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04B1 -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 Google Patents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04B1
KR870001504B1 KR1019840004765A KR840004765A KR870001504B1 KR 870001504 B1 KR870001504 B1 KR 870001504B1 KR 1019840004765 A KR1019840004765 A KR 1019840004765A KR 840004765 A KR840004765 A KR 840004765A KR 870001504 B1 KR870001504 B1 KR 87000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titanium
copper
iron
magne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926A (ko
Inventor
슈우이찌 야마사끼
히로시 야마구찌
요오스께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시마 세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시마 세쯔오 filed Critical 미쯔이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제1도는 철/티탄비율과 구리-철-티탄계합금(티탄 : 0.35중량 %)의 전기전도율 및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2도는 본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합금의 용액처리온도와 전도율 및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도 및 제4도는 구리-철-티탄계합금에 망간 또는 니켈을 첨가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합금과 비교합금의 가공경화성 및 내연화성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반도체의 리이드프레임이나, 접속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또는 전기부품이나, 열교환기의 핀등의 재료로 적합한 내열성(내연화성),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용접성, 가공성, 기계적 강도를 갖는 구리합급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IC, LSI 등과 같은 전자부품용 리이드프레임재료로는 세라믹패키지에 대한 밀봉성이 양호한 42-합금(철-42% 니켈합금)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 들어 수지를 사용한 패키지기술이 유포되고 패키지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구리합금으로 된 리이드프레임재료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CDA 194합금과 인청동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 IC의 개발과 더불어 강도가 크고 내열성이 좋은 구리합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상기 CDA 194 합금은 우수한 강도와 전도성(열전도성은 전기전도성에 의거하여 추산할 수 있음을 보유하고 있긴 하지만 연화온도가 낮고, 상기 인청동 역시 강도와 가요성은 우수하지만 전도성이 불량한 결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두 재료는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다.
리이드프레임용 재료가 일반적으로 갖춰야 할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반도체의 집적화에 수반하는 우수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가져야 한다.
(2) 다이접착가공을 하는동안 고온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연화되지 않아야 한다.
(3) 리이드부분의 두께가 얇더라도 응력에 의한 굽힘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4) 용접성이 양호해야 한다.
(5) 고온에서도 산화되지 않아야 한다.
(6) 수소메짐성이 없어야 한다.
접속스위치 등과 같은 전기부품용 구리합금으로는 여러 종류의 것이 공지된 바 있지만, 이들의 전도성, 내부식성, 기계적 강도등은 별로 우수한 편이 못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두께를 얇게해야 하기 때문에 강도 및 납땜주의 내연화성이 우수한 구리합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열교환기용 핀의 재료로 사용되어온 주석함유구리(구리-0.2% 주석)도 재료의 두께를 얇게하려는 최근의 추세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 및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큰 구리합금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개선된 기계적 강도 및 전도성을 갖는 종래 구리합금의 예로는 구리에 1.4%의 철과, 1.0%의 티탄과, 1.5%의 니켈을 섞어서 만든 구리-철-티탄-니켈의 4원합금(일본국 특허공보 제1253/1959호)와, 구리-켈-마그네슘-인의 4원합금(미합중국 특허 제4,305,762호)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자는 상기 두 특허의 합금을 연구해본 결과, 리이드프레임등과 같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 특히 전기전도성과 기계적 강도면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기계적 강도와,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과 내연화성이 우수한 구리-철-티탄계합금의 생산을 용이하게 하고, 첨가제를 첨가하여 합금의 성질을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구리-철-티탄계합금보다 전기 및 열전도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구리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의 리이드프레임용 재료나, 접속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또는 전기부품용 재료 및 열교환기의 핀용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내연화성,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용접성, 전연성, 기계적 강도등의 일반성질을 개선한 구리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합금은 구리에다 중량비 0.05 내지 1.0%의 티탄과 중량비 0.07 내지 2.6%의 철을 섞고, 중량비 0.005 내지 0.5%의 마그네슘과, 0.01 내지 0.05%의 안티몬, 바나듐, 미쉬(Misch)메탈, 지르코늄, 인듐, 아연, 주석, 니켈과, 0.05 내지 0.2%의 알루미늄고, 0.005 내지 0.07%의 인을 첨가해서 만든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합금에 첨가제를 첨가해야 할 필요성과 성분범위의 한정이유에 관하여 설명한다.
