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64B1 -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64B1
KR890001864B1 KR1019860006474A KR860006474A KR890001864B1 KR 890001864 B1 KR890001864 B1 KR 890001864B1 KR 1019860006474 A KR1019860006474 A KR 1019860006474A KR 860006474 A KR860006474 A KR 860006474A KR 890001864 B1 KR890001864 B1 KR 89000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ubble
machine
hook machine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320A (ko
Inventor
다까시 무로야
Original Assignee
썬카페트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쓰지 쓰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72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338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83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57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83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57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75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175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91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3464A/ja
Application filed by 썬카페트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쓰지 쓰네지 filed Critical 썬카페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4Tufting
    • D05C15/08Tufting machines
    • D05C15/26Tuft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producing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3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base fabr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수 카펫트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장치의 제2주행대를 나타낸 횡단면도.
제3도는 상기 장치의 직틀(weaving frame)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직틀에 기포(substrate cloth)를 장설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상기 직틀에 지지선(supporting cord)군을 장설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상기 직틀에 다른 지지선 군을 장설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상기 직틀의 권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기포와 후크기와의 관게를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후크기의 주행 궤적과 실제로 파일사(pile yarn)가 자수된 상태를 비교한 설명도.
제10도는 제1에어 실린더의 공기회로의 설명도.
제11도는 제2주행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제12도는 후크기의 선단의 바늘 기구부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13도는 상기 바늘 기구부의 당접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14도는 절단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5도는 절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16도는 제2주행대와 지지대와의 관계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17도는 루프직의 경우의 후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
제18도는 종래의 후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
제18도는 종래의 후크기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
제19도는 상기 후크기의 동작 설명도.
제20도는 상기 후크기의 당접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포 B : 파일사
C : 루프상부 N : NC장치
Na : 테이프 레코더 Nb : 입력회로
Nc : 연산장치 Nd : 서보회로
1 : 직특 2 : 제1주행대
3 : 제2주행대 4 : 횡목
5 : 다리 6 : 계지침
7 : 네트 8 : 후크기
9 : 지지선 10 : 권상장치
11 : 풀리 12 : 축
13 : 베어링부 14 : 워엄
15 : 워엄 치차 16 : 제1지지레일
17 : 각부(leg) 18 : 크로스 바아
19 : 브라켓트 20 : 제1펄스 모우터
21 : 제1이송 나사 22 : 제2이송 나사
23 : 제2펄스 모우터 24 : 천판
25 : 제3펄스 모우터 26 : 치차
27 : 출력축 28 : 개구부
29 : 지주 30 : 플랜지
31 : 환상틀 32 : 바늘 기구부
33 : 제1공기 실린더 34 : 출력축
35 : 공실(space) 36 : 공실
37 : 절환변 38 : 배기압 제어변
39 : 피스톤 40 : 고정통
41 : 투공 42 : 접시상체(당접 가이드)
43 : 가동통 44 : 압축 스프링
45 : 저부 46 : 본체
47 : 연속간 48 : 개구창
49 : 절단장치 50 : 아암
51 : 제2공기 실린더 52 : 출력축
53 : 가위부 54, 55 : 날
56 : 캠판 57 : 돌기
58 : 캠홈 59 : 지점부
60 : 콘 61 : 지지대
62 : 안내봉 63 : 지지판
64 : 축부 65 : 가이드링
66 : 안내통 67 : 고정날
68 : 가동날 a : 후크기
b : 가동통 c : 삽입판
d : 가위 e : 프레임부재
본 발명은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크기에 의하여 기포에 파일사를 삽입하여 카펫트 표면을 형성하는 형식의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기억시킨 문양에 따라서 상기 후크기구를 주행시킴으로써, 종래 수직에 의하여 제작하던 큰 변화 있는 문양의 자수 카펫트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상기 후크기를 미리 지정된 상기 문양에 따라서 동작 주행시킬때, 수직의 경우와 같이 상기 후크기의 주행자세가 제어 되도록 하여서, 기계적인 자수 작업이어도, 상기 후크기의 주행 동작이 원활이 되도록 한 것이다.
자수 카펫트에는 터프트 카펫트(tufted carpet)와, 후크기의 의하여 제작되는 후크드 러그(hooked rug)의 2종류가 있다.
