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15B1 -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15B1
KR860001415B1 KR1019830003649A KR830003649A KR860001415B1 KR 860001415 B1 KR860001415 B1 KR 860001415B1 KR 1019830003649 A KR1019830003649 A KR 1019830003649A KR 830003649 A KR830003649 A KR 830003649A KR 860001415 B1 KR860001415 B1 KR 86000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motor
speed
detection signa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396A (ko
Inventor
하지메 수주기
다다오 시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제1도는 본발명을 구체화한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하는 약체평면도.
제2도는 모우터 및 위사의 동작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위사측장장치 2A, 2B : 위사공급부
5, 12 : 모우터 31 : 근접스윗치
C1 : 콘트롤장치 Y1, Y2 : 위사
본발명은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사를 감아서 측장(測長)함과 동시에 측장된 위사를 일단 감아서 저류(貯留)시켜서 위입시에는 이 감겨져서 저류된 위사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측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저직기 특히 유체분사식직기에 있어서는, 미리 1회의 위입길이의 위사를 측장함과 동시에 측장된 위사를 일단 저류시키기 위한 위사측장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종류의 위사측장장치로서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사를 감아서 측장함과 동시에 측장된 위사를 일단 감아서 저류시켜서 위입시에는 이 감겨져서 저류된 위사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위사측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감는 방식의 위사측장장치는 드럼등에 의하여 구성된 위사측장부체의 권사면에 감겨진 위사의 측장량 및 위입측에의 이행이 권사면으로부터 출몰하는 위사계지핀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위사는 위사측장부체의 주위를 상대회전가능한 실공급관을 통하여 전기한 권사면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단지 하나의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1종류의 위사가 위입되어 직포가 직성되는 경우에는 전기한 위사측장장치는 하나만으로 족하나, 둘이상의 위사공급부로부터 위사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각위사공급부의 개수만큼의 위사측장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복수의 위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사를 선택위입하고 직포의 위사선택배열을 자유로히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위사의 공급속도 즉 위사측장장치의 위사측장부체에 대한 위사의 권취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권취속도의 제어방법으로서는 전기한 실공급관 또는 위사측장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우터를 각위사측장부체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하고, 미리 설정된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모우터의 회전속도를 제어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어방법에서는 모우터의 회전속도가 회전저항, 브레이크 불안정성 등의 원인에 의하여 위사선택프로그램대로 제어되지 않으며 따라서 위사의 측장량에 불량이 생기게 한다는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한 사실을 고려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각은 위사측장부체에 감겨지는 위사의 감기는 수를 검출하는 위사권취수 검출장치로부터 검출신호가 발하여졌을 때에 각 위사측장부체에 대한 위사의 권취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위사측장량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측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발명을 구체화한 한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1A는 위사공급부 2A로부터 공급되는 위사 Y1을 감아서 측장하는 위사측장장치 1B는 위사공급부 2B로부터 공급되는 위사 Y2를 감아서 측장하는 위사측장장치로서 양측장장치 1A, 1B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먼저 위사측장장치 1A에 대하여서만 상술하기로 한다.
직기의 사이드프래임의 고정부에 착설되는 지지부체 3에는 위사 Y1을 안내하는 위사안내공 4a를 가진 회전지지축 4가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어 있다.
지지부체의 3의 뒤쪽(도면에서 좌측)에 있어서, 회전지지축 4에는 치차 30이 고착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축 4는 이치차 30에 교합연결된 제 1 모우터 5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치차 30부근에는 이치차 30의 회전수 즉 위사 Y1의 권취수를 검출하는 위사권취수검출장치로서의 근접스윗치 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제 1 모우터 5 및 후술하는 제 2 모우터 12에 지령을 발하는 모우터 콘트롤장치 C1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콘트롤장치 C1은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 입력시에 있어서, 위입 1회분의 측장종료시까지의 나머지 시간과 검출신호 입력시의 제 1 모우터 5의 회전 속도와 측장종료시의 제 1 모우터 5의 프로그램속도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지령을 보내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체 3의 전면(위입측)에는 치차 6이 고착되어 있으며 그 앞쪽에는 회전지지축 4에 고착된 지지체 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 7에는 회전지지축 4와 사교(斜交)되고 또한 위사안내공 4a에 연통된 권사관 8이 장착지지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후술하는 드럼 10의 제 1 테이퍼주면 10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체 7의 앞쪽에는 회전지지축 4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브라켓트 9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주면에는 치차 9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앞면에는 제 1 태이퍼 주면 10a 및 제 2 태이퍼주면 10b로부터 구성된 권사면을 가진 위사측장부체로서의 드럼 10이 회전지지축 4에 대하여 상대회전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또 지지체 7에는 유성치차기구 11이 착설되어 있으며 입력유성치치 11a가 전기한 치차 6에 교합되고 출력유성치차 11b가 치차 9a에 교합되고 있다.
