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588B1 - 칼라 표시관 - Google Patents

칼라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588B1
KR850001588B1 KR1019810002551A KR810002551A KR850001588B1 KR 850001588 B1 KR850001588 B1 KR 850001588B1 KR 1019810002551 A KR1019810002551 A KR 1019810002551A KR 810002551 A KR810002551 A KR 810002551A KR 850001588 B1 KR850001588 B1 KR 85000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lastic element
color selection
selection electrode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800A (ko
Inventor
하. 엔. 지즈라드 요하네스
아. 엠. 판 림트 알버투스
에스. 아. 페스티겐 헨드릭
야. 판 데어 기어 요세푸스
야. 엠. 판데어 아보트 헨리쿠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삭커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3000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표시관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의 부분적인 면단도.
제 2도는 제 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지지된 칼라 선택 전극의 분해 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선 Ⅲ-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칼라 선택 전극을 지지하는 방법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a도는 내부의 원추형 차폐 캡의 모서리 투시도.
제5b도는 표시관내에 있는 차폐캡의 지지를 도시한 도면.
제5c도는 차폐캡의 지지를 위한 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직립연부가 형성된 거의 장방형인 표시창을 가진 엔벨로프와, 다수의 개구를 가진 거의 장방형의 칼라 선택 전극을 구비하는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상기의 칼라 선택 전극에 한쪽단부가 연결된 평평한 탄성소자를 구비하는 지지수단에 의해 칼라선택 전극이 표시창의 모서리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 소자가 상기 연관된 표시창의 모서리 방향으로 편향된 전자범에 대해 거의 수직인 칼라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칼라 표시관은 미합중국 특허 제3,986,071호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표시관에 있어서, 2개의 금속핀은 표시창의 각 직립연부 모서리에서 고착되어 표시관의 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스프링은 칼라 선택 전극으로 부터 반대쪽에 있는 평평한 탄성소자의 단부에 접속된다. 고정 스프링에는 2개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 선택 전극은 노치를 가진 고정스프링을 핀상에 미끄러지도록 하여 표시창에서 지지가되게 하며, 상기 노치는 핀과 결합한다. 표시관이 충격 또는 진동을 받는 경우, 고정 스프링이 핀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스프링의 큰 고정 압력을 필요로 한다. 상기 큰 고정 압력은 핀에 의해 유리로 전달되기 때문에 유리가 응력을 받는다. 상기는 표시관을 제조할 때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열처리 동안 표시관의 파손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표시관에 있어서, 칼라선택 전극을 표시창내에서 분해하기도 하고 재조립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에 고정스프링이 핀상에 정확히 동일한 위치에 다시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칼라 선택 전극의 제조립 정밀도가 낮아진다. 여기서 제조립 정밀도란 칼라 선택 전극이 분해되고 다시 조립할 때마다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분해 및 조립은 표시창상의 표시 스크린을 사진 제판술에 의해 제조하는 동안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과정동안 파손의 가능성이 감소되도록 칼라 표시관에서 칼라 선택 전극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선택 전극을 조립하는 데 있어서 높은 제조립 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칼라선택 전극을 칼라 표시관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선택 전극이 칼라 표시관의 충격 및 진동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칼라선택 전극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선택 전극의 지지에 적합한 원추형 내부 차폐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된 종류인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칼라 선택 전극의 반대편에 있는 평평한 탄성 소자의 단부는 개구를 구비하며, 그리고 핀이 표시창의 직립연부 모서리에서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핀은 평평한 탄성소자의 평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창의 직립연부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상기 핀의 자유단에는 원추형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원추형 부분은 평평한 탄성 소자에 있는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평한 탄성소자 각각은 연관된 모서리 쪽으로 편향된 전자 빔에 거의 수직이다. 상기 평평한 탄성 소자의 탄성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할때, 상기 위치의 평평한 탄성 소자를 갖는 칼라선택 전극은 표시창쪽으로 이동한다. 실제로 높은 온도에서는 양호한 색 선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칼라 선택 전극과 표시창 사이에는 약간의 거리가 필요하다. 칼라 선택 전극은 평평한 탄성 소자의 개구를 핀의 원추형 부분상에 배치하여 표시관에서 지지된다. 각각의 핀은 핀의 원추형 부분이 평평한 탄성소자의 평면과 수직이 되도록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핀의 원추형 부분은 평평한 탄성소자의 개구를 통해 항상같은 정도로 돌출한다.