철과 티탄은 서로 공존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일반특성(내연화성, 전기전도성, 강도)을 개선하게 된다. 즉, 티탄은 본 발명의 합금에 고강도와 양호한 내연화성을 부여하게 되는데, 철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전도성 뿐만 아니라 강도와 내연화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그 원인은 시효에 의해 철과 티탄의 화합물이 생성되고 미세하게 석출되기 때문이다. 티탄함량이 중량비로 0.05%(이하, "중량비"는 생략하고 %로만 표기함) 미만일 때에는 철과 함께 사용하더라도 강도와 내연화성의 개선효과가 별로 없으며, 티탄의 함량이 1%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내연화성과 전도성이 저하됨과 더불어 용접성이 악화된다. 더우기, 용융 및 주조공정에 있어서는 용융금속의 유동성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산소피막이 두껍게 생겨서 대기중에서는 용융작업을 수행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티탄과 공존하는 철은 그 함량이 0.07% 미만으로 되면 합금의 성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적어지게 되고, 2.6%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상태에 이른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우수한 성질은 철과 티탄의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므로 적당한 철/티탄비(중량비)가 존재하게 되는데, 그 비율은 일반적으로 1.4 내지 2.6이고 1.7 내지 2.3이면 더 좋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비율과 관련하여 구리-철-티탄의 3원합금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도성 및 강도와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철/티탄비가 1.4이하일 때에는 과잉 티탄의 매트릭스의 고용량이 증가되어 전도성이 저하되고, 그 합금비가 2.6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잉의 철의 매트릭스의 고용량이 증가되어 전도성, 특히 인장강도가 현격히 감소한다. 이러한 경향은 본 발명의 여타원소를 첨가한 합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하는 철과 티탄을 제외한 기타원소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용체화 처리온도(750℃ 이하)가 고온(850℃)에서 고체용액처리를 하거나 수중담금질을 하는 경우보다 낮을 때에는 구리-철-티탄 3원합금의 강도와 전기전도성 및 연화온도가 현격히 저하되지만(제2도 참조), 마그네슘과, 안티몬과, 바나듐과, 미쉬메탈과, 지르코늄과, 인듐과, 주석과, 니켈 등을 첨가하면 합금이 갖는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공업적으로 반드시 용체화담금질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열간압연후 수냉을 시키거나 냉간압연의 중간공정을 행하면서 연속풀림을 한후에 급냉시키므로써 용체화담금질처리를 실질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그네슘의 첨가는 강도와 내연화성의 개선효과를 가져온다. 소량의 마그네슘을 첨가하면 전기전도성이 다소 양호해지지만, 다량의 마그네슘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마그네슘을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도 전기전도성이 저하된다.
강도와 전기전도율에 대한 마그네슘의 첨가효과는, 하기의 실시예 3에서 설명한 제3도의 그래프를 보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0℃에서 풀림한 후의 인장강도곡선으로 나타나므로 이 종류의 합금은 연화온도가 500℃이상으로 높다.
마그네슘의 첨가효과는 마그네슘의 함량이 0.005% 미만일 때에는 그 효과가 별로 없으며, 0.5%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내연화성의 개선효과가 거의 없어질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가공성도 불량해진다.
기계적 강도와 전기전도성을 균형있게 개선하기 위해서는 0.03 내지 0.10%의 마그네슘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과 동일한 첨가효과를 내는 원소로는 지르코늄, 주석, 아연 등이 있다.
