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443B1 -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443B1
KR890000443B1 KR8202373A KR820002373A KR890000443B1 KR 890000443 B1 KR890000443 B1 KR 890000443B1 KR 8202373 A KR8202373 A KR 8202373A KR 820002373 A KR820002373 A KR 820002373A KR 890000443 B1 KR890000443 B1 KR 89000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motor
steering
vehicle spee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973A (ko
Inventor
미찌오 아베
나오유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야마모도 겐이찌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히로시
도가이 티-알-다블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도 겐이찌,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히로시, 도가이 티-알-다블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도 겐이찌
Publication of KR8300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전기적 결선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행특성중, 차속과 모터의 회전 자전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행특성을 표시한 것으로, 차속과 모터의 회전수의 관계를 제3도에서는 정특성으로, 제4도에 있어서는 핸들을 조종하지 않을때와 핸들을 조종할때의 동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주행특성, 특히 핸들조종전류와 차량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주행특성, 특히 핸들조종전류 또는 기름펌프의 회전수와 핸들조종상태 및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오일펌프의 출력을 차속에 감응하여 가변시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자 개폐기에 의하여 큰부하 전류역을 회로저항 손실이 적은 릴레이 접점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차속감응에 가변하는 적은 전류역을 적은 용량의 트랜지스터소자로 전력을 공급제어하는 전동유압식 동력핸들 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차나 혹은 차고에 넣어 옆차에 바짝 붙여 주차시키거나 다시 차를 꺼낼때 등에 보다 큰 핸들조종력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 큰핸들 조종력을 도와주기 위하여 근래에 동력핸들 조종장치의 장착이 대형차에는 물론 소형차에도 보급되어 왔다.
동력핸들 조종장치는 그 동력원의 종류에 따라서 유압식, 공기압식 및 전기식 등으로 크게 구별되며, 구성요소로서는 일반적으로 핸들조종력 배력(倍力)장치의 동력원으로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핸들조종 토오크의 변화를 기계적으로 검지하여 동력실린더에 유압을 제어하는 콘트롤 밸브를 작동시켜, 이 콘트롤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된 유압에 의하여 동력실린더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여 조종핸들에 요하는 핸들 조종력을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동력핸들조종의 기능으로 중요한 점은 핸들조종력의 적정한 설정이며, 핸들 조종에 대해서 적정한 반력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미소한 핸들조종의 범위내에서는 수동핸들 조종으로하여 핸들조종시의 핸들조종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고속주행시의 핸들조종이 가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핸들을 끝까지 돌리는 것과 같은 큰 부하의 경우에는 상기의 큰 토오크를 해소하여 핸들조종력의 감소는 얻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의 동력핸들 조종장치에서는, 자동차의 엔진축에서 벨트구동에 의하여 유압펌프를 회전하여 그 유압에 의하여 핸들조종을 보조하고 있으므로, 이때까지의 곤란한 점으로 특히 고속시에 여분의 핸들조종 보조력을 내는 동시에 소비동력이 비교적으로 크게되는 문제가 있어 새로운 에너지 절약형의 동력핸들 조종장치의 개발이 기대되어 왔다. 이번 개발한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시스템은 이와같은 시대적 배경에 입각하여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통상 주행시 혹은 고속주행시에 핸들조종 토오크가 너무 가볍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공급을 감소시켜 핸들의 조작을 무겁게 하고, 또한 저속주행시 혹은 차속이 0일때의 핸들조종과 같이 특히 큰 핸들조종 토오크를 필요로 할때에는 충분한 배력토오크를 얻기 위하여 작동유의 공급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모든 결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오일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는 전자개폐기를 거쳐 전원에 접속되며, 이 전자개폐기는 모터와 전원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설치되는 릴레이의 접점을 작동하는 코일과, 상기 모터와 전원을 불연속 혹은 가변적으로 접속하도록 설치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에는 또한 가속계 및 주행기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개폐기를 제어하도록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시동후, 교류발전기의 작동에 따라서 모터는 전자개폐기내의 릴레이의 접점을 거쳐 전원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정격회전을 하여 핸들조종 토오크의 요구 핸들 조종전류를 발생하여 자동차의 주행속도는 미리 정해진 값에 달한다. 