인 투명수지제원반에다 디지털(PCM)화 되어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트(pit, 0과 1을 이용하여 다른 광반사율이 얻어지는 요철부)를 형성시킨 금속박막을 씌운 디스크를 일정선속도(CLV, Constant Linear Velocity)방식에 따라 가변회전 속도인 약 500~ 200r.p.m으로 회전시켜서, 이것을 반도체 레이저나 광전변환소자를 내장하고 있는 광학식 픽업으로 안쪽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선형추적(Linear Tracking)식으로 재생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 경우 CD는 한 면만으로도 약 1시간동안 스테레오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방대한 정보량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아나로그식 디스크에 비해서 재생특성면에서나 기록밀도면에서 현격하게 우수한 것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그 원리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CD를 구비하므로서 우수한 특징을 살리기 위한 사용방식으로는, 예컨데 영업용 멀티디스크 자동연주장치를 생각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는 아나로그식 디스크의 경우에서도 실용화되고 있는 이른바 자동전축과 가라오께앰프(반주곡을 재생시켜 상기 반주곡에 맞추어 손님이 노래를 부르는 음향앰프 시설로서 일명 가라오께라 칭함)에 상당하는 것으로, 이는 디스크 자동변환장치에 의해 실현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이런 종류의 디스크 자동변환장치는 아나로그식 디스크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도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함과 동시에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서 조작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동작을 확실하게 해야한다는 점에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적정하게 많게 할 수 없음과 동시에 디스크의 교환속도도 적정수준으로 신속하게 할 수 없는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CD용으로 종래의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CD용에 적합한 디스크 교환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사정은 레이저비디오 디스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또 최근 소위 전자파일(File)화의 일환으로서 실용화되어 가고 있는 광디스크 파일시스템(Optical Disk File System)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많아지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간단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작동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우수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트레이에서 원하는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디스크연주부에 교환공급하도록 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연주부의 디스크출입구에다 선택되지 않은 다른 디스크가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후술하는 디스크 자동변환기구를 수납하고 있는 앰프케이스(100)의 외관정면도로서, 상기 앰프케이스는 다수(이 경우 60매)의 디스크를 수용하는 주디스크트레이수납부(101)와 소수(이 경우에는 1매)의 디스크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된 보조디스크트레이수납부(102)를 갖추고 있다.
또한 참조부호 103은 디스크의 작동개시나 일시정지, 연주완료 및 재작동과 같은 연주상태를 지정하는 조작부이고, 104는 5곡까지 선택할 수 있게한 키이조작부, 표시부(105)는 곡의 박자조절 및 음조제어표시부이고, 106은 신호레벨표시부, 107은 10개의 키이조작부, 108은 현재 연주중인 곡명의 표시부, 109는 다음 연주 곡명표시부이다.
한편, 110은 헤드폰 플러그 삽입부, 111은 리모콘연결소켓삽입부, 112는 보조디스크트레이 출입용조작부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 제1도의 앰프케이스(100)로부터 끄집어낸 디스크 자동교환기구의 사시도와 평면도인데, 주샷시(121) 및 좌우양측의 보조샷시(122,123)사이에는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와,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 및,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미리 소정 매수의 디스크(201)가 뒤에 설명되는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디스크수납홈(203)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나란히 수납되어져 있는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나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에 대해, 먼저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가 디스크 진행제어명령에 따라 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원하는 디스크(201)를 선택함과 더불어 상기 디스크(201)를 끄집어내어 연주상태가 되게한 다음, 연주가 종료된 후 디스크(201)는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나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상의 원래 위치로 되돌려 넣어진후, 다음번 디스크 진행제어명령에 따라 위의 설명내용과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디스크트레이본체(202)가 주샷시(121)위에 세워진 좌.