니켈의 첨가는 마그네슘의 첨가에 비해 인장강도 및 내열성의 향상 효과가 적으나 전기전도율의 개선효과는 크다. 인장강도 및 전기전도율에 대한 니켈의 효과는 실시예 4에서 설명하는 제4도의 크래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이 0.01% 미만이면 그 효과는 작고 0.5%를 초과하면 인장강도의 향상이 최대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기전도성은 현저히 저하된다. 기계적 강도와 전기전도성을 균형있게 개선하기 위한 니켈의 첨가량은 0.01 내지 0.07%의 범위가 적당하다. 니켈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원소로는 인듐이 있다.
주석, 미쉬메탈, 바나듐은 내연화성의 측면에서 볼때는 첨가하지 않는 편이 낫지만, 석출물의 석출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의 면에 있어서는 우수한 성질을 얻을 수 있다. 주석, 미쉬메탈, 바나듐의 첨가량은 0.01% 미만이면 전기전도성의 향상효과가 없고, 0.5%를 초과하면 전기전도성이 오히려 저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공성도 현저히 감소된다.
알루미늄은 본 발명의 합금을 용해 및 주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티탄의 소모를 감소시켜 그 첨가비율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알루미늄의 첨가량이 0.005% 미만일 때에는 첨가효과가 거의 없고, 반면에 0.2%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내연화성 및 전기전도성에 악영향을 준다.
인은 예비탈산제로 첨가되며, 티탄의 첨가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우기, 인을 마그네슘과 함께 첨가하면 철-티탄화합물 이외에도 마그네슘-인화합물이 석출되어서 특성의 향상이 가능히다. 인을 예비탈산제나 비율향상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근소량의 인이 합금중에 남게되지만(0.005%), 석출구성원소로서 사용될 때에는 0.01 내지 0.07%의 첨가량이 적당하다. 다시 말해서, 인이 0.01% 미만이면 석출물형성이 충분치 못하여 인장강도와 내연화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0.07%를 초과하면 고용되는 인의 양이 증가하여 전기전도율이 현전히 저하된다.
또한, 마그네슘, 니켈을 비롯한 제 3성분은 적당한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2종류이상을 병용함으로써 각자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고주파용해로를 사용하여 전기구리를 알루미나도 가니에 녹여넣고, 그 표면을 목탄가루로 덮은다음, 거기에 전해철, 구리-2% 티탄합금, 구리-50% 마그네슘합금, 인듐, 니켈, 미쉬메탈, 바나듐, 안티몬, 지르코늄, 주석, 알루미늄, 인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금형에 주입해서 크기 25t×85w×150l의 잉곳을 만들었다. 이 합금과 비교합금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합금 제18번은 본 발명의 합금과는 달리 티탄을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으로, CDA 194 합금과 조성이 같은 리이드프레임이나 전기부품의 종래 합금과 비교하려는 의도에서 만든 것이다. 상기 잉곳은 양면을 2mm 깊이로 절삭한 다음에 750℃에서 열간압연해서 3mm의 두께로 만들고 나서, 750℃에서 두시간동안의 용체화처리를 한 후 냉간압연에 의해 0.8mm 두께의 판으로 만들었다. 이 판으로부터 인장시험편과 전기전도율 측정편을 절취한 다음, 온도를 달리하면서 1시간동안 풀림을 했다. 표 1은 500℃에서 1시간동안 풀림한 후의 인장강도와, 연실율 및 전기전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합금은 비교합금에 비해 내연화성(풀림후의 인장강도의 저하가 적다), 인장강도, 전기전도성의 특성항목중 한가지 또는 그이상이 우수하다. 티탄의 함량이 많은 제2번과 제15번 합금의 용해주조시에는 산화물의 발생으로 인하여 주조가 다소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티탄의 함량이 특히 많은 제17번 합금의 경우에는 그러한 경향이 매우 심해서 대기중의 용해에 의해서는 정상적인 잉곳을 얻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제5번 합금에는 알루미늄을 첨가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합금의 티탄수율이 70 내지 80%인데 비해, 약 85%라는 현저한 수율향상효과를 가져왔다.
