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211B1 -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211B1
KR100385211B1 KR10-1999-0025813A KR19990025813A KR100385211B1 KR 100385211 B1 KR100385211 B1 KR 100385211B1 KR 19990025813 A KR19990025813 A KR 19990025813A KR 100385211 B1 KR100385211 B1 KR 10038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elastic member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028A (ko
Inventor
김완
김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21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형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되며 측면에 스터드 핀들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며 프레임에 고정된 훅스프링과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어 패널의 내부에 고정된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에 각각 전자총과 편향요오크가 설치된 펀넬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훅 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의 탄성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훅 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Hook-spring and flat CRT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면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널내의 훅 스프링과 결합되어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패널의 내부에 장착하는 훅 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스크린면은 전자빔의 편향궤적과, 전자의 자유공간 내의 진공을 감안하여 소정의 곡율을 갖도록 향성된다. 이러한 곡율을 가진 스크린면은 이의 가장자리에서 화상을 왜곡을 유발시키게 되며 시청자의 시야각을 좁히게 된다.
이점을 감안하여 패널의 스크린면을 평면화하여 넓은 시야각의 확보와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음극선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색선별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크도 평면을 유지한다.
도 1에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스크린면(11)을 가지는 패널(10)의 내면에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20)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10)은 콘부(31)와 네크부(32)을 가지는 펀넬(30)과 봉착된다. 상기 펀넬(30)의 콘부(31)에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오크(40)이 설치되고, 상기 네크부(32)의 내부에는 전자총(50)이 봉입된다.
상기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서포트 부재(21)(22)와, 상기 서포트 부재(21)(22)를 상호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3)(24)들을 구비하는 프레임(25)과, 서포트 부재(21)(22)에 장력이 가하여지도록 장변부측이 용접되는 것으로, 박판상의 본체에 다수의 스트립(strips; 26)이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스트라이프 상의 슬릿(slits; 27)이 형성된 평판형 텐션마스크(2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5)의 서포트 부재(21)(22)와 탄성부재(23)(24)에는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 핀(12)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훅스프링이 (29)고정된다. 이 훅 스프링(29)은 상기 서포트 부재 또는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홀더(29a)와, 이 홀더(29a)와 결합되며 단부에 스터드 핀(12)과 결합되는 결합공(29c)이 형성된 스프링(29b)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면형 음극선관은 전자총(5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평면형 음극선관의 프레임(25)은 텐션마스크(28)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빔의 편향에 따른 간섭이 커지게 되어 유효화면을 크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패널(10)의 내면에 지지시키는 훅 스프핑(29)은 서포트부재(21)(22) 또는 탄성부재(23)(24)에 훌더(29a)가 고정되고 이 홀더(29a)에 스프링(29b)이 장착된 상태이므로 패널(10)의 내측면과 서포트 부재(21)(22)와 탄성부재(23)(24)와의 간격이 넓어져 유효화면을 크게 할 수 없는 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서포트 부재 및 탄성부재와 패널 내면 사이의 간격을 좁혀 유효화면을 넓힐 수 있는 훅 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평면형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탄성부재에 훅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훅 스프링은 텐션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기부와, 이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결합공이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훅스프링의 기부는 프레임을 이루는 탄성부재의 하면에 고정시 탄성부재의 열팽창계수가 기부의 열팽창계수 보다 크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에 고정시 탄성부재의 열팽창계수가 기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평면형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형성되며 측면에 스터드 핀들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며 프레임에 고정된 훅스프링과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어 패널의 내부에 고정된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에 각각 전자총과 편향요오크가 설치된 펀넬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훅 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의 탄성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테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채용한 평면형 음극선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형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평면상의 스크린(111)을 가지며 측면에 스터드 핀(112)을 가지는 패널(110)과, 상기 패널(110)과 봉착되며 콘부(121)와 네크부(122)를 가지는 펀넬(120)과, 상기 패널(120)의 콘부(121)와 네크부(122)에 각각 장착되는 편향요오크(130) 및 전자총(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의 내면에는 상기 전자총(14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50)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50)는 텐션마스크(151)과, 상기 텐션마스크(151)에 소정의 인장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155)과, 상기 프레임(155)에고정되며 상기 스터드 핀(112)과 결합되는 훅 스프링(160)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마스크(151)는 박판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슬릿(15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립(153)과, 상기 상호 인접하는 스트립(153)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슬릿(152)을 구획하는 타이바(15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55)은 상기 텐션 마스크의 대응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제1,2서포트 부재(156)(157)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156)(157)에 지지된 텐션마스크(151)에 장력이 가하여지도록 상기 서포트 부재(156)(157)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58)(159)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58)(159)는 사각봉 또는 사각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훅 스프링(160)은 상기 프레임(155)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드핀(122)과 결합됨으로써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50)를 패널(110)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의 탄성부재(158)(159)의 상면 즉, 스크린측 또는 전자총측에 고정되는 기부(161)와, 상기 기부(161)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스크린측 또는 전자총(140)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62)를 포함한다. 이 고정부(162)에는 상기 스터드 핀(112)과 결합되는 결합공(162a)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부(16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8)(159)의스크린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기부(161)의 열팽창계수가 탄성부재(158)(159)의 열팽창계수 보다 크고 상기 기부(16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8)(159)의 전자총 측에 설치된 경우에는 기부(161)의 열팽창계수가 탄성부재(158)(159)의 열팽창계수 보다 작다. 