이 후크기를 사용하는 자수 카펫트의 경우 터프트 카펫트에 비하여 생산성에 있어서 떨어지지만, 여러가지 문양의 카펫트가 제작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종래의 후크기(a)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포(A)의 상면으로부터 선단이 경사방향으로 컷된 가동통(b)을 삽입하여, 이 가동통(b)내에 파일사(B)를 삽통시키고, 이 가동통(b)에 내장되는 가위(d)에 의하여 상기 루프 상부(c)가 절단되는 것으로서, 기포(A)의 상면(제품으로서 볼때는 이면)측에서만 상기 후크기(a)를 주행시킴으로써, 주행 궤적에 대응한 문양을 제직한다. 따라서 이 후크드 러그에서는, 회화적인 문양의 카펫트라도, 후크기의 주행 궤적의 설정, 및 사용 파일사의 색의 선정에 의하여, 제직할 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로부터 이 후크기(a)를 자동 주행 시켜서, 여러가지 문양의 카펫트를 기계적으로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손으로 기포(A)상을 주행시켜서, 카펫트를 제직하는 수동에 의한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는, 후크기(a)의 주행 자세에 일정한 제약이 있으며, 상기 가동통(b)의 선단의 사방향 컷부가 주행 방향에 대하여 항상 후방을 향하도록 후크기(a)를 주행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주행 궤적에 맞춰서, 그때 그때 후크기(a)의 자세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양에 큰 변화가 있는 카펫트를,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그리고 기계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NC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후크기가 자동 주행하고 그리고 이 후크기가 그 주행 방향에 대하여 항상 적정하게 세트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크길를 기포 장설용의 직틀과 평행한 면 내에서 그리고 기포의 상방을 주행하는 주행대에 형성하고, 이 주행대를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자수 구간마다 주행시키고, 상기 자수 구간의 시점부에서 후크기를 강하시키고, 기포에 대접시킴과 동시에, 종점부에서 후크기를 인상하여서 기포로부터 이반시키도록 한 자수 케펫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루프직의 자수 카펫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자수 근간의 종점부에서 파일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자수 카펫트 제조시에 사용하는 기포 장설용의 직틀에 있어서, 이 직틀이 구성하는 평면에 대하여 후크기의 주행 궤적과 기포에의 자수선과의 오차가 적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직틀에 장설한 상기 기포가 후크기의 하중에 의하여는 크게 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직틀에 장설한 기포와 평행한 X축-Y축 평면 내에서, 후크기를 기계적으로 자동 주행시켜, 이 주행 중에는 이 후크기를 동작 상태로 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후크기를 상기 기포측에 강하시켜서, 가이드 편을 상기 기포에 대접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후크기의 주행 궤적과 제직 문양과의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편에 작용하는 하향 하중을 작게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후크기와 기포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후크기의 본체 하단에 제공된 당접 가이드에 있어서, 후크기 주행 중에 당접 가이드가 기포 상면에 돌출하는 파일사와 단부 등을 걸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당접 가이드의 단부에 부분적인 돌출부가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관련하는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적합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 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 사항을 읽으면 명백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대별하면 기포(A)를 장설하기 위한 직틀(1)와, 이 직틀(1)의 X축에 평행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Y축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제1주행대(2)와, 이 제1주행(2)를 Y축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제1주행장치와, 상기 제1주행대(2)에 형성된 제2주행장치 및 제2주행대(3)과, 이들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NC장치(N)로써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각부를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① 직틀(1)에 대하여 직틀(1)은,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4개의 횡목(4)…을 정방향으로 조합한 것으로서, 그 하면에 다리(5)…가 연설되어서, 직틀(1)이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직틀(1)의 각변, 즉 횡목(4)이 상면 중앙부에는, 기포(A)를 계지하기 위한 다수의 계지침(6 : retaining needle)…이 1열로 식설(植說)되어 있다.
이 직틀(1)의 4변에 배열된 계지침(6)…을 상기 기포(A)의 4변에 삽입하면,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A)가 장설되게 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직틀(1)에서는, 미리 지지선군을 이 직틀(1)에 식설한 계지침(6)…을 사용하여, 올이 굵고 그리고 인장 강도가 큰 선재로써 네트(7 : net)를 장설하도록 해 있다.
즉 도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선군으로서, 예를 들면 어망 등의 네트(7)가 사용되어 있다. 네트(7)를 사용할 때는, 직틀(1)에 형성된 계지침(6)…에 상기 테트(7)의 눈을 계지시키면 되며, 이로써 이 네트(7)가 소정의 상태로 장설되게 된다. 또 이 네트(7)를 사용할 때는, 이 네트(7)를 구성하는 선재 상호가 그 교점에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한층 더 기포(A)가 휘지 않는다.
다음에, 제6도에 나타낸 지지선군은, 단선으로써 된 지지선(9)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직틀(1)의 대향변 사이에 전역에 걸쳐서 가설한 것으로서, 각 지지선(9)는, 그 일단을 일방의 변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대향변의 측면에 형성한 권상장치(10)의 각 풀리(11)에 감기도록 하여서 장설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지지선(9)…는 상기 직틀(1)의 상면에 따라서 장설되게 된다.
이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종방향의 지지선(9)…군은 일방의 권상장치(10)에 의하여 한번에 권상되어서, 상기 각 지지선(9)…이 장력부여 상태로 세트된다. 그리고 권상장치(10)의 축(12)을 지지하는 베어링부(13)에는 일방향 클러치 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각 풀리(11)와 축(12)와의 사이에는, 상기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 기구를 조립하면, 풀리(11)…는, 이 풀리를 회전시킴으로써 독립하여 권상 가능하게 되어, 상기 지지선(9)…의 장력 밸런스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선(9)…군 중의 하나가 절단되어도, 그 지지선(9)를 개체하는 것만으로 상기 지지선 군을 수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권상장치(10)으로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워엄 기어 기구로써 된 기타 등의 현 권상장치와 같은 장치를 각 지지선마다 형성할 수도 있다. (14)는 워엄, (15)는 워엄 치차이다.