우 디스크트레이지지대(253,254)에 대하여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져 있고, 또 보조디스크트레이(301)가 보조디스크트레이구동기구(350)에 의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 C,D방향으로 쉽게 출입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400)는 디스크선택부(500)와 디스크이송기구부(600) 및 디스크연주기구부(700)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주샷시(121)에 지지되어져 있는 레일(401)과 안내축(402)을 따라 선택와이어(403)의 구동력으로 도시된 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도중 부호 404는 주샷시(121)위에 받쳐 세워진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어드레스판으로서, 이는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형성되는 바, 이 경우 상기 어드레스판(404)에는 60개의 디스크수납홈(203)에 1대1로 대응하는 절대어드레스를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2진법에 의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각 구성부를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4a도는 상기 설명에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가 끄집어내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약 1/4원주상 형태를 가지면서 60개의 디스크수납홈(203)을 갖는 디스크트레이본체(202)와, 이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양측부재 사이에 스프링(204)을 매개하여 회동되어지게 지지되어져 있는 " "형상의 디스크호울드레버(205), 상기 양측부재에 형성된 결합. 분리안내부(206) 및, 디스크수납홈(203)의 각 출입부분에 대응한 60개의 위치지움용 슬릿(207)이 갖추어져서, 디스크(201)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수납홈(203)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09)는 상기 디스크수납홈(203) 각각의 바닥에 마련된 디스크를 끄집어 내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5a도, 제5b도, 제5c도는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로부터 디스크수납홈(203)을 끄집어 내어 도시한 사시도와 부분단면도 및 부분평면도로서, 상기 디스크수납홈(203)의 바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칸막이벽(208A,208B)에 의해 디스크(201)의 두께와 거의 같은 칫수로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칸막이벽(208A,208B)은 그 끝이 서로 연결되어져 있고, 디스크(201)의 표지면(201A, 기록신호가 없는 면)에 대향하는 한쪽의 칸막이 벽(208A)에 다수개의 위치규제용 규제부(203A))가 그 홈바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디스크(201)의 광학면(201B, 신호기록면)과 마주보고 있는 다른쪽 칸막이벽(208B)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홈 바닥으로부터 디스크(201)의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신호영역의 바깥부분 칫수에 대응하는 1값으로 거의 수직으로된 규제면부(203B)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면부(203B)로부터 윗쪽 끝까지 바깥쪽(즉 디스크(201)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디스크 보호용의 경사부(203C)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또 상기 칸막이벽(208A,208B)에 연결된 선단부에는 거의 V자형상의 디스크 위치결정용지지부(203D)가 형성되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있어서, 각 디스크수납홈(203)의 칸막이벽(208A,208B)에는 상기 규제부(203A)와 규제면부(203B) 및 경사부(20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바, 즉 상기 디스크수납홈(203)을 예컨데 디스크(201)가 도시된 화살표(E)방향으로 홈바닥을 따라 수납되어지면, 디스크의 표지면(201A)이 한쪽칸막이벽(208A)의 규제부(203A)에 접하여 규제됨과 동시에 그 신호기록 광학면(201B) 신호영역의 바깥쪽이 다른쪽 칸막이 벽(208B)의 규제면부(203B)에 접하여 규제되어지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201)는 이동할 때 그 신호기록 광학면(201B)이 직접 닿지 않는 보호된 상태로 수납되게되고, 이어서 수납이 완료되면 선단부가 지지부(203B)사이에 끼워져 거의 수직을 유지하게 되므로써, 상기 지지부(203D)에 수납된 디스크(201)가 제작과정등에서 그 두께가 칫수(이 경우에는 1.2mm의 CD)에 오차가 발생된 것이더라도 수납된 상태에서 확실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결합. 분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가 디스크 교환장치내에 장착될 때에는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는 4쌍의 디스크트레이지지대(253,254)에 마련되어진 안내보스(255)와 레일(256)에 대하여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양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분리안내부(206)를 도면의 활살표(F)방향으로 삽입하면 된다. 단 이때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를 삽입하기 전에 디스크 홀드레버(205)가 미리 스프링(204)이 한쪽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도시된 화살표(G)방향으로 회동되어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 되므로서, 디스크트레이본체(202)로부터 어떤 디스크(201)라도 잘못되어 이탈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살표(F)방향으로의 삽입과정에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의 디스크홀드레버(205)는 그 양쪽 걸림부(257)가 디스크트레이지지대(253,254)에 마련되어져 있는 잠금핀(258,259)에 걸려지게 되어 도면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가 되도록 화살표(H)방향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방향의 최종위치에서 잠겨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장착이 완료될때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홀드레버(205)가 제6도의 2점쇄선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회동되어 지므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에 수납되어져 있는 디스크(201)의 선택적인 출입이 다같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를 본체로부터 끄집어내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잠금위치에 있는 디스크홀드레버(205)를 손으로 잡고 약간 밑으로 누르면서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부(270)를 손으로 잡고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인 도시된 화살표(M)방향으로 잡아당겨주면 된다.
