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43B1 - 칼라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43B1
KR0135043B1 KR1019940017071A KR19940017071A KR0135043B1 KR 0135043 B1 KR0135043 B1 KR 0135043B1 KR 1019940017071 A KR1019940017071 A KR 1019940017071A KR 19940017071 A KR19940017071 A KR 19940017071A KR 0135043 B1 KR0135043 B1 KR 013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hode ray
ray tube
mask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319A (ko
Inventor
니시무라다카시
가즈유키 세이노
도루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사토 후이오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이오, 가부시키가이샤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이오
Publication of KR95000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2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 H01J31/201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 H01J31/203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with more than one electron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1/00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31/12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 H01J2231/12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 H01J2231/125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two or more neck portions containing one or more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평탄한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고정부재(17)가 고정되고, 이 고정부재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평탄한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마스크지지수단(18)과, 페이스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수단(11)이 고정되는 칼라수상관으로서, 마스크지지수단 및 플레이트지지수단을 각각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하게 하여 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써, q값을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페이스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의 불균형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칼라수상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칼라수상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도는 고정부재, 마스크지지부재 및 플레이트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V-V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플레이트지지부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형광체스크린 및 마스크지지부재선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마스크지지부재의 설치구종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플레이트지지부재의 설치구종의 변형예를 타나낸 단면도.
제10a도 내지 제 10c도는 각각 고정부재가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이스플레이트 2 : 측벽
3 : 리어플레이트 4 : 퍼넬
5 : 진공외관용기 8 : 형광체스크린
9 : 새도우마스크 11 : 플레이트지지부재
13 : 전자총 19 : 요철
23 : 프릿(frit)재 유리 26 : 판스프링
29 : 고정링
본 발명은 칼라수상관등의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face plate)와,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대향하는 평탄한 새도우마스크와,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마스크지지부재와, 페이스플레이트 및 평탄한 리어플레이트(rear plate)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부재를 구비하고,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품위 방송 또는 이에 따른 대화면을 갖는 고행상도의 수상관에 관한 여러 가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관의 고해상도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형광체스크린 위에서의 전자빔의 스폿직경을 작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부터 전자총의 전극구조의 개량 또는 전자총자체의 대구경화, 신장화등이 꾀해져 왔지만, 아직 충분한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하다. 이것은 대형의 수상관이 되어감에, 전자총에서 형광체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전자렌즈의 배율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이 최대의 원인이다. 따라서 고해상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자총에서 형광체스크린까지의 거리(안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자빔의 편향각을 광각으로 하면, 화면중앙과 주변과의 배율차의 증대를 초래하고, 그 때문에 광각편향으로 하는 것은 고해상도화에 있어서 바람직한 대책은 아니다.
그 때문에, 종래의 경우 예를들면 일본특개소48-90428호 공보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독립된 소형의 수상관을 복수개 설치하고, 전체로서 고해상도의 대화면으로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은 옥외등에 배치하는 분할 수가 많고 거대한 화면표시에는 유효하지만, 화면사이즈가 40인치 정도의 중간규모의 대화면표시의 경우는 각 영역사이의 화면의 접속부가 두드러지고, 눈에 거슬리는 화상을 재생한다. 따라서, 가정용테레비수상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계산기 이용설계(CAD)에 있어서 도형표시용의 단말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화면의 접속부가 치명적인 결함이 된다.
