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369B1 -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369B1
KR890000369B1 KR8200864A KR820000864A KR890000369B1 KR 890000369 B1 KR890000369 B1 KR 890000369B1 KR 8200864 A KR8200864 A KR 8200864A KR 820000864 A KR820000864 A KR 820000864A KR 890000369 B1 KR890000369 B1 KR 89000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carbon atoms
group
oxy
thioacetam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017A (ko
Inventor
고토 다게시
다가오 히사시
야수도미 노리오
오사끼 노리오
무라다 다다데루
Original Assignee
이사오 오오쯔까
오오쯔까 가가꾸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 오오쯔까, 오오쯔까 가가꾸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사오 오오쯔까
Publication of KR83000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1/00Derivatives of thiocyanic acid or of isothiocya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24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 이 유도체를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살충, 살응애 또는 살선충 조성물, 상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해충, 응애 또는 선충의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살충"이란 용어는 살충이외에 "살응애" 및 "살선충"을 포함하며, "해충"이란 "해충"이외에 "응애" 및 "선충"을 포함한다.
약간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살충작용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이들 화합물은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대부분 온혈 동물에 독성을 나타내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이하"메토밀"이라 언급한다)는 높은 살충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온혈 동물에 대해 높은 독성을 나타내므로 실제 사용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살충작용에 있어서 메토밀과 필적할만하고 온혈 동물에 대해 낮은 독성을 갖는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면 그 화합물은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다양한 메토밀 설페닐 화합물이 합성되어 왔으며, 온혈 동물에 대한 살충작용과 독성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결과를 발표하였다. 예를들면, 벨기에 특허 제848, 912호에는 N, N'-비스-[1-메틸티오아세트알데히드-O-(N-메틸카바모일)옥시이미노]설파이드가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76835/74호에 S-메틸 N-[{N-메틸-N-(N-메틸-N-벤젠-설포닐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메토밀 설페닐 화합물은 살충력, 온혈 동물 및 어류에 대한 독성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필수조건을 완전히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
이러한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시켜 주는 메토밀설페닐 화합물을 개선하기 위해 집중적인 연구를 한 결과, 상술한 목적이 일반식(I)의 화합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X-COOR3(여기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6을 가진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8을 가진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을 가진 사이클로알킬기이다)이며, R2는 탄소수 1 내지 8을 가진 알킬기 : 탄소수 3 내지 6을 가진 사이클로 알킬기 :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3을 가진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을 가진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기 :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3을 가진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을 가진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는 벤질기 : 또는 -Z-R4(여기에서 Z는 카보닐기 또는 설포닐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또는 저급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기이다)이다.
상기 일반식(I)의 정의에서, 알킬기, 일킬렌기 및 알콕시기에서 알킬 부위는 측쇄 또는 직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일반식(I)의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는 어느 문헌에도 기술되어 있지 않은 신규의 화합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농업 및 임업에 유해한 해충과 가정에 유해한 해충에 대한 살충력 또는 방제효과는 그 효과면에서 가장 좋은 살충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메토밀보다 높거나 비교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채소류, 나무, 기타 식물과 사람에게 유해한 해충, 응애 및 선충에 대해 광범위하게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헤미프테라, 레피도프테라, 콜레오프테라, 디프헤라, 티사노프테라, 오르토프테라, 이소포다, 아카리나, 티렌키다 등) 이런 해충, 응애 및 선충의 예로는 아래와 같다.
