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590B1 - 칼라 표시관 - Google Patents

칼라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590B1
KR850001590B1 KR1019810002610A KR810002610A KR850001590B1 KR 850001590 B1 KR850001590 B1 KR 850001590B1 KR 1019810002610 A KR1019810002610 A KR 1019810002610A KR 810002610 A KR810002610 A KR 810002610A KR 850001590 B1 KR850001590 B1 KR 85000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electrode
color selection
display window
peg
p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801A (ko
Inventor
에이취. 엔. 기즈라트 요하네스
에이. 엠. 반림프트 알베르투스
에스. 에이. 퍼스테겐 헨드릭
제이. 반 데르 게르 요세프스
제이. 엠. 반데르 아보르트 헨리쿠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 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 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 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3000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표시관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의 부분 단면도.
제 2도는 표시창의 구석부의 분해 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라인 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지지부품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5a도 및 제5b도는 차페캡을 계지키는 제 2실시예도.
제6a도 및 제 6b도는 차폐캡을 계지키는 제 2실시예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차페캡을 계지시키는 제 3실시예도.
본 발명은 칼라 표시관에 관한 것으로서, 이 칼라 표시관은 직립연부가 설치된 대체로 정방형의 표시창을 갖는 봉합체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대체로 정방형의 칼라 선택전극을 구비하며, 이 칼라 선택전극은 스트립형 탄성부품에 의해서 상기 표시창의 각 구서부에 계지된다. 상기 탄성부품은 상기 칼라 선택전극의 한폭구석에 그 일단이 부착되어서, 상기 탄성부품의 표면이 표시창의 관련 구석부쪽으로 편향되는 전자빔의 방향과 대체로 수직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품에는, 칼라선택전극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타단에 페그(peg)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칼라 표시관은, 네델란드왕국 특허원 제6,701,585호에 선명되어 있다. 칼라선택전극의 구석부에 연결된 스트립형 탄성부품은 그것이 팽창하는 경우에는 칼라 선택전극을 표시창쪽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같이 스트립형 탄성부품에는 칼라 선택전극에서 떨어져 있는 단부에 페그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의 직립 연부의 구성에는 원추형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원추형 구메과 상기 페그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칼라선택전극이 표시창에 계지된다.
그러나, 양호한 내충격성을 얻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표시관의 탄성부품이 표시창의 직립연부에 천공되어 있는 원추형 구멍에 큰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페기가 상기 원추형 구멍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 결과, 견고한 지탱율을 갖지 않는 칼라 선택전극에 대해서는, 표시관이 제조중에 받는 통상의 열처리에 있어서 칼라선택전극이 변형된다. 더우기, 표시창의 직립연부에 원추형 구멍을 천공하면, 표시관이 제조중에 파괴될 가능성이 증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내충격성을 갖도록 칼라 선택전극을 칼라 표시관내에 계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관의 파괴의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도록 칼라 선택적극을 칼라 표시관내에 계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목적은, 칼라 선택적극의 계지에 적합한 내부 원추형 차폐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은 원추형 부분을 갖도록 한 상기 페그의 축을 관련 구석부쪽으로 향하는 전자빔의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재시키고, 상시 페기의 축과 수직으로 연재하는 부분을 갖도록한 지지 부품을 표시창의 직립연부의 구석부에 장착시키며, 상기 지지부품의 상기 페그축과 수직으로 연재하는 부분에는 구멍을 천공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페그의 원축형 부분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그의 축이 탄성부품과 수직이고, 또한 지지품이 상기 축과 수직으로 연재에는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페그는 지지품의 구멍에 항상 등거리로 연재한다. 탄성부품은 지지부품에 대하여 상당히 작은 압력만을 가할 뿐이다. 페그의 위치 및 구멍을 갖는 지지품의 부분의 위치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칼라선택전극은 간단히 분해할 수 있고 또한 재조립할 수 있다. 지지부품내의 구멍은 삼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페그의 원주형부분을 상기 구멍의 연부에 분해 및 조립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끼워 맞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있어서는 상기 페그가 스트립형 탄성부품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 칼라선택전극쪽으로 연재하는 록킹훅(locking-hook)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창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또한 표시창에 대하여 수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페그는 지지부품의 구멍에 록크된다. 