즉, 엔진의 시동에 따라서 정차에서 저속 영역 사이에 있어서, 핸들조종 토오크의 요구하는 오일펌프의 작동유 전유량이 연속적으로 만족시켜 필요로 하는 핸들조종의 배력화가 달성된다.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에 달하는 동안에 있어서는, 전자개폐기내의 스위칭소자는 모터를 전원에 차속에 감응하여 불연속적 혹은 차속증가에 따라 감소 회전하도록 응답하여 가변적으로 접속하여 오일펌프의 작동유의 유량을 가변모오드하에서 제어한다. 이와같은 가변모오드 제어하에서는 정격회전하에서의 일정모오드제어의 경우와 다르며, 주행차속에 필요로 하는 핸들조종의 배력화가 달성된다.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상기의 다른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때는 모터가 정지하여 펌프의 유압이 없게 되는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가 연동하여 작동실린더의 양실을 바이패스하고, 동력핸들 조종상태에서 수동핸들 조종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전자개폐기와 차속에 감응하는 속도계 및 주행기를 거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오일펌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개폐기, 속도계를 거쳐 오일펌프의 출력을 가변모오드 혹은 일정모오드 하에서 반복하여 가역적으로 제어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속이 하나의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로서, 가변모오드제어의 필요성이 소멸된후 수동핸들 조종으로 이행할 수 있는 전동동력 핸들 조종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핸들 조종으로 이행된후,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실린더 양실내의 작동유를 연동할 수 있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정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핸들(11)은 핸들축(17)을 거쳐 서보(servo)밸브로 작동하는 콘트롤밸브(12)에 이것을 작동하도록 접속된다. 콘트롤밸브(12)의 입력측은 오일펌프(14)의 공급포오트(P) 및 귀한포오트(T)에 각각 접속되어 콘트롤밸브(12)의 출력측 A, B포오트는 바이패스 밸브(20)를 거쳐 가동기로 작동하는 동력실린더(16)의 유압회로중 어느 한쪽의 실에 접속된다. 동력실린더(16)의 유압회로중 어느 한쪽의 실에 접속된다. 동력실린더(16)는 그 어느 한쪽실에 오일펌프(14)의 공급유가 콘트롤 밸브의 포오트(P)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서 좌우 어느쪽 방향으로 그 실린더를 작동하여 출력을 발생시켜, 그 배압을 콘트롤 밸브를 개재하여 오일펌프(14)의 귀환포오트(T)에 복귀되어 실린더의 출력은 랙기어의 양단에서 도시하지 않은 좌우차륜에 전달되며, 랙피니온기어(13)를 거쳐 핸들축(17)에서 핸들(11)에 보조력으로 가산되며, 이와같이 하여 핸들조종력은 배력화된다.
한편, 오일펌프(14)를 구동하는 모터(15)의 일단자는 릴레이(22) 및 트랜지스터(25)로 되는 전자개폐기(21)를 거쳐 배터리(30)의 일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배터리(30) 및 모터(15)에 상기와 같이 접속되지 않은 단자는 모두 접지된다. 릴레이(23)는 코일(23) 및 이 코일(23)에 의하여 작동되어 폐쇄되는 접점(24)을 가지며, 코일(23)의 일단자는 배터리(30)의 일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코일(23)의 타단자는 제어기(26)의 내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해 속도계(32)에서의 신호를 비교한 설정차속신호를 주행기(31)의 신호로 ON-OFF 제어한다. 접점(24)의 일단자는 배터리(30)의 일단자에, 또 접점(24)의 타단자는 모터(15)의 일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트랜지스터(25)의 콜렉터는 배터리(30)의 일단자에, 또 트랜지스터(25)의 에미터는 모터(15)의 일단자에 각각 접속되며, 그리고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는 제어기(26)의 내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또 다른 수단에 의해 차속감응의 스위칭 레귤레이터 신호를 주행기(31)에서의 신호로 구동된 펄스가 접속된다. 즉, 접점(24) 및 트랜지스터(25)는 배터리(30) 및 모터(15)의 일단자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어 접점(24) 및 트랜지스터(25)는 각각 다른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주행기(31)의 신호는 엔진의 시동후에 교류발전기의 작동이 완료된 것을 감지한 후 제어기에 작용하도록 하여 ON-OFF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또 속도계(32)는 차속에 감응하여 제어기를 제어하고, 릴레이(22)의 동작과 트랜지스터(25)의 스위칭 도통비가변 및 모터(15)의 정지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주행기(31) 및 속도계(32)의 각 지령에 따라서 모터(15)는 후에 설명하는 릴레이 -ON 영역, 트랜지스터 스위칭영역 및 모터 -OFF 영역에 걸쳐서 동작한다.