헤미프테라
(1) 델토세파리데 : 네포테티스 신크티세프스
(2) 델파시데 : 라오델파스 스트리아텔루스, 니라파르바타 루겐스
(3) 아피디데 : 미주스 페르시카에, 아피스 고시피
(4) 펜타토미테 : 네자라 안텐나타, 네자라 비리듈라
레피도프테라
(1) 노크투이데 : 스포도프테라 리투라, 아그로티스 세제튬, 스포도프테라 에시구아
(2) 토트리시데 : 아독소피에스 오라나
(3) 피라리데 : 칠로 서프레스살리스, 오스트리니아 푸르나칼리스, 나팔로크로시스 메디날리스
(4)프루텔리데 : 플루텔라 실로스텔라
코레오프테라
(1) 쿠르쿠리오니데 : 에치노크네무스 스손메누스, 리스소르호프투루스 오리조필루스
(2) 스카라바에이데 : 포필리아 자포니카
(3) 콕시넬리데 : 헤노세피라크나 비진티오크토푼크타타
디프테라
(1) 무스시데 : 무스카 도메스티카
(2) 세시도미이데 : 이스폰디리아 종
(3) 아그로미지데 : 리리오미자 치넨시스
티사노프테라
트리피데 : 트립스 타바시, 서로토 트리프스 도르사리스
오르토프테라
그릴로탈피데 : 그릴로탈파 아프리카나
이소포다
알마딜리데 : 알마딜리디움 벌가레
아카리나
테드라니키데 : 테투라니쿠스 신나바리너스 테드라니쿠스 울티카애 파노니쿠스 시트리
티렌키데
헤테로데리데 : 멜로이도지네 인코그니타
일반식(I)의 화합물이 온혈 동물에 갖는 독성은 메토밀이 갖는 독성의 약
Figure kpo00003
내지 약
Figure kpo00004
정도로 낮다. 본 화합물은 위에서 설명한 미생물에 대해 어떤 단계에서나 또는 그들의 성장단계에서 살충력 또는 방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농업, 임업 및 위생분야에서 미생물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높은 수율과 고순도로 매우 쉽게 제조할 수 있어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다란 상업적 이점을 갖는다.
일반식(I)의 대표적 화합물은 하기에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메틸 N-[{N-메틸-N-(N-메틸-N-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n-부틸-N-메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페닐-N-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벤조일-N-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n-프로필-N-에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이소프로필-N-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n-부틸-N-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에톡시카보닐-N-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N-비스(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S-메틸 N-[{N-메틸-N-(N,N-비스(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일반식(Ⅱ)의 S-메틸-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 아미데이트를 일반식(Ⅲ)의 아미노설페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1과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일반식(Ⅱ)의 화합물과 일반식(Ⅲ)의 화합물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 탄소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 디에틸 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를 포함한다. 일반식(Ⅱ)의 화합물과 일반식(Ⅲ)의 화합물의 배분율은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보통 전자의 화합물 1몰당 후자의 화합물을 약 1 내지 1.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몰을 사용한다.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염기성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메틸아닐린, 디에틸아닐린, 에틸올포린과 같은 3급아민, 피리딘, 피콜린, 루티딘과 같은 피리딘이 포함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반응에 의해 부산물로서 제조되는 염화수소를 포집하기 위해 충분한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Ⅱ)의 화합물 몰당 약 1 내지 약 2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몰이 사용된다. 반응은 실온에서 냉각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진행시키는데 약 -7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한다. 반응시간은 사용된 염기성 화합물에 따라 결정되지만 보통 약 1 내지 약 30시간이다.
이와같이 하여 수득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용매추출, 재결정화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통상의 분리방법에 따라 쉽게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유화액, 수화제, 현탁액, 농축 현탁액, 입제, 미세한 입자, 펠렛, 분제, 피복조성물, 연무, 에어로졸, 미세캅셀조성물, 천연 또는 합성 물질에 적용할 수 있는 함침제, 훈증제, 소량으로 적용할 수 있는 농축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유화액, 분산액, 현탁액 및 포말제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킬설포숙시네이트, 알킬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 희석제 및 담체로는 여러가지 유기용매, 에어로졸 분사체, 천연광물, 식물, 합성화합물 및 결합제를 포함한다. 유기용매의 예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클로로벤젠, 알칼나프탈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에틸렌,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사논, 아세톤, 메틸에텔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알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광유분획물이다. 사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분사체는 프로판, 부탄, 할로겐화 탄화수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이다. 사용할 수 있는 천연광물로는 고령토, 탈크, 벤토나이트, 규조토, 진흙, 몬트모릴로나이트, 백악, 방해석, 경석, 백운석 등이다. 사용할 수 있는 식물류로는 코코넛 껍질, 담배줄기, 톱밥 등이다. 사용할 수 있는 합성 화합물의 예로는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당 폴리마 등이다.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의 예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이다. 제제에는 유기 또는 무기염료로 착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활성성분으로 화합물을 살충제, 살응애제 또는 살선충적으로 유효한 양을(예를들면 약 0.1 내지 약 9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95중량%)함유하도록 여러가지 제제로 제형화한다. 사용방법에 따라 그와같은 제제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담체 또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실시예 1]
S-메틸 N-[{N-메틸-N-(이소프로필-N-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의 제조방법
메틸렌 클로라이드 50㎖에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8.1g(0.05몰) 및 N-이소프로필-N-에톡시카보닐에틸 아미노설페닐 클로라이드 11.3g(0.05몰)을 가하고 0내지 5℃로 냉각시킨다. 트리에틸아민 6g(0.06몰)을 동일 온도에서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종료후, 반응용액을 물, 묽은 염산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건조하고 농축시킨다. 농축잔류물에 디에틸 에테르를 가하고 결정을 여과분리한다. 이어서 에테르성층을 농축하여 오일상 생성물을 얻는다.