표시창쪽의 방향으로 표시창에 대하여 수직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페그를 구멍으로 부터 이탈시키는 힘이 페그에 가해진다. 이와같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칼라 선택전극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그는 칼라선택전극쪽으로 연재하는 록킹훅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개의 스트립형 탄성부품에 대하여, 상기 페그가, 칼라선택전극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스트립형 탄성부품의 단부에 연결된 금속판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 상태에서 칼라선택전극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페기의 위치를 지지부품내의 구멍의 위치에 정확히 일치시켜야만 한다. 원칙적으로는 3개의 탄성부품에 페그를 직접 설치하여 지지부품내의 관련 구멍에 페그를 배치할 수 있다. 그결과, 제 4페그의 위치가 정해진다. 페그를 갖는 별개의 금속판에 의해서, 제 4페그의 위치는 제 4지지부품내의 구멍의 위치에 일치된다. 페그가 설치된 판을 3개 또는 4개의 탄성부품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대가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탄성부품을 그들의 페그에 의해서 지지부품내의 구멍의 연부에 같은 클램핑압력으로 끼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품이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갖고 이 돌출부는 표시창의 직립 연부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그의 축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재하는 지지부품 부분을 이미 가지고 있거나 또는 아니거나 간에, 상기 돌출부를 표시창의 직립연부에 직각 또는 경사로 고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를 중공(中空) 슬리브로서 구성하고, 이 슬리브의 직경을 슬리브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적어도 한번은 변화시키며, 상기 슬리브를 작은쪽의 직경을 갖는 부분에서 상기 직립 연부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불꽃이 슬리브의 밑바닥으로 향하게 하여, 슬리브를 유리대에 함몰시킴으로써, 상시 슬리브를 직립연부에 고착한다. 가스불꽃은 직립연부의 유리표면에는 닿지 않으므로, 고착공정중에 유리표면은 매끄럽게 유지된다. 이것은, 표시창상에 발광형광체를 도포함에 있어서 과잉의 형광체 현탁액을 주입할 때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품을 표시창의 직립연부에 접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관이 원추형 내부차폐갭을 구비하고 이 차폐갭의 각 구석부에는 계지부품을 설치하며, 이 계지부품은 표시창의 고기 직립연부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품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내부원추형 차폐갭은 표시관내에서 지자계로 부터의 전자빔을 차폐하는데 이용한다. 내부차폐갭은 다음과 같이 연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차폐갭의 이동이 칼라선택전극을 계지하는 탄성부품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은 표시창의 직립연부에 고정연결한 지지부품으로부터 차폐캡을 계지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지부품의 스트립형 탄성부품에 평행하게 연재하는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을 상기 스트립형 탄성부품의 페그의 두께부다도 작은 거리만큼 상기 스크립형 탄성부품으로 부터 거리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페그자체가 록킹훅을 갖지 않더라고 페그가 지지부품의 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지 부품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형 탄성부품은 칼라선택전극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그 일단에 표시창의 직립연부와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핀을 갖고 있으며, 이 핀은 상기 계지부품의 구멍을 통해 연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폐 캡의 구석부에 있는 계지부품의 구멍에 작은 스트로크를 형성할 수 있는 상기 핀은, 표시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페그가 지지부품의 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표시관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 1도에 도시한 칼라 표시관은 대략 정방형의 표시창(2)를 갖는 유리 봉합체(2)로서 형성되며 이 유리 봉합체(1)는 직립연부(3)와 콘(cone) (4) 및 네크(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창(2) 상에는 적, 녹,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형광체(6)의 패턴이 형성된다. 표시창(2)으로 부터 얼마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칼라선택전극(7)이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지부품(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표시관의 네크(4)에는 3종류의 전자빔(10),(11),(12)을 발생시키는 전자총(9)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3종류의 전자빔은 표시관의 주변에 설치한 편향코일(13)에 의해 편향되고, 대략 칼라선택전극(7)의 영역에서 서로 교차한 후에, 각 전자빔은 각각 표시창상에 설치한 3개의 발광형광체중 하나에 충돌한다.