엔진키 및 교류발전기 신호(33)는 엔진스타트시 배터리(30)의 보호회로를 형성하여 제어기(26) 내부에서 전동적 AND회로가 구성된다. 또 교류발전기 신호에 시한을 구성하여 엔진시동 및 정지후 약간 늦게 콘트롤러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 도시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주행특성을 제2도에서 제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차속을 표시하며, 종축은 제2도에서는 모터의 회전자전류를 또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모터의 회전수를 표시한다. 이하 핸들(11)을 조작할때를 핸들을 조종할때로 또 조작하지 않을때를 핸들을 조종하지 않을때로 엔진키 및 교류발전기 신호 S1, 구동센서신호로 릴레이를 ON하는 신호를 S2, 전력 공급변환신호를 S3로 각각 칭한다.
엔진키 및 교류발전기 신호(33)를 작동시킬때는 엔진이 시동하는 동시에 교류발전기의 전압이 상승한 후, 예를들면 1-2초 정도의 시한후 S1으로 제어기(26)가 가동할 수 있도록 된다. 주행기(31)의 S2로 전력공급을 연속적으로 하여 전자개폐기(21)내의 코일(23)을 부세하여 릴레이(22)의 접점(24)이 폐쇄되는 것에 의하여 모터는 회전되어 오일펌프(14)의 요구하는 회전자전류(i)를 발생시키는 준비가 되어진다. 이 연속모오드 영역에서의 주행기(31)는 예를들면 트랜스미션의 전진, 후진 또는 브레이크, 클러치, 가속 폐달관계의 구동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핸들을 조종하지 않을때에 있어서는 모터(15)는 제2도에 비핸들조종 전류곡선(L1)으로 표시된다. 예를들면 약 8암페어와 같은 일정 전류치에 회전자전류(i)를 유지한다.
주지한 바와같이 차속이 0인 정지시 혹은 차속이 저속일때에는 핸들조종에 필요한 회전력은 매우크며 이 상태하에서 핸들을 조종하려면 큰 핸들 조종 하중을 필요로 한다(바짝붙여서 주차시). 이와같은 주차시의 핸들조종에 있어서는 핸들조종하 중에 일치될때까지 핸들(11)에 가해지는 핸들조종을 배력화하여 이 배력화된 핸들조종에 맞추도록 오일펌프(14)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핸들조종시에 있어서 핸들(11)의 조작에 의하여 오일펌프(14)의 공급포오트(P)에서 콘트롤밸브(12)에 가해지는 작동축은 콘트롤밸브(12)를 통하여 동력실린더(16)의 어느 한쪽실에 가해지며, 실린더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 운동은 랙피니온기어(13)를 거쳐 핸들(11)에서 전달되는 운전자의 핸들조종력을 배력화하는 것으로 된다. 작동종료후의 작동유의 배압은 다른 한쪽실에서 콘트롤밸브(12)를 거쳐 오일펌프(14)의 귀환포오트(T)로 복귀한다. 이 핸들조종시에 회전자전류(i)는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른 동력실린더(16)의 가압정도에 의하여 오일펌프(14)의 작동유 요구량을 채우기까지 증대하여 제2도의 점(I1)에서 점(I2)로 핸들조종 전류곡선(L2)를 따라 저하한다. 즉, 제2도에 있어서는 차속이 없을 때 혹은 매우 낮을 때 즉, 차속이 0km/H에서 약 20km/H에 달하는 동안(릴레이 ON 영역)의 핸들조종시에 있어서 회전자전류(i)가 약 50암페어에서 약 20암페어로 저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차속이 약 20km/H에 이르는 동안의 핸들조종시에는 배터리(30)의 전압은 릴레이(22)의 접점(24)를 거쳐 즉시 그 전체전압이 모터(15)에 인가되므로, 모터(15)는 전부하 전류로서 주차 또는 저속주행 핸들조종에 필요로 하는 오일펌프(14)의 작동유의 전요구량을 공급포오트(P)에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한다.