이에 대해서, 미국특허제3,071, 706호 명세서에는 복수개의 독립된 수상관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들 수상관의 스크린을 일체화한 구조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일체화된 구조의 형광체스크린을 갖는 수상관에 따르면, 내면에 형광체스크린이 형성된 페이스플레이트와, 이 페이스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설치된 리어플레이트와, 이 리어플레이트에 인접한 복수개의 퍼넬 및 각 퍼넬에 설치된 복수개의 넥크에 의해 진공외관용기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외관용기의 구조의 경우 스크린면이 대형이 되면, 대기압(외압)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페이스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페이스플레이트에 관축방향으로 큰 곡율을 주는 것도 필요하다. 그결과, 외관용기의 중량이 무거워지고, 또한 관축방향으로 큰 곡율을 갖는 것에서는 화면이 보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형광체스크린과 넥크내에 봉입되는 전자총과의 거리가 커지게 되어, 전자렌즈가 배율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체화구조의 형광체스크린을 갖는 수상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상관으로서, 일본특개평 5-36363호 공보에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되고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수상관이 개시되고 있다. 이 수상관에 있어서는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대기압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진공외관용기의 안측에 플레이트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조를 새도우마스크를 갖는 칼라수상관에 적용하는 경우, 형광체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새도우마스크도 평탄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고,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로, 새도우마스크의 걸어서 지지하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칼라수상관과 같이 페이스플레이트가 구면상을 이루는 것에서는, 새도우마스크도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새도우마스크의 주변부를 금속틀(마스크프레임)등으로 고정함에 의해 새도우마스크에 실용가능한 기계적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페이스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되는 형광체스크린에 대해서 새도우마스크를 소정의 관계로 배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그러하 페이스플레이트가 평탄한 경우는 새도우마스크도 평탄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새도우마스크의 기계적강도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와 같이 마스크주변부에 플레임을 설치하여 마스크를 보강해도, 형광체스크린에 대해서 새도우마스크를 소정의 위치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평탄 또는 한방향으로만 곡율을 갖는 원통형상의 새도우마스크에 대해서는 이에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강도가 높은 프레임으로 고정함에 따라 새도우마스크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그 플레임을 통해서 새도우마스크를 페이스플레이트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관계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칼라수상관으로서,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2-158544호 공보에는 페이스플레이트에 큰 하나의 퍼넬을 접속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에서는 화면사이즈가 대형화함에 따라 새도우마스크에 가하는 장력을 증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보다 강도가 높은 프레임이 필요해지고, 수상관 전체의 중량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프레임을 통해서 새도우마스크를 페이스플레이트에 걸어 지지 하기 위한 수단도 복잡해진다. 또한 그 걸어 지지하기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해진다.
두 번째로, 새도우마스크의 설치정밀도에 문제가 있다. 통상적인 칼라수상관의 형광체스크린은 칼라수상관에 끼워넣어지는 새도우마스크를 포토마스크로서 이용하고,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도포형성되는 형광체슬러리(slurry)등의 형광체스크린 형성재층을 노광함에 의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새도우마스크와 페이스플레이트 내면과의 간격(q값)이 소정치에서 벗어나 있으면, 형광체스크린을 형성하는 형광체층의 배열간격은 영향을 받지만, 형광체스크린 전체에서의 연속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렇지만, 일체화된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에 있어서는, 다수의 전자빔 투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유효부가, 형광체스크린의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여, 전자빔 투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유효부를 통해서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형광체스크린은 인접영역 사이에서 q값의 영향을 받는다. 즉, q값이 소정치보다도 큰때는 형광체스크린의 인접영역 사이에서 형광체층이 중복되고, 소정치보다도 작은때는 인접영역사이에서 형광체층사이에 간격이 생긴다.
또한 형광체스크린을 포토마스크 또는 건판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이른바 마스터마스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도, q값은 정확하게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마스터마스크법에 의하면, 연속성을 갖는 형광체스크린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지만 q값이 벗어나 있으면 칼라수상관을 조립한 경우에 전자빔이 소정의 형광체층에 랜딩(landing)되지 않고, 이른바 미스랜딩(mis-landing)이 발생한다. 또한 인접영역사이에서 래스터(raster)가 중복하거나, 간격이 발생하거나 한다.
또한 형광체스크린의 형성과는 별도로 q값의 필요정밀도는 수평방향의 편향각도와 새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투과구멍의 배열피치에도 따르지만, 대략 0.05mm 정도이다. 이것은 종래의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요구되는 q값의 정밀도가 0.5mm 정도인 것과 비교하여 매우 고정밀도의 설정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일체화된 구조의 하나의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사하는 칼라수상관에서는 종래부터 이미 알려진 수단으로 새도우마스크를 가설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세 번째로, 새도우마스크의 변형 및 진동의 문제가 있다. 평탄한 새도우마스크는 진동과 변형에 약하다. 새도우마스크가 변형하면 q값이 벗어나기 때문에 미스랜딩이 발생한다. 또한 새도우마스크가 진동하면, 이경우에도 q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미스랜딩을 일으킨다.
한편,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진공외관용기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로서, 페이스플레이트에 맞닿는 앞쪽단부가 바늘형상 또는 쐐기모양으로 형성된 것, 또는 플레이트지지부재 전체가 판모양으로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이들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어느것이나, 형광체스크린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을 차단해서는 안되고, 될 수 있는 한 형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앞쪽단부를 가늘게 형성하고, 또한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배치수를 작게 한 경우, 각 지지부재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이 증대한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높이가 상호 다른 경우, 대기압하중에 의한 페이스플레이트의 변형이 증대하고, 대기압의 내성에 대한 신뢰성에 손상을 입힌다.