제 2도는 표시창의 구석부의 분해투시도이다. 칼라선택전극(7)은 다수의 구멍(22)과 직립연부(21)를 갖는 얇은 마스크시트(20)로 구성되어 있다. 직립연부(21)에는 마스크링(2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마스크링(23)은 직립연부(21)에서의 전자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격막을 형성하고 있다. 마스크 시트(20)와 마스크링(23)과의 사이에 팽창의 차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동일한 재료로서 또한 대체로 동일한 두께로 제조한다. 마스크링(23)의 구석부에는 스트립형 탄성부품(25)에 연결된 지지스트립(24)이 연결되어 있다. 칼라선택전극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탄성부품(25)의 단부에 원추형 페그(27)를 갖는 판(26)이 연결되어 있다. 페그(27)는 탄성부품(25)의 판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표시창(2)의 직립연부(3)의 구석부에는 2개의 돌출부(31)를 갖는 지지부품(30)이 고착된다. 이 지지부품(30)은 탄성부품(25)에 평행하게 연재하고 또한 삼각형 구멍(33)을 갖는 부분(32)을 갖고 있다. 탄성부품(25)의 페그(27)를 상기 삼각형 구멍(33)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칼라선택전극이 표시창(7)내에 계지된다.
제 3도는 칼라선택전극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제 2도의 라인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탄성부품(25)은 다음과 같은 각도로서 칼라선택전극에 연결된다. 즉, 탄성부품(25)이 품시창의 구석부쪽으로 편향되는 전자빔에 대하여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탄성부품(25)의 탄성의 결과, 칼라선택전극은 팽창하는 경우에, 표시창쪽으로 이동한다. 칼라선택전극이 팽창하는 경우 칼라의 순수한 화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칼라선택전극과 표사창사이에 실제로 작은 거리가 필요하다.
칼라선택전극쪽으로 연재하는 록킹훅(35)을 원추형 페그(27)의 단부에 연결한다. 탄성부품(25)은 지지부품(30)에 상당히 작은 압력만을 가할 뿐이다. 표시창(2)에 수직이면서 또한 이 표시창(2)쪽으로 향하는 충격이 표시관에 가해지는 경우 원추형 페그(27)에 가해지는 힘은 이 원추형 페그(27)가 지지부품(30)의 구멍(33)으로 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록킹훅(35)은 원추형 페그(27)가 구멍(3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표시창(2)에 수직이면서 또한 이 표시창(2)으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충격이 표시관에 가해지는 경우. 원추형 페그(27)에 가해지는 힘은 원추형 페그(27)가 그 자체를 구멍(33)에 고정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표시창(2)에 평행한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록킹훅(35)은 원추형 페그(27)가 구멍(33)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원추형 페그(27)를 포함하고 있는 판(26)의 기능은 이하와 같이 행해지는 표시창의 제조방법과 관련이 있다. 즉, 우선, 지지부품(30)을 직립연부(3)의 구석부에 고착한다. 다음에 이미 구석부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품(25)을 갖는 마스크링(23)을 판(26)을 사이에 끼워표시창내에 설치한다. 즉, 판(26)의 원추형 페그(27)를 지지부품(30)의 구멍(33)내에 배치하고, 이 위치에서 판(26)을 탄성부품(25)에 고정시킨다. 그 결과, 원추형 페그(27)의 위치를 지지부품(30)의 구멍(33)의 위치애ㅔ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원추형 페그(27)를 탄성부품(25) 상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는 페그(27)의 위치와 구멍(33)의 위치와의 차이로 인하여 칼라선택전극이 변형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1개의 탄성부품에 페그를 갖는 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대각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한 페그를 갖는 2개의 탄성부품을 그들의 관련 지지부품상에 설치한다. 탄성부품들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제 3탄성부품의 페그를 제 3지지부품의 구멍내에 배치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 4탄성부품의 위치가 정해진다. 