차속이 약 20km/H를 초과하여 약 60km/H에 달하는 동안(트랜지스터 스위칭영역)은 속도계(32)의 신호를 비교하여 전력공급을 변환하는 신호 S3에 의하여 다른 주행기(31), 예를들면 핸들(11)의 핸들조종각 변위 또는 토오크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로, 핸들조종시에만 제어기(26)에 의하여 차속의 증가에 따라 감소가변을 하는 차속감응 펄스폭 신호로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전압을 인가하고, 이 인가에 따라서 트랜지스터(25)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의 노통비시간이 변화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5)의 ON-OFF의 도전시간이 변하며, 모터(15)로의 입력전류를 트랜지스터(25)의 3단자에 관한 변화한 파라메터(parameter)에 의하여 제어되며 이것으로 모터(15)의 오일펌프(14)에 대한 출력을 제어한다. 이와같은 스위칭소자로서 트랜지스터에 대신하여 게이트에 인가는 전압에 의해 ON-OFF 계속시간제어를 할 수 있는 사이리스터(thyristor) 혹은 이에 준하는 것이 사용되는 것도 있다. 스위칭 주파수로서는 예를들면 50-1000 헤르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와같은 스위칭소자의 도전시간의 제어에 의해 오일펌프의 전동기에 전력공급을 불연속적 혹은 가변적으로 할 수 있는 가변모오드제어가 얻어진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이 가변모오드에 있어서 주행기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의 비조종시에도 연속적으로 출력으로 모터를 회전시켜도 좋다.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에서의 회전자전류(i)는 제2도에 표시되는 바와같이 점 I2에서 점 I3의 핸들조종 전류곡선(L2)에 따라 저하한다. 즉, 제2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5)의 스위칭 영역중이 회전자전류(i)는 약 20암페어에서 약 15암페어로 저하되며, 이 저하의 비율은 릴레이 ON 영역중의 회전자전류(i)가 약 50암페어에서 약 20암페어로 저하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적은 것으로 된다. 이것은 차속의 상승과 동시에 핸들(11)에 가해질 배력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 즉 동력실린더(16)의 실린더의 운동행정을 감소시키는 것, 결국 오일펌프 (14)에 공급할 작동유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모터(15)의 회전수(n)는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되는 바와같이 릴레이 영역중의 점 S1에서 스위치(33)의 작동에 의하여 교류발전기의 작동이 완료한 것을 감지한 다음 점 S2에서 주행기(31)의 작동에 의하여 전자개폐기(21)가 작동하여 모터(15)는 ON상태로되며 대략 일정한 2700RPM에서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중의 약 2600RPM의 점 S3으로부터 약 400RPM의 점 S4에 달하는 저하로 변화한다. 이것은 제2도에서 설명되는 회전자전류(i)가 릴레이 ON 영역에서 급속하게 저하하고 또한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에서 완만하게 저하하는것, 제3도에서 설명되는 회전수(n)가 릴레이 ON 영역에서 대략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며 또한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에서는 일정한 비율로서 저하하는 것이 주로 차속의 상승만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의 비교적 큰 차속에 있어서는 동력핸들 조종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회전자전류 및 회전수는 동시에 저하하고 있어 이점 I3및 점 S4에서 동력핸들 조종상태를 수동핸들 조종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회전자전류(i)가 핸들조정 전류곡선(L2)을 따라 동일하게 점(I3)까지 저하하고, 또 회전수(n)가 동일하게 점 S4까지 저하한후 따로 설정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기(26)내의 차속 비교측정기로 모터(15)의 배터리(30)에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핸들(11)만의 