여기에서 상기 기부(161)의 폭은 탄성부재가 사각봉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각봉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기부(161)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와 기부의 열팽창량 차이에 의해 탄성부재를 밴딩시켜 텐션 마스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130)에 의해 주사 위치에 의해 편향된 후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텐션 마스크(151)의 슬릿을 통과하여 평면 스크린의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프레임은 텐션 마스크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유효화면을 크게 형성할 수 없는데, 상기 훅 스프링(160)은 그 기부가 탄성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스크린측 또는 전자총(140)과 대응되는 상부 또는 하면에 고정되고 고정부(162)가 이로부터 연장되므로 탄성부재(157)(158)를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에 의해 유효화면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8)(159)에 부착된 기부(161)는 탄성부재(158)(159)보다 열팽창계수가 크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 공정시에 탄성부재의 열팽창에 의한 텐션 마스크의 손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부(161)가 탄성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58)(159)의 열팽창계수가 기부(161)의 열팽창계수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공정이 탄성부재는 상방으로 밴딩되어 제1,2서포트 부재(156)(157)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모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부(161)가 탄성부재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58)(159)의 열팽창계수가 기부(161)의 열팽창계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공정이 탄성부재는 상방으로 밴딩되어 제1,2서포트 부재(156)(157)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모아주게 된다. 따라서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소성 공정시 텐션 마스크에 무리한 인장력이 가하여져 텐션 마스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음극선관은 훅 스프링의 기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기부를 프레임의 탄성부재의 스크린측 또는 전자총측에 설치함으로써 유효화면을 크게 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에 대한 기부의 설치위치에 따라 탄성부재와 기부의 열팽창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소성시 텐션마스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드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텐션마스크의 대응되는 단부를지 지지하는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를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스크린측과 대응되는 상면에 고정되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패널의 내면에 고정된 스터드핀과 결합되는 결합공이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열팽창계수가 기부의 열팽창계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스프링.
  2. 삭제
  3.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되며 측면에 스터드 핀들이 장착된 패널과, 상기 패널에 장착되며 프레임에 고정된 훅스프링과,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어 패널의 내부에 고정된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에 각각 전자총과 편향요오크가 설치된 펀넬을 포함하여 된 평면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훅 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의 탄성부재의 스크린측과 대응되는 상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기부와, 상기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터드 핀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열팽창계수가 기부의 열팽창계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스프링.
  4. 삭제
KR10-1999-0025813A 1999-06-30 1999-06-30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KR10038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13A KR100385211B1 (ko) 1999-06-30 1999-06-30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13A KR100385211B1 (ko) 1999-06-30 1999-06-30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28A KR20010005028A (ko) 2001-01-15
KR100385211B1 true KR100385211B1 (ko) 2003-05-27

Family

ID=1959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813A KR100385211B1 (ko) 1999-06-30 1999-06-30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850A (ja) * 1995-06-02 1996-12-13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0982237A (ja) * 1995-09-07 1997-03-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10214571A (ja) * 1997-01-30 1998-08-11 Sony Corp 陰極線管
KR19990007207U (ko) * 1997-07-31 1999-02-25 손욱 칼라 브라운관용 훅 스프링의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850A (ja) * 1995-06-02 1996-12-13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0982237A (ja) * 1995-09-07 1997-03-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10214571A (ja) * 1997-01-30 1998-08-11 Sony Corp 陰極線管
KR19990007207U (ko) * 1997-07-31 1999-02-25 손욱 칼라 브라운관용 훅 스프링의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28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903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970008561B1 (ko) 슬롯형 섀도우마스크 구성체를 사용한 컬러음극선관
US5576595A (en) Shadow mask color picture tube
KR100385211B1 (ko) 훅스프링과 이를 이용한 평면형 음극선관
KR10032206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US6646369B2 (en) Display tube comprising a mask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CN1316541C (zh) 具有遮光板阻尼振动器的阴极射线管
KR10038521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2206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7067968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support member for color selection apparatus
US6642645B2 (en) Tension mask assembly for color CRT having vibration attenation units
US446084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compensating support for a mask-frame assembly
RU2054206C1 (ru) Телевизионная трубка цвет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EP1235249B1 (en) A tension mask frame assembly for a CRT
US6634612B1 (en) Tension mask frame assembly of flat cathode ray tube
KR10032206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3788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형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US452847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spring supports for a mask-frame assembly
KR100625963B1 (ko) 텐션형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채용한 음극선관
US6525457B1 (en) Tensioned shadow mask assembly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385210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730105B1 (ko) 균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프레임 조립체
KR19980057640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