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71B1 - 클러치 카바 조립체 - Google Patents

클러치 카바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71B1
KR890000271B1 KR1019850003579A KR850003579A KR890000271B1 KR 890000271 B1 KR890000271 B1 KR 890000271B1 KR 1019850003579 A KR1019850003579 A KR 1019850003579A KR 850003579 A KR850003579 A KR 850003579A KR 890000271 B1 KR890000271 B1 KR 89000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tab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304A (ko
Inventor
쇼우고 오오가
쇼우헤이 민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러치 카바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로방향의 단면부분의 약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일부를 도려내고 Ⅱ-Ⅱ선에서 본 부분 도면.
제3도는 와이어링의 정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등의 다이아프램 스프링(diaphragm spring)방식의 마찰 클러치(clutch)에 사용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clutch cove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클러치에 있어서는 플렛셔 플레이트(Pressure Plate)를 미는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양쪽에다 한쌍의 와이어 링(wire ring)을 설치하고 와이어 링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支持點)을 구성하고 있다. 또 와이어 링은 클러치 카바의 안쪽 둘레에 설치한 탭(tab)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탭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개구부(방사선 형상의 슬리트의 넓어진 부분)를 통하여 프렛셔 플레이트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탭측의 가상자리와 상기 개구부의 안쪽 가상자리와의 사이에는 원둘레 방향과 간격이 생긴다. 따라서 종래의 제품에서는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클러치 카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피할 수 없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즉, 클러치 카바는 엔진의 플라이 휠(flywheel)과 함께 회전하며 통상은 다이아프램 스프링도 클러치 카바와 함께 회전한다. 그런데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안쪽 둘레 부분과 릴리즈 베어링(release bearing)과의 사이에 열이나서 달라붙는 경우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릴리즈 베어링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또는 방해하게 되므로 다이아프램 스프링은 클러치 카바에 대하여 상기 간격부분만큼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탭측 가상자리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개구부 안쪽 가상자리에 충돌한다. 그래서 와이어 링이나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일이 발생하고 동시에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탭에 파먹어 들어가며 그 결과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클러치 조작 특성이 틀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어 링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클러치 카바와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방지한 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찰면을 플라이 휠에다가 밀어 누르기 위한 프렛서 플레이트와, 바깥쪽 둘레부분이 프렛서 플레이트의 뒷쪽면에 와 닿아서 프렛서 플레이트를 플라이 휠쪽으로 밀어 누르게 하기 위한 원판 모양의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플라이 휠에 고정되어 프렛서 플레이트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바깥쪽 둘레와 뒷쪽면을 덮고 있는 클러치 카바와, 그리고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안쪽 둘레부분에 연결해서 프렛셔 플레이트에 대한 밀어 누르는 힘을 해방하게끔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위한 릴리즈 기구(機構)와, 그리고 또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의 중간부분의 양쪽면에 맞닿아서 이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쌍의 와이어 링을 구비한 클러치 카바 조립체에 있어서, 클러치 카바의 본체의 안쪽 둘레에다 원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구부려 올린 탭을 형성하고 이 탭을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개구부를 통하여 프렛셔 플레이트측에 연장시켜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양쪽에 배치한 한쌍의 지지점용의 와이어 링을 안쪽둘레쪽에다, 또 다이아프램 스프링과는 반대쪽에서 탭으로 지지하고, 와이어 링의 한부분을 절단하여 그 끝부분을 구부리고, 탭측의 가상자리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개구부의 안쪽둘레와의 사이의 원둘레 방향의 간격에다가 상기 구부린 끝부분을 대략 간격이 생기지 않는 상태로 끼워넣고 구부린 끝부분에 의하여 클러치 카바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저지(沮止)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제1도는 세로방향의 단면의 약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일부를 도려낸 상태의 Ⅱ-Ⅱ선에서 본 부분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원판모양의 프렛셔 플레이트 1은 클러치 카바 2에 의하여 외주측(外周側)과 배면측(背面側) (제1도에서 우측)에서 덮혀져 있다. 