조종력에 의한 수동핸들 조종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 회전수(n)가 점 S4에 귀환하면 트랜지스터 스위칭이 재개하여 점 S4에서 점 S3으로 귀환하도록 변화하면, 또한 점 S3에서 다시 릴레이(22)를 작동시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회전수(n)가 점 S3에서 점 S4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차속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칭 영역에서의 핸들조종시에는 제4도의 핸들조종시의 차속감응 회전곡선(L3)은 비조종시에 속도계(32)의 신호를 사용하지 않을때에 얻어지는 비조종시의 정베이스 회전곡선(L4)에서 인도되는 속도계(32)의 신호를 사용할때에 얻어지는 비조종시의 차속감응 베이스 회전곡선(L5)과 조종시의 회전곡선(L6)과의 사이에 있어서, 화살표로 표시하는 일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이 변화로서 얻어진다. 이 곡선(L5), (L6)에 의하면 차속신호에 의한 모터의 회전수(n)는 핸들을 회동하지 않는 비조종시에는 차속이 매우 낮을때의 곡선(L6)에서 핸들을 회동하였을때의 곡선(L6)까지 대폭적으로 상승하여 오일펌프(14)의 공급할 작동추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또 차속이 상대적으로 높을때에는 소폭적으로 상승하여 요구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채우는 것이 판명된다. 이것은 주차등이 저속상태에서의 핸들조종시 모터회전의 상승응답성을 좋게한 보조베이스 회전인 것을 의미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회전수(n)가 점 S4에 달하여 수동핸들 조종상태로 이행할때는, 즉 속도계(32)의 지시하에서 모터의 ON-OFF에 연동하여 바이패스 밸브(20)가 작동한다. 이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오일펌프(14)의 포오트(A)와 포오트 B는 연통하고, 그후에 모터(15)의 전원은 차단되어 오일펌프(14)의 작동도 정지한다. 이와같은 수동핸들 조종상태로의 이행시에 있어서의 바이패스 밸브에 의한 작동유의 동력실린더의 양실 사이에서의 작동유의 유통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를 사용하여 동렬 OFF시에 실린더의 양실을 바이패스하여 수동핸들 조종상태에서의 회로유저향을 감소시켰으나, 바이패스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행차속에 0 또는 극히 저속인때에 있어서의 핸들조종 토오크의 증대가 요구되는 모터의 제어전류의 큰 영역의 전력공급을 릴레이로 연속통전을 하며, 핸들조종 토오크가 감소되어 모터 부하전류가 적게되는 중속인때에 있어서는 전력 공급을 소용량의 트랜지스터 스위칭소자로 불연속적 혹은 가변적으로 ON-OFF의 도전통전비를 차속감응으로하여 핸들조종 토오크에 요구되는 작동유의 공급유량을 제어한다. 또한 주행차속이 고속에 달한때에는 핸들조종 토오크를 배력화하는 동력의 필요성이 소멸하는 것에 의하여 스위칭 공급전력을 차단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를 조작하여 동력실린더의 양실을 연통하여 동력에서 수동핸들 조종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압력유를 만들어내는 전동펌프의 전력공급을 자동차의 주행차속의 정차에서 저속으로, 저속에서 중간속도로 및 중간속도에서 고속의 3단계로 구분하여, 핸들조종 토오크를 요하여 모터전류가 크게 되는 저속영역의 전력공급을 위하여 염가이며 또한 도통시이 저항소비손실이 적은 유접점 릴레이를 이용하고, 핸들조종 토오크가 감소하여 부하전류가 저하되는 중간속도 영역에서 전력공급을 차속에 감응하여 공급량이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것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스위칭회로의 구성을 소용량의 반도체소자가 사용되는 이점과 전자개폐장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들조종 토오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속인 때에 있어서 전동펌프를 정지시켜 동력에서 수동핸들 조종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핸들조종동력의 절약과 고속주행시 안정성의 우수한 특징의 효과등이 발휘될 수 있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로 된다.