상기와 같이,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일체화된 구조의 한 개의 형광체스크린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칼라수상관에 있어서는 형광체스크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새도우마스크도 평탄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새도우마스크의 걸어 지지하는 방법, 새도우마스크의 설치정밀도, 새도우마스크의 변형등이 문제가 된다. 특히 칼라수상관이 대형이 되면, 새도우마스크를 고정밀도로 배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새도우마스크의 설치수단을 간단용이 하게하고, 경량화하는 것도 곤란해진다. 또한 평탄한 새도우마스크에서는 변형과 진동에 대해서 현저하게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평탄한 새도우마스크를 형광체스크린에 대해서 고정밀도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그 마스크 설치수단을 간단용이하게 하고, 경량화하는 동시에 변형과 진동에 강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와 거의 평형으로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리어플레이트를 갖는 진공외관용기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외관용기내에 설치된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새도우마스크를 형광체스크린과 소정간격이 떨어져 대향하도록 지지한 마스크지지수단과,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대기압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수단과,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빔 방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지지수단 및 플레이트 지지수단은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지지수단 및 플레이트지지수단은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마스크 설치수단 및 플레이트지지수단은 어느것이나 고정부재를 리어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플릿(fleet)재 유리등의 접합재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형광체스크린과 새도우마스크사이의 간격(q값)은 마스크지지수단 자체의 높이로 결정되고, q값을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페이스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수단도, 플레이트지지수단 자체의 가공정밀도로 결정되고, 그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페이스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의 언밸런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따른 칼라음극선관을 나타내고 있다.
칼라음극선관은 진공외관용기(5)를 구비하고, 이 진공외관용기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1)와, 이 페이스플레이트(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프릿(frit)재 유리등의 접합재에 의해 접합되고 페이스플레이트(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이어 존재하는 틀상의 측벽(2)과, 이 측벽(2)을 통해서 페이스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동시에 평행으로 프릿(frit)재 유리등의 접합재에 의해 접합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리어플레이트(3)와, 이 리어플레이트(3)에 프릿(frit)재 유리등의 접합재에 의해 접합된 복수개의 퍼넬(4)을 갖고 있다. 리어플레이트(3)에는 복수개, 예를들면 20개의 직사각형상의 열린구멍(6)이 형성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늘어서서, 예를들면 세로5열, 가로4열로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퍼넬(4)은 각각 그 대응하는 열린구멍(6)을 둘러싸듯이 리어플레이트(3)의 외면에 접합되고, 수평방향(X방향)으로 5개, 수직방향(Y방향)으로 4개, 합계 20개의 퍼넬(4)이 접합되어 있다.
제7도에 나타낸바와같이, 페이스플레이트(1)의 내면에는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수직방향으로 이어진 스트라이프형상의 3색형광체층(30B), (30G), (30R)과, 이 3색 형광체층간에 설치된 블록스트라이프(32)를 갖는 일체구조의 형광체스크린(8)이 형성되어 있다.
외관용기(5)내에는 형광체스크린(8)에 대향하여 평탄한 새도우마스크(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새도우마스크(9)는 뒤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빔에 의해 분할하여 주사되는 형광체스크린(8)의 복수개의 영역 R1-R2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부(10)를 갖고, 각 유효부에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새도우마스크(9)는 형광체스크린(8)영역의 수평방향의 분할수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9)는 5개의 가늘고 긴 평탄한 분할마스크 M1내지 M5로 분할되고, 이들 분할마스크M1~M5가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배열배치되어 있다. 각분할마스크는 수직방향으로 이어지고, 비유효부를 통해서 연속된 4개의 유효부(10)를 갖고 있다.
새도우마스크(9)는 뒤에 서술하는 복수개의 마스크지지부재를 통하여 리어플레이트(3)위에 지지되어 있다.
복수개의 퍼넬(4)에 설치된 각넥크(12)내에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3)(빔방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페이스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진공외관용기(5)의 페이스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금속원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지지부재(11)가 배치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앞쪽단부(11a)는 쐐기모양으로 형성되고, 형광체스크린(8)의 블럭스트라이프(32)에 맞닿고 있다.
