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410A -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410A
KR20020018410A KR1020000051699A KR20000051699A KR20020018410A KR 20020018410 A KR20020018410 A KR 20020018410A KR 1020000051699 A KR1020000051699 A KR 1020000051699A KR 20000051699 A KR20000051699 A KR 20000051699A KR 20020018410 A KR20020018410 A KR 20020018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a coil
coil
coma
deflection yok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규선
Original Assignee
전형구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구, 파츠닉(주) filed Critical 전형구
Priority to KR102000005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8410A/ko
Publication of KR2002001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8Electron beam control inside the vessel
    • H01J2229/581Electron beam control inside the vessel by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코어(141)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142) 및 상기 보빈(142)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43)로 구성된 코마코일(140)과, 네크부(121) 함몰부분에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140)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부(130)를 구비한 세퍼레이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100)의 코마코일(140)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30)의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성형된 걸림턱(133a, 133b)과, 상기 걸림턱(133a, 133b)과 삽입부(1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함몰부분에 성형된 장착부의 양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삽입부에 맞추어 코마코일이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마코일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이탈현상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코마코일의 결합불량에 의한 편향요크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A coma coil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 네크부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한 장착부에 텐션이 있는 걸림턱을 성형하여 코마코일 장착시에 텐션에 의해 고정되고 걸림턱에 의해 스토퍼의 역할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발사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코일(미 도시됨)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나누어 진다.
이때, 상기 음극선관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의 편향요크(100)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하므로써 텔레비전의 스크린에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극선관의 3 개의 전자총 중에서, 가운데 녹색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일치하나, 좌우의 빨강과 파랑의 전자총은 중심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축 상에 있어서는 3개의 전자빔은각각 섀도우 마스크의 구멍에 집중하고, 동시에 같은 구멍을 통해서 각각 정해진 형광체에 닿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패널의 스트라이프의 내주에 전자빔이 정밀도 있게 봉착되는 것을 랜딩이라 하고, 반면 상기 전자빔이 스트라이프의 외주로 벗어나는 미스랜딩이 발생하면 스크린의 화상이 명확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미스랜딩의 일 예로는 센터 빔에 대한 편향 감도가 한 쌍의 사이드 빔에 의한 편향감도보다 상대적으로 강해져서 발생되는 코마수치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코마수치는 결국 텔레비전 화면 전역에 걸쳐서 화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므로 가능한한 제거하여야만 하는데, 그 기능을 코마코일(140)이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코마코일(140)은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의 함몰 부분에 형성된 장착부(130)에 고정되는 데, 그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마코일(140)은 대략 한글 자음 "ㄷ"자 형상을 갖는 코어(141)와, 상기 코어(141)를 내장할 수 있도록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142)과, 상기 보빈(142)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43)로 이루어 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코마코일(140)은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상에 함몰된 부분에 형성된 장착부(131)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 (131)는 상시 코어(141)의 크기에 비례한 면적을 갖으며 상기 코마코일(140)은 장착부(131)에 형성된 지지편(132a, 132b)에 의해 지지된 후 본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132a, 132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30)의 상면에 돌기 형태로 좌우로 돌출되어 코마코일(14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는, 코어(141) 및 보빈(142), 코일(143)로 구성된 코마코일(140)이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에 함몰부분에 형성된 장착부(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편(132a, 132b)에 의해 상하의 유동만을 지지함으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본딩 공정이전에 상기 코마코일(140)이 상기 삽입부(131)로부터 이탈되거나 본딩공정 중 유동으로 인하여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결국 편향요크의 정상적인 기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삽입부의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텐션으로 인하여 끼움결합되어 좌우유동을 억제하고, 삽입부에 코마코일 삽입후 걸림턱이 스토퍼 역할을 함으로써 전후유동을 억제하며, 삽입부에 삽입되므로 상하유동도 억제하여 이탈현상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편향요크 110 : 수직 편향코일
120 : 세퍼레이터 121 : 네크부
130 : 장착부 131 : 삽입부
132a, 132b : 지지편 133a, 133b : 걸림턱
140 : 코마코일 141 : 코어
142 : 보빈 143 : 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코어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로 구성된 코마코일과, 네크부 상에 함몰 부분에 형성되어 코마코일의 면적에 비례한 삽입부를 구비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텐션이 있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코마코일을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마코일(140)은 대략 한글 자음 "ㄷ"자 형상을 갖는 코어(141)와, 상기 코어(141)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보빈(142)과, 상기 보빈(142)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마코일(140)을 장착시키는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의 함몰부분에 형성된 장착부(130)에는 상기 코마코일(140)의 면적에 비례한 삽입부(131)가 구비되는 데, 이 삽입부(131)의 양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텐션이 있는 걸림턱(133a, 133b)이 돌출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14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 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삽입부(131)에 코마코일(140)을 걸림턱(133a,133b)에 끼워 맞출수 있도록 파지하여 장착부(130) 내부에 가압하여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걸림턱(133a, 133b)은 텐션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서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진입이 최종 완료되면 상기 걸림턱(133a, 133b)이 복귀하여 스토퍼의 역할로 긴밀히 고정되어 최종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코마코일(140)의 상측방향 이탈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걸림턱(133a, 133b)은 상기 코마코일(140)이 후퇴하여 뒤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함몰부분에 성형된 장착부의 양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삽입부에 맞추어 코마코일이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마코일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이탈현상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코마코일의 결합불량에 의한 편향요크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코어(141)를 내장한 대략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 보빈(142) 및 상기 보빈(142)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되는 코일(143)로 구성된 코마코일(140)과, 네크부(121) 함몰부분에 성형되어 상기 코마코일(140)의 면적에 비례한 장착부(130)를 구비한 세퍼레이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100)의 코마코일(140)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30)의 양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걸림턱(133a, 133b)과,
    상기 걸림턱(133a, 133b)과 삽입부(1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100)의 코마코일(140) 고정구조.
KR1020000051699A 2000-09-01 2000-09-01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018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99A KR20020018410A (ko) 2000-09-01 2000-09-01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99A KR20020018410A (ko) 2000-09-01 2000-09-01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410A true KR20020018410A (ko) 2002-03-08

Family

ID=1968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699A KR20020018410A (ko) 2000-09-01 2000-09-01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41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4254A (ja) * 1988-06-10 1990-03-26 Matsushita Refrig Co Ltd 伝熱管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25991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25990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37911U (ko) * 1998-03-16 1999-10-15 권호택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00021012A (ko) * 1998-09-25 2000-04-15 권호택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4254A (ja) * 1988-06-10 1990-03-26 Matsushita Refrig Co Ltd 伝熱管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25991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25990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37911U (ko) * 1998-03-16 1999-10-15 권호택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00021012A (ko) * 1998-09-25 2000-04-15 권호택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006B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018410A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200214316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50975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89330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89343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176209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KR200365172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선처리 구조
KR0140573Y1 (ko) 편향요크의 리드와이어 고정구조
KR100586610B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9990025991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19990025990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9990037911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541981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376875Y1 (ko) 편향요크 마그네트 삽입구조
KR200289347Y1 (ko) 편향요크의 밸런스코일 안내구조
KR200154299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고정구조
KR200289332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226394Y1 (ko) 편향요크
KR100839366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립체
KR200289362Y1 (ko) 편향요크에 장착되는 코마코일의 인출선 안내구조
KR200202680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KR20026057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