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855A - 칼라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855A
KR20020004855A KR1020010039444A KR20010039444A KR20020004855A KR 20020004855 A KR20020004855 A KR 20020004855A KR 1020010039444 A KR1020010039444 A KR 1020010039444A KR 20010039444 A KR20010039444 A KR 20010039444A KR 20020004855 A KR20020004855 A KR 2002000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electron beam
long axis
mask body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9131B1 (ko
Inventor
시미즈노리오
이노우에마사츠구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0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5Beam passing apertures, e.g. geometric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88Parameterised dimensions of aperture plate, e.g. relationships, polynomial express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은 거의 평탄한 외면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구비하고, 유효부 내면에는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고, 이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된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마스크 본체의 장축(X) 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은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장축단을 향하여 증가하고, 상기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의 변화율은 마스크 본체의 중심과 장축단의 사이에서 극대값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COL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 특히 패널 유효부 외면이 평탄화된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형광체 스크린상에 색 오차가 없는 칼라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섀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통과한 3전자빔이형광체 스크린의 대응하는 3색 형광체층에 각각 정확하게 랜딩(landing)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섀도우 마스크를 패널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소정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즉, 패널과 섀도우 마스크의 간격(q값)을 정밀도 좋게 적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q값을 적정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3색 형광체층의 피치, 즉 각 색의 형광체층을 소정의 순서(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 적색(R)…의 순서)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한 경우, 동일한 색의 형광체층간의 간격을 PHp로 한 경우, 3개의 형광체층 내의 2개의 형광체층간의 간격(d)을 d=(2/3)PHp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형광체층 피치(PHp)에 대해서 q값이 적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흑색 비발광층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시에 색순도의 열화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형광체층 피치(PHp)가 크면, 흑색 비발광층의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지만, 형광체층 피치(PHp)가 너무 크면 해상도의 열화를 초래한다.
또한, 최근 칼라음극선관의 시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패널 외면을 평면 가까이까지 곡률을 작게 하는(즉 곡률반경을 크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시인성의 점으로부터도 패널 내면의 곡률도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패널 내면의 형광체층에 정밀도 좋게 전자빔을 랜딩시키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q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전자빔 통과구멍을 가진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곡률도 패널 내면에 맞추어 작게 해야한다.
그러나,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곡률을 작게 하면 섀도우 마스크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 등이 발생한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곡률이 작아지면, 칼라음극선관을 조립한 텔레비전 세트의 동작시의 음성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의 공진(하울링(howling))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변형이나 공진은 빔랜딩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빔랜딩의 오차에 의해 전자빔이 흑색 비발광층을 넘어 본래 발광해야 할 색의 형광체층 이외를 발광시킨 경우 색 순도의 열화를 초래한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형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그 동작원리상, 섀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형광체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은 전자총 구조체로부터 방출된 전체 전자빔량의 1/3 이하가 된다. 형광체 스크린에 도달할 수 없었던 다른 전자빔은 섀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 이외의 부분에 충돌하여 열 에너지로 변환되고 섀도우 마스크를 가열한다. 그 결과 발생하는 열팽창에 의해, 섀도우 마스크는 형광체 스크린측으로 팽출(膨出)하는 소위 도밍(doming)을 일으킨다. 이 도밍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과 섀도우 마스크의 간격, 즉 q값이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형광체층에 대한 빔랜딩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빔은 흑색 비발광층을 넘어 본래 발광해야 할 색의 형광체 이외를 발광시키고, 색 순도의 열화를 초래한다.