치차 6과 입력유성치차 11a와의 잇발수의 비는 치차 9a와 출력유성치차 11b와의 잇발수의 비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제 1 모우터 5가 구동되어 회전지지축 4가 회전되면 권사관 8이 이 지지축 4와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유성치차기구 11도 일체적으로 회전되어 양유성치 11a, 11b가 치차 6, 9a와 교합되면서 회전지지축의 주위를 공정(公轉)하여 드럼 10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보지할 수 있다.
위사측장장치 1B의 회전지지축 4는 위사측장장치 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우터콘트롤 장치 C1의 작동지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 모우터 1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위사측장장치 1A의 드럼 10주면부근에는 전자솔레노이드 13에 의하여 제 1 테이퍼주면 10a에 계합가능한 제 1 위사계시체 14 및 전자솔레이드 15에 의하여 제 2 테이퍼주면 10b에 계합가능한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착설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위사측장장치 1B측에도 전 자솔레노이드 17, 18에 의하여 제 1 테이퍼주면 10a및 제 2 태어퍼주면 10b에 계합가능한 제 1, 2 위사계치체 19, 20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자솔레노이드 13, 15, 17, 18은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지령을 발하는 위사계지체콘트롤장치 C2의 작동지령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21은 위사 Y1, Y2를 안내하는 안재부재, 22, 23위사 Y1, Y2를 각각 따로따로 위입하기 위한 노즐로서 위입시에는 위입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위입된 위치에 대기하도록 되어있다.
지금 제 1 모우터 5가 구동되어 권사관 8이 정지상태에 있는 드럼 10의 주위를 회전하면 위사공급부 2A로부터 위사간내공 4a 및 권사관 8을 지나거 공급되는 위사 Y1은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제 1 태이퍼주면 10a에 계합되어 있는 제 1 위사계지체 14에 의하여 계지되면서 제 1 테이퍼주면 10a 위에 감겨져서 측장된다.
위사 Y1이 제 1 테이퍼주면 10a 위에 위입되는 길이만큼 감겨지기전에 제 1 위사계지체 14가 제 1 테이퍼주면 10a로부터 이탈되고 제 1 테이퍼주면 10a에 감겨져 있는 위사 Y1이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로 이행되고 제 2 테이퍼주면 10b에 계합되어 있는 제 2 위사계지치 16에 의하여 계지된다.
그리고 제 1 위사계지체 14가 제 1 테이퍼주면 10a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동안에 위사 Y1이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에 다시 공급된다.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에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감겨지면 제 1 위사계이체 14가 제 1 테이퍼주면 10a에 계지되고 제 1 위사계지체 14와 제 2 위사계지체 16과의 사이에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일단 저류된다 이후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제 2 태이퍼주면 10b로부터 이탈되면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위입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메인노즐 22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를 타고 위사 Y1이 드럼 10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입된다.
또 위사 Y2도 위사Y1과 전혀 마찬가지로 위입된다. 다음에 전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있어서, 위사Y1 및 Y2가 교호로 2회, 1회, 4회, 2회, 3회라는 위입패턴(즉, 위사선택프로그램)으로 위입되는 경우를 제 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 2 도의 위사길이를 표시하는 그래프중 실선을 위사의 비주량(飛走量)을 나타내며 파선은 측장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 측장량은 본실시예에서는 기대(機臺) 1회전에 요하는 시간 t0와 제1, 2모우터 5, 12의 설정속도 V, 이속도 V는 직포의 직포 및 단위시간당의 위입회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외의 곱 V t0로 표시되며 위사 Y1, Y2가 드럼 10에 5회 감겨진 길이이다.
