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886Y1 - 컬러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886Y1
KR200159886Y1 KR2019970026696U KR19970026696U KR200159886Y1 KR 200159886 Y1 KR200159886 Y1 KR 200159886Y1 KR 2019970026696 U KR2019970026696 U KR 2019970026696U KR 19970026696 U KR19970026696 U KR 19970026696U KR 200159886 Y1 KR200159886 Y1 KR 200159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thode ray
ray tube
stud pin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12U (ko
Inventor
최호림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70026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외부의 힘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랜딩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패널의 내면에 현수시키는 스터드 핀과, 마스크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스터드 핀에 끼워지는 스프링에 위치교정수단을 제공하여 스프링이 스터드 핀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동후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서, 화상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
본 고안은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한 랜딩 에러와 화이트 유니포머티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음극선관은 영상 신호로 제어된 전자빔에 의해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을 재현시키는 장치로서, 적, 녹, 청 3색의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면과 색선별 기능의 섀도우마스크 및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 위에 언급한 전자빔을 형광면에 주사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한다.
위에 언급한 섀도우마스크는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과공으로 편향요크에 의하여 상, 하, 좌, 우로 편향된 전자빔을 해당하는 형광체에 랜딩시켜 색선별 기능을 하게된다.
따라서 이 섀도우마스크는 형광면에 제공된 패널의 내면에 현수되는 데, 섀도우마스크 자체는 미세한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통례화로 하고 있다.
이처럼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의 결합을 마스크어셈블리라 하며, 이 마스크어셈블리를 현수하는 마스크 현수 수단으로는 패널의 내측에 고정된 다수의 스터드 핀과 마스크어셈블리에 고정되어 위에 언급한 스터드 핀에 끼워지는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위에 기재한 스터드 핀은 일측 선단에서 패널에 고정된 타측 선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스프링은 스터드 핀에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고 소정형상으로 절곡된 판상으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마스크 어셈블리를 패널의 내측으로 현수시키기 위한 종래의 스터드 핀과 이 스터드 핀에 끼워지는 스프링에 있어, 스프링은 외부의 힘 또는 충격 등에 의하여 스터드 핀상의 정위치에 있지 못하고 패널측으로 이동하여 스터드 핀에 단단히 끼워지며, 이렇게 스프링이 스터드 핀에 단단히 끼워지면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스프링에 고정되어 있는 마스크 어셈블리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섀도우마스크는 색선별 기능이 저하되어 전자빔을 해당하는 형광체로 랜딩시키지 못하고 차단하거나, 상관없는 다른 형광체에 랜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랜딩 에러가 발생하게 되며, 중앙부 대 주변부의 배색 균일성을 나타내는 화이트 유니포머티(White Uniformity)가 저해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 기재한 종래 현수 수단이 해결하지 못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힘으로 인한 스터드 핀상에서의 스프링의 이동과 이로 인한 랜딩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에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형광면이 내측으로 제공된 패널과; 위에 언급한 형광면으로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과; 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상, 하, 좌, 우로 편향시켜 형광면에 주사시키는 편향요크와; 이 편향요크에 의하여 편향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체에 랜딩시키는 섀도우마스크와; 이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이루는 프레임과; 일측이 위에 기재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에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구멍에 끼워져 위에 기재한 마스크 어셈블리를 패널의 내측에 현수하는 스터드핀과; 이 스터드 핀에 끼워진 스프링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이동한 스프링을 원워치로 복귀시키는 위치교정수단과, 위에 기재한 전자총을 내장하여 패널에 봉착되고, 그 외측면에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을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을 제안한다.
위에 기재한 위치교정수단은 스터드 핀과 스프링사이에 개재되어 스프링이 이동할 경우 즉시 탄발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컬러 음극선관예서, 위치교정수단은 외부의 힘에 의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현수하는 스프링이 스터드 핀에 끼워진 정위치에서 이동하는 것을 막거나 윈위치로 신속히 복귀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컬러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도.
도 3은 위치교정수단으로 제공된 코일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위치교정수단으로 지지턱이 형성된 스터드 핀의 정면도.
도 5는 위치교정수단으로 제공된 지지돌기와 지지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새롭게 구현되는 컬러 음극선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위치교정수단으로 제공된 코일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위치교정수단으로 지지턱이 형성된 스터드 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위치교정수단으로 적용된 지지돌기와 지지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새롭게 구현되는 컬러 음극선관(G)은 형광면(3)이 내측으로 제공된 패널(1)과, 위에 언급한 형광면(3)으로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11)과, 이 전자총(11)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상, 하, 좌, 우로 편향시켜 형광면(3)에 주사시키는 편향요크(9)와, 이 편향요크(9)에 의하여 편향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체에 랜딩시키는 섀도우마스크(5)와, 이 섀도우마스크(5)를 고정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이루는 프레임(17)과; 위에 기재한 전자총(11)을 내장하여 패널(1)에 봉착되며, 그 외측면에 편향요크(9)가 장착되는 펀넬(7)을 포함한다.
위에 기재한 패널(1)과 전자총(11)과 편향요크(9)와 마스크 어셈블리와 펀넬(7)을 기존과 동일하게 구조되고 작동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컬러 음극선관(G)에 있어서, 마스크 어셈블리를 패널(1)의 내측으로 현수시키기 위한 마스크 현수 수단으로 다수개의 스터드 핀(13)과 이 스터드 핀(13)에 결합하는 스프링(15)이 제공된다.
위에 기재한 스터드 핀(13)은 패널(1)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 선단에서 패널(1)에 고정된 타측 선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한편 이 스터드 핀(13)에 결합하는 스프링(15)은 일측면이 위에 기재한 프레임(17)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측면에는 스터드 핀(13)에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프링(15)은 "디긋자"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레임(17)과 스터드 핀(13)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처럼 마스크 현수 수단에 의하여 마스크 어셈블리가 패널(1)의 내측으로 현수되면,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은 섀도우마스크(5)는 편향요크(9)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체에 랜딩시키게 된다.
그런데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컬러 음극선관(G)에 한쪽방향으로 외부의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패널(1)의 내측에 현수되어 있는 마스크 어셈블리 역시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마스크 어셈블리가 이동을 할 경우, 스프링(15)이 스터드 핀(13)의 정위치에 그대로 있다면, 스프링(15)은 탄발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나, 스프링(15) 자체가 스터드 핀(13)의 정위치에서 이동을 하는 경우는 마스크 어셈블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없다.
이처럼 마스크 어셈블리가 정위치에서 이동하게 되면, 편향요크(9)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체로 랜딩시키는 섀도우마스크(5)는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고 전자빔을 차단하거나 상관없는 다른 형광체에 랜딩시키게 된다.
이것은 랜딩에러는 물론 화이트 유니포머티의 저하를 가져와 화상의 재현은 극히 불량스럽게 되며, 따라서 위부에 힘에 의해 마스크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스프링(15)이 이동한 경우, 신속히 정위치에 복귀시키거나, 이동 자체를 사전에 봉쇄할 수 있는 위치교정수단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작용을 하는 위치교정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5)과 스터드 핀(13)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9)을 적용한다.
이 코일스프링(19)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드 핀(13)에 스프링(15)을 우선하여 끼워지므로, 스터드 핀(13)에 끼워진 스프링(15)이 패널(1)의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즉시 탄발하여 스프링(15)을 정위치로 복귀시킨다.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교정수단으로 코일스프링(19)을 적용하여 스터드 핀(13)상에서 이동하는 스프링(15)을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시키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터드 핀(13)상에서의 이동을 사전에 봉쇄할 수 있도록 스터드 핀(13)에 이동방지턱(21)을 형성하거나, 스프링(15)의 구멍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돌기(25)를 형성하고 스터드 핀(13)에 위에 언급한 지지돌기(25)가 고정되는 지지홈(23)을 형성시킨다.
위에 기재한 이동방지턱(21)은 스프링(15)에 형성된 구멍이 더 이상 스터드 핀(13)상에서 패널(1)쪽으로 이동치 못 하도록 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터드 핀에 형성된 지지홈에 고정되는 지지돌기는 스프링이 이동을 막는 동시에 탄발하여 스터드 핀상에서 스프링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컬러 음극선관은 위치교정수단으로 적용된 스프링이 스터드 핀상에서 이동하는 스프링의 이동을 원위치로 신속히 복귀시키므로, 섀도우마스크가 정위치를 벗어나 발생하는 랜딩에러와 화이트 유니포머티등 화상의 재현을 불량스럽게 하는 여러 요인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의 재현을 원활케 한다.

