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036B1 -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 Google Patents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036B1
KR970010036B1 KR1019920018641A KR920018641A KR970010036B1 KR 970010036 B1 KR970010036 B1 KR 970010036B1 KR 1019920018641 A KR1019920018641 A KR 1019920018641A KR 920018641 A KR920018641 A KR 920018641A KR 970010036 B1 KR970010036 B1 KR 97001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horizontal
pitch
shadow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161A (ko
Inventor
이재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036B1/ko
Publication of KR94001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0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라이프 타입 캉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브라운관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섀도우마스크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섀도우마스크의 도밍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섀도우마스크의 위치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비임 이동량을 나타낸 그래프.
제5도는 섀도우마스크의 중심부에서 수평거리 2/3 지점의 푸리티 여유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동일피치 섀도우마스크,
(b)는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
제6도는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의 구멍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섀도우마스크 16a : 구멍
본 발명은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섀도우마스크의 도밍(doming)현상에 따라 주변부에서 푸리티(purity)가 저하되거나 백색 균일성(whith uniformity) 및 수평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은 제1도와 같은 형태로서, 패널(panel)(1)에 네크부(2a)를 가진 펀넬(funnel)이 융착되어 있고 상기 네크부(2a)에는 R, G, B의 전자비임(3)을 발사하기 위한 전자총(4)이 봉입되어 있으며 패널(1)의 내부측에는 3색으로 발광되는 형광체(5)가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형광체(5)는 근접부에 형광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공극형상 또는 원형상의 가는 구멍이 무수히 뚫인 섀도우마스크(6)가 지지프레임(7)과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R, G, B 각 전자총(4)에서 발사된 전자비임(3)은 편향요크(Deflection yoke)(8)의 자계에 의해 편향되어 색선별 역할을 하는 섀도우마스크(6)의 구멍을 통해 패널(1)의 내측면에 도포된 R, G, B의 각 화소에 랜딩되어 스크린상에 일정색상을 표출시키게 된다.
이때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80% 정도의 전자비임(3)은 섀도우마스크(6)에 부딪혀 충돌열을 발생시키며, 이로인해 섀도우마스크(6)가 열팽창하는 도밍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섀도우마스크에 뚫린 구멍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결국 패널(1) 내면에 랜딩되는 전자비임(3)의 위치를 이동시켜 정해진 화소를 벗어나므로 R, G, B 트리오의 색순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색선별 역할을 하는 섀도우마스크(6)의 형태는 제2도와 같이 구멍(6a)과 구멍간의 수평간격인 피치(PH)가 전면에 걸쳐 동일한 동일 피치 섀도우마스크(Uni Pitch Shadow mask : UPS)나, 또는 구멍(6a)과 구멍간의 수평간격이 섀도우마스크(6)의 중심으로부터 에지부로 갈수록 일정한 식에 의해 증가되는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Varible Pitch Shadow mask : VPS)로 대별된다.
즉, 섀도우마스크는 제2도에서와 같이 PHa1=PHb1=PHc1인 동일패치 섀도우마스크와, PHa1PHb1PHc1인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로 구별된다.
또한 브라운관의 동작에 따른 초기 상태의 도밍량 정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6)의 중심부에서 가장 크게 되고 에지부측의 주변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그러나 전자비임(3)의 이동량은 도밍방향과 전자비임(3)의 진행각도에 따라 결정되므로 제4도의 (a)와 같이 중앙부는 전자비임(3)의 방향과 도밍방향이 일치되므로 크지 않게 되고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로 점점 커져 주변부의 2/3 지점에서 가장 크게 되며, 이후 에지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첨부도면 제4도의 (b)는 전자비임(3)의 이동량이 가장 큰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전자비임의 이동현상을 실제 그래프화한 것으로서, 초기에서 3∼5분까지는 급격히 증가했다가 그후 감소되어 원상태로 복원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섀도우마스크중 동일피치 섀도우마스크(UPS)는 섀도우마스크의 수평피치(구멍과 구멍과의 간격)가 전면에 걸쳐 동일하고 스크린의 수평피치(R, G, B 화소와 화소간의 간격) 역시 전면에 걸쳐 동일하므로 스크린의 수평피치와 직접 관련되는 수평해상도를 좋게 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제5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비임의 이동에 따른 퓨리티 여유도 (a+b) 및 (c+d)량이 적어 색순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로인해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에 따라 주변부색순도 및 화면전체의 백색균일성이 저하되었다.
반면, 주변부로 갈수록 수평피치가 증가되는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의 경우에는 제5도의 (b)와 같이 전자비임 이동에 대한 퓨리티 여유도 (a+b) 및 (c+d)량이 동일피치 섀도우마스크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밍현상에 따라 전자비임(3)이 이동을 해도 해당되는 화소를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주변부 색순도 및 화면전체의 백색균일성을 유지하게 되지만, 주변부로 갈수록 스크린 수평피치가 너무 커서 파일의 수평해상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즉, 동일 피치 섀도우마스크의 경우 수평해상도는 양호하나 색순도 및 백색균일성이 저하되며,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의 경우는 색순도 및 백색균일성이 양호하나 수평해상도가 저하되는 서로 다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평피치 간격을 달리하여 수평해상도 및 백색균일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섀도우마스크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구멍의 수평피치를 수평길이 2/3 지점까지는 일정비율로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길이 2/3 지점부터 수평길이 에지부까지는 일정비율로 감소되도록 하여서된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6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섀도우마스크(16)의 수평피치(PH)를 수직 중심부를 기준으로하여 수평길이 2/3 지점까지는 일정한 식에 의해 일정비율로 증가되는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VPS)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길이 2/3 지점부터 수평길이 에지(Edge)부까지는 일정비율로 감소되는 가변피치 섀도우마스크(VPS)로 되어 있다.