또 제 1, 2모우터 5, 12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그래프중 돗트(dot)는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콘트롤장치 C1에 입력했을 때를 나타낸다.
지금 위사 Y1이 제 2 위사계합체 16에 의하여 계지되면서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에 위입길이만큼 저류되고(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대의 회전각 θ1의 위치로서 제 1 위사계지체 14가 제 1 테이퍼주면 10a에 계합되었을 때), 또한 모우터 콘트롤장치 C1으로부터의 작동지령에 의하여 제 1 모우터 5가 프로그램속도 V로소 회전되어, 위사측장이 개시되었을때(제 2 도에서 P1으로 표시), 위사선택프로그탬에 따라서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제 2 태이퍼주면 10b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에 저류되어있던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매인노즐 22에 의하여 드럼 10으로부터 인출되고 기대의 회전각이 θ2가 되었을 때 위입이 완료된다.
이동안 제 1 모우터 5가 회전되고 있으며 위사 Y1이 제 1 위사계시체 14에 의하여 계지되면서 제 1 테이퍼주면 10a 위에 감겨져 있다.
제 1 회의 위입완료후,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제 2 태이퍼주면 10b에 계합됨과 동시에 제 1 위사계지체 14가 제 1 태어퍼주면 10a로부터 이탈하고 제 1 테이퍼주면 10a 위에 감겨져 있는 위사 Y1이 제 2 테이퍼주면 10b로 이행됨과 동시에 제 2 회의 위입개시까지에 제 2 테이퍼주면 10b 위에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감겨져 저류된다.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는 측장개시시 P1 그리고 종료시(제 2 도에서 P2로 표시)에 회전속도 V가 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측장시간 P1-P2(시간 to와 같다)에 있어서 제 1 모우터의 속도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모우터 5는 측장개시시 P1에 속도 V로 회전된다.
이 회전속도는 근접스윗치 31로부터 다음의 검출신호가 발하여지는, 즉 치차 30이 1회전하여 위사 Y1이 드럼 10에 1회 감겨질 때(제 2 도에서 a1으로 표시)까지 콘트롤장치 C1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계속된다.
제 1 모우터 5가 변동됨이 없이 속도 V로 회전하면 콘트롤장치 C1은 근접스위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입력시 a1에 있어서, 측장종료시 P2까지의 나머지 시간
Figure kpo00001
와, 검출신호입력시, a1의 제 1 모우터의 5의 회전속도 V와, 측장종료시 P2의 제 1 모우터 5의 프로그램속도 V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일정속도 V를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회전속도 V를 지령한다.
이어서 제 1 모우터 5가 변동됨이 없이 속도 V로 회전하면 콘트롤장치 C1은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 입력시 a2에 있어서 측장종료시 P2까지의 나머지 시간
Figure kpo00002
와, 검출신호입력시 a1의 제1모우터의 5의 회전속도 V와, 측장종료시 P2의 제 1 모우터 5의 프로그램속도 V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일정속도 V를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회전속도 V를 지령한다.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가 측장개시시 P1 이후에 있어서 감속방향으로 변동한 경우에는,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전기한 검출신호입력시 a1보다도 늦게 콘트롤장치 C1에 입력된다.
따라서 콘트롤 장치 C1은 이 검출신호입력시(이하 a1'로 표시)에 있어서 측장종료시 P2까지의 나머지시간(<4/5 t0)과, 검출신호입력시 a1'의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V)와, 측장종료시 P2의 제 1 모우터 5의 프로그램속도 V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산출하고 이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증속(增速)지령을 보낸다.
역으로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가 측장개시시 P1 이후에 있어서 증속방향으로 변동한 경우에는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전기한 검출신호입력시 a1보다도 빨리 콘트롤장치 C1에 입력된다.