Claims (4)

  1. 형광면이 내측으로 제공된 패널과; 위에 언급한 형광면으로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과; 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상, 하, 좌, 우로 편향시켜 형광면에 주사시키는 편향요크와; 이 편향요크에 의하여 편향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체에 랜딩시키는 섀도우마스크와; 이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여 마스크 어셈블리를 이루는 프레임과; 일측이 위에 기재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에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구멍에 끼워져 위에 기재한 마스크 어셈블리를 패널의 내측에 현수하는 스터드핀과; 이 스터드 핀에 끼워진 스프링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이동한 스프링을 원워치로 복귀시키는 위치교정수단과, 위에 기재한 전자총을 내장하여 패널에 봉착되고, 그 외측면에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을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교정수단은 스터드 핀과 스프링사이에 개재되어 스프링이 이동할 경우 즉시 탄발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위치교정수단은 스터드 핀에 형성된 이동 방지턱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위치교정수단은 스프링의 구멍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돌기와, 이 지지돌기가 고정되는 스터드 핀상의 지지홈을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
KR2019970026696U 1997-09-26 1997-09-26 컬러 음극선관 KR200159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696U KR200159886Y1 (ko) 1997-09-26 1997-09-26 컬러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696U KR200159886Y1 (ko) 1997-09-26 1997-09-26 컬러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12U KR19990013412U (ko) 1999-04-15
KR200159886Y1 true KR200159886Y1 (ko) 1999-11-01

Family

ID=1951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696U KR200159886Y1 (ko) 1997-09-26 1997-09-26 컬러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12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9886Y1 (ko) 컬러 음극선관
EP032520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68704B1 (ko) 음극선관
KR20010069126A (ko) 평면 브라운관의 프레임 어셈블리 구조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100541981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JPH11509970A (ja) ランディング角に影響する素子を有するカラー表示装置
KR100350622B1 (ko) 컬러 음극선관
KR200317363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20004855A (ko) 칼라음극선관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6439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어셈블리 현수구조
KR200253341Y1 (ko) 컬러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고정용 후크 스프링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930006846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체 스크린
KR0177124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54301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6057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고정구조
KR100335088B1 (ko) 브라운관용 댐퍼스프링
KR200240122Y1 (ko) 코일세퍼레이터의 자성편 이중 취부구조
JPH07115656A (ja) 陰極線管
KR100346527B1 (ko) 음극선관용의 텐션타입 섀도우마스크 지지 프레임
KR200198840Y1 (ko) 컬러음극선관
JPH07254374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20009273A (ko) 평면 음극선관의 지자계 차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