또 이렇게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에 수납되어 있는 임의의 디스크(201)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400)에 의해 선택되어 연주되고 있을때에는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는 출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가 끄집어 내어진 상태의 사시도로서, 이 경우는 보조디스크트레이(301)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C)방향으로 잡아당겨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바, 즉 이때 보조디스크트레이(301)는 1매의 디스크(20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앞쪽에는 약 1/4원주상 디스크수납홈(302)를, 뒷쪽에는 보조디스크트레이틀(303)을 갖춘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보조디스크트레이틀(303)이 오른쪽 보조샷시(123)쪽에서 상하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는 안내축(304)과 하부레일(305)에 대해 각각 미끄럼베아링(306,307) 및 로울러(308)를 이용하여 도시된 화살표(C,D)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짐과 더불어 상기 보조디스크트레이틀(303)의 뒤쪽에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는 랙(309)이 보조디스크트레이구동기구(3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서, 상술한 제1도의 보조디스크트레이출입조작부(112)의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조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본체에서 빠져나왔다 끼워들어가게 되는 방식으로 쉽게 출입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7도에서와 같이 보조디스크트레이(301)가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디스크수납홈부(302)의 뒤쪽에 위치된 디스크정지레버(310)가 구동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회동되게 되므로서 디스크(201)가 뒤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디스크정지레버(310)는 보조디스크트레이(301)가 화살표(D)방향으로 밀어넣어진 상태에서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디스크수납홈부(302)의 뒤쪽에서 떨어지게 되도록 디스크출입구와 비대칭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400)에 의한 디스크(201)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7도에 있어서 보조디스크트레이(301)에는 상술한 디스크 수납홈부(302)의 바닥에 연속되어 있으면서 디스크를 밀어 올리도록 된 절결부(380) 및 이 절결부(380)의 한쪽에 보조디스크트레이를 잠그는 역할을 하는 계단모양의 걸림부(381)가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보조디스크트레이(301)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수납홈부(302)의 칸막이부(382A,382B)는, 각 구성 부분의 높이가 상술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형성된 디스크수납홈(203)에서의 칸막이벽(208A,208B)에서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고, 아울러 보조디스크트레이(301)에 형성된 디스크수납홈부(302)의 출입구(제7도에서는 뒤쪽에 있는 부분)에는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형성되는 디스크수납홈(203)의 출입구 위치결정용 슬릿(207)과 같은 모양으로 된 슬릿(도시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보조디스크트레이(301)를 뽑아낼때에는 위설명과는 반대경로를 거쳐서 이루어지므로 최종적으로 보조디스크트레이(301)는 제7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런데 이러한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201)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디스크 선택연주기구부(400)에 의해 선택되어 연주되고 있을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디스크트레이(301)의 출입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제8도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 디스크자동교환장치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조작부(103,104,105,107)들이 갖춰진 조작부(910)로부터의 각종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등으로된 제어회로(920)를 거쳐 상기 보조디스크트레이구동기구(350) 및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를 소정의 상태로 구동시켜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나 보조디스크트레이기구부(300)로부터 원하는 디스크(201)를 자동적으로 교환연주시키게 되고, 또 제8도에 도시된 표시부(930)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작표시부(104,105,106,108,109)들이 갖춰져 있다.