Claims (4)

  1. 핸들조종 보조용모터를 작동하여 핸들조종 가능한 차량용핸들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며, 펌프와 핸들조종 보조모터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전기모터와 이 전기모터의 동작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구가 비도통상태와 도통상태 사이에서 작동하고, 그 도통상태에서 전기에너지가 전기모터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회로와, 차속에 응답하여 도통상태와 비도통상태 사이에서 회로를 변환시키는 기구에 의하여 차속의 증가에 따라 전기모터의 동작속도를 감소시키는 기구로서, 핸들조종중 차속의 증가에 따라 도통상태의 기간이 감소하도록 회로를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구는 차속이 미리 정해진 속도이하일때에 핸들조종중에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를 변환시키는 기구가 차속에 따라 변화를 하는 펄스폭을 가진 정진압 전기펄스를 발생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를 변환시키는 기구가 회로를 미리 정해진 차속 이상에서 회로를 비도통상태로 유지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KR8202373A 1981-05-29 1982-05-28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KR890000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46 1981-05-29
JP56082346A JPS57198169A (en) 1981-05-29 1981-05-29 Motor-driven oil pressure power steering unit
JP???56-82346 1981-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73A KR830009973A (ko) 1983-12-24
KR890000443B1 true KR890000443B1 (ko) 1989-03-17

Family

ID=1377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373A KR890000443B1 (ko) 1981-05-29 1982-05-28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499964A (ko)
JP (1) JPS57198169A (ko)
KR (1) KR890000443B1 (ko)
AU (1) AU548446B2 (ko)
BE (1) BE893364A (ko)
CA (1) CA1191793A (ko)
DE (1) DE3220313A1 (ko)
ES (1) ES512667A0 (ko)
FR (1) FR2506710B1 (ko)
GB (1) GB2102751B (ko)
IT (1) IT1155684B (ko)
NL (1) NL82021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52B1 (ko) * 2007-10-11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파워 스티어링용 솔레노이드의 작동소음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454A (ja) * 1982-03-15 1983-09-17 Nissan Motor Co Ltd 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S59149870A (ja) * 1983-02-14 1984-08-27 Jidosha Kiki Co Ltd 動力舵取装置
EP0153805B1 (en) * 1984-02-15 1989-07-19 Trw Cam Gears Limited A power assistance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DE3410033A1 (de) * 1984-03-19 1985-09-26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r hydraulischen unterstuetzung der lenkkraft
US4557343A (en) * 1984-08-08 1985-12-10 Towmotor Corporation Power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E3705539A1 (de) * 1985-08-22 1988-09-01 Opel Adam Ag Lenkhilfe fuer kraftfahrzeuge
JPH07100450B2 (ja) * 1985-11-08 1995-11-01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動力舵取装置の制御装置
US4751978A (en) * 1987-03-16 1988-06-21 Trw Inc. Electric assist steering system with alternator power source
EP0287227B1 (en) * 1987-04-15 1992-05-13 Trw Cam Gears Limited A power assisted vehicle steering mechanism
US4905783A (en) * 1987-06-26 1990-03-06 Ford Motor Company Vehicular controller with differential wheel speed input
DE3825102A1 (de) * 1988-07-23 1990-01-25 Teves Gmbh Alfred Hilfskraftlenkung fuer kraftfahrzeuge
DE3920862A1 (de) * 1989-06-26 1991-01-03 Teves Gmbh Alfred Hilfskraftlenkung fuer kraftfahrzeuge
FR2688183B1 (fr) * 1992-03-04 1997-06-13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Dispositif d'assistance de direction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US5267627A (en) * 1992-03-27 1993-12-07 Imra America, Inc. Vehicle stability augmentation system
DE4241785B4 (de) * 1992-12-11 2009-03-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Hilfskraftlenkanlage
GB9422561D0 (en) * 1994-11-09 1995-01-04 Funnell Nicholas J Variable speed electro/hydraulic drive system for animal exercises
JP3673377B2 (ja) * 1997-09-26 2005-07-20 光洋精工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6069460A (en) * 1998-06-01 2000-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hydraulic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JP3668614B2 (ja) * 1998-07-13 2005-07-06 光洋精工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1002733A1 (en) * 1999-07-01 2001-01-11 Mccord Winn Textron Inc. Axial in-line pump system
US7108096B1 (en) * 2002-02-25 2006-09-19 Lonmore, Lc Vehicle control system with slow-in-turn capabilities and related method