그리고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선의 재질로서는, 금속, 플라스틱등의 여러가지의 것이 채용 가능한데, 인장 강도가 큰 것이 적절하다.
상기 네트(7)를 장설한 직틀(1)에 기포(A)를 장설하여 제8도와 같이, 후크기(8)를 주행시키면, 네트(7)를 장설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후크기(8)의 과중에 의한 기포(A)의 휨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A)의 주변부를 주행시킬 때의 , 상기 휨량 변화에 따른 주행 궤적의 오차가 적어진다. 즉 상기 후크기(8)가 직틀(1)의 코너부에서 직틀(1)의 상면에 대하여 직선 주행한 궤적(1)과, 기포(A)상의 주행 궤적(m)과의 오차가 적어지는 것이다.
② 제1주행대(2) 및 제1주행장치. 제1주행대(2)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과 평행한 대향변의 각 변에 따라서 형성한 한쌍의 제1지지레일(16), (16)사이에, 제1지지레일(16), (16)과 평행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제1주행대(2)는 상기 제1지지레일(16), (16)에 전진하여 대각하는 서로 평행한 각부(17), (17)와, 이 각부(17), (17) 사이를 잇는 한 쌍의 크로스 바아(18), (18)로써 된다.
일방의 제1지지레일(16)의 브라켓트(19)에는, 제1구동수단으로서의 제1펄스 모우터(20)가 장착되고, 이 펄스 모우터(20)에 의하여 정, 역전되며, 그리고 일방의 각부(17)과 나사 상태로 계합하는 제1이송 나사(21)이, 상기 제1지지레일(16)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펄스 모우터(20), 제1지지레일(16), (16) 및 제1이송 나사(21)의 조합이 제1주행장치를 구성하며, 이 제1주행장치가, NC장치(N)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제1주행대(2)를 정,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③ 제2주행대(3) 및 제2주행장치. 제2주행대(3)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주행대(2)의 크로스 바아(cross bar)(18), (18) 사이로 전진하여 대각상태로 가설된 것으로서 이 크로스 바아(18), (18)에 따라서 , 즉 X축 방향으로 주행한다. 또 제2주행대(3)의 일방의 측변 하부에는, 상기 제1주행대(2)의 각부(17), (17)의 사이에 회동 자재하게 가설한 제2이송 나사(22)가 나사 상태로 계합되어 회전하며, 이 제2이송 나사(22)는 일방의 각부(17)에 형성한 제2펄스 모우터(23)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주행대(3)는, 상기 제2펄스 모우터(23)의 출력에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정, 역 주행케되어 제2펄스 모우터(23)와, 제2이송나사(22)와, 제2주행대(3)과 크로스 바아(18), (18)의 전진 대각 관계에 의하여, 제2주행장치가 구성되게 된다.
다음에 지 제2주행대(3)의 천판(天板)(24)의 상면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구동 수단으로서의 제3펄스 모우터(25)와, 회전체로서의 환상의 치차(826)이 형성되며, 이 치차(26)과 제3펄스 모우터(25)의 출력축(27)은 소정의 회전 비율로 치차 전동되어 있다.
또 상기 치차(26)의 중앙의 개구부(28)의 주벽은, 상기 천판(24)에 형성한 구멍부에, 주위 대각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치차(26)에는 후크기(8)를 지지하는 지주(29)가 직립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크기(8)는 공지의 수직용(手織用)의 후크기(예를 들면, 일본 우네야마 제작소의 TYPE-15등)를 2대로 사용한 것으로서, 이 후크기(8)의 중간 정도에 플랜지(30)를 부가하고, 이를 상기 지주(29)에 형성한 환상틀(31)내에 감입시켜서, 상기 후크기(8)의 장착자세를 일정하게 규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로써 후크기(8)의 선단의 바늘 기구부(32)가 상기 치차(26)의 중앙으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또 상기 환상틀(31)은, 지주(29)에 대하여 그 일단에서 전진 대각시켜 있으며, 이 전진 대각의 근방이, 상기 지주(29)에 장착한 제1공기 실린더(33)의 출력(3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후크기(8)은 이 제1공기 실린더(33)의 동작에 따라서 승강하게 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후크기(8)의 자중과 이를 상기 지주(29)에 장착하기 위한 환상틀(31)의 자중이, 후크기(8을 하방으로 압하 하는 힘(하중)으로 작용하는데, 전술의 ①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포(A)의 휨을 적게 하기 위하여는, 이 압하 힘은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상기의 제1공기 실린더(33)는, 통상의 사용 상태와는 반대의 출력 상태로 사용하여, 후크기(8)의 강하력의 경감을 기하고 있다.
