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990U -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990U
KR19990025990U KR2019970038523U KR19970038523U KR19990025990U KR 19990025990 U KR19990025990 U KR 19990025990U KR 2019970038523 U KR2019970038523 U KR 2019970038523U KR 19970038523 U KR19970038523 U KR 19970038523U KR 19990025990 U KR19990025990 U KR 199900259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a coil
coil
mounting groove
coma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수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70038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990U/ko
Publication of KR19990025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90U/ko

Link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코어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로 구성된 코마코일과, 네크부 상에 함몰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홈을 구비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장착홈 양측면을 대략 디귿(ㄷ)자 형상으로 부분 절개한 후 걸림턱을 돌출 구비시켜 상기 코마코일을 탄성 끼움 장착시키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즉,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의 양측면에 탄성 스토퍼를 구비시켜 상기 장착홈에 코마코일이 탄성 끼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그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결합불량에 의한 편향요크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더욱 쉬워져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의 양측면에 탄성 스토퍼를 성형하여 코마코일이 장착홈에 탄성 끼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코일(미 도시됨)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은 편향요크(100)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하므로써 텔레비전의 스크린에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극선관의 3 개의 전자총 중에서, 가운데의 녹색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일치하나, 좌우의 빨강과 파랑의 전자총은 중심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축 상에 있어서는 3개의 전자빔은 각각 섀도우 마스크의 구멍에 집중하고, 동시에 같은 구멍을 통해서 각각 정해진 형광체에 닿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패널의 스트라이프의 내주에 전자빔이 정밀도 있게 봉착되는 것을 랜딩이라 하고, 반면 상기 전자빔의 스트라이프의 외주로 벗어나는 미스랜딩이 발생하면 스크린의 화상이 명확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미스랜딩의 일 예로는 센터 빔에 대한 편향 감도가 한 쌍의 사이드 빔에 의한 편향감도보다 상대적으로 강해져서 발생되는 코마수차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코마수차는 결국 텔레비전 화면 전역에 걸쳐서 화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므로 가능한한 제거하여야만 하는데, 그 기능을 코마코일(130)이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코마코일(130)은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상에 고정되는 데, 그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마코일(130)은, 철편을 다수 개 적층하여 대략 알파벳 이(E)자 형상을 갖는 코어(131)와, 상기 코어(131)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략 알파벳 이(E)자의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132)과, 상기 보빈(132)의 외주면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마코일(130)은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상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121a)에 끼움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121a)은 상기 코마코일(130)의 보빈(132)의 크기에 비례한 면적을 갖으며 상기 코마코일(130)이 끼워진 후 빠져 나오지 못하게 후방의 장착홈(121a)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장방형의 스토퍼(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121a)의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직립 설치되어 코마코일(130)의 뒤쪽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는, 코어(131) 및 보빈(132), 코일(133)로 구성된 코마코일(130)이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121a)에 안착된 후 스토퍼(122)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그 끼움작업이 매우 어려워 생산성을 저해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토퍼(122)에 의하여 단순히 지지도는 구조로 고정되므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한 상측방향 이탈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결국 편향요크(100)의 정상적인 기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의 양측면에 탄성 스토퍼를 성형하여 코마코일이 상기 장착홈에 탄성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성 스토퍼11 : 걸림턱
100 : 편향요크110 : 수직 편향코일
120 : 세퍼레이터121 : 네크부
121a : 장착홈130 : 코마코일
131 : 코어132 : 보빈
133 : 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는, 적어도 코어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로 구성된 코마코일과, 네크부 상에 함몰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홈을 구비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장착홈 양측면을 대략 디귿(ㄷ)자 형상으로 부분 절개한 후 걸림턱을 돌출 구비시켜 상기 코마코일을 탄성 끼움 장착시키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마코일(130)은, 철편을 다수 개 적층하여 대략 알파벳 이(E)자 형상을 갖는 코어(131)와, 상기 코어(131)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략 알파벳 이(E)자의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132)과, 상기 보빈(132)의 외주면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3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코마코일(130)을 장착시키는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에는 상기 코마코일(130)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홈(121a)이 구비되는 데, 이 장착홈(121a)의 양측면에는 상기 코마코일(130)이 탄성적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대략 디귿(ㄷ)자 형상으로 부분 절개된 후 걸림턱(11)이 돌출 구비된 탄성 스토퍼(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마코일(130)을 파지하여 세퍼레이터(120) 네크부(121)의 장착홈(121a)에 안착되도록 가압하게 되면 상기 코마코일(130)의 보빈(132)은 상기 장착홈(121a)의 양측면에 성형된 탄성 스토퍼(10)의 걸림턱(11)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내측방향으로 탄성 이동되어진다.
그 후, 상기 코마코일(130)이 장착홈(121a)의 내부에 최종적으로 안착되어지게 되면 상기 걸림턱(11)은 탄성 스토퍼(10)의 탄력에 의하여 다시 내측방향으로 복원되어 상기 코마코일(130) 양측의 뒤쪽을 긴밀히 지지 고정하게 되므로써 그 조립을 간단히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함몰 성형된 장착홈의 양측면에 탄성 스토퍼를 구비시켜 상기 장착홈에 코마코일이 탄성 끼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그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결합불량에 의한 편향요크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더욱 쉬워져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코어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로 구성된 코마코일과, 네크부 상에 함몰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홈을 구비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장착홈 양측면을 대략 디귿(ㄷ)자 형상으로 부분 절개한 후 걸림턱을 돌출 구비시켜 상기 코마코일을 탄성 끼움 장착시키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19970038523U 1997-12-19 1997-12-19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259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23U KR19990025990U (ko) 1997-12-19 1997-12-19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23U KR19990025990U (ko) 1997-12-19 1997-12-19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90U true KR19990025990U (ko) 1999-07-15

Family

ID=6969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523U KR19990025990U (ko) 1997-12-19 1997-12-19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9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410A (ko) * 2000-09-01 2002-03-08 전형구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373932B1 (ko) * 2000-05-31 2003-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32B1 (ko) * 2000-05-31 2003-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20018410A (ko) * 2000-09-01 2002-03-08 전형구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5990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273006B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25991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14316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541981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250975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365172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선처리 구조
KR200176209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KR200154301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19990037911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89343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2678Y1 (ko) 편향요크
KR200352068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289330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89354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KR200226393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00007023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보호구조
KR100732290B1 (ko) 편향요크의 네크밴드 고정구조
KR200289347Y1 (ko) 편향요크의 밸런스코일 안내구조
KR200376874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26057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고정구조
KR100273008B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200365167Y1 (ko) 편향요크용 단자판의 선처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