클러치 카바 2는 외주부가 엔진의 플라이 휠(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프렛셔 플레이트 1은 그 배면에다 돌기(突起) 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 3에다 원판모양의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바깥쪽 둘레부분이 맞닿아 있다.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바깥쪽 둘레에 가까운 부분의 양쪽면에는 한쌍의 와이어 링 5와 6이 접촉하고 있다. 와이어 링 5와 6은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지지점을 구성하는 부재(部材)이며 양쪽 모두가 클러치 카바 2의 탭 7에 의하여 내주측(內週側)과, 다이아프램스프링 4와 반대쪽에서 지지되어 있다.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안쪽 둘레부분에서는 릴리즈 베어링 8이 프렛셔 플레이트와 반대쪽에서 대향(對向)하고 있다. 릴리즈 베어링 8은 출력축(出力軸) 9(그 중심선만이 도시되어 있음)의 주위에다가 미끄러져서 전후 운동만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는 링크(link)기구 등을 거쳐서 클러치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이 다이아프램 스프링 4는 안쪽둘레 가상자리로부터 바깥쪽 둘레 가상자리 근처의 부분까지 뻗어 있는 방사상(放射狀)의 슬리트 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슬리트 10보다 더 외주측의 부분 11만큼의 부탁이 환상(環狀)으로 연속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링 5와 6은 부분 11의 내주부에 맞닿아 있다. 슬리트 10의 반경방향의 바깥쪽 끝부분은 원 둘레 방향으로 넓게 구멍이 나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모양의 개구부 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탭 7은 클러치 카바 2의 환상본체(環狀本體)의 안쪽 둘레의 가상자리에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개구부 12를 통하여 프렛셔 플레이트 1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탭 7을 프레스(Press)등의 절곡장치(折曲裝置) (도시되어 있지 않음)등에 의하여 도면과 같이 절곡되어 있으며 이 절곡장치의 절곡용 금형이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개구부 12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 둘레 방향으로 넓게 구멍이 나 있다. 13은 개구부 12의 안쪽둘레 가상자리이며, 다시 말하면 대략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개구부 12의 가상자리이다. 탭 7의 옆쪽 가상자리 15와, 이것과 인접하는 개구부 12의 안쪽 가상자리 13과의 사이에는 원둘레 방향으로 간격 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 16에다 와이어 링 5의 구부러진 끝부분 17이 끼워져서 안쪽 가상자리 13과 옆쪽 가상자리 15에 대략 접촉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 링 5는 그 한곳에 절단한 부분 19이 있는 고리모양의 부재이며, 양쪽 끝부분 17은 제1도와 같이 반경방향의 안쪽방향으로 구부러지며 또 다이아프램 스프링 4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개구부 12에 들어가 박혀있다.
상기 다수개의 탭 7과 개구부 12는 각각 동일한 치수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시 말하면 끝부분 17이 들어가 박혀있지 않은 곳에 있어서도 개구부 12의 안쪽 가상자리 13과 탭 7의 옆쪽 가상자리 15와의 사이에는 간격 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게 되면 조립작업에 있어서 끝부분 17을 임의의 간격 16에다 끼워 넣을 수가 있으며 끝부분 17을 끼워 넣는 간격 16을 한 곳에만 형성할때에 비하여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작용]
제1도에 있어서, 클러치의 접속상태에 있어서는 다이아프램 스프링 4가 자신의 탄성에 의하여 프렛셔 플레이트 1을 밀고 있으며 프렛셔 플레이트 1은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c)의 압착면을 플라이휠에다 밀어 누른다. 클러치를 끊을(차단할때)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clutch pedal)을 밟게 되고 릴리즈 베어링 8이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내주부를 프렛서 플레이트 1쪽으로 밀어 누른다. 이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 4는 프렛셔 플레이트 1에 대한 밀어 누르는 힘이 해방되어 프렛셔 플레이트 1은 플라이 휠의 압착면에 대한 밀어 누르는 힘을 해방한다. 이들의 접속상태와 차단상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클러치 카바 2는 플라이 휠과 함께 회전하며, 다아아프램 스프링 4나 와이어 링 5와 6도 항상 회전한다.
상기의 운전상태에 있어서 릴리즈 베어링 8과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내주부와의 사이에서, 열이나서 달라붙는 경우가 생겼을 때에는 릴리즈 베어링 8에서 다이아프램 스프링 4에 회전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개구부 12의 안쪽 가상자리 13과 탭 7과의 사이에는 와이어 링의 끝부분 17이 간격이 없는 상태로 끼워져 있으므로 다이아프램 스프링 4가 클러치 카바 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일이 없으며, 다이아프램 스프링 4와 와이어 링 5, 그리고 탭 7이 원둘레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크게 충돌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상대적인 회전운동이나 충돌이 방지되므로 다이아프램 스프링 4와 와이어 링 5,6의 위치가 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 탭 7등에 파고 들어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과 같이 릴리즈 베어링 8에서 다이아프램 스프링 4에 저항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끝부분 17이 안쪽의 가상자리 13이나 옆쪽 가상자리 15에 압접(壓接)한다. 그런데 와이어 링 5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4는 경질(硬質)의 재료로 되어 있으며 또한 끝부분 17은 원통형태의 바깥둘레의 면에 있어서 다이아프램 4의 안쪽가상자리 13에 압접한다.
