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210B1 -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210B1
KR100385210B1 KR10-1999-0025811A KR19990025811A KR100385210B1 KR 100385210 B1 KR100385210 B1 KR 100385210B1 KR 19990025811 A KR19990025811 A KR 19990025811A KR 100385210 B1 KR100385210 B1 KR 10038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s
tension mask
tension
stri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026A (ko
Inventor
편도훈
신순철
김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2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각 제1,2서포트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제1,2서포트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트립의 단부가 연결된 장변부의 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점차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1,2서포트 부재에 용접되는 텐션마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Tension mask frame assembly of the flat CRT}
본 발명은 평면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텐션 마스크(tension mask)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이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마스크(shadow mask)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하여 패널의 스크린면에 형성되어 있는형광막의 적, 녹, 청색의 형광체에 랜딩됨으로써 이들을 여기시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최근의 이러한 칼라 음극선관은 스크린면의 평면화를 추구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음극선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마스크도 평면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마스크는 완전평면의 음극선관을 제조하는데 많은 제약요소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서포트 부재(11)(12)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11)(12)의 양측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서포트 부재(11)(12)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2탄성부재(13)(14)를 구비한 프레임(10)과, 서포트 부재(11)(12)에 장력이 가하여지도록 상호 대응되는 가장자리 즉, 장변부측이 용접되는 것으로 다수의 스트립(21)이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스트라이프 상의 슬릿(22)이 형성이 형성된 평판형 텐션마스크(20)를 구비한다. 상기 평판형 스트립(21)은 소정간격으로 타이바(23)에 의해 연결되어 슬릿(22)이 분할된다.
이러한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제1,2서포트 부재(11)(12)에 평판형 텐션마스크(20)가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제1,2서포트부재(11)(12)의 각 부위에서 받는 인장력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즉, 프레임에 평판형 텐션마스크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제1,2서포트 부재(11)(12)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변위를 줌으로써 제1,2탄성부재(13)(14)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평판형 텐션마스크(20)의 양단부를 제1,2서포트 부재에 용접하고 제1,2서포트 부재(11)(12)에 가하여지는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제1,2서포트 부재(11)(12)의 복원력은 상기 제1,2탄성부재(13)(14)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와 중앙부에서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복원력의 차이는 텐션마스크의 각 스트립들에 가하여지는 인장력의 차이로 나타난다. 도 2의 그래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탄성부재(13)(14)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에서는 인장력이 크게 작용하고 이 탄성부재(13)(14)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스트립에 가하여지는 인장력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의 차이는 텐션마스크가 전자빔에 의해 열팽창시 중앙부에서 열팽창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고, 장력의 불균일로 인하여 텐션 마스크가 부분적으로 축소 또는 팽창됨으로써 전자빔의 통과하는 슬릿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슬릿의 변화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텐션마스크에 가하여지는 인장력의 불균일 차이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부분적인 왜곡을 방지하여 전자빔의 색선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선마스크와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프레임에 지지된 텐션마스크의 인장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마스크에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각 제1,2서포트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제1,2서포트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트립의 단부가 연결된 장변부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접차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1,2서포트 부재에 용접되는 텐션마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텐션 마스크의 장변부에 가하여진 인장력은 탄성부재의 단부가 제1,2서포트 부재와 결합되는 부위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점차적으로 커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갖는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각 제1,2서포트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제1,2서포트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트립의 단부가 연결된 장변부에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다른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1,2서포트 부재에 고정된 텐션마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서포트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탄성부재의 단부가 제1,2서포트 부재와 결합되는 부위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칼라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전자빔의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텐션 마스크(30)와, 상기 텐션 마스크(30)를 소정의 인장력를 갖도록 지지하는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40)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2서포트 부재(41)(42)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그 양단부가 지지되는 한쌍의 제1,2탄성부재(4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는 고정부(41a)(42a)와,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41b)(42b)를 구비하여 그 단면이 L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탄성부재(43)(44)는 각각 양단부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부(43a)(44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3a)(44a)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지지부(43b)(44b)가 형성된다.