또한, 핀의 상기 원추형 부분으로 인해 칼라 선택 전극은 간단히 분해되고. 제조립될 수 있다. 상기 평평한 탄성 소자는 핀에 아주 작은 압력을 가하므로 표시관을 파괴시킬 수 있는 정도의 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칼라 선택 전극이 팽창할 때 상기 칼라 선택 전극은 표시창 쪽으로 이동하게 하는 스트립형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칼라 표시관이 네델란드왕국 특허원 제6610027호에 공지되어 있다. 스트립형 지지부재는 표시창의 직립 연부내에 연결된 맨드릴상에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표시관에서 칼라 선택 전극은 칼라 선택 전극의 모서리에서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장방형 변의 중심에서 지지된다. 또한, 표시관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칼라 선택 전극이 잘 견디도록 하기 위해 스트립형 지지부재가 맨드릴에 큰 고정압력을 가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관의 경우에서와 같이 칼라선택 전극이 강체지지 프레임을 갖지 않은 칼라 표시관에서, 칼라 표시관이 제조되는 동안 행하여지는 통상 처리 온도에서 칼라 선택 전극의 변형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평평한 탄성 소자는 아주 작은 압력으로 핀과 결합된다. 표시관이 충격을 받는 경우 상기 탄성 소자가 핀으로 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예를들어 유리에나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레이저 용접 또는 다른 무접촉 용접에 의해 핀의 원추형 부분한 평평한 탄성 소자의 연부에 접촉된다.
평평한 탄성소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핀의 자유단에는 맨드릴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맨드릴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맨드릴의 원추형 부분상에는 판이 제공되고, 상기 판은 평평한 탄성 소자에 있는 개구보다 약간 작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판은 핀측의 맨드릴 단부 후방에서 판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원추형 부분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판에 있는 개구는 평평한 탄성자에 있는 개구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상기 판은 평평한 탄성 소자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유지된다. 표시관이 충격을 받을 경우, 판은 칼라선택 전극이 받는 움직임을 위한 차단기 역활을 한다. 원추형 부분 상에서 판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는 평평한 탄성 소자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충격을 받을 경우 평평한 탄성 소자가 변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평평한 탄성 소자에 있는 개구는 삼각형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핀의 원추형 부분은 평평한 소자에 있는 개구의 벽과 원래의 위치에 재조립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평평한 탄성소자는 슬롯형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슬롯형 개구는 평평한 탄성소자에 접속된 삼각형 개구를 갖는 판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히게 된다. 평평한 탄성소자에 있는 개구의 위치는 삽압되는 핀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원칙적으로 삼각형 개구를 가진 3개의 평평한 탄성소자가 구비되어 핀상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 4탄성 소자의 위치가 고정이 된다. 제 4탄성 소자에 있는 개구가 제 4핀의 위치에 맞아지도록 하기 위해, 제 4평평한 탄성 소자는 슬롯형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삼각형 개구를 가진 판은 개구의 위치가 제 4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 4탄성 소자에 접속이 된다. 또한 3개 또는 모든 평평한 탄성 소자는 슬롯형 개구를 가지며 삼각형 개구를 가진 판이 접속된다. 그 결과, 대각선상으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평평한 탄성 소자는 항상 동일한 압력으로 핀과 결합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관은 원추형 내부 차폐캡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차폐캡은 각 모서리에서 지지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소자는 평평한 탄성 소자의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은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핀의 자유단에는 지지소자에 있는 구멍과 서로 작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관에 있어서, 내부 차폐캡은 통상적으로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자장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폐캡은 상기 수단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차폐캡은 칼라 선택 전극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핀에 고정된다. 