또 미쉬메탈, 안티몬, 바나듐을 첨가한 실시예 제10,11,12번의 합금은 500℃에서 풀림처리한 후의 인장강도는 낮았지만, 450℃에서 풀림한 후의 인장강도는 각각 39.5,41.4,44.9kgf/mm2으로 매우 높아져서 450℃이상의 연화온도를 나타내었다.
구리합금을 리이드프레임등과 같은 전자 또는 전기부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소재의 굽힘특성 역시 매우 중요하다. 본발명의 대표적인 조성을 갖는 제1,4,11번 함금과 비교합금 제18번을 90°W굽힘시험을 했다.
즉, 0.8mm 두께의 압연판을 50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한 다음, 0.4mm 두께로 압연해서 45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하고, 다시 0.3mm 두께의 25% 냉간압연판으로 만들었다. 이 압연판으로부터 폭 10mm 두께 60mm의 시험편을 절취해서 굽힘반경이 0.02mm와 0.4mm가 되도록 90°의 각도로 절곡했다. 그리고나서 굽힘부위를 확대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합금과 비교합급은 R=0일 때에는 약간의 주름이 발생하였으나, R=0.2 이상일 때에는 어느쪽도 주름이 발생하지 않아서 실용상의 문제가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대표적 조성으로 된 제1,4,11번 합금과 제20번 비교합금의 용접성과, 내산화성과, 내수소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술한 두께 0.8mm의 압연판을 50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한 후 20%의 냉간가공을해서 준비한 시험편을 사용했다. 내응력부식 균열성괴 내부식성(소급물 분무시험)은 두께 0.8mm의 압연판을 50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한 후 50%의 냉간압연을 해서 만든 시험편으로 평가했다.
용접성은 폭 30mm 길이40mm의 서험편을 230℃의 땜납욕조(주석 60-납 40)에 5초 동안 침지시킨후 땜납의 부착상황을 관찰해서 평가했다. 본발명의 합금은 비교합금과 마찬가지로 아무런 문제점이 없었다. 그리고 이 시험편에 3㎛의 두께로 은도금을 해서 450℃에서 5분간 가열했으나 전혀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내산화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했다. 폭 30mm 길이 50mm의 시험편을 대기중에서 350℃×2시간, 500℃×5분간 가열한 후 묽은 황산으로 세척해서 산화피막을 제거하고, 가열전후의 단위면적당의 중량감소량을 구했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표면에는 가열중에 강력한 산화티탄의 피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비교합금에 비해서 산화량이 적었다.
수소취화시험에 있어서는 JIS에 의거하여 수소기류중에서 시험편의 표면에 30분동안 850℃의 열을 가한 후 현미경검사와 180°밀착굽힘시험을 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1,4,11번 합금과 비교합금 제18번은 이상이 없었다.
내응력부식 균열성시험은 톰슨(Thomson)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합금인 제1,4,11번 합금과 비교합금 제18번은 500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응력부식으로 인한 취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합금 제1,2,4번과 비교합금 제14,18번은 7일동안 소금물 분무시험을 실시했다. 단위면적당의부식감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kpo00004
표 4는 본 발명의 합금이 내식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2]
구리-0.40 티탄-0.93 철-0.079 마그네슘-0.018인 합금(본 발명의 합금)과 구리-0.36 티탄-0.66 철 합금(비교합금)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주조한 후 면을 절삭하고, 900℃에서 열간압연하여 3mm의 두께로 만들었다. 그리고나서 압연판을 700℃, 850℃, 1000℃에서 한시간동안 용체화처리한 후 수냉시키고, 다시 0.8mm의 두께로 냉간압연한 다음 50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하였다.
풀림후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시험과 전기전도율 측정시험을 실시했다.