섀도우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의 크기는 묘사하는 화상패턴의 휘도 및 패턴의 계속시간 등에 따라 크게 다르다. 특히 국부적으로 고휘도 화상 패턴을 표시한 경우는 국부적인 도밍이 발생하고, 단시간 중에 국부적인 빔래딩 오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국부적인 도밍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는 고휘도 패턴을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그 한쌍의 단변간 폭(즉 장축방향의 전체 폭)의 1/3 정도의 거리만큼 장축방향으로 떨어진 영역에 표시한 경우에 가장 크게 나타난다. 그 때문에, 이 영역에 있어서 미스랜딩(mislanding)을 방지하기 위한 흑색 비발광층은 가능한 폭을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점으로부터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면서, 또한 화면 주변부에서의 흑색 비발광층의 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 본체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간격은 화면 중앙으로부터 주변에 걸쳐 단순히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패널의 평면성을 유지하면서, 섀도우 마스크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국부적인 도밍에 대한 색 순도의 열화를 충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이나 도밍에 기인하는 색 순도의 열화를 감소시키고, 또한 시인성이 양호한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상기 칼라음극선관의 형광체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칼라음극선관에서의 섀도우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칼라음극선관에서의 패널 유효부 내면의 장축상에서의 장축방향의 곡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장축방향의 곡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의 변화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기 패널의 장축상에서의 형광체 스크린의 흑색 비발광층의 폭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의 변화율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의 장축상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의 변화율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효부(패널) 2: 스커트부(패널)
3: 패널 4: 퍼넬
5: 형광체 스크린 6: 전자빔 통과구멍
7: 마스크 본체 8: 마스크 프레임
9: 섀도우 마스크 10: 네크
11R,11G,11B: 3전자빔 13: 편향요크
15: 탄성지지체 16: 스터드핀
20: 진공외관용기 22R,22G,22B: 3색 형광체층
22K: 흑색 비발광층
본 발명에 의하면
거의 평탄한 외면을 갖고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구비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접합된 퍼넬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형광체층 및 흑색 비발광층을 구비한 형광체 스크린;
상기 퍼넬의 네크내에 설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구조체; 및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외관용기는 상기 유효부의 중심 및 전자총 구조체의 중심을 지나 연장되는 관축과, 상기 관축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장축과, 상기 관축 및 상기 장축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장축 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보다 장축단에서 크고,
상기 장축을 따른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L/4 내지 3L/4까지의 영역에서는 상기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이 장축단을 향하여 증가하고, 또한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의 변화율이 극대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시인도 향상을 위해 패널 유효부의 외면의 곡률을 작게 한 경우에도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국부적 도밍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나 제조공정 및 외부 충격에서 발생하는 섀도우 마스크 본체의 변형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에 기인하는 색순도의 열화를 방지하고, 화상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은 패널(3)과 퍼넬(4)을 구비하는 유리제 진공외관용기(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패널(3)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1)와, 유효부(2)의 주변부를 따라서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2)를 구비하고 있다. 퍼넬(4)은 스커트부(2)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유효부(1)의 중심 및 전자총 구조체(12)를 지나 연장되는 축을 관축(Z)으로 하고, 관축(Z)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축을 장축(수평축)(X), 관축 및 장축(X)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축을 단축(수직축)(Y)으로 한다.
패널(3)의 유효부(1)의 외면은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 스크린(5)은 패널(3)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체 스크린(5)은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으로 발광하고, 또한 단축(Y)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 형광체층(22)(R,G,B)과, 이 형광체층(22)(R,G,B)간에 설치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흑색 비발광층(22K)을 구비하고 있다. 이 3색 형광체층(22)(R,G,B)은 장축(X)을 따라서 소정의 순서,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 적색(R)…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동일한 색의 형광체층간의 간격(도면중에서는 녹색 형광체층(22G)간의 간격)을 PHp로한 경우, 3개의 형광체층 내의 2개의 형광체층간의 간격(도면중에서는 적색 형광체층(22R)과 청색 형광체층(22B)의 중심간격)(d)이 d=(2/3)PHp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9)는 진공외관용기(20)내에 있어서 형광체 스크린(5)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9)는 형광체 스크린(5)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6)을 구비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7)와, 이 마스크 본체(7)의 주변부를 지지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섀도우 마스크(9)는 마스크 프레임(8)에 부착된 탄성 지지체(15)를 패널(3)의 스커트부(2)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핀(16)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패널에 대하여 탈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인라인형 전자총 구조체(12)는 퍼넬(4)의 네크(10)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총 구조체(12)는 동일한 평면상을 지나는 일렬로 배열된 3전자빔(11)(R,G,B)을 형광체 스크린(5)을 향하여 방출한다. 편향요크(13)는 퍼넬(4)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편향요크(13)는 전자총 구조체(12)로부터 방출된 3전자빔(11)(R,G,B)을 수평축 X방향 및 수직축 Y방향으로 편향하는 비균일한 편향자계를 발생한다. 이 비균일 편향자계는 핀쿠션형 수평편향자계 및 배럴형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칼라음극선관에서는 전자총 구조체(12)로부터 방출된 3전자빔(11)(R,G,B)은 편향요크(13)가 발생하는 비균일 편향자계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9)의 전자빔 통과구멍(6)을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5)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주사한다. 이에 의해, 칼라화상이 표시된다.