그 결과 표시관의 진동 및 충격을 받을 경우, 차폐캡은 칼라 선택 전극의 평평한 탄성소자를 변형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제 2원추형 부분이 제 1원추형 부분보다 곡율이 더 크고, 상기 제 2원추형 부분은 차폐캡의 지지소자에 있는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에 제 2원추형 부분을 제공하며, 차폐캡을 위한 지지위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얻어진다. 차폐캡이 지지되는 제 2원추형 부분은 칼라 선택 전극이 지지되는 제 1원추형 부분보다 큰 곡율을 갖기 때문에 차폐캡은 칼라 선택 전극으로 부터 거리를 두고 고정된다. 맨드릴의 제 2원추형 부분이 차폐캡의 지지소자에 있는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소자에 있는 개구는 아주 정밀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차폐캡 지지소자는 원형 개구를 구비하며, 그리고 2개의 다른 지지소자는 슬롯형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형 개구를 구비한 지지소자를 가진 차폐갭이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맨드릴의 제 2원추형 부분에 배치될 때, 다른 2개의 지지소자에 있는 개구의 위치가 고정이된다. 상기 개구의 위치는 핀의 위치에 대응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개구는 슬롯형 개구로 만들어진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핀의 자유단에는 맨드릴을 구비하며, 상기 맨드릴은 원추형 부분과 상기 수단을 구비하고, 차폐갭의 지지소자는 핀측의 맨드릴 단부 후방에서 지지소자를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맨드릴의 수단위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차폐캡을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 부재는 평평한 탄성 소자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이 탄성 소자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폐갭의 각 모서리에 있는 지지 소자는 평평한 탄성 소자가 받을수 있는 움직임에 대한 차단기를 형성하여 핀으로 부터 평평한 탄성 소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소자의 개구 연부는 예를들어 유리에 나멜접착제 또는 용접등을 이용하여 접속이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은 직립연부(3), 원추부분(4), 목부분(5)을 구비하는 거의 장방형 표시창(2)을 가진 유리 엔벨로프로(1)로 형성된다. 상기 표시창(2)에는 적, 녹, 청을 발광하는 형광체 패턴이 제공되어 있다. 표시창(2)으로 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다수의 개구를 가진 칼라 선택 전극(7)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지지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3개의 전자빔(10,11,12)을 발생하는 전자총(9)이 상기 표시관의 목부분(5)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빔은 편향코일 시스템(13)의 수단에 의해 편향되며 칼라 선택 전극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된 다음, 각 전자빔은 표시 스크린상에 제공된 3개의 형광체중의 하나에 충돌된다.
제 2도는 표시창의 모서리 분해 투시도이다. 칼라 선택 전극(7)은 다수개구(22)와 직립연부(21)를 구비한 박형 마스크판(20)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링(23)은 직립연부(21)에 접속되며, 전자빔이 직립연부(21)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마스크판(20)과 마스크링(23) 사이에 팽창차를 방지하기 위해 같은 재질로 제조되며, 두께도 거의 같다. 지지스트립(24)은 마스크링(23)의 모서리에 접속된다. 평평한 탄성소자(25)는 상기 지지스트립(24)에 접속된다. 평평한 탄성소자(25)는 표시창의 모서리 쪽에 편향된 전자빔에 거의 수직인 형태로 표시관의 종축과 각도를 이룬다.
탄성소자(25)의 자유단에는 슬롯형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는 삼각형 개구를 가진 판(27)에의해 부분적으로 덮히며, 상기 판(27)은 탄성소자(25)에 접속된다. 판(27)의 기능은 다음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금속핀(30)은 표시창(2)의 직립연부(3)의 모서리에서 고착된다. 핀(30)은 탄성소자(25)의 평면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직립연부(3)와 각도를 이룬다. 핀(30)의 자유단에는 원추형 부분(32)을 가진 맨드릴(31)이 구비되어 있다. 칼라 선택 전극(7)은 개구(28)를 가진 탄성소자(25)를 맨드릴(31)의 원추형 부분에 배치하여 표시창내에서 지지된다. 원추형 부분(32)은 3지점에서 개구(28)의 벽과 결합한다.