제2도는 용체화처리온도를 횡축에, 인장강도와 전기전도율을 종축에 나타낸 플로트선도이다. 이 도면중에서 곡선 1과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전기전도율과 인장강도이고, 곡선 3과 4는 비교합금의 전기전도율과 인장강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합금은 용체화처리온도가 낮을 때에도 비교합금에 비해 특성의 저하가 적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1000℃에서 용체화 처리를 실시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탄성한계치는 49kg/㎟로서, 우수한 탄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실시예 3]
마그네슘의 함유량만을 변화시켜서 여러 종류의 구리-0.35 티탄-0.67 철-마그네슘합금을 만들고, 실시예 2에서와 같이 500℃에서 한시간동안 풀림한후, 인장강도와 전기전도율을 측정했다. 그리고 그결과는 제3도에 도시했다.
[실시예 4]
니켈함유량만을 변화시켜서 구리-0.35 티탄-0.67 철-니켈합금을 용융제고하고, 실시예 2에서와같이 500℃에서 1시간동안 풀림한 후, 안장강도와 전기전도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제4도에 도시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합금인 구리-0.35 티탄-0.07 철-0.05 마그네슘합금(곡선 3)및 구리-0.03 티나-0.68 철-0.04 니켈합금(곡선 4)과, 비교합금인 구리-0.31 티탄-0.70 철 합금(곡선 5) 및 구리-2.4 철-0.17 아연-0.03 인 합금(곡선 6)그리고 구리-0.13 철-0.03 인 합금(곡선 7) 으로 1.5mm 두께의 압연판을 만들어서 500℃에서 두시간동안 풀림한 후 가공경화특성을 평가했다. 그리고 인장강도와 연실율은 제5도와 제6도에 각각 도시했다.
이들도면을보면, 본 발명의 합금은 가공경화도는 약간 높지만, 최고 60kgf/mm2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합금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의 잉곳을 5mm의 두께로 열간압연한 후 750℃에서 2시간동안 용체화처리해서 두께 1.0mm로 냉간압연하고 500℃에서 2시간동안 풀림한 다음 0.5mm의 두께로 냉간압연했다. 이 압연판에서 절취한 시험편을 각종온도에서 풀림처리하여 풀림연화곡선(제7도 및 제8도)과 내력곡선(제9도)을 얻었다. 도면중 제5도 및 제6도의 것과 동일한 시험편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했다. 이들 도면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내연화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종 합금의 반연화온도는 CDA 194합금(구리-철-아연-인)이 260℃이고, 구리-티탄-철합금은 450℃, 구리-티탄-철-니켈합금은 460℃, 구리-티탄-마그네슘합금은 480℃이다.
[실시예 7]
본발명의 합금인 구리-0.36 티탄-0.69 철-0.06 마그네슘 합금(곡선 8) 및 0.32 티탄-0.69 철-0.04 니켈합금(곡선 9)과 비교합금인 구리-0.34 티탄-0.71 철 합금(곡선 10) 및 구리-2.35 철-0.18 아연-0.04인 합금(곡선 11)을 사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든 20%냉간가공재를 가종 온도에서 5분간 유지한 후 풀림처리하여 연화곡선을 얻었다. 그 결과는 제10도에 도시했다. 연화온도를 경도치가 초기정도의 80%로 감소하는 온도로 정의할 때, 각종 합금의 연화온도는 구리-티탄-철-마그네슘이 560℃이고, 구리-티탄-철-니켈합금은 520℃, 구리-철-티탄합금은 518℃, CDA 194 합금은 490℃이다.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연화특성은 대단히 우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합금은 우수한 연화특성과 양호한 강도 및 전기전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굽힘강도, 용접성, 도금성, 내산화성, 내수소취화성, 내응력부식균열성, 내부식성 등에 있어서 실용상의 문제점이 전혀 없는데다가 공업적으로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반도체의 리이드프레임이나, 접속스위치 등의 전기부품, 스프링, 단자, 클립,열교환기의 핀, 용접기의 팁용소재로 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구리에 중량비 0.05-1.0%의 티탄과, 중량비 0.07-2.6%의 철고, 중량비 0.005-0.5%의 마그네슘과, 안티몬, 바나듐, 미쉬메탈, 지르코늄, 인듐, 아연, 니켈중에서 선택한 중량비 0.01 내지 0.5%의 원소 한가지 이상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2. 제 1항에 있어서, 철/티탄의 중량비가 1.4 내지 2.6의 범위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3. 제 1항에 있어서, 철/티탄의 중량비가 1.7 내지 2.3의 범위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마그네슘의 첨가량이 중량비로 0.03 내지 010%의 범위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니켈의 첨가량이 중량비로 0.01 내지 0.07%의 범위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KR1019840004765A 1983-08-12 1984-08-09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KR870001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6635 1983-08-12
JP58146635A JPS6039139A (ja) 1983-08-12 1983-08-12 耐軟化高伝導性銅合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926A KR850001926A (ko) 1985-04-10