다음 상기 주디스크트레이기구부(200)로부터 디스크(201)를 뽑아내어 연주시키는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디스크 장전의 전후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즉 설치대(420)의 한쪽선단부에는 상기 디스크선택부(500)를 구성하면서 디스크트레이본체(202, 제2도 참조)에 대해 화살표(A,B)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와이어구동기구(530)와 선택된 디스크(201)를 밀어 올리는 디스크버팀기구(5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디스크버팀기구(510)에 대응해서 상기 설치대(420) 윗쪽면에는 밀어올려진 디스크(201)의 장전작용 및 연주가 끝난다음 디스크를 내리는 작용을 하는 디스크이송기구부(6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대(4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장전되어진 디스크(201)를 연주하게 되는 디스크연주기구부(7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설치대(420)의 아랫면에는 그 한쪽 끝에 상기 안내축(402, 제3도 참조)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지하게 되는 안내구멍(42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상기 레일(401, 제3도 참조)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지되어 있는 안내부(422)가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설치대(420)는 상기 선택와이어구동기구(530)가 구동되면 선택와이어(430, 제3도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A,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9도 및 제10도에서 참조부호 425는 2쌍의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로 구성된 2중감지부로서, 이 2중감지부(425)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슬릿(207)에 끼워지도록 상기 설치대(420)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 이 2중감지부(425)는 설치대(420)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어명령에 따라 일정한 위치까지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정밀하게 결정되도록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슬릿(207)에 대한 이격거리를 검출하게 되며, 또한 상기 2중감지부(425)는 보조디스크트레이(301)의 슬릿(도시되지 않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그 이격거리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검출스위치(653)는 제1,2장전부(610,630)의 장전 개시위치(즉, 디스크 내림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작용을 하는바, 이 제1 검출스위치(653)는 상기 설치대(420) 윗쪽 끝에 설치된 다른 설치대(654)에 상기 안내레일(650)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 제1 검출스위치(653)가 제1 장전부(610)가 제17도에 도시된 화살표(K2)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검출하여 도시되지 않은 장전구동용 모우터를 정지시켜 줌으로써 디스크내림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
한편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420)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마주보면서 예컨데 V자형상으로된 디스크출입구(651A)를 갖는 고정안내부(651)가 설치되어 있고, 또 이 고정안내부(651)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2매가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부재(651B)와 디스크보호규제를 위한 브러쉬나 펠트등과 같은 충격완화재질로 된 완충부재(651C)가, 예컨데 출입하는 디스크(201)의 광학면(201B)과 마주보게 되는 디스크출입구(651A)의 한쪽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규제부재(651B)는 예컨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장전된 디스크(201)의 대략 중앙부보다 아랫쪽에 형성된 디스크출입구(651A)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그 앞쪽 끝이 트레이방향으로 디스크(201)의 최대원주의 안쪽까지 돌출되어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칸막이벽(208A,208B)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져 있고, 또 상기 규제부재(651B)는 디스크출입구(651A)의 다른쪽 방향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출입구(651A) 바닥(즉 디스크(201)의 두께치수(1.2mm)와 거의 같은 간격)한쪽에 대응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규제부재(651B)는 소정 디스크(201)가 다른 디스크 광학면(210B)에 단단히 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지는 경우, 다른 디스크(210)에 접촉되어 디스크출입구(651A)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끝에서 다른 디스크(201)를 다시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원래 디스크수납홈(203)으로 되돌려지도록 규제하게 된다. 이때 제14a도,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크(201)는 제작시 그 한쪽면 광학면(210B)이 대략 거울면과 같이 형성되고, 다른쪽면인 표지면(210A)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는바, 이에따라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 수용된 디스크(201)는 제15a, 제1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의 광학면(210B)에 인접한 다른 디스크(201)의 표지면(210A)의 돌기(210C)가 걸린다던지 또는 서로 정전기등으로 달라 붙어진 상태로 상기 디스크버팀기구(510) 및 디스크 이송기구부(600)에 의해 상기 디스크출입구(651A)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고정안내부(651)의 디스크출입구(651A)에 설치된 규제부재(651B)는 2매의 디스크(201)가 디스크출입구(651A)로 진입하는 것을 저지시켜주기 위해 갖춰지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651C)는 예컨데 제1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과하는 