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341Y1 -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341Y1
KR200253341Y1 KR2020010023096U KR20010023096U KR200253341Y1 KR 200253341 Y1 KR200253341 Y1 KR 200253341Y1 KR 2020010023096 U KR2020010023096 U KR 2020010023096U KR 20010023096 U KR20010023096 U KR 20010023096U KR 200253341 Y1 KR200253341 Y1 KR 200253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stud pin
fixing
hook spring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3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34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키고, 마스크 프레임의 후크 스프링을 패널 내측의 스터드 핀에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스크 프레임(14)에 부착되는 고정면(30)과, 이 고정면(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32)과, 이 경사면(32)의 일단에 형성되어 결합공(34)을 통해 패널(12) 내측에 구비된 스터드 핀(15)에 결합되는 결합면(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36)은 그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a)에 대하여 소정의 각(θ)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있어 상기 스터드 핀(15)에 끼워맞춤되도록 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고, 패널 내측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고정 또는 분리할때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Hook spring of mask frame for CRT}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현상을 극소화 시키고, 마스크 프레임을 패널에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이 등속운동을 하며 스크린의 내측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면을 타격함으로써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을 구현하게 되는 것으로, 패널의 내측에는 형광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박막의 섀도우 마스크가 별도의 지지 구조체인 마스크 프레임에 의해 일정량의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컬러 음극선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인데, 전면이 평편하고 내면에 형광면(10)이 형성된 판상의 패널(12)과, 상기패널(12)의 배면에 형성된 스터드 핀(15)에 후크 스프링(16)을 통해 결합되는 사각틀 형태의 마스크 프레임(14)과,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자빔의 색 선별 역할을 하기 위한 슬롯(17)이 형성된 섀도우 마스크(18)와, 상기 패널(12)에 프릿 그라스(frit glass)로 고정되며, 후방에 네크부(20)가 일체로 형성된 펀넬(22)과, 상기 펀넬(22)의 네크부(20)에 봉입되어 적색(R), 녹색(G), 청색(B) 3개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24)과, 상기 네크부(20)의 외주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2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총(24) 캐소드(cathode)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빔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자빔은 가속전극과 집속전극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속 및 집속된 다음 편향요크(26)에 의해 편향된 상태로 섀도우 마스크(18)에 형성된 슬롯(17)을 통과하여 패널(12)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면(10)에 충돌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므로 화상이 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컬러 음극선관(100)의 종래 마스크 프레임(14)을 상기 패널(12)에 고정시키는 후크 스프링(16)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의 일단에 용접지지되는 고정면(30)과, 이 고정면(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연장된 경사면(32)과, 이 경사면(32)의 일단에 상기 고정면(3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패널(12) 내측의 스터드 핀(15)과 결합되는 결합공(34)을 구비한 결합면(3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15)은 패널(12)내측에 용접되는 지지부(38)와 돌출부(39)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결합면(36)의 결합공(34)은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에 끼워맞춤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컬러 음극선관(100)의 마스크 프레임(14) 고정용 후크 스프링(16)은 상기 고정면(30)이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의 일단에 용접지지되고 상기 스터드 핀(15)에 상기 결합면(36)의 결합공(34)이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컬러 음극선관(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상기 후크 스프링(16)의 결합면(36)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면(36)에 전달된 진동중의 일부는 상기 후크 스프링(16)의 경사면(32)을 통하여 흡수.완화되지만 그 정도가 미약하여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에 부착된 섀도우 마스크(18)에 떨림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섀도우 마스크(18)에 형성된 슬롯(17)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전자총(24)으로부터 전자빔이 해당 형광점에 정확히 주사되지 못하는 미스랜딩 현상이 발생되게 되어 스크린의 해상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은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100) 패널(12) 내측의 스터드 핀(15)에 상기 후크 스프링(16)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데, 이와같이 상기 후크 스프링(16)의 결합면(36)이 상기 고정면(3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에 결합되므로, 이 후크 스프링(16)을 상기 스터드 핀(15)에 결합하거나 분해할 경우에는 이의 착탈에 많은 힘을 가해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능률 저하와 자칫 상기 후크 스프링(16)이나 상기 스터드 핀(15)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키고, 컬러 음극선관 패널 내측에 마스크 프레임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스프링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컬러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컬러 음극선관 패널 내측의 스터드핀에 후크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크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후크 스프링을 이용하여 마스크 프레임을 패널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광면 12 : 패널
14 : 마스크 프레임 15 : 스터드 핀
16,50 : 후크 스프링 17 : 슬롯
18 : 섀도우 마스크 20 : 네크부
22 : 펀넬 24 : 전자총
26 : 편향요크 30 : 고정면
32 : 경사면 34 : 결합공
36 : 결합면 38 : 지지부
39 : 돌출부 100 : 컬러 음극선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스크 프레임에 부착되는 고정면과, 이 고정면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일단에 형성되어 결합공을 통해 패널 내측에 구비된 스터드 핀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그의 중심부 연장선이 상기 스터드 핀의 돌출부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있어 상기 스터드 핀에 끼워맞춤되도록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터드 핀의 돌출부의 길이를 L이라 할때, 상기 결합면의 중심부 연장선은 상기 스터드 핀의 단부로부터 L/8만큼 이격된 지점과 L/2만큼 이격된 지점을 지나도록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마스크 프레임(14)에 부착되는 고정면(30)과, 이 고정면(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32)과, 이 경사면(32)의 일단에 형성되어 결합공(34)을 통해 패널(12) 내측에 구비된 스터드 핀(15)에 결합되는 결합면(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36)은 그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a)에 대하여 소정의 각(θ)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있어 상기 스터드 핀(15)에 끼워맞춤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의 길이를 L이라 할때, 상기 결합면(36)의 중심부 연장선(b)은 상기 스터드 핀(15)의 단부로부터 L/8만큼 이격된 지점(M)과 L/2만큼 이격된 지점(N)을 지나도록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1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섀도우 마스크(18)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고, 패널(12) 내측의 스터드 핀(15)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을 결합시키거나 상기 스터드 핀(15)으로부터의 분리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상기 경사면(32)에 연결된 결합면(36)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a)에 대하여 소정의 각(θ)만큼 굴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크 스프링(50)을 상기 스터드 핀(15)에 착탈시 그 기울어짐을 이용하여 약간의 힘만 가하여도 끼우거나 빼는 일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 스프링(50)은 상기 고정면(30)과 상기 경사면(32)이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굴곡되어있고, 또한 상기 결합면(36)도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면(36)이 상기 스터드 핀(15)으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기 결합면(36)이 경사면(32)으로부터 응력 P를 받으므로 이에 대해 일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후 상기 경사면(32)이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에 고정된 고정면(30)과 굴곡.연장되어 있으므로 잔여진동을 흡수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종래에 비해 상기 마스크 프레임(14)에 부착된 섀도우 마스크(18)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면(36)은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결합면(36)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a)에 소정의 각(θ)을 이루며 구비되되, 첨부도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터드 핀(15) 돌출부(39) 외면상의 상기 스터드 핀(15)의 단부로부터 L/8만큼 이격된 지점(M)과 L/2거리만큼 이격된 지점(N)을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후크 스프링(50)이 상기 스터드 핀(15)에 착탈되는 것을 가장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상기 결합면(36)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지점(M)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L/8보다 작은 거리만큼 상기 돌출부(39)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면, 외부의 작은 충격으로도 쉽게 빠져버릴 수가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L/8거리 이상으로 상기 돌출부(39)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크 스프링(50)이 상기 스터드 핀(15)에착탈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면(36)의 중심부의 연장선(b)이 상기 지점(N)을 지나지 않을 경우, 즉 상기 연장선(b)가 돌출부(39)의 단부로부터 L/2지점에 못미치게 이격됐을 경우에는 상기 결합면(36)이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충분한 응력 P를 받지 못해 상기 패널(12)과 연결된 스터디 핀(15)으로부터의 진동을 적절히 흡수하기가 곤란하고, 상기 연장선(b)가 상기 지점(N)을 지나지않고 상기 돌출부(39)의 단부로부터 L/2 지점보다 더 이격됐을 경우에는 상기 후크 스프링(50)이 상기 스터드 핀(15)에 착탈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선(b)가 상기 지점(M)과 상기 지점(N)을 지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고, 패널 내측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고정 또는 분리할때 착탈이 용이하게 된 것이다.