다음에, 패널(3) 및 섀도우 마스크(9)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효부(1)의 대각 유효직경이 60㎝, 애스펙트비가 4:3, 패널외면의 곡률반경이 10m인 칼라음극선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패널(3)의 유효부(1)의 외면은 충분히 평탄화되고, 두께가 가장 두꺼워지는 대각부에 있어서 패널 중앙과의 두께의 차이는 8∼15㎜의 범위이고,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11㎜로 설정되어 있다. 패널(3)의 유효부(1)의 내면은 충분히 평탄성을 유지한 채, 장축(X)상에 있어서 그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곡률로 설정되어 있다. 장축(X)을 따른 패널 유효부(1)의 내면에서의 중심(내면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D로 한 경우, 장축(X)상에 있어서 내면 중심으로부터 중간부, 즉 D/2까지의 영역의 평균곡률은 3.5×10-4(1/㎜) 이하, 예를 들어 2.5×10-4(1/㎜)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평균곡률이라는 것은 내면 중심과 장축(X)상에서의 중심으로부터 Xd/2만큼 떨어진 점 사이의 2점간의 장축(X)상에서의 각 점에서의 곡률의 평균값을 말한다.
패널 유효부(1)의 내면에 대응하여, 마스크 본체(7)는 장축(X)상에 있어서 그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곡률로 설정되어 있다. 즉, 장축(X)을 따른 마스크 본체(7)의 중심(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장축(X)상에 있어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중간부, 즉 L/2까지의 영역의 평균곡률은 2.5×10-4(1/㎜)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3.6×10-4(1/㎜)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스크 본체(7)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7)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구멍(6) 열의 장축(X)방향을 따른 간격(PH)은 장축(X)상에 있어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PH)은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장축단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는 경향을 갖는다.
이 간격(PH)의 변화율(PH')은 장축(X)상에 있어서 그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율(PH')은 마스크 중심과 장축단 사이에서 극대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장축(X)을 따른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이 변화율(PH')은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 내지 3L/4의 영역에서 극대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의 영역에서는 패널(3)과 섀도우 마스크(9)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일정하므로,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을 변화시키는 것은 형광체층간의 피치(PHp)를 변화시키는 것이 된다. 따라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까지에서는 간격(PH)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L/4로부터 장축단까지의 영역에서는 마스크 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는 영역에 가까운 것도 있고, 충분한 마스크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3L/4부터 장축단까지의 영역에서는 간격(PH)의 변화가 마스크 강도에 주는 영향은 작다. 그래서, 마스크본체(7)의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 내지 3L/4에서는 간격(PH)은 증가함수가 되고, 또한 간격(PH)의 변화율(PH')은 극대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7)의 장축(X)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의 간격(PH)은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x는 장축(X)상에서의 마스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7)의 중앙부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을 PHC, 장축단부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을 PHH로 한 경우, 마스크 본체(7)에 있어서 전자빔 통과구멍(6)은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국부적 도밍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 또는 제조공정 및 외부충격에 기인하는 마스크 본체의 변형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자빔이 흑색 비발광층(22K을) 넘어 본래 발광해야 할 색의 형광체층 이외의 형광체층을 발광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색순도의 열화를 감소시켜 화상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의변화율(PH')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를 적용한 경우와,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를 적용한 경우에서 마스크 변형량을 비교했다. 이 때, 섀도우 마스크의 기계적 강도의 지표로서 1G의 충격가속도를 가했을 때의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량을 비교했다. 도 1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변형량은 중간부(L/2)로부터 장축단까지의 영역에서의 변형량에 비해 중앙부근(마스크 중심부근)의 변형이 크다. 