이상과 같은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는 각 전자총(13)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각 퍼넬(4)의 바깥쪽에 장착된 편향장치(34)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고, 각 분할마스크 M1~M5의 유효부(10)를 통해서 형광체스크린(8)을 복수개의 영역, 도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5개, 수직방향으로 4개, 합계 20개의 영역 R1~R20으로 분할하여 주사한다. 그리고, 이 분할주사에 의해 형광체스크린(8)위에 그려지는 화상은 전자총(13)과 편항장치(34)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연결되고, 형광체스크린(8)의 전면에 잘린곳 없는 하나의 큰 화상을 재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새도우마스크(9)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분할마스크 M1~M5로 분할하면, 전자빔의 충격에 의해 마스크가 발열해도 그열이 인접한 분할마스크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경우에 생긴 새도우마스크의 열팽창에 따른 퓨리티드리프트(purity drift)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마스크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수직방향은 형광체스크린(8)의 3색형광체층이 수직방향으로 긴 스트라이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화상은 새도우마스크의 열팽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의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제2도 및 제3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상기 리어플레이트(3)의 각 열린구멍(6)을 수직방향의 양측에서 좁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고정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고정부재(17)에, 분할마스크M1~M5를 지지하는 단면U자형상의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페이스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부재(11)가 고정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정부재(17)는 리어플레이트(3)를 구성하는 유리의 열팽창계수에 근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니켈합금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주변가장자리를 따라서 요철(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17)의 중앙의 평탄한 부분에는,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배치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열린구멍(21) 및 원형의 열린구멍(22)이 수평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열린구멍(21)(22)은 각각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이들의 지지부재의 외형길이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7)는 그 주변가장자리부로 솟아오르도록 도포된 프릿(frit)재 유리(23)에 의해(약 450℃에서 소성)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 마스크지지부재(18)는 직사각형의 판의 양단부를 직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고,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기단부(18a) 및 지지부(18b)와 이들사이를 잇는 수직부(18C)를 갖고 있다. 수직부(18C)에는 한쌍의 투과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바와같이, 고정부재(17)에 대해서 마스크지지부재(18)는 그 기단부(18a)가 고정부재의 열린구멍(21)내에 삽입되어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밀접하고 있다. 또한 수직부(18C)에 설치된 각각의 투과구멍(25)에 두 개의 연결부재, 예를들면 2장의 판스프링(26)이 삽입통과되고 각 판스프링은 고정부재(17) 및 기단부(18a)에 용접되어 있다. 그에 따라 각 마스크지지부재(18)는 2장의 판스프링(26)의 누름으로 기단부(18a)가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고정부재(17)에는 분할마스크에 대응하여 5개의 마스크지지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마스크M1~M5의 각각은 리어플레이트(3)의 수직방향의 양단에 고정된 한쌍의 마스크지지부재(18)에 수직방향의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용접되고, 또한 수직방향중간부에 고정된 다른 마스크지지부재(18)에 의해 평탄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지지부재(11)는 제4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단부가 고정부재(17)의 열린구멍(22)내에 삽입되고, 이 기단부에 끼워맞춤하여 용접된 연결부재로서 고정링(29)이 고정부재(17)에 용접되어 있다. 그에따라 각 플레이트지지부재(11)는 기단부가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7),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설치는 이하의 공정으로 행한다. 우선 고정치구등을 이용하여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의 소정위치로 고정부재(17)를 위치결정하고, 그 둘레가장자리부에 리어플레이트(3)에 대한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프릿유리(23)를 부풀어오르도록 도포하고, 약 450℃에서 소성하여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고정부재(17)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별도의 고정지그(Gig)를 이용하여 마스크지지부재(18)를 열린구멍(21)내에 위치결정한후, 기단부(18a)를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밀접하게 하여 판 스프링(26)를 고정부재(17) 및 지지부재(18)에 용접한다. 또한 플레이트지지부재(11)에 고정링(29)을 끼워맞추고, 별도의 고정치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열린구멍(22)내에 위치결정한다. 이어서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기단부를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용접한 상태에서 고정링(29)을 플레이트지지부재(11)에, 또한 고정링(29)을 고정부재(17)에 용접함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스크지지부재(18)를 고정부재(17)의 열린구멍에 위치결정하고, 판스프링(26)으로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밀접하게 하는 구조이지만, 본래 마스크지지부재(18)는 높이(Z방향)의 정밀도가 중요하고, 배치위치정밀도(X, Y방향)는 비교적 여유있다. 따라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지지부재(18)의 기단부(18a)를 고정부재(17)의 열린구멍(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열린구멍(21)의 한측으로 기울고, 직접 고정부재(18)에 용접하여 고정해도 좋다. 