이때 구멍(16a)의 수평비치(PH)를 중심부 수평비치(PHa2)수평길이 에지부의 수평 피치(PHC2)수평길이 2/3 지점의 수평피치(PHb2)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비임 이동량 : 스크린 각 위치에 따른 그래프와, 섀도우마스크 수평피치(H) : 스크린의 각 위치에 따른 그래프가 정비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16)는 전자비임(3)의 충돌열에 의해 발생되는 도밍현상에 따라 전자비임(3)의 이동량이 없는 중앙부에서는 종래의 섀도우마스크와 동일하게 퓨리티(Purity)와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비임(3)의 이동량이 가장 큰 수직중심부에서 수평길이 2/3 지점에서 섀도우마스크(16)의 수평 피치가 크고 구멍(16a)폭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제5도의 (b)와 같이 전자비임(3)의 이동에 대한 이유도 (a'+b') 및 (c'+d')량이 동일피치 섀도우마스크(UPS)보다 크게 되고 따라서 전자비임(3)의 이동에 따른 퓨리티 및 화면 전체의 백색 균일성(white uniformity)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수직 중심부의 2/3 지점부터 수평길이 최외곽의 에지부까지는 수평피치(PH)가 종래의 VPS의 수평피치인 PHb1와 PHc1보다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수평피치(PH)를 수직중심부를 기준으로 2/3 지점까지는 종래의 VPS와 같이 구성하여 퓨리티 및 백색균일성이 좋도록 함과 함꼐 수평길이 2/3 지점부터 에지부까지는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종래의 VPS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크린 전체의 퓨리티 및 백색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칼라브라운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섀도우마스크(16)의 수직중심부를 기준으로 구멍(16a)의 수평피치(PH)를 에지부를 향해 수평길이의 2/3 지점까지 일정비율로 증가시키고 상기 지점으로부터 에지부까지는 일정비율로 감소시켜 중심부의 수평피치〈 에지부의 수평피치〈 수평길이 2/3 지점의 수평피치가 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19920018641A 1992-10-10 1992-10-10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641A KR970010036B1 (ko) 1992-10-10 1992-10-10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641A KR970010036B1 (ko) 1992-10-10 1992-10-10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61A KR940010161A (ko) 1994-05-24
KR970010036B1 true KR970010036B1 (ko) 1997-06-20

Family

ID=1934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641A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036B1 (ko) 1992-10-10 1992-10-10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206B2 (en) * 2000-07-04 2003-09-16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61A (ko) 199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6810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striped phosphor screen
US4983879A (en)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hadow mask effective to minimize the appearance of Moire patterns
US6124668A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70010036B1 (ko)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US6144151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KR890004872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US620459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graded shadow mask apertures
KR0165059B1 (ko) 외부자계 차폐용 자기쉴드구조
US662120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5298832A (en) Shadow mask frame for prevention of halation
US6388368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KR1002416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08107B1 (ko) 컬러모니터
KR920010724B1 (ko) 칼라음극선관
JP2000123753A (ja) カラ―ブラウン管用シャド―マスク
KR100596233B1 (ko) 컬러 음극선관
US20020030429A1 (en) Magnetic shield structure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5186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9700100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US6608434B2 (en) Color picture tube
KR10022497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3189B1 (ko) 고해상도 표시장치용 섀도 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 및 음극선관 장치
KR100414494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100814868B1 (ko) 외부 자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339365B1 (ko) 음극선관의 텐션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5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70501

Appeal identifier: 1995201001682

Request date: 1995072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7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5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526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7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92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