판(27)의 기능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표시관의 제조방법에 연관된 것이다. 핀(30)은 직립연부(3)의 모서리에서 삽입된다. 다음 모서리에 탄성소자(25)가 미리 접속된 마스크링(23)을 표시창(2)내에 설치한다. 상기 설치는 삼각형개구(28)를 가진 판(27)이 삽입된 맨드릴(31) 상에 슬롯형 개구(26)의 평평한 탄성소자(2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에서 판(27)은 탄성소자(25)에 연결된다. 그 결과 개구(28)의 위치가맨드릴(31)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된다. 삼각형 개구(28)가 직접 평평한 탄성소자(25)에 제공되었을때, 개구와 맨드릴의 위치 차이 때문에 칼라 선택 전극의 변형이 생길수 있다. 원칙적으로 하나의 평평한 탄성소자(25)는 슬롯형 개구(26)가 구비되고, 그 위에 개구(28)를 가진 판(27)이 접속된다. 삼각형 개구를 가지며,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평평한 탄성 소자는 연관된 맨드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평평한 탄성소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 3탄성 소자에 있는 삼각형 개구를 연관된 맨드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4평평한 탄성소자를 위한 삼각형 개구의 위치는 고정이 된다. 삼각형 개구를 가진 별개의 판을 이용하여, 제 4탄성소자를 위한 장방형 개구의 위치는 제 4맨드릴의 위치에 맞도록 구비된다. 대각선 상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개의 평평한 탄성소자가 핀의 맨드릴과 동일한 고정압력으로 결합되기 위해, 슬롯형 개구를 가진 2개의 평평한 탄성 소자는 삼각형 개구를 가진 판위에 접속이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평평한 탄성소자는 제조상의 기술문제 때문에 슬롯형 개구와 삼각형 개구를 갖는다.
평평한 탄성소자(25)를 가진 마스크링(23)을 상술된 방법으로 맨드릴(31)상에 배치한 다음 마스크판(20)은 스페이서 지그(spacer jig)가 설치된 표시창내에 배치되고. 그 다음 마스크링(23)이 직립연부(21)에 용접된다.
제 3도는 제 2도의 선Ⅲ-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서, 칼라 선택 전극이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평평한 탄성소자(25)는 표시창의 모서리 쪽으로 편향된 전자빔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칼라 선택전극(7)에 접속이 된다. 탄성소자(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칼라선택 전극(7)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표시창(2) 방향으로 이동한다. 칼라선택전극(7)이 높은 온도에서는 팽창하기 때문에, 선명한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칼라 선택 전극과 표시창(2)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필요한다. 칼라 선택 전극(7)이 중심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열팽창의 경우에도 칼라선택 전극의 회전이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영상의 페이딩이 생기지 않는다.