용접시, 용접재료(36)가 수축할 때, 기단부(18a)가 리어플레이트(3)에서 떠오르는 일이 없도록 마스크지지부재(18)를 상부에서 누르면서 용접을 하는 쪽이 좋다. 또한 용접부위는 구조 및 정밀도가 허락되면, 기단부(18a)의 양측에서 복수개소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칼라음극선관의 제조는, 상기와 같이 리어플레이트(3)에 고정부재(17),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설치한후, 그 마스크지지부재(18)의 지지부(18b)에 각 분할마스크 M1~M5를 설치한다. 그리고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7), 마스크지지부재(18)를 통하여 각 분할마스크 M1~M5가 설치되고, 또한 고정부재(17)를 통하여 플레이트 지지수단(11)이 설치된 리어플레이트(3), 측벽(2)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측벽조각, 내면에 형광체스크린(8)이 형성된 페이스플레이트(1) 및 넥크(12)내에 전자총(13)이 봉지된 복수개의 퍼넬(4)을 소정의 관계로 위치결정하고, 이들을 프릿(frit)재 유리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다. 그후 이 일체로 조립된 외관용기(5)를 배기함에 의해 칼라음극선관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따르면,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17)에 열린구멍(21), (22)을 설치하고, 이 고정부재(17)를 리어플레이트(3)에 고정하고, 이 고정부재(17)의 열린구멍(21), (22)를 통하여 리어플레이트(3)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마스크지지부재(18) 및 플레이트지지부재(11)를 고정부재(17)에 고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새도우마스크(9)를 소정의 위치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형광체스크린(8)과 새도우마스크(9) 사이의 간격(q값)을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리어플레이트(3)에서의 높이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이 고정부재위에 마스크지지부재와 플레이트지지부재를 쌓아올리도록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고정부재의 판두께, 젖힘, 변형, 리어플레이트내면과의 사이로 프릿유리가 개입됨에 의한 고정부재의 높이의 불균일과 경사가 발생하고, 이 고정부재위에 고정된 마스크지지부재와 플레이트지지부재의 높이에서, 이들 각 부재의 가공정밀도이상의 불균일이 발생했었다. 그렇지만, 상기한 본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마스크지지부재(18)와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높이는 각 부재(18), (11)의 가공정밀도로 결정하고, 매우 높은 정밀도로 각 분할마스크 M1~M5를 설치할 수 있고, q 값을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결과 색번짐, 인접영역과의 중복과 간격이 없는 칼라화상을 재생하는 칼라음극선관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지지부재(11)의 높이도 충분한 정밀도로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페이스플레이트(1)와 리어플레이트(3)에 가해지는 대기압하중을 복수의 플레이트지지부재에 의해 균일하게 지지하여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과 진동에 강하고, 대기압의 내성에 대해서 신뢰성이 높은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마스크지지부재의 형상을 단면U자형상의 것으로 했지만, 리어플레이트내면에 마스크지지부재가 밀접하는 적당한 면적을 갖게하면 마스크지지부재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면U자형상의 것보다도 가공정밀도와 설치의 수고로움이 들지 않는 평편한 판상의 마스크지지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마스크지지부재를 설치하는 열린구멍을 각진형상으로 열린구멍과, 또한 플레이트지지부재를 설치하는 열린구멍을 원형열린구멍으로 고정부재에 형성했지만, 마스크지지부재 및 플레이트지지부재가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하여 설치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마스크지지부재 및 플레이트지지부재의 고정용의 열린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면, 이들의 열린구멍의 형상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린구멍을 대신하여 절개로해도 좋다. 또한 고정부재는 마스크지지부재만 고정하는 것과 플레이트지지부재만 고정하는 것을 별도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마스크지지부재만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플레이트지지부재만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형상도 마찬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마스크지지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는 제10a 도내지 10c에서 나타낸 3종류의 형상중 어느것이라도 좋다. 제10a도에 나타낸 고정부재(17)는 십자형상의 열린구멍(21)을, 제10b도에 나타낸 고정부재(17)는 직선형상의 열린구멍(21)을 각각 갖고, 제10c도에 나타낸 고정부재(17)는 직선형상의 열린구멍(21)을 경계로 2분할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사선부분은 마스크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열린구멍(21))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와 평탄한 리어플레이트를 갖는 다른 구조의 칼라음극선관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들면 평탄한 새도우마스크의 지지부재로서 2종류의 마스크지지부재를 이용하고, 그 제1의 마스크지지부재에 의해 새도우마스크에 장력을 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제2의 마스크지지부재에 의해 그 새도우마스크와 형광체스크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도 그 제1, 제2마스크지지부재를 각각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리어플레이트레 고정된 고정부재에 설치함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어플레이트측에 마스크지지부재를 고정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마스크지지부재는 페이스플레이트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6)