즉, 후술의 NC장치(N)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후크기(8)는 소정의 지점에서 기포(A)로 향하여 강하케 되는데, 후크기(8) 및 이에 부속하는 부재의 자중이, 적정 강하력에 대응하는 하중보다 크므로, 제1공기 실린더(33)에 입력되는 상기 후크기(8) 강하를 위한 신호에 의하여, 이 제1공기 실린더(33)는 비출력상태로, 그리고 공기실(33)내의 피스톤(39)에 소정의 상승 이동 방향 압력이 작용하도록 설정되며, 반대로 후크기(8)의 상승복귀 동작과 대응하는 신호에 의하여, 제1공기 실린더(33)은 출력 상태로 되어, 후크기(8)가 인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공기 실린더(33)의 비출력 상태에 있어서, 그 출력축(34)에 작용하는 상승력은, 후크기(8) 및 이에 부속하는 부재의 자중으로부터 적정 강하력을 감한 값에 일치시켜 있다.
상기 동작을 실시케 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공기 실린더(33)의 출력축(34)와 반대축의 공실(space)(35)를 개방 상태로 하고, 출력축(34)축의 공실(36)에 압력원으로부터의 공기압을 절환변(37)을 통하여 공급하여, 이 절환변(37)의 배기측의 회로에 배기 압력을 소정에 설정한 배기압 제어변(38)을 형성하고 구성을 채용한다.
이로써, 공기압이, 상기 절환변(37)로부터 공실(36)에 공급된 경우에는, 출력축(34)가 후크기(8)을 인상하는 일상, 상기 절환변(37)이 절환되어 공실(36)과 배기 회로가 연통 했을 때에는, 피스톤(39)에 배기압 제어변(38)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출력축(34)가 강하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공기 실린더(33)의 배기축 회로와 이 회로에 형성한 배기압 제어변(38)의 조합이 전술의 부세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제11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는 상술의 실시예와 거의 같으나, 장착대(31)과 지주(29)와의 사이에, 상향 부세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44)를 사이에 끼워 놓은 것으로서, 상기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이, 제1공기 실린더(33)이 배출력 상태에 있을 때, 출력축(34)에는 인상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후크기(8)이 장착대(31)과 함께 강하하며, 이 강하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44)에 의한 상향의 부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후크기(8)의 선단의 바늘 기구부(32)는, 전술의 제18도에 나타낸 종래의 공지의 바늘 기구부(5)와 약간 달라서,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포(A)와 당접하는 스토퍼(당접 가이드)(42)에 고안을 가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통(40)에 연설하는 당접 가이드(42)를 종래의 선재제의 프레임부재(e)(제20도 참조) 대신에, 중앙에 투공(41)을 구비한 원호상 단면의 접시 상체로 해 있으며, 이 투공(41)을 관통하여 후크기(8)의 가동통(43)이 승강한다.
즉,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당접 가이드(42)의 단면을 저부(45)로 되는 곡률의 극단적으로 작은 원호부와, 이 양측에 연속하는 곡률이 큰 원호부로써 구성하며, 전체를 원형의 접시 상체로 한 것으로서, 저부(45) 중앙에 가동통(43)보다도 큰 투공(41)을 개구시켜 후크기(8)의 본체(46)의 하단에 형성한 고정통(40)과 상기 당접 가이드(42)를 연속간(47)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정한 구성으로 해 있다.
이 당접 가이드(42)는, 후크기(8)가 강하한 상태에 있어, 그 자세를 부꿀때, 상기 투공(41)의 외주역이 전역적으로 기포(A)에 대접해 있게 되며, 앞 공정에서 삽입된 파일사(B)의 노출부를 걸 염려가 없으므로, 상기 후크기(8)의 주행 자세의 변경이 원활히 행해진다. 수직의 경우와 달라서, 종래의 프렘임부재(e)를 그대로 당접 가이드로서 채용 했을 때에는, 후크기(8)이 자세를 바꿀때, 파일사(B)의 노출부를 이 프레임부재(e)에서 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접시 상체로써 된 당접 가이드(42)로서는, 그 직경이 7.0mm정도로서, 깊이 15mm정도의 것을 채용 하였으나, 이 정도의 크기로써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 하였다.
상기 형식의 당접 가이드(42)를 채용한 후크기(8)의 주행 방향 및 각 시점에서의 주행 자세를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주행시켜 소정의 문양을 제직하는 본 발명의 NC식의 자수 장치에 있어 특히 유효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당접 가이드(42)는 수직용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수직용으로 할 때에는 이 당접 가이드(42)를 투명체로 하면된다. 수직의 경우, 기포에 그린 문양에 따라서 작업자가 후크기(8)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당접 가이드(42)가 투명체의 경우, 이 당접 가이드(42)를 통하여 진행 방향의 문양을 투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는, 당접 가이드(42)를 불투명체로서, 제13도와 같이, 진행 방향축의 일부에 개구창(48)를 개구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로서는 파일사(B)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49)가, 치차(26)에 아암(50)을 통하여 장착되며, 그 절단용의 가위부(53)이 기포(A)의 상방 근방에 위치 하도록 상기 아암(50)의 길이를 소정치수로 설정해 있다.