따라서 안쪽 가상자리 13과 끝부분 17의 압접부분에 이상마모(異常磨耗)나 파먹어 들어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탭 7은 와이어 링 5에 비하여 연질(軟質)의 재료로 되어 있지만 탭 7에 대해서도 끝부분 17은 원통형태의 바깥둘레의 면에서 압접하고, 더우기 축방향으로 긴 구간 L(제1도의 확대부분의 앞쪽 끝부분의 절곡길이)에 있어서 압접하므로 탭 7과 끝부분 17의 압접부분에서도 이상마모라든가 파고 들어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가령 치수의 오차등에 의하여 끝부분 17의 주위에 약간의 간격이 생기고 그 간격 때문에 끝부분 17이 다이아프램 스프링 4나 탭 7에 가볍게 충돌하였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하여 각 부분의 이상마모나 파고 들어가는 일은 방지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링 5의 절곡된 끝부분 17을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개구부의 안쪽 가상자리 13과, 탭 7의 옆쪽 가상자리 15와의 사이에다 개재(介在)시켜서 클러치 카바 2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4와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4나 와이어 링 5와 6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탭 7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 4의 파먹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다이아프램 스프링 4를 항상 원활하게 작동시켜 우수한 클러치 릴리즈 특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변형 예]
프렛셔 플레이트 1쪽의 와이어 링 6에다 구부린 끝부분을 만들고 이 끝부분을 간격 16에다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와이어 링 5의 절곡 끝부분 17을 폐지할 수도 있고 또는 와이어 링 5에다가도 절곡 끝부분 17을 마련할 수도 있다. 와이어 링 5의 한쪽 끝부분과 와이어 링 6의 한쪽 끝부분의 한쪽에만 회전운동을 저지하게 하는 절곡 끝부분을 마련할 수도 있다.

Claims (3)

  1. 마찰면을 플라이 휠에 밀어 누르기 위한 프렛셔 플레이트와, 의주부가 프렛셔 플레이트의 배면에 와 닿아서 프렛셔 플레이트를 플라이 휠에 밀도록 힘을 가하게 하기 위한 원판모양의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플라이 휠에 고정되고, 프렛셔 플레이트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바깥쪽 둘레와 배면을 덮는 클러치 카바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내주부에 연결해서 프렛셔 플레이트에 대한 밀어 누르는 힘을 해방하도록 다아아프램 스프링을 변형시키기 위한 릴리즈 기구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반경방향으로 중간부분의 양쪽면에 맞닿아서 상기 다아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한쌍의 와이어 링을 구비한 클러치 카바 조립체에 있어서 클러치카바의 본체내의 둘레에다 원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절곡 탭을 형성하여, 이 탭을 다아아프램스프링의 개구부를 통하여 프렛셔 플레이트쪽으로 연장시키고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양쪽에 배치한 한쌍의 지지점용의 와이어링을 내주측과 또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반대쪽에서 탭으로 지지하고, 와이어 링의 한 부분을 절단하여 그 끝을 구부리고, 탭측의 가상자리와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개구부의 안쪽 가상자리와의 사이의 원둘레 방향의 간격에다가 상기 구부린 끝부분을 대략 간격이 없는 상태로 끼워넣고 구부린 끝부분에 의하여 클러치 카바에 대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 스프링에다 그 안쪽 둘레에서부터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뻗는 방사상의 슬리트를 형성하고, 각 슬리트의 반경방향의 외측 끝부분을 원둘레 방향으로 넓게 구멍이 나게 해서 상기 탭의 절곡 가공장치가 드나들수 있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각 개구부의 원둘레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고, 각 탭의 원둘레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한 클러치 카바 조립체.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링이 원통형태의 바깥둘레의 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와이어 링의 끝부분이 원통형태의 바깥둘레의 면에 있어서 상기 탭측의 가상자리와 상기 개구부의 안쪽 가상자리에 맞닿아 있게 되어 있으며 탭측의 가상자리에 맞닿아 있는 와이어 링의 끝부분이 탭 측의 가상자리에 따라 대략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
KR1019850003579A 1984-05-30 1985-05-24 클러치 카바 조립체 KR890000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10412A JPS60252827A (ja) 1984-05-30 1984-05-30 クラツチカバ−組立体
JP59-110412 1984-05-30
JP110412 198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304A KR850008304A (ko) 1985-12-16
KR890000271B1 true KR890000271B1 (ko) 1989-03-13

Family