평평한 탄성소자(25)는 아주 작은 압력으로 맨드릴(31)과 결합한다. 충격 또는 진동을 받을 경우 탄성소자(25)가 맨드릴(31)로 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추형 부분(32)을 개구(28)의 연부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은 예를들어 유리에나멜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레이저 용접 또는 무접촉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재에 의해탄성소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것에 대해서는 제4a도 및 제4b도를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a도는 표시창의 대각선을 따라 절취한 표시창의 모서리 부분 단면도이다. 제 2도 및 제 3도와 같은 부품은 동일한 참고번호로 기재되어 있다. 탄성소자(25)에 있는 개구보다 작은 개구를 가진 판(40)이 맨드릴의 원추형부분(32)에 제공되어 상기판은 탄성소자(25)로 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맨드릴(31)의 원추형 부분(32) 길이는 칼라 선택 전극이 평시창내에서 분해되고 다시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한된다. 판이 평평한 탄성조자(25)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40)에 있는 개구는 소정의 칫수를 정확하게 충족시켜야 한다. 판(40)은 고정부재(50)에 의해 원추형 부분(32)상에서 고정이 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제4b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재(50)는 U형부재로 이루어진다. 슬롯형 개구(5)는 부재(51)의 림(52)에 설치된다. 굴곡형 탄성스트립(55)은 다른 림에 접속이 된다. 상기 스트립(55)을 누르면, 두 단부(56)는 노치(57)를 따라 림(54)안쪽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판(40)은 스트립(55)의 단부(56)에 의해 원추형 부분(32)상에서 고정이 된다. 슬롯형 개구(53)는 맨드릴(31)의 확장부와 결합한다. 표시관이 충격을 받는 경우 평평한 탄성소자(25)의 이동은 고정부재(50)를 가진 판(40)에 의해 제한이 되며, 판(40)이 없으면, 고정부재(50)는 압력을 평평한 탄성소자(25)에 전달한다.
제5a도는 전자빔을 지구 자기장으로 부터 차단시키기 위해 표시관에서 자주 사용되는 원추형 내부 차폐갭(60)의 모서리 부분 투시도이다. 차폐갭(60)은 조립된 상태에서 칼라 선택전극의 차폐벽을 부분적으로 덮는 플랜지(61)를 상기 갭의 장방형 변 상에서 구비한다. 지지소자(62)는 차폐갭(60)의 모서리에접 속이된다. 지지소자(62)는 칼라 선택 전극이 표시창의 모서리에서 접속이 되었을때 평평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굴곡부(63)를 구비한다. 굴곡부(63)는 개구(64)를 가지어 표시창내에서 차폐갭(60)이 지지된다.
제5b도는 조립된 상태에서 차폐갭의 대각선을 따라 절취한 표시장치의 모서리 단면도이다. 핀(71)은 표시창의 직립연부(70) 모서리에 고착되어 있으며, 제 1원추형부분(73) 제 2원추형 부분(74), 구비한 맨드릴(72)을 갖는다. 평평한 탄성소자(75)는 판(76)과 함께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제 1원형부분(72) 상에 제공되어있으며, 상기판(76)에 칼라 선택전극이 지지된다. 개구(64)를 가진 차폐갭(60)의 지지소자(62)는 제 2원추형 부분(74)에 배치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차폐갭(60)은 평평한 탄성소자(75)상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충격을 받을 게우에도 맨드릴을 지나 탄성소자(75)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맨드릴(72)의 길이는 칼라 선택 전극(77)의 분해와, 조립에 필요한 공간과 연관이 되므로 제한이 된다. 차폐캡의 지지소자(62)에 있는 개구가 아주 정밀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는 사실도 장점이 된다.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지지소자(62)는 원형개구(64)를 갖는다. 2개의 다른 지지소자(62)는 슬롯형개구(64)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개구는 연관된 맨드릴의 위치에 일치된다.
제 1원추형 부분(73)보다 큰 곡율을 가진 제 2원추형부분(74)을 가진 맨드릴(72)을 제공하면, 상기 조건은 간단한 방법으로 만족이 된다. 차폐캡(60)의 지지는 제 2원추형 부분(74)의 큰곡율 때문에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개구(64)의 중심은 지지소자의 중심과 일치되기 때문이다. 표시관이 충격이나 진동을 받을 경우 차폐캡(60)의 이탈은 평평한 탄성소자(75)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제 2원추형부분(74) 상에서 지지소자(6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8)에 의해 방지된다. 고정 부재(78)는 제4b도에 도시된 고정부재와 유사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생된 구조의 고정부재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된 여러가지 목적을 달성시키기위해 다양한 고정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차폐캡(6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관이 충격 또는 진동을 받을 경우 평평한 탄성소자(75)가 맨드릴(72)을 따라 미끄러저 내려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5c도는 차폐캡을 지지하는 핀의 다른 실시예이다. 핀(80)은 역시 칼라 선택전극지지를 위한 원추형부분(81)을 갖는다. 핀(82)은 원추형부분(81)에 제공되며, 지지소자는 핀(82) 상에서 개구에 의해 연결이 된다.