이 절단장치(49)는, 후크기(8)에 의하여 파일사(B)를 루프상으로 제직할 때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후크기(8)이 일구간의 동작을 완료하고, 이후 크기가 일정 스트로우크 상승 복귀한 시점에서 동작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절단장치(49)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C장치(N)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는 제2공기 실린더(51)와, 이 출력축(52)에 장착한 가위부(53)과, 이 가위부(53)를 구성하는 한쌍의 날(54)(55)이 캠대각 한는 캠판(56)으로써 되며, 상기 한쌍의 날(54)(55)의 지점부(fulcrummember)(59)가 제2공기 실린더(51)의 출력축(52)에 연결되며, 날(54)(55)의 후단부에 돌출한 돌기(57)(57)이 캠판(56)에 형성한 한쌍의 캠홈(58)(58)에 각각 감입해 있다.
이들 캠홈(58)(58)은, 선단부에서의 상호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는 약 Y자 상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위부(53)이 캠판(56)의 선단측으로 진출케 되면, 그 돌기(57)(57)가 캠홈(58)(58)의 선단측으로 이동되어서, 날(54)(55)의 후단부 간격이 넓어지며, 날(54)(55)이 서로 닫혀서, 이 날(54)(55) 사이에 수하하는 파일사(B)를 절단한다.
따라서, 제2공기 실린더(51)에 의한 가위부(53)의 이동량 및 이 가위부(53)이 절단 동작하는 위치는, 캠홈(58)(58)을 형성한 캠판(56)의 장착 위치와 후크기(8)의 장착 위치 간의 관계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캠판(56)은 제2공기 실린더(51)와 함께 아암(50)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 절단장치(49)로서는, 상기한 장치 이외에,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날(67)과 제2공기 실린더(51)에 의하여 이 고정날(67)에 대하여 접리되는 가동날(68)과의 조합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날(67)은 항상 후크기(8)의 바늘 기구부(32)의 근방에 위치하며, 후크기(8)이 소정 위치에 상승 복구한 시점에서, NC장치(N)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제2공기 실린더(51)가 동작하며, 상기 가동날(68)이 진출하여 파일사(B)를 절단한다.
다음에 상기 제2주행대(3)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사(B)를 감은 복수의 콘(60)(60) 용의 지지대(61)이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2주행대(3)과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 지지대(61)에는 중앙에 안내봉(62)를 돌출 시킨 지지판(63)이 장착되며, 이 안내봉(62)의 외주에 콘 장착용의 축부(64)(64)가 배설된다.
상기 안내봉(62)의 상단 및 전술의 지주(29)의 상단에는, 각각 가이드 링(65)(65)이 형성되고, 상기 로(60)…이 인상된 파일사(B)는, 안내봉(62)의 가이드 링(65), 지주(29)의 가이드 링(65)로부터 후크기(8)의 안내봉(66)을 통하여 후크기(8)내에 유도된다.
따라서, 어느 콘(60)의 파일사(B)를 사용할 것인가, 또는 어느 조합의 파일사(B)의 묶음을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서, 색의 변경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술의 NC장치에 의하여 후크기(8)의 자세를 제어함에 있어, 회전체로서의 치차(26)의 원점 자세로부터 정, 역의 185도의 범위에만 회전 하도록 설정 되어 있다. 따라서 콘(60)(60)으로부터 인출되는 파일사(B)가, 지주(29)와 안내봉(62)와의 사이에서 엉킬 염려가 없다.
또 치차(26)는 정, 역 185도의 범위에서 회전하므로 후크기(8)을 직선상으로 왕복 주행시키는 문양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치차(26)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NC장치(N)에의 입력 데이터에 오차가 있어도, 상기 문양의 단부에 있어서의 후크기(8)의 자세 반전 동작이 확실히 그리고 원활하게 된다. 즉 문양의 단부에서는, 후크기(8)는 회전각도 360도를 약간 넘어서 반전 하지 않으면 안될 입력 데이타 조건으로 될 때도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각도 설정에 의하여, 이 조건 하에서도 반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④ NC장치(N)에 대하여, 이 NC장치(N)의 구성은, 공지의 공작 기계등에 채용되는 NC장치와 같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기억수단으로서, 테이프가 채용되며, 하나의 카펫트를 제직하기 위한 데이터가, 1개의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 테이프를 NC장치(N)의 테이프 리더에 걸어서, 장치를 운전 상태로 세트 하면, 테이프 리더에 의하여 판독된 데이타 입력 회로를 통하여 연산장치에 입력되며, 이 연산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각 출력 구동부가 일정한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NC장치(N)에 제어 대상이 되는 출력 구동부는, 제1, 제2, 제3펄스 모우터(20)(23)(25) 및 제1, 제2공기 실린더(33)(51), 나아가서는 후크기(8)로서, 이들 각 부가 전술한 동작을 하도록 제어된다.