따라서 콘트롤장치 C1은 이 검출신호입력시(이하, a"로 표시)에 있어서, 측장종료시 P2까지의 나머지 시간(>4/5 t0)와, 검출신호입력시 a 1"의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V)와 측장종료시 P2의 제 1 모우터 5의 프로그램속도 V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감속지령을 보낸다. 이와같은 속도제어는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콘트롤장치 C1에 입력될때마다 발하여지고 측장종료시 P2에는 위입 1회분의 위사 Y1이 드럼10에 감겨짐과 동시에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가 프로그램속도 V가 된다.
측장기간 P1-P2에 권치측장된 위사 Y1이 위입개시됨과 동시에 제 1 모우터 5가 연속적으로 감속되어 제 3 회째의 위입종료시에 정지된다.
이 측장기간에 있어서 제 1 모우터 5회 회전속도는 측장개시시 P2에는 설정속도 V, 측장종료시(제 2 도에서 P3로 표시)에는 속도 0가 되도록 프로그램되 있다.
측장기간 P2-P3(기대 2/3 회전으로서 시간 2/3 t0와 같음)에 있어서 제 1 모우터 5의 속도제어는 전기한 측장기간 P1-P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진다.
즉, 콘트롤장치 C1은 근접스윗치 31로붙의 검출신호입력시 P2에서, 측장종료시 P3까지의 나머지시간
Figure kpo00003
와 검출신호입력시 P2의 제 1 모우터 5의 회전속도와 측장종료시 P3의 제 1 모우터의 프로그램속도 0로부터 제 1 모우터 5의 이후의 속도곡선을 산출하고 이 산출결과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에 지령을 보낸다.
그리고 콘트롤장치 C1은 이후의 검출신호입력시에도 마찬가지의 속도제어를 행한다.
제 1 모우터 5에 의한 측장기간 P2-P3 중에 제 2회째의 위입이 이루어지고 또한 제 4 회째의 위입에 사용될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드럼 10에 감겨진다.
그리고 제 2 회째의 위입완료시에 콘트롤장치 C1의 작동지령에 의하여 제 2 모우터 12가 정지상태로부터 증속되고 측장기간(제 2 도에서 Q1-Q2)에 증속상태로부터 감속상태로 변하고 제 4 회째의 위입개시시에 정지된다.
이 측장기간 Q1-Q2에서 콘트롤장치 C1은 위사측장장치 1B쪽의 근접스윗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 1 모우터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하여 제 2 모우터 12의 속도제어를 행한다.
제 3 회째의 위입개시시에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위사측장장치 1B 쪽의 제 2 위사계지체 20이 제 2 테이퍼주면 10b로부터 이탈되고 위입패턴의 앞사이클중에 감겨져 있던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2(이것은 위사 Y2의 길이를 표시하는 그래프중의 측장량곡선 E에 해당한 )가 매인노즐 23에 의하여 드럼 10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입됨과 동시에 제 2 모우터 12에 의한 측장기간 Q1-Q2중에 제 1 위사계지체 19가 위사선택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안되고 제 8 회째의 위입에 사용되는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2가 드럼 10에 감겨진다.
제 2 모우터 12에 의한 측장기간 Q1-Q2 중 위사측장장치 1A쪽의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제 2 태이퍼주면 10b에 계합되어 있으며 제 4 회째의 위입개시시에 제 2 위사계지체 16이 제 2 테이퍼주면 10b로부터 이탈되어 위입길이만큼의 위사 Y1이 매인노늘 22에 의하여 드럼 10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입된다.
또 제 3 회째의 위입완료시에 정지된 제 1 모우터 5는 정지와 동시에 증속되고 제 5 회째의 위입개시시에 설정속도 V가 된다.
이 증속기간 중 제 5 회째의 위입에 사용될 위사길이만큼의 위사 Y1이 드럽 10에 감겨진다.