JP3763472B2 (ja) * 2002-09-30 2006-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2005075093A (ja) * 2003-08-29 2005-03-24 Koyo Seiko Co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ユニット
DE102007044430A1 (de) 2007-09-18 2009-03-19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hydraulische Stellvorrichtung
CN103711751B (zh) * 2014-01-16 2015-12-02 安徽纳威光机电科技发展有限公司 集成电液比例控制系统的电控装置
EP3446955B1 (en) * 2016-05-19 2020-08-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d vehicle having handleba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1579A (en) * 1959-01-08 1961-12-05 Gen Motors Corp Steering system
US3580352A (en) * 1969-01-21 1971-05-25 Gen Motors Corp Steering torque servo
US3983953A (en) * 1971-07-28 1976-10-05 Gemmer-France Servo mechanism
DE2255602A1 (de) * 1972-11-13 1974-05-1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kompensation von seitenwind- und anderen, eine seitenabweichung eines kraftfahrzeugs bewirkenden kraeften
GB1400634A (en) * 1973-01-16 1975-07-16 Coventry Climax Eng Ltd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US4008779A (en) * 1974-12-24 1977-02-2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trucks
DE2508938A1 (de) * 1975-03-01 1976-09-09 Linde Ag Elektrofahrzeug mit hilfskraftlenkeinrichtung
US3991846A (en) * 1975-08-07 1976-11-16 Clark Equipment Company Power steering system
DE2836926A1 (de) * 1978-08-24 1980-03-06 Volkswagenwerk Ag Servounterstuetzte lenkeinricht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S5555059A (en) * 1978-10-14 1980-04-22 Jidosha Kiki Co Ltd Pump device for power steering gear
DE2915890A1 (de) * 1979-04-19 1980-11-06 Still Gmbh Lenkeinrichtung fuer ein fahrzeug mit hydraulischer lenkhilfskraftunterstuetzung
JPS5699859A (en) * 1979-11-30 1981-08-11 Tokai T R W Kk Power steering and apparatus
JPS5722967A (en) * 1980-07-16 1982-02-06 Tokai T R W Kk Power steering system
DE3168475D1 (en) * 1980-07-18 1985-03-07 Nissan Motor Vehicle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power steering pump
AU544657B2 (en) * 1980-10-03 1985-06-06 Tokai Trw & Co., Ltd. Power steering apparatus
GB2401950B (en) * 2003-05-20 2005-04-06 Scott Peters 110V power coll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52B1 (ko) * 2007-10-11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파워 스티어링용 솔레노이드의 작동소음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7908B2 (ko) 1989-05-31
NL8202182A (nl) 1982-12-16
CA1191793A (en) 1985-08-13
FR2506710A1 (fr) 1982-12-03
DE3220313A1 (de) 1982-12-23
IT8267690A0 (it) 1982-05-28
BE893364A (fr) 1982-09-16
AU548446B2 (en) 1985-12-12
US4499964A (en) 1985-02-19
ES8305640A1 (es) 1983-04-16
IT1155684B (it) 1987-01-28
JPS57198169A (en) 1982-12-04
ES512667A0 (es) 1983-04-16
GB2102751A (en) 1983-02-09
AU8420782A (en) 1982-12-02
GB2102751B (en) 1985-06-26
KR830009973A (ko) 1983-12-24
DE3220313C2 (ko) 1993-01-14
FR2506710B1 (fr) 198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443B1 (ko) 전동유압 동력핸들 조종장치
US4392540A (en) Power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US4457390A (en) Power steering device
JPH0332980A (ja) 自動車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CN105667580A (zh) 一种基于模糊控制的线控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JP3108715B2 (ja) サーボ制御装置特に自動車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557343A (en) Power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1162275A (en) Electrically driven oil pressured power steering apparatus
CN210027576U (zh) 汽车电动助力转向系统
US4417640A (en) Electrically driven oil pressured power steering apparatus
JP368814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453615A (en) Power steering system for road vehicles
JPH062493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S6410391B2 (ko)
GB2116130A (en) Power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JPS5973362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6185272A (ja) 動力舵取装置
JP2509884B2 (ja) 油圧走行車両の走行速度切換装置
JPH0243826Y2 (ko)
JP2779008B2 (ja) 動力舵取装置の制御装置
JPS6132848Y2 (ko)
JPH0130667B2 (ko)
JPS646984B2 (ko)
JPS6365545B2 (ko)
JPH07106690B2 (ja) 油圧走行車両の走行速度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