그 때문에, 장축상에서의 중간부근에서는 이 변형량의 차에 기인하여 소성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하여, 도 12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에서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량이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장축단에 걸쳐 균형을 이루고 있고, 변형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량을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섀도우 마스크의 중앙부근에서는 곡률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없고, 또한 장축단부 부근에서도 곡률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장축(X)을 따라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3L/4만큼 떨어진 위치까지의 영역에서 변화율(PH')이 극대값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2만큼 떨어진 영역부근에서 극대값을 갖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3)의 유효부(1)에서의 내면 중심으로부터 장축(X)을 따른 중간부 부근까지의 평균곡률을 3.5×10-4(1/㎜)이하로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 있고, 또한 마스크 본체(7)는 장축(X)을 따른 중간부근에서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유지할 수 있는 곡률을 갖고 있다. 또한,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의 변화율(PH')은 장축(X)을 따라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L/4 내지 3L/4의 영역에서 극대값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충분한 해상도가 얻어지도록 마스크 본체의 주변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X)을 따른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동시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체 스크린(5)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국부적 도밍에 의한 전자빔의 랜딩오차량이 가장 큰 영역(장축(X)을 따른 중간부 부근)에서 효과적으로 흑색 비발광층(22K)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부적 도밍이 발생한 경우에도 색순도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형광체 스크린(5)의 유효부 중앙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의 1/2인 점에서의 흑색 비발광층(22K)이 차지하는 비율을 50%로 하고, 폭을 150㎛, 패널 유효부(1)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두께차이를 2.3㎜, 패널 투과율을 47%로 충분한 휘도를 확보한 상태로 국부적 도밍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랜딩에 대한 흑색 비발광층의 여유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패널 유효부의 한층 더 한 평탄화 및 고해상도화에 따라서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구멍의 장축방향의 간격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7)의 장축(X)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은 이하의 수학식 3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x는 장축(X)상에서의 마스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간격(PH)은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장축(X)을 따라 장축단까지 거의 일정에 가까운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C)에 대하여 마스크 본체의 장축단부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PHH)은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축(X)을 따라서 마스크 중심으로부터 3L/4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장축단까지의 영역에서는 충분한 마스크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PH)이 최대값을 나타내고, 장축단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 열의 간격은 최대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패널의 주변까지 충분한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마스크 본체의 장축상 중간부에서는 전자빔 통과구멍의 간격의 변화율(PH')에 극대값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형광체 스크린의 장축상에서의 중간부에 있어서 흑색 비발광층의 폭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빔랜딩의 오차에 기인하는 색순도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2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애스펙트비가 4:3인 칼라음극선관에 한정되지 않고, 애스펙트비가 16:9인 칼라음극선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이나 도밍에 의한 빔랜딩의 오차에 기인하는 색순도의 열화를 방지하고, 화상품위가 향상된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거의 평탄한 외면을 갖고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구비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접합된 퍼넬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형광체층 및 흑색 비발광층을 구비한 형광체 스크린;
    상기 퍼넬의 네크내에 설치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구조체; 및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외관용기는 상기 유효부의 중심 및 전자총 구조체의 중심을 지나 연장되는 관축과, 상기 관축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장축과, 상기 관축 및 상기 장축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장축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보다 장축단에서 크고,