페그를 별개의 판에 설치함으로써, 제 4페그의 위치를 제 4지지부품의 구멍의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다. 대각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한 2개의 탄성부품을 같은 클램핑 압력으로 지지 부품에 끼워 맞추기 위해서는, 페그를 갖는 판을 적어도 3개의 탄성부품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조상의 기술적 이유 때문에 페그를 갖는 판을 모든 탄성부품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품(25)을 갖는 마그스링(23)을 전술한 바와같이 표시창(2)내에 계지한 후에, 마스크 시트(20)를 스페이서 지그(spacer jig)를 삽입하여 표시창 내에 배치시키고, 그후에 마스크 시트(20)의 직립연부(21)에 마스크링(23)을 용접한다.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지지부품의 다른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4a도에 있어서, 구멍(41)을 갖는 부분(40)은 직립연부에 고착된 절곡부(42)를 갖고 있다. 제4b도에서는 페그(44)가 직립연부에 고착되어 있다. 페그(44)는 부분(40)의 절곡부(43)가 연결되는 노치(45)를 갖고 있다. 제4c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중공의 슬리브(50)가 직립연부에 고착된다. 이 슬라브(50)는 부분(51)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52)을 포함하고 있다. 슬리브(50)내에 가스불꽃을 통과시켜서, 가는부분(52)이 표시창의 직립 연부내로 함몰한다. 가스불꽃은 유리표면에는 닿지 않으므로, 유리표면을 매끄럽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과잉발광형광체 현탄액을 주입한 후에 유리의 요철내에 발광형광체 현탁액이 남아 있는 것이 방지된다. 고착 공정후에 절곡부(47)를 갖는 부분(40)을 슬리브(50)에 연결한다.
표시관내에서, 전자빔은 통상, 원추형내부 차폐캡에 의해서 지자계로부터 차폐된다. 차폐캡은, 표시관 내에서 다음과 같이 연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차폐캡의 이동이 칼라선택전극이 계지되는 탄성부품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실현하는 제 1실시예를, 제5a도 및 제5b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5a도는 표시창의 구석에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칼라선택전극(62)은 탄성부품(63)에 의해 표시창(60)의 직립연부(61)에 계지되어 있다. 탄성부품(63)은 그들의 단부에 페그(65)를 갖는 판(64)을 구비하고 있다. 록킹훅(66)을 갖는 페그(65)는 지지부품(67)에 연결된다. 또한, 계지부품(71)을 원추형 차폐캡(70)의 구석부에 연결한다. 이 계비부품(71)은 탄성부품(63)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부분(72)과 직립연부(61)에 대략 수직으로 연재하는 부분(73)으로 구성된다. 부분(73)에는 2개의 슬로트형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품(67)은 2개의 돌출부(68)를 구비하고 있다. 슬로트형 구멍(74)을 갖는 계지부품(71)을 상기 돌출부(68)가 돌출되도록 배치하고, 다음에 돌출부를 다른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차폐캡(70)을 연결한다.
제5b도는 표시창의 구석부의 평면도이다. 차폐캡(70)을 계지부품(67)에 연결한 결과, 차폐캡(70)이 변위할때 발생하는 함은 탄성부품(63)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칼라선택전극(62)은 변형되지 않는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차폐캡의 연결을 위한 제 2실시예이다. 제 5도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한다. 부분(73)에는 슬로트형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품(6)은 T자형 돌출부(80)를 갖고 있다. 계지부품(71)의 부분(73)은 또한 구멍(81)을 갖고 있다. 또한 핀(82)을 판(64)에 연결한다. 차폐캡(70)을 연결할 때에는,T자형 돌출부(80)가 슬로트형 구멍(74)을 통하고, 핀(82)이 구멍(81)을 통한다. 다음에 T자형 돌출부(80)를 비튼다. 구멍(81)내의 핀(82)은 충격이 생겼을때 페그(65)가 지지부품(67)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는 페그(65)가 록킹훅을 가질 필요는 없다.