또 여기서, 제1공기 실린더(33)의 동작은, 파일사(B)를 후크기(8)내의 가위로 제직 동작때 마다 절단하는 비루프직과 상기와 같이 가위로 절단하지 않는 루프직으로 별개로 설정되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후크기(8)의 주행 개시에 앞서, 일정 스트로우크만 후크기(8)이 강하하며, 그후 일구획의 문양만 후크기(8)가 동작 상태로 주행케 되면, 즉 일구간의 자수가 인상된다. 이에 대하여, 후자의 루프직의 경우에는, 제17도와 같은 경과에 의하여 동작케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동작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일구간의 자수 완료 시점에서는, 후크기(8)의 운전은 일단 정지되며, 이로부터 가동통(43)이 기포(A)로부터 완전히 탈출한 소정의 상승위치에 후크기(8)의 이동은 재정지 된다. 이 P점으로부터 Q점까지의 이동중에, 후크기(8)은 질정 회수의 공동작(idling)(파일사(B)를 기포(A)에 삽입하지 않고 파일사(B)만을 송출하는 동작) 시킨다. 이 동작 정지 시점 Q에서 다시 후크기(8)를 절단장치(49)와의 관계를 고려한 일정높이로 인상하여, 이 위치에 후크기(8)을 일시 정지 시키고, 이 정지 시점에서 제2공기 실린더(51)를 동작시켜서 가위부(53)에 의하여 후크기(8)로부터 수거하는 파일사(B)를 절단하며, 그후 후크기(8)을 초기 위치에 복귀 시킨다.
이와 같이 동작 시킨때는, 일구간의 자수 완료 시점에서 후크기(8)를 제17도의 Q의 위치(파일사(B)를 절단하는 위치)까지 불의에 인상하는 경우에 생기는 결함이 방지된다. 즉 일단 삽입된 파일사(B)가 상시 후크기의 인상에 의하여 기포(A)의 상방으로 빠지는 결함이 확실히 방지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후크기(8)에는 미리 설정된 문양에 따라서 파일사(B)가 장착된다. 한편 NC장치(N)에는, 문양에 적합한 데이터를 테이프 등의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케 하는데, 이 데이터의 판독에 의하여, 또는 이에 앞선 조작에 의하여 후크기(8)는 기포(A)에 대접케 되며, 그후, NC장치(N)에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서, 제1, 제2구동수단이 동작하며, 제1주행대(2)는 Y축 방향으로, 제2주행대(3)는 X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케 되며 이로써, 후크기(8)는 상기 각 이동 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케 된다. 이때 후크기(8)는 동작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이 후크기(8)는 상기 각 이동 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케 한다. 이때 후크기(8)는 동작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이 후크기(8)은 손으로써 주행 시킬 경우와 같은 상태로 주행하며, 곡선 주행, 직선 주행의 여하에 불구하고, 파일사(B)가 후크기(8)에 의하여 기포(A)에 삽입케 된다.
그리고, 이 후크기(8)의 동작역의 일구간은, 문양의 형상, 색본등에 의하여 소정 상태로 설정되게 되며, 상기 일련의 동작은 상기 일구간 마다 진행하며, 전구간에 걸쳐서 후크기(8)가 주행하며, 카펫트가 제직된다. 그후, 기포(A)를 직틀(1)로부터 해제하여 소요의 후처리를 실시하면 카펫트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서으로서,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특유의 효과를 갖는다.
① 종래, 후크기를 손으로써 기포에 파일사를 삽입하고 있던 작업이, 기계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진행하므로, 종래의 수직에 비하여 카펫트 제직 까지의 소요 시간이 단축된다.
또 NC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각 동작부분이 동작하므로, 테이프 등의 데이터 기억수단을 여러가지 준비만 해두면, 수직의 경우와 같은 변화있는 문양의 카펫트를 여러가지 제직할 수가 있다. 환언하면, 다품종의 카펫트가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② 또 후크기의 자세가 각 시점에서 적정하게 세트되므로, 후크기의 주행 방향과 그 자세가 적합하지 않는 사태가 방지되며, 후크기가 원활하게 주행하며 그리고 동작하므로, 불량품이 적어진다.
③ 각 자수 구간의 종점부에서 파일사가 절단 되므로, 후크기를 소정 타이밍에 의하여 동작 시키면서, 주행대를 각 자수 구간 마다에 연속적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루프직의 자수 카펫트가 직조된다.
④ 후크기의 하중에 의한 기포의 휨 량은 적어지므로, 직틀의 상면이 구성하는 평면에 대한 후크기의 주행 궤적은, 기포상의 자수 궤적과의 오차가, 대폭적으로 적어진다. 따라서 후크기의 조작에 요하는 숙련도가 완화된다.
⑤ 직틀에 미리 장설되는 지지선군은 후크기의 자수 동작의 장해가 되지 않으므로, 제직하는 문양의 자유도는 종래의 수직의 것과 동등하게 된다.