ID=1453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79A KR890000271B1 (ko) 1984-05-30 1985-05-24 클러치 카바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67795A (ko)
JP (1) JPS60252827A (ko)
KR (1) KR890000271B1 (ko)
DE (1) DE3519240A1 (ko)
FR (1) FR2565307B1 (ko)
GB (1) GB21595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7330U (ko) * 1986-01-16 1987-07-25
US5012856A (en) * 1988-12-05 1991-05-07 Zecman Kenneth P Fluid cooled shot sleeve
JPH0729309Y2 (ja) * 1989-03-31 1995-07-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DE4420251B4 (de) * 1993-06-23 2006-03-3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3340A (en) * 1963-07-30 1965-09-02 Automotive Prod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aphragm spring clutches
DE1260890B (de) * 1963-07-30 1968-02-08 Automative Products Company Lt Scheibenreibungskupplung
JPS4431003Y1 (ko) * 1965-03-27 1969-12-20
DE1983849U (de) * 1968-01-26 1968-04-18 Fichtel & Sachs Ag Membranfeder-kupplung.
US3785466A (en) * 1972-10-02 1974-01-15 O Murai Device for holding wire rings in diaphragm clutch
US3939951A (en) * 1974-12-23 1976-02-24 Dana Corporation Diaphragm clutch spring having radial and rotational restraints
GB1527641A (en) * 1976-02-17 1978-10-04 Automotive Prod Co Ltd Friction clutch cover assemblies
US4109368A (en) * 1976-07-14 1978-08-29 Automotive Products Limited Method of assembling a sub-assembly of a diaphragm spring friction clutch
GB1583403A (en) * 1977-07-21 1981-01-28 Automotive Prod Co Ltd Diaphragm spring clutches
IT1133109B (it) * 1980-09-18 1986-07-09 Rovilmec Spa Assieme di copertura per frizioni
EP0100599B1 (en) * 1982-07-31 1986-02-12 Automotive Products Public Limited Company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ies
DE3345727A1 (de) * 1983-12-17 1985-06-27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Kuppl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65307B1 (fr) 1991-02-01
US4667795A (en) 1987-05-26
FR2565307A1 (fr) 1985-12-06
DE3519240C2 (ko) 1987-06-11
JPS60252827A (ja) 1985-12-13
DE3519240A1 (de) 1985-12-05
GB2159590B (en) 1987-08-26
GB8513516D0 (en) 1985-07-03
KR850008304A (ko) 1985-12-16
GB2159590A (en) 198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400A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JP3086848B2 (ja) クラッチ解除力を補助するための補助バネ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US4210233A (en) Clutch assembly
JPS6141969A (ja) 自己調節式検知機構
KR970011471A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JPS5824652B2 (ja) シンアワセクラツチジクウケ
KR830008067A (ko) 스프링 클러치
KR890000271B1 (ko) 클러치 카바 조립체
JPH0680334B2 (ja) 摩擦クラツチ
US5788399A (en) Snap ring
US5791448A (en) Segmented cam rings for automatic self adjusting clutch
JPS581293B2 (ja) クラッチレリ−ズ軸受
US4077504A (en) Self-centering clutch thrust bearing
JPS5977130A (ja) クラツチのダイアフラムに取付ける作用部材、その取付け方法並びに該ダイアフラムと該作用部材とからなる組立体
JPH0127285B2 (ko)
US4241954A (en) Wheel cover retention arrangement
KR870001178B1 (ko) 다이어 프레임 스프링식 클러치
JPH0914302A (ja) スプラグ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H07508823A (ja) 特に自動車用のクラッチ機構
KR900002567B1 (ko) 크럿치 카바 어셈브리
JPH0124930B2 (ko)
GB2144813A (en) Friction clutch
US4679683A (en) Clutch cover assembly
US4923046A (en) Cooling mechanism of a clutch cover assembly
US5911294A (en)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tab members formed on the clutch cover to support a diaphragm sp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