수율 : 12.5g(71.2%)
생성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출 용매로 벤젠/에틸아세테이트(4 : 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일부분을 정제하여 오일상 생성물을 얻는다.
C13H25N304S2에 대한 원소분석(분자량 351.499)
실측치 : C ; 44.55, H ; 7.04, N ; 12.09
계산치 : C ; 44.42, H ; 7.17, N ; 11.96
NMR(CDCl3) : δ1.17ppm(d, 6H), δ1.21ppm(t, 3H), δ2.29ppm(s, 3H), δ2.42ppm(s, 3H), δ2.68ppm(t, 2H), δ3.0-3.7ppm(m, 3H), δ3.38ppm(s, 3H), δ4.08ppm(q, 2H) 따라서, 생성물은 다음 일반식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2]
S-메틸 N-[{N-메틸-N-(N, N-비스(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의 제조방법
메틸렌 클로라이드 50㎖에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8.1g(0.05몰) 및 N, N-비스(에톡시카보닐에틸)아미노 설페닐 클로라이드 14.2g(0.05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0 내지 5℃에서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 6g(0.06몰)을 동일 온도에서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종료후, 반응용액을 물, 묽은 염산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건조하고 농축시킨다. 농축 잔류물에 디에틸 에테르를 가하고 결정을 여과 분리한다. 이어서, 에테르성층을 농축하여 오일상 생성물을 얻는다.
수율 : 15.4g(75.3%)
생성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출용매로 벤젠/에틸아세테이트(4 : 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일부분을 정제하여 오일상 생성물을 얻는다.
C15H27N306S2에 대한 원소분석(분자량 : 409.537)
실측치 : C ; 44.12, H ; 6.79, N ; 10.05
계산치 : C ; 43.99, H ; 6.65, N ; 10.26
NMR(CDCl3) : δ1.25ppm(t, 3H), δ2.27ppm(s, 3H), δ2.38ppm(s, 3H), δ2.64ppm(t, 4H), δ3.37ppm(s, 3H), δ3.40ppm(t, 4H), δ4.07ppm(q, 4H), 따라서 생성물은 다음 일반식갖음이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3 내지 20]
다음 표1에 제시한 화합물은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 화합물의 구조, 물리적 특성 및 NMR분석치는 표 1 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 처방은 본 발명 화합물에 모두 적용되고 적합한 처방은 특이한 적용에 사용한다. 활성성분,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및 담체의 배분율은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및 담체의 종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퍼센트는 모두 중량기준이다.
[제조실시예1]
50%수화제 :
실시예 7의 화합물 50.0%
고령토 30.0
탈크 10.0
알킬 설페이트 5.5
나프탈렌 설폰산과 포름알데히드의 농축물 3.5
알킬 포스페이트 1.0
이 성분은 시나가와 형의 혼합기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볼밀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수화제를 얻는다.
[제조실시예2]
50% 유화액 :
실시예 2의 화합물 50.0%
크실렌 30.0
사이클로 헥사논 10.0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6.5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3.5
이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해하여 유화액을 수득한다.
[제조실시예3]
20% 입제 :
제제실시예 1의 수화제 40.0%
백운석 60.0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혼합물 100중량부당 2%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수용액 15중량부를 혼합물에 가하고 생성물을 완전히 혼련시킨다. 이어서, 혼합물을 입화기(granulator)로 입화시키고 미세하게 분쇄하고 건조하여 입제를 얻는다.
시험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시험실시예 1]
담배거세미의 제3인스타(third-instar)유충 10마리를 포트(pot)중에서 자란 양배추(일개월된 모종)에 넣고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50%유화액을 특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유충들이 완전히 젖도록 식물잎에 사용한다. 각 특정 농도의 시험화합물을 2개의 포트에 시험한다. 3일후, 죽은 유충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그룹과 비처리 그룹에서 얻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12
[시험실시예 2]
특정 농도의 유화액을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50% 수화제로부터 제조하고 포트에 심어 있는 벼(일개월된 모종)의 잎에 사용하여 잎이 완전히 젖도록 한다. 유화액을 공기 건조한후, 포트를 그물망으로 덮어주고 그 안에 매미충 암컷 10마리를 풀어준다. 각각의 특정 농도의 화합물을 2개의 포트상에 시험한다. 3일 후 죽은 해충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그룹과 비처리그룹에서 얻은 결과를 표 3에 기술하였다.