⑥ 후크기가 자수 동작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강하된 때의 기포의 휨량이 적어지므로, 후크기의 주행 궤적과 제직 문양과의 오차가 적어진다.
⑦ 또 기포에 작용하는 후크기로부터의 하중이 경감되므로, 자수 작업중에 기포가 늘어나는 결함이 방지 된다.
⑧ 당접 가이드와 파일사의 단부 등이 걸리지 않으므로, 후크기의 주행이 원활하게 되어, 후크기에 의한 기포에의 자수 작업이 작업성이 향상한다.
⑨ 특히 후크기를 동작 상태의 상태대로 주행 방향을 급변할 때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걸림도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루프기의 경우에 있어, 당접 가이드가 파일사 단부를 걸어서 이미 기포에 삽입된 파일사를 빼내는 결함도 방지된다.
그리고 상시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히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있어,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기포(A)가 장설된 직틀(1)의 일변이 X축 방향으로 됨과 동시에, 이 일변의 옆변의 방향이 Y축 방향으로 되고, 상기 Y축 방향으로 주행하고 그리고 제1구동수단에 의하여 주행케 되는 제1주행대(2)가 상기직틀(1)의 상방에 형성되고, 이 제1주행대(2)에 제2구동수단에 의하여 주행되고, 그리고 X축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2주행대(3)가 형성되고, 제3구동장치에 의하여 정, 역 회전되며, 그리고 중앙에 개구부(28)를 갖는 회전체(26)가 상기 제2주행대(3)에 형성됨과 동시에, 이 회전체(26)에 후크기(8)이 승강 자재하게 장착되고, 이 후크기(8)의 선단의 바늘 기구부(32)가 상기 개구부(28)의 중앙에 위치되어, 하방의 기포(A)에 대접 가능하게 대향되고, 상기 제1, 제2, 제3구동수단 및 후크기(8)의 동작을 제어하는 NC장치(N)이 형성되며, 이 NC장치(N)에는 적어도 문양의 제직 순서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제3구동수단의 각 시점에 있어서의 동작량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가 입력 되도록 구성된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틀(1)을 구성하는 횡목(4)…의 상면 사이에, 지지선(9)…군이 소정의 피치로 장설되어 있는 자수 카펫트이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틀(1)에 장설한 기포(A)와 평행한 X축-Y축 평면 내에서 후크기(8)을 동작 상태로 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이 후크기(8)을 기포(A) 축으로 강하시켜서 가이드편(42)를 기포(A)에 대접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후크기(8)이 제2주행대(3)에 형성한 지주(29)에 승강 자재하게 대각되고, 상기 후크기(8)를 인상할 때만 출력 상태로 되는 인상장치가 상기 지주(29)에 형성되고, 장기 후크기(8)의 강하 위치에서 이 후크기(8)에 상향 부세력을 부여하는 부세수단이 상기 지주에 구비된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기(8)과 기포(A)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후크기(8)의 본체 하단에 당접 가이드(42)가 연설되고, 이 당접 가이드(42)는 원만한 곡면으로써 됨과 동시에, 그 중앙에 가동통(43)을 삽통시키는 투공(41)을 구비하는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5. 후크기(8)를 기포 장설용의 직틀(1)과 평행한 면 내에서 그리고 기포(A)의 상방을 주행하는 주행대(2)(3)에 형성하고, 이 주행대(2)(3)을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자수 구간마다에 주행시키고, 상기 자수 구간의 시점부에서 상기 후크기(8)를 강하시켜서, 기포(A)에 대접 시킴과 동시에 종점부에서 후크기(8)을 인상하여 기포(A)로 부터 이반시키도록 한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2)(3)에 후크기(8)과 함께 절단장치(49)를 장착하고, 이 절단장치(49)를 기포(A)의 상면 근방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후크기(8)의 승강역 외부에 위치시키고, 이 절단장치(49)는 가위부(53)이 상기 후크기 승강역 내에 출몰하는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가위부(53)은 후크기 승강역 내에 돌출한 시점에서 파일사(B)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후크기(8)의 선단이 바늘 기구부(32)가 기포(A)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복귀 상승한 시점에서, 상기 절단장치(49)가 상기 파일사 절단 동작을 하도록 한 자수 카펫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파일사 절단 위치에 상기 후크기(8)를 상승 복귀시키는 사이 또는 이에 앞서 상기 후크기(1)를 일정회수로 공동작(idling)시키도록 한 자수 카펫트의 제조방법.