KR870001504B1 true KR870001504B1 (ko) 1987-08-19

Family

ID=1541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765A KR870001504B1 (ko) 1983-08-12 1984-08-09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59200A (ko)
JP (1) JPS6039139A (ko)
KR (1) KR870001504B1 (ko)
DE (1) DE3429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1770D0 (en) * 1984-01-24 1984-02-29 Unilever Plc Detergent and bleaching compositions
JPS60218440A (ja) * 1984-04-13 1985-11-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リ−ドフレ−ム用銅合金
JPS61183427A (ja) * 1985-02-08 1986-08-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導電性、強度、耐熱性、くり返し曲げ性に優れた導電部材用銅合金
JPS61242052A (ja) * 1985-04-19 1986-10-28 Mitsubishi Shindo Kk 半導体装置用銅合金リ−ド材
JPS61284946A (ja) * 1985-06-11 1986-12-15 Mitsubishi Shindo Kk 半導体装置用Cu合金リ−ド素材
GB2179673A (en) * 1985-08-23 1987-03-11 London Scandinavian Metall Grain refining copper alloys
JPS6250425A (ja) * 1985-08-29 1987-03-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子機器用銅合金
US4708282A (en) * 1985-10-15 1987-11-24 Huck Manufacturing Company Welding allo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S62120450A (ja) * 1985-11-19 1987-06-01 Nakasato Kk 電気・電子機器用電気機械的接続ばね材料の製造法
JPS62133034A (ja) * 1985-12-06 1987-06-16 Yazaki Corp タ−ミナル用合金
AT385932B (de) * 1985-12-13 1988-06-10 Neumayer Karl Band- bzw. drahtfoermiges material
JPH0617522B2 (ja) * 1987-04-03 1994-03-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加工性に優れた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
JPH0285330A (ja) * 1988-09-20 1990-03-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レス折り曲げ性の良い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02620A (en) * 1989-04-03 1992-04-07 Olin Corporation Copper alloys with dispersed metal nitride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399070B1 (en) * 1989-05-23 1995-02-01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ductors based on Cu-Fe-P alloys
FR2649418B1 (fr) * 1989-07-07 1991-09-20 Trefimetaux Alliage de cuivre-fer-cobalt-titane a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et electriqu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205996A (en) * 1991-05-10 1993-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ilver lined ceramic vessel
US5322642A (en) * 1992-07-28 1994-06-21 Ferraz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from homogeneous metal oxide powder
JP2000349085A (ja) * 1999-06-01 2000-12-15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10114285A1 (en) * 2009-11-17 2011-05-19 Buxbaum Robert E Copper-niobium, copper-vanadium, or copper-chromium nanocomposites, and the use thereof in heat exchangers
JP5751268B2 (ja) * 2013-02-14 2015-07-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線、銅合金撚線、被覆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
JP2015086452A (ja) *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銅合金線、銅合金撚線、被覆電線、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銅合金線の製造方法
JP6201815B2 (ja) * 2014-02-28 2017-09-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銅合金撚線の製造方法
JP5950249B2 (ja) * 2014-08-08 2016-07-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線、銅合金撚線、被覆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
JP6686293B2 (ja) * 2015-04-21 2020-04-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銅合金線、銅合金撚線、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135949B2 (ja) * 2015-05-19 2017-05-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線、銅合金撚線、被覆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