디스크(201)의 중앙부 근방에 대응하고 있는 상기 디스크출입구(651A)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그 앞쪽이 상기 디스크출입구(651A)의 다른쪽 방향에 대해서 디스크출입구(651A)바닥 한쪽에 대응되어져 있게 되며, 또 상기 완충부재(651C)는 제1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충부재의 기단이 상기 고정안내부(651)에 대하여 그의 횡방향(즉 디스크장전방향)으로의 강성이 낮아지도록 지지되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완충부재(651C)는 디스크(201)가 디스크출입구(651A)를 통과할 때 디스크의 광학면(201B)이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디스크출입구(651A)에 접촉되는 것을 규제하게 되므로서 디스크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이동과정을 거쳐 디스크장전 및 디스크내림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바, 즉 도면중에 01에서 05까지는 각각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에서 뽑아내어져서 디스크연주기구부(700)에 장전되어지는 디스크(201)의 이동과정의 중심위치궤적을 나타내는 것인데 디스크내림에 있어서는 대략 반대의 궤적을 따라 디스크트레이본체(202)로 되돌려져 원래 위치로 수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디스크선택연주기구부(400)가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의 디스크(201)를 선택하게 되면, 우선 디스크버팀기구(510, 제9도 참조)가 구동되어 디스크(201)를 02의 위치까지 밀어올리게 되고, 그렇게 되면 상기 디스크(201)의 원둘레부분은 디스크이송기구부(600)의 디스크장점 및 디스크내림에 쓰이는 제1 및 제2 장전부(610,630)는 각 로울러(611,631)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이들 제1 및 제2 장전부(610,630)는 각 로울러(611,631)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안내레일(650)을 따라 화살표(K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화살표(K1)방향으로 장전되어지게 되고, 이어 상기 제1 및 제2 장전부(610,630)에 의해 옮겨진 디스크(201)가 디스크장전에 쓰이는 상기 고정안내부(651)를 넘어가게 되면, 이 디스크(201)는 상기 각 로울러(611,631)로부터 떨어지면서 자중에 의해 디스크 수용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201)는 상기 디스크출입구(651A)에 설치된 디스크검출기(652)에 의해 디스크의 통과가 검출되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이러한 디스크통과 검출신호에 따라 디스크연주기구부(700)가 구동되면서 디스크연주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연주기구부(700)에 의해 디스크연주동작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디스크이송기구부(600)가 반전되어 구동하게 되고, 이어 상기 제1 및 제2의 장전부(610,630)가 그 각 로울러(611,631)를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만곡형상으로된 1쌍의 안내레일(650)을 따라 화살표(K2)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들 각 로울러(611,631)를 디스크(201)의 원주둘레에 맞닿게 해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디스크(201)는 상기 제1 및 제2 장전부(610,630)에 의해 K2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로울러(611,631)에 의해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상술한 디스크장전과 거의 반대궤적을 따라 화살표(K2)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디스크(201)는 소정의 위치까지 디스크내림상태가 되면 상기 제1 및 제2 장전부(610,630)가 정지되기 때문에 로울러(611,631)로부터 떨어진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디스크트레이본체(202)의 소정의 위치인 01의 위치까지 옮겨져 수용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 디스크 교환장치는 고정안내부(651)의 디스크출입구(651A) 한쪽에 완충부재(651C)가 설치되어, 이 완충부재(651C)가 통과하는 디스크(201)의 광학면(201B)이 미끄러져 접촉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연주상태 준비장착 및 연주상태 종료 해제시에 있어 디스크(201)의 파손등의 손실을 방지하고 작동의 확실화를 추구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완충부재(651C)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출입구(651A)의 디스크(201)의 광학면(201B) 및 표지면(210A)에 대향하여 양쪽에 설치하여도 효과면에서 같은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바, 이 경우 상기 완충부재(651C)는 디스크(201)의 표지면(201A)에 대향하는 한쪽을, 예컨데 재료 및 굵기등을 바꾸어 강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상기 디스크(201)에 대한 규제가 향상되어 보다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완충부재(651C)는 제19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상의 디스크출입구(651A)를 갖춘 고정안내부(651)에 적용하여 디스크(201)의 광학면(201B) 및 표지면(201A)에 대향하는 양측에 다수개의 완충부재(651C)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이 경우 상기 다수개의 완충부재(651C)는 제19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201)의 두께치수 1.2mm보다 약간 좁은 간격(W)으로 하고 상기 표지면(201A)에 대향하는 한쪽의 강성을 향상시키므로서 디스크(201)에 대한 규제력이 향상되어 보다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 디스크 자동교환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의 확실화를 추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디스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스크트레이로부터 원하는 디스크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디스크연주기구부로 교환공급할 수 있도록된 디스크 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연주기구부(700)의 디스크출입구(651A)에 상기 디스크(201)를 규제하는 완충부재(651C)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자동교환장치.