제7a도 및 제7b도는 차폐캡을 연결하기 위한 제 3실시예이다. 제 6도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한다. 지지부품(67)은 다시 T자형 돌출부(80)를 갖고 있으며, 이 돌출부는 계지부품(71)의 슬로트형 구멍(74)을 통한다. 차폐캡(70)을 연결한후에 T자형 돌출부(80)를 비튼다. 탄성부품(63)에 평행하게 연재하는 부분(72)을 탄성부품(63)의 페그(65)의 두께보다도 작은 거리만큼 탄성부품(63)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따라 페그(65)가 지지부품(67)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에도 페그(65)에 록킹 훅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Claims (1)

  1. 직립연부(3,61)가 설치된 대략 정방형의 봉합체(1)와, 다수의 구멍(22)을 갖는 대략 정방형의 칼라선택전극(20,62)을 구비하되,이 칼라선택전극을 스트립형 탄성부품(25,63)에 의해 표시창(2,60)의 각 구석부에 계지시키고, 상기 탄성부품은 그 표면이 표시창의 관련구석부쪽으로 편형되는 전자빔(10,11,12)의 방향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그 일단을 칼라선택전극의 구석부에 부착시키며, 상기 탄성부품중 칼라선택전극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는 페그(27,65)를 설치하고 있는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페그(27,65)의 축을 관련 구석부쪽으로 향하는 전자빔(10,11,12)의 방향과 대략 수평으로 연재시키고, 상기 페그는 원추형 부분을 갖도록하며 표시창의 상기 직립연부의 구석부에 지지부품(30,67)을 부착시키되, 상기 지지부품은 상기 페그의 축에 수직으로 연재하는 부분(32,40)을 갖도록 하며, 또한 이부분(32,40)에 구멍을 형성하며 또한 이 부분(32,40)에 구멍(33,41)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상기 페그의 원추형 부분을 부분적으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KR1019810002610A 1980-07-21 1981-07-18 칼라 표시관 KR850001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004174A NL8004174A (nl) 1980-07-21 1980-07-21 Kleurenbeeldbuis.
NL8004174 1980-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801A KR830006801A (ko) 1983-10-06
KR850001590B1 true KR850001590B1 (ko) 1985-10-19

Family

ID=1983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610A KR850001590B1 (ko) 1980-07-21 1981-07-18 칼라 표시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358702A (ko)
JP (1) JPS5753047A (ko)
KR (1) KR850001590B1 (ko)
BR (1) BR8104663A (ko)
CA (1) CA1181462A (ko)
DE (1) DE3125076A1 (ko)
ES (1) ES504045A0 (ko)
FR (1) FR2487119A1 (ko)
GB (1) GB2081002B (ko)
IT (1) IT1137727B (ko)
NL (1) NL80041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003609A (nl) * 1980-06-23 1982-01-18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NL8102182A (nl) * 1981-05-04 1982-12-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NL8304179A (nl) * 1983-12-06 1985-07-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en weergeef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kleurenbeeldbuis.
US4572983A (en) * 1984-03-29 1986-02-25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support structure for a color selection electrode
JPH0797482B2 (ja) * 1985-03-29 1995-10-18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NL8502404A (nl) * 1985-09-03 1987-04-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kleurenbeelden en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kleurenbeelden.
JPS6310439A (ja) * 1986-07-02 1988-01-18 Hitachi Ltd カラ−ブラウン管
DE3868968D1 (de) * 1987-04-16 1992-04-16 Toshiba Kawasaki Kk Schattenmasken-anbringung fuer farbkathodenstrahlroehre.