핀으로 부터 차폐캡이 빠지는 것은 고정부재에 의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지지소자에 있는 개구의 연부를 핀상의 연부에 접속하여 방지된다. 상기의 접속은 예를들어 유리에나멜, 접착제 또는 몇군데에 레이저용접 또는 다른 무접촉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Claims (1)

  1. 직립연부(3,70)가 설치된 거의 장방형 표시창(2)을 가지 엔벨로프와, 다수의 개구(22)를 가진 거의 장방형인 칼라 선택 전극(20,77)을 구비하며, 상기 칼라 선택 전극의 한 단부에 접속된 평평한 탄성소자(25,75)에 의해 표시창(2)의 모서리에서 지지되고, 상기 소자는 표시관의 연관된 모서리 쪽으로 편향된 전자빔에 거의 수직인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탄성소자의 단부중 칼라선택 전극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는 개구(28)를 구비하며, 그리고 핀(30,71)은 표시창의 직립연부(3,70) 모서리에서 고착되어 있고, 상기 핀은 평평한 탄성소자(25,75)의 평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표시창의 직립 연부와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핀의 자유단에는 원추형 부분(31,32,73,74)을 가지며, 상기 원추형 부분은 평평한 탄성소자(25,75)에 있는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관시관.
KR1019810002551A 1980-07-21 1981-07-14 칼라 표시관 KR850001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004173A NL8004173A (nl) 1980-07-21 1980-07-21 Kleurenbeeldbuis.
NL8004173 1980-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800A KR830006800A (ko) 1983-10-06
KR850001588B1 true KR850001588B1 (ko) 1985-10-19

Family

ID=1983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551A KR850001588B1 (ko) 1980-07-21 1981-07-14 칼라 표시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387321A (ko)
JP (1) JPS5753048A (ko)
KR (1) KR850001588B1 (ko)
BR (1) BR8104666A (ko)
CA (1) CA1178642A (ko)
DE (1) DE3125095A1 (ko)
FR (1) FR2487118A1 (ko)
GB (1) GB2081001B (ko)
NL (1) NL80041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003611A (nl) * 1980-06-23 1982-01-18 Philips Nv Kleurentelevisiebeeldbuis.
NL8102182A (nl) * 1981-05-04 1982-12-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S6015241Y2 (ja) * 1983-05-31 1985-05-14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の電子ビーム到達位置選別手段の取付け装置
NL8304179A (nl) * 1983-12-06 1985-07-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en weergeef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kleurenbeeldbuis.
DE3411330A1 (de) * 1984-03-28 1985-10-1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arbbildroehre
US4599533A (en) * 1984-05-15 1986-07-08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shadow mask frame with truncated corners
DE3435891A1 (de) * 1984-09-29 1986-04-1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arbbildroehre
DE3533564A1 (de) * 1985-09-20 1987-03-2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arbbildroehre
JP2577361B2 (ja) * 1985-09-25 1997-01-29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DE3606469A1 (de) * 1986-02-28 1987-09-03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arbbildroehre
NL8600832A (nl) * 1986-04-02 1987-11-02 Philips Nv Kleurenbeeldbuis.
US4798992A (en) * 1986-05-14 1989-01-17 Sony Corporation Color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beam selection mask support structure
US4755713A (en) * 1986-08-29 1988-07-05 Gte Products Corporation Article supporting stud and CRT face panel employing same
US4812705A (en) * 1986-08-29 1989-03-14 Gte Products Corporation Article supporting stud and CRT face panel employing same
NL8700984A (nl) * 1987-04-27 1988-11-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samengesteld ophangmiddel voor kleurselektie elektrode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kleurenbeeldbuis.