WO2017145913A1 (ja) * 2016-02-22 2017-08-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用線材
JP2017150065A (ja) * 2016-02-22 2017-08-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用線材
JP6075490B1 (ja) 2016-03-31 2017-0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信用シールド電線
CN108780680B (zh) * 2016-03-31 2020-11-13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通信用电线
CN110088850B (zh) * 2016-11-28 2021-01-08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通信用屏蔽线缆
JP6828444B2 (ja) * 2017-01-10 2021-02-10 日立金属株式会社 導電線の製造方法、並びにケーブルの製造方法
DE112018000634T5 (de) * 2017-02-01 2019-11-1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Kommunikationskabel
DE112018003618B4 (de) * 2017-07-14 2020-11-2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Ummantelter elektrischer Draht und mit einem Anschluss ausgerüsteter elektrischer Draht
EP3664104A4 (en) * 2017-08-01 2021-04-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ELECTRICAL CABLE AND WIRE
WO2019220531A1 (ja) 2018-05-15 2019-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秘匿検索装置および秘匿検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63651B1 (de) * 1967-05-02 1980-11-26 Hans H Daut Aushaertbare kupfer-eisen-titan-legier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3522112A (en) * 1967-06-26 1970-07-28 Olin Corp Process for treating copper base alloy
GB1561922A (en) * 1976-01-13 1980-03-05 Olin Corp High strength high conductivity copper alloys
JPS5579848A (en) * 1978-12-12 1980-06-16 Kobe Steel Ltd Copper alloy with superior strength, electric conductivity and softening resistance and manufacture thereof
JPS609845A (ja) * 1983-06-29 1985-01-18 Tetsuo Takano 高伝導性ばね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29393C2 (ko) 1991-07-11
KR850001926A (ko) 1985-04-10
DE3429393A1 (de) 1985-02-28
JPS6039139A (ja) 1985-02-28
US4559200A (en) 1985-12-17
JPS6239213B2 (ko) 198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04B1 (ko) 내연화 고전도성 구리합금
US6132529A (en) Leadframe made of a high-strength, high-electroconductivity copper alloy
JPWO2006101172A1 (ja) 電子材料用銅合金
JP4787986B2 (ja) 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00004109B1 (ko) 반도체의 리드프레임 재료 및, 단자와 코넥터용 동합금과 그 제조법
JP2593107B2 (ja) 高強度高導電性銅基合金の製造法
JP2007126739A (ja) 電子材料用銅合金
US20030047259A1 (en) Copper alloy with excellent stress relaxation resistance proper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4567906B2 (ja) 電子・電気部品用銅合金板または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6095B2 (ja) コネクタ用銅合金とその製造法
JP3049137B2 (ja) 曲げ加工性が優れた高力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307232A (ja) 銅合金
JPS6215622B2 (ko)
JPH0718355A (ja) 電子機器用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50428A (ja) 電子機器用銅合金
JP2672241B2 (ja) 強度及び曲げ加工性が優れた銅合金材の製造方法
JP4132451B2 (ja) 耐熱性に優れた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
JP2733117B2 (ja) 電子部品用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6569A (ja) リードフレーム用銅合金及びその製造法
JPS60114556A (ja) 銅基合金の製造方法
JPH01165733A (ja)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
JP2662209B2 (ja) メッキ密着性及びハンダ接合性に優れた電子機器用銅合金とその製造法
JP2597773B2 (ja) 異方性が少ない高強度銅合金の製造方法
JPS58147140A (ja) 半導体装置のリ−ド材
JP2534917B2 (ja) 高強度高導電性銅基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