KR930000577B1 (ko) * 1990-10-27 1993-01-25 삼성전관 주식회사 새도우 마스크 구조체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KR950005393Y1 (ko) * 1991-04-01 1995-07-08 주식회사 Lg전자 칼라수상관의 새도우 마스크 탄성지지부재
DE4208319C2 (de) * 1992-03-16 2002-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rbbildröhre
US5982085A (en) * 1997-12-23 1999-11-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shadow mask mounting system
WO2001086686A1 (en) * 2000-05-11 2001-1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display tube with improved suspension of the colour selection electrode
JP4757392B2 (ja) * 2001-03-16 2011-08-24 アサヒゴム株式会社 建築物の壁面開口への鍔付き筒状部材の取付構造
JP2005527086A (ja) * 2002-05-24 2005-09-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rt用の内部磁気シール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1552B (nl) * 1967-02-02 1976-11-15 Philips Nv Kleurentelevisieweergeefbuis.
DE1936177B2 (de) * 1968-07-26 1977-07-14 N V Philips" Gloeilampenfabneken Eindhoven (Niederlande) Farbfernsehbildroehre mit einer rechteckfoermigen farbauswahlelektrode
GB1356440A (en) * 1970-07-07 1974-06-12 Licentia Gmbh Colour television tube
US3896321A (en) * 1973-12-12 1975-07-22 Zenith Radio Corp System for suspending a color selection electrode in a color cathode ray tube
US3890526A (en) * 1973-12-26 1975-06-17 Zenith Radio Corp Faceplate mounting structure for cathode ray tube color selection electrode
US3904914A (en) * 1974-02-28 1975-09-09 Zenith Radio Corp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nternal faceplate and funnel reference surfaces for unique faceplate-funnel relationship
JPS51102460A (ja) * 1974-11-25 1976-09-09 Zenith Radio Corp Karaainkyokusenkannodenkyokushijisochi
US4028580A (en) * 1974-11-25 1977-06-07 Zenith Radio Corporation Shadow mask mount and funnel-faceplate referencing system for color CRT
US3989524A (en) * 1974-12-23 1976-11-02 Zenith Radi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cathode ray tube using mask and screen masters
US4300071A (en) * 1979-12-10 1981-11-10 Zenith Radio Corporation Four-corner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for television cathode ray tu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81462A (en) 1985-01-22
ES8206092A1 (es) 1982-07-01
GB2081002B (en) 1984-09-12
IT1137727B (it) 1986-09-10
FR2487119B1 (ko) 1985-03-08
IT8123003A0 (it) 1981-07-17
ES504045A0 (es) 1982-07-01
NL8004174A (nl) 1982-02-16
JPS5753047A (en) 1982-03-29
BR8104663A (pt) 1982-04-06
KR830006801A (ko) 1983-10-06
US4358702A (en) 1982-11-09
GB2081002A (en) 1982-02-10
FR2487119A1 (fr) 1982-01-22
DE3125076A1 (de) 198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590B1 (ko) 칼라 표시관
KR850001588B1 (ko) 칼라 표시관
KR900003902B1 (ko) 칼라 표시관
RU2071139C1 (ru) Цветной кинескоп
US4605878A (en)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 beam landing position selecting mask of a color cathode ray tube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KR100357948B1 (ko) 평면형 칼러 음극선관
CN1316541C (zh) 具有遮光板阻尼振动器的阴极射线管
US3743878A (en) Parallel barrier supporting system having spring movement limiter
KR0135043B1 (ko) 칼라음극선관
KR950003270Y1 (ko) 샤도우 마스크 프레임의 스프링
KR10018657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코너스프링
CZ214594A3 (en) Color picture tube with enhanced holder of a screen mask frame
KR200253341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20016439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어셈블리 현수구조
KR200159886Y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261123B1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JPH04218242A (ja) カラ−受像管
JPH0254834A (ja) カラー受像管
KR200261886Y1 (ko) 칼러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0097548A (ko) 섀도우 마스크의 고정 구조 및 이 구조를 갖는 평면음극선관
PL164190B1 (pl) Kineskop kolorowy PL PL PL PL
US20070164650A1 (en) Support means of a frame/mask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s
JP2005527086A (ja) Crt用の内部磁気シールド
JPH03133029A (ja) カラー受像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