NL8702993A (nl) * 1987-12-11 1989-07-03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2965254B2 (ja) * 1988-01-22 1999-10-18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NL8800883A (nl) * 1988-04-07 1988-06-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zulk een kleurenbeeldbuis.
JPH0254835A (ja) * 1988-08-18 1990-02-23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US5982085A (en) * 1997-12-23 1999-11-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shadow mask mounting system
JP2003532984A (ja) * 2000-05-02 2003-1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色選択電極の改善した懸垂を行なうカラーディスプレイ管
WO2001086686A1 (en) * 2000-05-11 2001-1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display tube with improved suspension of the colour selection electrode
SG98404A1 (en) * 2000-06-01 2003-09-19 Sony Electronics Singapore Pte A magnetic shield for a cathode ray tube
EP1512163A1 (en) * 2002-05-24 2005-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stackable internal magnetic shield
WO2003100809A1 (en) * 2002-05-24 2003-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nal magnetic shield for c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2063A (en) * 1956-11-07 1960-01-19 Sylvania Electric Prod Target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s
US3335479A (en) * 1964-06-12 1967-08-15 Rca Corp Method of fabricating and processing cathode ray tubes
US3330980A (en) * 1965-07-16 1967-07-11 Rca Corp Shadow mask mounted with bi-metallic sections connected by expansible loop
NL6616317A (ko) * 1966-11-19 1968-05-20
NL7316388A (nl) * 1973-11-30 1975-06-03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voor het weergeven van ge- kleurde beelden.
US3999098A (en) * 1975-08-12 1976-12-21 Zenith Radio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US3986072A (en) * 1975-08-12 1976-10-12 Zenith Radio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NL7510970A (nl) * 1975-09-18 1977-03-22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US4164682A (en) * 1976-01-05 1979-08-14 Zenith Radio Corporation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having bracket means integrally formed from the shadow mask assembly
JPS5857857B2 (ja) * 1976-06-30 1983-1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受像管
JPS5927065B2 (ja) * 1977-02-28 1984-07-03 株式会社東芝 カラ−陰極線管
CA1139348A (en) * 1979-03-26 1983-01-11 Lawrence W. Dougherty Shadow mask suspension springs for color cathode ray picture tubes
US4300071A (en) * 1979-12-10 1981-11-10 Zenith Radio Corporation Four-corner shadow mask suspension system for television cathode ray tu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87118B1 (ko) 1985-04-05
CA1178642A (en) 1984-11-27
BR8104666A (pt) 1982-04-06
US4387321A (en) 1983-06-07
KR830006800A (ko) 1983-10-06
JPS5753048A (en) 1982-03-29
GB2081001B (en) 1984-08-30
GB2081001A (en) 1982-02-10
FR2487118A1 (fr) 1982-01-22
DE3125095C2 (ko) 1990-12-06
NL8004173A (nl) 1982-02-16
JPH047058B2 (ko) 1992-02-07
DE3125095A1 (de) 198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588B1 (ko) 칼라 표시관
JPH0381255B2 (ko)
EP032520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4916357A (en) Shadow mask assembly of a color cathode ray tube
US3936691A (en) Color cathode ray tube frame-color selection electrode support structure
EP035589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ur display tube
US4605878A (en)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 beam landing position selecting mask of a color cathode ray tube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KR10032206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446084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compensating support for a mask-frame assembly
JP4037364B2 (ja) ディテンショニングマスク支持フレームを有する陰極線管
KR0135043B1 (ko) 칼라음극선관
EP0500312A1 (en) Shadow mask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900002901B1 (ko) 컬러 수상관
EP0635863B1 (e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KR100385211B1 (ko)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EP029665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ray tube and a cathode-ray tube manufacture by means of such a method
KR100261123B1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100360503B1 (ko) 확장된 유효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음극선관
KR200261886Y1 (ko) 칼러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625963B1 (ko) 텐션형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채용한 음극선관
US6239544B1 (en) Flat-typ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insulating positioning members
KR20000054916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