  1.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페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거의 평행으로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평탄한 리어플레이트를 갖는 진공외관용기와,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스크린과: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내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상기 외관용기내에 설치된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새도우마스크를 형광체스크린과 소정간격 떨어져 대향하도록 지지한 마스크지지수단과,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대기압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지지수단 및 플레이트지지수단은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형광체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빔방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열린구멍을 갖고, 상기 마스크지지수단은 상기 열린구멍을 통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 내면에 밀접한 단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구멍은 상기 마스크지지수단의 단부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열린구멍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지지수단은 상기열린구멍을 통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 내면에 밀접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구멍은 상기 플레이트지지수단의 단부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지지수단을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및 마스크지지수단에 고정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마스크지지수단 및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지지수단을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지지부재의 단부에 끼워맞춰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링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지지수단 및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지지수단은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지지수단은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도포된 프릿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열린구멍을 갖고, 상기 마스크지지수단 및 플레이트지지수단은 상기 열린구멍을 통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 내면에 밀접하는 단부를 각각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940017071A 1993-07-13 1994-07-13 칼라음극선관 KR0135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2899 1993-07-13
JP17289993 1993-07-13
JP12938494A JP3360939B2 (ja) 1993-07-13 1994-06-13 カラー受像管
JP94-129384 1994-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319A KR950004319A (ko) 1995-02-17
KR0135043B1 true KR0135043B1 (ko) 1998-04-20

Family

ID=2646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071A KR0135043B1 (ko) 1993-07-13 1994-07-13 칼라음극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04395A (ko)
EP (1) EP0634774B1 (ko)
JP (1) JP3360939B2 (ko)
KR (1) KR0135043B1 (ko)
CN (1) CN1059513C (ko)
DE (1) DE69414769T2 (ko)
TW (1) TW3265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4282B1 (en) * 1995-01-27 2002-04-17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ray tube
KR100648712B1 (ko) * 2000-01-03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1706A (en) * 1956-11-21 1963-01-01 Waldorf Adrian Plural beam cathode ray tube
JPS4890428A (ko) * 1972-02-29 1973-11-26
JPS62147635A (ja) * 1985-12-20 1987-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H02158544A (ja) * 1988-12-09 1990-06-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108468B2 (ja) * 1990-08-16 2000-11-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3253710B2 (ja) * 1991-12-26 2002-02-04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DE69224721T2 (de) * 1991-12-26 1998-10-15 Toshiba Kawasaki Kk Kathodenstrahlröhre in den eine Merhzahl von Leuchtschirmgebieten unabhängig voneinander abgetastet wer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60939B2 (ja) 2003-01-07
DE69414769D1 (de) 1999-01-07
US5604395A (en) 1997-02-18
TW326544B (en) 1998-02-11
EP0634774A1 (en) 1995-01-18
CN1103993A (zh) 1995-06-21
EP0634774B1 (en) 1998-11-25
JPH0778571A (ja) 1995-03-20
CN1059513C (zh) 2000-12-13
DE69414769T2 (de) 1999-05-27
KR950004319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6467A (en)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365142A (en) Cathode-ray tube wherein plural regions of phosphor screen are scann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EP0724282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0135043B1 (ko) 칼라음극선관
US49637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hadow mask
JP3222640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208198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3253710B2 (ja) 陰極線管
JP3316044B2 (ja) カラー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178943B2 (ja) 受像管装置
JP3264964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EP067786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H0794108A (ja) カラー受像管
JPH09134684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57623A (ja)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JPH11204063A (ja) 陰極線管
JPH0794109A (ja) カラー受像管
JPH11317180A (ja) 陰極線管
JPH06187928A (ja) 陰極線管
JPH08264136A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7534A (ja) カラー受像管
JPH0757663A (ja) 陰極線管
JP2004047156A (ja) 陰極線管装置
JPH11297244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729501A (ja) 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