KR1019850003943A 1984-06-15 1985-06-05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KR900000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117 1984-06-15
JP59123117A JPS613358A (ja) 1984-06-15 1984-06-15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JP59-123117 1984-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645A KR860000645A (ko) 1986-01-30
KR900000637B1 true KR900000637B1 (ko) 1990-02-02

Family

ID=1485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943A KR900000637B1 (ko) 1984-06-15 1985-06-05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13358A (ko)
KR (1) KR900000637B1 (ko)
DE (1) DE3521474A1 (ko)
GB (1) GB21629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901937A (fr) * 1985-03-14 1985-07-01 Staar Sa Dispositif d'insertion et d'ejection automatique de supports d'informations.
DE3715164A1 (de) * 1987-05-07 1988-11-24 Thomson Brandt Gmbh Cd-plattenwechsler
JP2511345Y2 (ja) * 1990-07-09 1996-09-25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7990C (de) * 1949-08-06 1958-01-02 Walther Sauer Sprechmaschine mit Magazin zum wahlweisen Abspielen von Schallplatten
GB836099A (en) * 1957-11-16 1960-06-01 Marchant Et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record gramophone apparatus of the prepayment kind
US3293414A (en) * 1962-08-15 1966-12-20 Ibm Record transport device
US3967828A (en) * 1975-03-03 1976-07-06 The Wurlitzer Company Record selector mechanism for a phonograph system
JPS56114157A (en) * 1980-02-15 1981-09-08 Pioneer Electronic Corp Autoloading mechanism
JPS57181473A (en) * 1981-05-02 1982-11-08 Pioneer Electronic Corp Disc player
JPS58159618U (ja) * 1982-04-20 1983-10-24 赤井電機株式会社 デイスククリ−ニング機構付きデイスクプレ−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2991A (en) 1986-02-12
GB8514774D0 (en) 1985-07-10
KR860000645A (ko) 1986-01-30
DE3521474A1 (de) 1985-12-19
JPS613358A (ja) 1986-01-09
GB2162991B (en) 1988-02-24
DE3521474C2 (ko) 1989-03-02
JPH053672B2 (ko) 199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206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KR890003205B1 (ko) 디스크 자동 교환장치
RU20566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US5572498A (en) Disc player that loads both compact disc and mini-disc
WO2000017870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u type disque
US4893293A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disk player
KR900000637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KR900000640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H02121159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US6459674B1 (en) Disc changer apparatus with vibration free turntable
KR100710397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용 헤드 이송 기구
JPH05342740A (ja) 情報記憶デバイスの自動交換装置
US5666342A (en) United tape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united inserting part
US20040073990A1 (en) Disk driver
JP2939970B2 (ja) ディスク検出装置
KR19990060606A (ko) 카드형 광 디스크 재생 드라이브
KR100195617B1 (ko) 광디스크 안착유무 표시기능이 구비된 광디스크 체인저의트레이
JP2671725B2 (ja) 記録媒体の自動選択装置
JPH056278B2 (ko)
KR0127038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구동장치
JPH09237457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S6050748A (ja) 光学式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3164221B2 (ja) カセットの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JP3453478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の収納容器
JPS6050743A (ja) 光学式ディスクレコ−ド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