KR1019860006474A 1985-08-05 1986-08-05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890001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72685 1985-08-05
JP60172685A JPS6233860A (ja) 1985-08-05 1985-08-05 刺しゆうカ−ペツトの製造装置
JP172685/85 1985-08-05
JP60-183555 1985-08-20
JP60-183556 1985-08-20
JP183556/85 1985-08-20
JP183555/85 1985-08-20
JP60183555A JPS6245766A (ja) 1985-08-20 1985-08-20 フツク機
JP60183556A JPS6245765A (ja) 1985-08-20 1985-08-20 カ−ペツト用織り枠
JP60-132755 1985-08-29
JP?-132755/85 1985-08-29
JP191384/85 1985-08-29
JP13275585U JPH0111753Y2 (ko) 1985-08-29 1985-08-29
JP60191384A JPS6253464A (ja) 1985-08-29 1985-08-29 刺しゆうカ−ペツトの製造方法
JP60-191384 1985-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20A KR870002320A (ko) 1987-03-30
KR890001864B1 true KR890001864B1 (ko) 1989-05-27

Family

ID=2752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474A KR890001864B1 (ko) 1985-08-05 1986-08-05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69406A (ko)
KR (1) KR890001864B1 (ko)
BE (1) BE905215A (ko)
CH (1) CH669965A5 (ko)
DE (1) DE3626311A1 (ko)
NL (1) NL18817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030B1 (ko) 2020-06-09 2021-12-13 유성열 카펫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7476B1 (fr) * 1989-05-24 1995-04-14 Molline Brault Marcelle Reunir les conditions necessaires a l'execution de points de croix et de tapisserie sur tous tissus
JPH09505361A (ja) * 1993-11-23 1997-05-27 ウィルコム タフティング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機械式タフティング・ヘッド
FR2726582A1 (fr) * 1994-11-04 1996-05-10 Molline Brault Marcelle Cadre a broder
US5743200A (en) * 1996-03-28 1998-04-28 Davis & Davis Custom Rugs And Broadloom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ufted rugs
WO2002046512A1 (en) * 2000-12-06 2002-06-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apparatus
JP2002191879A (ja) 2000-12-27 2002-07-10 Brother Ind Ltd 縫製方法及び模様被加工物
US7814850B2 (en) * 2006-12-06 2010-10-19 Partner's Royalties, Llc Tufting machine for producing athletic turf having a graphic design
US9091009B2 (en) 2011-03-04 2015-07-28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position of needle
US9085840B2 (en) 2011-03-04 2015-07-21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Active thread feed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US9032889B2 (en) 2011-03-04 2015-05-19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tridge selection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US8731704B2 (en) 2011-03-04 2014-05-20 Brother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controlling stitch formation in a sewing device
CN108144815A (zh) * 2016-12-05 2018-06-12 天津佳尚地毯有限公司 一种新型整体地毯植绒机
CN110387645A (zh) * 2019-08-13 2019-10-29 广东众恒科技有限公司 大型编织地毯机器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0076A (en) * 1966-10-07 1969-06-17 Thomas A E Bender Stitching,tufting and carving machine
GB1300621A (en) * 1968-01-08 1972-12-20 Her Majesty Ind Inc Improvements in sewing machines
US3765349A (en) * 1971-05-06 1973-10-16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forming bundles of sheet material
JPS59200689A (ja) * 1983-04-28 1984-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ミシン
JPS6173684A (ja) * 1984-09-20 1986-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機械の被縫製物移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030B1 (ko) 2020-06-09 2021-12-13 유성열 카펫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69965A5 (ko) 1989-04-28
US4669406A (en) 1987-06-02
DE3626311C2 (ko) 1989-07-27
NL8601973A (nl) 1987-03-02
DE3626311A1 (de) 1987-03-12
KR870002320A (ko) 1987-03-30
BE905215A (fr) 1986-12-01
NL188174C (nl) 199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864B1 (ko) 자수 카펫트의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3183458U (ja) 台板式コンピュータタフティング機
KR101364551B1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구조
US11015274B2 (en) Quilting machine
US20210363678A1 (en) Quilted Panel
CN109972312A (zh) 一种轻便式结构单头平绣绣花机
CN110499597B (zh) 一种防护型高精度电脑盘绣机的盘绣总机构
CN210596565U (zh) 一种电脑盘绣机针杆压脚装置
EP2391757B1 (en) Machine for sewing, embroidering, quilting and/or the like employing curved sewing needles with corresponding movement of needle bars
CN114737326B (zh) 一种牙刷绣电脑绣花机
CN112481850B (zh) 稳定型立体褶皱绣成型机构
JP2592583Y2 (ja) 多針式刺繍ミシン
CN210287727U (zh) 一种程序控制单线链式花样缝纫机
US11015275B2 (en) Method of quilting layered input web
US732230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6286444B1 (en) Automatic bobbin changer and method
CN209602749U (zh) 一种新型多机头绗缝机
KR930004076B1 (ko) 절단 경사에 대한 바디(筬)위치 검출방법 및 위치 제어장치
CN214400960U (zh) 稳定型立体褶皱绣成型机构
JP2613376B2 (ja) 刺繍ミシンにおける糸切断装置
CN110409076B (zh) 一种电脑盘绣机针杆压脚装置
CN220284378U (zh) 一种用于刺绣模板缝纫机的机头以及模板缝纫机
JPH04347192A (ja) 刺繍ミシン
CN212834410U (zh) 一种绗缝设备
CN110725073B (zh) 绗缝机的联动机构及设有该联动机构的绗缝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