    상기 장축을 따른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L/4 내지 3L/4까지의 영역에서는 상기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이 장축단을 향하여 증가하고, 또한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의 변화율이 극대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의 변화율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L/2의 부근에서 극대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3L/4로부터 장축단까지의 영역에서는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이 최대값을 갖고, 또한 장축단에서의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이 상기 최대값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을 따른 상기 패널 내면의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D로 한 경우, 상기 장축상에서 상기 패널 내면의 중심으로부터 D/2까지의 영역의 평균곡률은 3.5×10-4(1/㎜)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장축을 따른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장축단까지의 거리를 L로 한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L/2까지의 영역의 평균곡률은 2.5×10-4(1/㎜)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장축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PHC)과, 장축단부에서의 상기 장축방향을 따른 전자빔 통과구멍간의 간격(PHH)은 PHH≤1.4PHC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KR10-2001-0039444A 2000-07-04 2001-07-03 칼라음극선관 KR100409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2340 2000-07-04
JP2000202340 2000-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55A true KR20020004855A (ko) 2002-01-16
KR100409131B1 KR100409131B1 (ko) 2003-12-11

Family

ID=1869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444A KR100409131B1 (ko) 2000-07-04 2001-07-03 칼라음극선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1206B2 (ko)
EP (1) EP1170772B1 (ko)
KR (1) KR100409131B1 (ko)
CN (1) CN1157751C (ko)
DE (1) DE60100309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61B1 (ko) * 2004-12-28 2007-05-28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US7329980B2 (en) 2004-12-15 2008-02-12 Lg.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30B1 (ko) * 2003-01-25 2009-07-13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CN111513759B (zh) * 2020-04-26 2021-08-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监测健康状态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53B2 (ja) * 1983-06-30 1994-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受像管
IN165336B (ko) 1985-03-14 1989-09-23 Rca Corp
KR970010036B1 (ko) * 1992-10-10 199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JPH06275206A (ja) * 1993-03-19 1994-09-30 Hitachi Ltd 可変孔ピッチの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3464707B2 (ja) * 1994-07-01 2003-1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カラー受像管
US5534746A (en) 1995-06-06 1996-07-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mproved aperture spacing
JPH10241597A (ja) * 1996-12-25 1998-09-11 Toshiba Electron Eng Corp カラー受像管
KR19980067807A (ko) * 1997-02-12 1998-10-15 손욱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JPH1154062A (ja) * 1997-06-03 1999-02-26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H11176334A (ja) 1997-12-08 1999-07-02 Sony Corp 電子銃のビーム軌道測定装置および方法
JPH11250822A (ja) * 1998-03-03 1999-09-17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9980B2 (en) 2004-12-15 2008-02-12 Lg.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s
KR100722261B1 (ko) * 2004-12-28 2007-05-28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0772A1 (en) 2002-01-09
US6621206B2 (en) 2003-09-16
EP1170772B1 (en) 2003-05-28
CN1331482A (zh) 2002-01-16
DE60100309T2 (de) 2004-02-26
KR100409131B1 (ko) 2003-12-11
CN1157751C (zh) 2004-07-14
DE60100309D1 (de) 2003-07-03
US20020003396A1 (en)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7869A1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0130026B1 (ko) 칼라 음극 선관
KR100301321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409131B1 (ko) 칼라음극선관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41695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190675B1 (ko) 칼라 음극선관
US6225735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76354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405234B1 (ko) 칼라음극선관
JP2002083556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9990045769A (ko) 컬러음극선관
EP067786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62942B1 (ko) 음극선관
KR100303542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US6707241B2 (en) Color cathode-ray tube
JP2004273133A (ja) 陰極線管
JP2007073294A (ja) カラー受像管
JP2003217470A (ja) カラー受像管
JPH07122205A (ja) カラー受像管
KR20020050889A (ko) 컬러 음극선관
JP2000090858A (ja) 陰極線管
JP2004207037A (ja) 陰極線管
JP2002231149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