Claims (2)

  1. 마스크 프레임(14)에 부착되는 고정면(30)과, 이 고정면(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된 경사면(32)과, 이 경사면(32)의 일단에 형성되어 결합공(34)을 통해 패널(12) 내측에 구비된 스터드 핀(15)에 결합되는 결합면(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36)은 그의 중심부 연장선(b)이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 수평 중앙을 지나는 가상선(a)에 대하여 소정의 각(θ)을 가지도록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있어 상기 스터드 핀(15)에 끼워맞춤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15)의 돌출부(39)의 길이를 L이라 할때, 상기 결합면(36)의 중심부 연장선(b)은 상기 스터드 핀(15)의 단부로부터 L/8만큼 이격된 지점(M)과 L/2만큼 이격된 지점(N)을 지나도록 상기 경사면(32)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2020010023096U 2001-07-30 2001-07-30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200253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96U KR200253341Y1 (ko) 2001-07-30 2001-07-30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96U KR200253341Y1 (ko) 2001-07-30 2001-07-30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341Y1 true KR200253341Y1 (ko) 2001-11-22

Family

ID=7310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096U KR200253341Y1 (ko) 2001-07-30 2001-07-30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3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341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EP032520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10005585A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289346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0360503B1 (ko) 확장된 유효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음극선관
KR200250975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89343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625963B1 (ko) 텐션형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채용한 음극선관
KR200365175Y1 (ko) 편향요크용 코일스페이서 구조
KR100816252B1 (ko) 음극선관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KR200159886Y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286942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100447239B1 (ko) 칼라 음극선관
JP2005527086A (ja) Crt用の内部磁気シールド
KR20060004754A (ko)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 고정구조
KR20050058250A (ko) 마이크로포닉 제어를 갖춘 텐션 마스크를 구비한 음극선관
KR20020045659A (ko) 편향요크
KR20030013547A (ko) 개선된 스프링을 가지는 평면 브라운관
KR19990034320U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터드핀
KR19990004606U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쉴드 비드.
KR20040040783A (ko) 편향요크
KR19990005240U (ko) 칼라 음극선관용 프레임 및 인너쉴드의 비드
KR19980026026A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