[표 3]
Figure kpo00013
[시험실시예 3]
뿌리혹 유충으로 감염된 토양에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이 10% 함유된 입제를 특정량 혼합하고 토마토 묘목을 즉시 토양에 이식한다. 1개월후 작은 혹이 형성된 식물의 뿌리를 조사한다. 2개의 시험면적(2×2㎡)를 화합물의 특정한 양으로 사용한다. 작은 혹의 형성도를 아래에 주어진 범주에 따라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그룹과 비처리그룹에서 얻은 결과를 표 4 에 기술되었다.
뿌리혹의 형상도
0 : 0%, 1 : 1 내지 24%, 2 : 25 내지 49%, 3 : 50 내지 74%, 4 : 75 내지 100%
[표 4]
Figure kpo00014
[시험실시예 4]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미리 예정한 양의 아세톤에 용해시킨다. 용액을여러 농도로 희석하고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Musca domestica)에 국소적으로 사용한다. 24시간후 사멸도로부터 억제방법에 의해 LD50을 측정하였고 결과는 표 5에 기술하였다.
[표 5]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 : 대조화합물로서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를 사용함.
[시험실시예 5]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수컷쥐에 경구 투여하여 극성 독성을 평가한다. 7일만에 사멸도로부터 리치필드 윌콕손 방법으로 LD50을 측정하였고 결과는 표 6 에 기술하였다.
[표 6]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 : 대조화합물로서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를 사용함.
본 발명은 이의 특정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화 및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다음 일반식(Ⅱ)의 S-메틸 N-[(메틸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를 다음 일반식(Ⅲ)의 아미노설페닐 클로라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Ⅰ)의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R1및 R2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X-COOR3(여기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이다)이고, R2는 또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 할로겐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내지 3의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기 :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벤질기 : 또는 -Z-R4(여기에서, Z는 카보닐기 또는 설포닐기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또는 저급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기이다.)이다.
KR8200864A 1981-11-27 1982-02-26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90000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89989A JPS5892655A (ja) 1981-11-27 1981-11-27 カ−バメイト系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虫剤
JP189989 1981-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017A KR830009017A (ko) 1983-12-17
KR890000369B1 true KR890000369B1 (ko) 1989-03-14

Family

ID=1625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864A KR890000369B1 (ko) 1981-11-27 1982-02-26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4444786A (ko)
JP (1) JPS5892655A (ko)
KR (1) KR890000369B1 (ko)
AR (1) AR230987A1 (ko)
AU (1) AU541842B2 (ko)
BE (1) BE892302A (ko)
BR (1) BR8201028A (ko)
CA (1) CA1183548A (ko)
CH (1) CH650250A5 (ko)
CS (1) CS236670B2 (ko)
DD (2) DD209444A5 (ko)
DE (1) DE3206453C2 (ko)
ES (1) ES8301910A1 (ko)
FR (1) FR2517301B1 (ko)
GB (1) GB2110206B (ko)
GR (1) GR75510B (ko)
HU (1) HU189564B (ko)
IL (1) IL65142A (ko)
IT (1) IT1147648B (ko)
MA (1) MA19394A1 (ko)
MX (1) MX6998E (ko)
MY (1) MY8600702A (ko)
NL (1) NL8200742A (ko)
NZ (1) NZ199806A (ko)
OA (1) OA07031A (ko)
PH (2) PH18547A (ko)
SE (1) SE453189B (ko)
SU (1) SU1225484A3 (ko)
TR (1) TR21248A (ko)
ZA (1) ZA8212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8461A (ja) * 1982-11-11 1984-05-22 Otsuka Chem Co Ltd カ−バメイト系殺虫剤
US4605667A (en) * 1985-03-29 1986-08-12 Union Carbide Corporation Pesticidal water-soluble aminoacid sulfenylated carbamates
US4686233A (en) * 1985-03-29 1987-08-11 Union Carbide Corporation Pesticidal water-soluble aminoacid sulfenylated carbamates
JP3163461B2 (ja) * 1992-10-19 2001-05-08 大塚化学株式会社 殺虫、殺ダニ剤組成物