이와같이 제1, 2모우터 5, 12, 제 1 위사계지체 14, 19 및 제 2 위사계지체 16, 20이 콘트롤장치 C1, C2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제 5 회째 이후의 위입도 위사선택프로그램대로 행하여지고 또한 근접스위치 31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콘트롤장치 C1에 입력될 때마다 제 1, 2모우터 5, 12의 속도가 제어되도록 하였으므로 위사측장이 정확하게 행하여지고 위사측장의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본발명은 전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들면 각 모우터 5, 12의 회전속도는 모두 프로그램설정해두고 근접스윗치 31로부터 검출신호가 발하여질때에 각 모우터 5, 12의 회전속도와 프로그램속도를 비교 판정하여 속도제어를 행하도록 하거나, 혹은 권사관 8쪽이 정지하고 드럼 10쪽이 회전하는 방식의 위사측장장치에 본발명을 구체화시키는 등 본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 구체화시킬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위사권취수검출장치로부터 검출신호가 발하여졌을 때에 각 위사측장부체에 대한 위사의 권취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위사측장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졌다.

Claims (1)

  1. 적어도 2개가 배치된 위사공급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권사면을 형성하는 위사측장부체를 각각 설치하고 전기한 권사면에 위사를 감기 위한 모우터를 각 위사측장부재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하며, 각 위사측장부체에 감겨지는 위사의 권치수를 검출하는 위사권취수검출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이 검출장치로부터의 검출신호입력시에 각모우터에 대하여 회전속도를 지령하는 콘트롤 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KR1019830003649A 1982-12-14 1983-08-04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KR860001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861 1982-12-14
JP57218861A JPS59112050A (ja) 1982-12-14 1982-12-14 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396A KR840008396A (ko) 1984-12-14
KR860001415B1 true KR860001415B1 (ko) 1986-09-23

Family

ID=1672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649A KR860001415B1 (ko) 1982-12-14 1983-08-04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12050A (ko)
KR (1) KR860001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323187V0 (it) * 1983-10-07 1983-10-07 Roy Electrotex Spa Struttura perfezionata di elettromagnete per arrestare lo svolgimento del filo di trama in dispositivi porgitrama per telai di tessitura.
JPS6186487U (ko) * 1984-11-14 1986-06-06
JPS6430383U (ko) * 1988-08-05 1989-02-23
JPS6430382U (ko) * 1988-08-05 1989-02-23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7999A5 (de) * 1980-06-17 1985-02-28 Rueti Ag Maschf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adenliefervorrichtung.
JPS5930941A (ja) * 1982-08-10 1984-02-1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多色自由選択測長・貯留用モータの制御方法
JPS5953743A (ja) * 1982-09-16 1984-03-2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多色自由選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1102B2 (ko) 1992-09-29
KR840008396A (ko) 1984-12-14
JPS59112050A (ja) 1984-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7733B6 (en) Method of controlling thread fee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S60181349A (ja) 織機の巻取り制御装置
FR2376057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glage du deroulage d'un fil textile
KR860001415B1 (ko)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JP2008038329A (ja) 流体噴射式織機の多色緯入装置
US452901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length of weft yarn for a loom
EP0253359A2 (en) Pick length setting method
US11859318B2 (en) Yarn feeding device with learning procedure
JPS6183355A (ja) 織機の電動送り出し装置におけるキツクバツク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860001416B1 (ko) 직기에 있어서 위사측장장치
JPH05295638A (ja) 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モニタ装置
JPH0545704B2 (ko)
KR100235189B1 (ko) 사속조정이 가능한 펀와인더 제어 시스템
JPS60157461A (ja) 糸送り装置
CN1609311B (zh) 用于纺织机械的控制装置
JPH0453973B2 (ko)
JP5276191B2 (ja) 流体噴射式織機の多色緯入装置
JPH01314756A (ja) ドラム式緯糸測長貯留装置の制御装置
JPH0811852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の制御方法
KR200356786Y1 (ko) 자동 빔 제어장치
JPS61179343A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制御装置
JPH0319942A (ja) 筬通し機における筬羽位置検出装置
JPH0635693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の制御方法
JPH0253936A (ja) 流体噴射式織機のよこ入れ装置
JPH0635694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