TW200640368A (en) * 2005-02-14 2006-12-01 Du Pont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on plants
AU2011229862B2 (en) * 2010-03-25 2014-07-24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4359A1 (de) * 1972-11-07 1974-05-16 Bayer Ag N-sulfenylierte carbam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insektizide und akarizide
US4382957A (en) * 1975-12-01 1983-05-10 Union Carbide Corporation Symmetrical insecticidal bis-carbamate compounds
IT1082108B (it) * 1976-06-22 1985-05-21 Ciba Geigy Ag Prodotti disinfestanti,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e loro impiego
US4323578A (en) * 1979-08-10 1982-04-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carbamate insectic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1842B2 (en) 1985-01-24
AR230987A1 (es) 1984-08-31
GR75510B (ko) 1984-07-25
ES510546A0 (es) 1983-02-01
TR21248A (tr) 1984-03-05
HU189564B (en) 1986-07-28
DD209444A5 (de) 1984-05-09
DE3206453C2 (de) 1994-08-18
SE453189B (sv) 1988-01-18
JPH0124144B2 (ko) 1989-05-10
MA19394A1 (fr) 1982-10-01
SE8201187L (sv) 1983-05-28
IL65142A (en) 1985-12-31
DE3206453A1 (de) 1983-06-09
DD202095A5 (de) 1983-08-31
US4444786A (en) 1984-04-24
MY8600702A (en) 1986-12-31
BE892302A (fr) 1982-06-16
NL8200742A (nl) 1983-06-16
IT8247871A0 (it) 1982-02-25
IT1147648B (it) 1986-11-19
NZ199806A (en) 1985-04-30
CH650250A5 (fr) 1985-07-15
OA07031A (fr) 1983-12-31
ES8301910A1 (es) 1983-02-01
PH18547A (en) 1985-08-09
PH18842A (en) 1985-10-10
FR2517301A1 (fr) 1983-06-03
ZA821219B (en) 1982-12-29
GB2110206A (en) 1983-06-15
SU1225484A3 (ru) 1986-04-15
FR2517301B1 (fr) 1985-12-06
IL65142A0 (en) 1982-05-31
MX6998E (es) 1987-01-29
CA1183548A (en) 1985-03-05
GB2110206B (en) 1985-08-21
KR830009017A (ko) 1983-12-17
AU8093082A (en) 1983-06-02
CS236670B2 (en) 1985-05-15
JPS5892655A (ja) 1983-06-02
BR8201028A (pt) 198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6302B2 (ja) 非対称ビスカルバメ−ト化合物
KR890000369B1 (ko) S-메틸 n-[{n-메틸-n-(n, n-이치환된 아미노설페닐)카바모일}옥시]티오아세트아미데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621144A (en) 1-phenyl-4-hydroxypyrazole derivatives
US5095025A (en) Benzothiazole derivative
CA1170662A (en) Carbamat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carbamate insecticides
US3455912A (en) Benzodioxan-n-methylcarbamates
GB2084134A (en) Insecticidal, miticidal and nematocidal dihydrobenzofuran aminosulphenyl carbabates
US4198427A (en) Insecticidal carbamates
US4540708A (en) Sulfenyl carbamate derivatives and insec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421693A (en) Aminosulfenyl chloride derivatives
US4299827A (en) O-Ethyl S-n-propyl O-[4-methylthio(sulfinyl)(sulfonyl)-2(3)-methoxyphenyl]p
KR850000629B1 (ko) N-설피닐 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US4473580A (en) N-Imidoylthio(methyl)carbamat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s
KR850000743B1 (ko) 카바메이트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54141A (en) Insecticidal carbamoyl sulfides
JPH031302B2 (ko)
US4330674A (en) Carbamoyl sulfide fluorides
KR910002882B1 (ko) N-메틸카르밤산염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함유한 살충제
US4592871A (en) N-imidoylthio(methyl)carbamates
KR100285539B1 (ko) 플루오로알케닐기가 치환된 신규의 옥시아세트아닐리드 및 그의제조방법
CA1139770A (en) Insecticidal carbamoyl sulfides
JPS6128665B2 (ko)
CA1133918A (en) Cyclic n-¬(phosphinyl and phosphinothioyl) -amino| thiomethylcarbamates
JPH0148905B2 (ko)
JPS6049638B2 (ja) カ−バメイト系殺虫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