상기 텐션 마스크(30)는 박판으로 본체(31)를 구비하는데, 상기 본체(3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립(32)이 형성되어 전자빔이 통과하는 슬릿(33)을 형성하다. 상기와 같이 스트립(32)을 가진 텐션마스크(30)의 장변부 즉, 각 스트립이 연결되어 무공부를 형성하는 장변부는 스트립(32)들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2서포트부재(41)(42)의 고정부(41a)(42a)에 용접된다. 상기 장변부를 따라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가하여지는 인장력은 상기 제1,2탄성부재(41)(42)의 지지부가 용접되는 부위로부터 중앙부 및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큰 인장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1,2서포트 부재(41)(42)에 용접고정되는 텐션 마스크의 상기 스트립(32)과 슬릿(33)은 상기 본체(31)를 에칭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32)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33)의 폭은 전자빔이 편향요오크에 의해 편향되어 통과하는 각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립(32)의 사이에는 상기 슬릿(33)을 가로질러 인접하는 스트립(3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타이바(tie bar; 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타이바(34)의 수는 슬릿(33)의 길이 및 스트립(32) 상호간의 간격 유지상태를 등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바(34)의 폭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타이바(34)에 의해 구획된 인접된 슬릿(33)을 통과하여 형광막(도시되지 않음)에 랜딩시 잔영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제1,2서포트 부재(41)(42)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43)(44)가 탄성변형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장변부가 스트립(32)들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2서포트부재(41)(42)의 고정부(41a)(42a)에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이 완료되면 제1,2서포트부재(41)(42)에 가하여지는 압력을 제거하여 제1,2탄성부재(43)(44)에 의해 텐션 마스크(30)에 인장력이 가하여 지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텐션 마스크에 가하여 지는 인장력의 분포의 불균일이 최소화 된다. 즉, 상기 제1,2탄성부재 (43)(44)에 의한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텐션마스크 인장력에 대한 지지력은 도 4의 그래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탄성부재(43)(44)의 지지부(41b)(42b)가 용접되는 부위에서 최대가 되고 이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2서포트 부재(41)(42)가 변형됨으로써 약화되는데, 텐션 마스크의 용접은 중앙부에 인장력을 크게하고 지지부와 대응되는 부위의 인장력을 작게한 상태(도 4 그래프 C)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지지력 차이에 의한 텐션마스크 인장력의 불균일 상태를 보상함으로써 텐션 마스크 각 부위에서 인장력이 균일(도 4 그래프 D)하게 가하여 지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2서포트 부재(51)(52)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51)(52)의 양측가장자리에 각각 양단부의 지지부(51a)(52a)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1,2탄성부재(53)(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서포트 부재(51)(52)에는 상기 지지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관통공(60)들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0)은 상기 제1,2탄성부재(53)(54)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2탄성부재에 의해 제1,2서포트 부재의 고정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지지력을 약화시킨다. 이 지지력의 약화는 상기 텐션마스크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텐션 마스크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와의 용접이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장변부 즉, 각 스트립이 연결되어 무공부를 형성하는 장변부에 각 스트립(32)들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상기 관통공(60)의 형성으로 각 제1,2서포트부재(41)(42)의 가감된 지지력을 감안한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예컨데, 제1,2서포트 부재(41)(42)에 용접되는 텐션 마스크의 장변부에 균일한 압력이 가하여지거나 지지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의 인장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제1,2탄성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제1,2서포트 부재에 용접되는 텐션마스크의 인장력을 다르게 한 상태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제1,2서포트 부재의 지지력의 차이에 의한 장력의 부분적인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각 제1,2서포트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제1,2서포트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트립의 단부가 연결된 장변부의 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점차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1,2서포트 부재에 용접되는 텐션마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마스크의 장변부에 가하여진 인장력은 탄성부재의 단부가 제1,2서포트 부재와 결합되는 부위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3.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각 제1,2서포트부재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제1,2서포트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슬릿을 형성하는 다수의 스트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트립의 단부가 연결된 장변부에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다른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1,2서포트부재에 고정된 텐션마스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서포트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탄성부재의 단부가 제1,2서포트 부재와 결합되는 부위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1999-0025811A 1999-06-30 1999-06-30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11A KR100385210B1 (ko) 1999-06-30 1999-06-30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811A KR100385210B1 (ko) 1999-06-30 1999-06-30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26A KR20010005026A (ko) 2001-01-15
KR100385210B1 true KR100385210B1 (ko) 2003-05-27

Family

ID=1959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811A KR100385210B1 (ko) 1999-06-30 1999-06-30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2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026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903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00424B1 (ko)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와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0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6140754A (en) Structure of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41209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778398B1 (ko) 플랫 마스크와 이 마스크의 조립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텐션 마스크 조립체
KR10038521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683647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EP0982755B1 (en) Shadow mask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22065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890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06999B1 (ko) 새도우 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US7005786B2 (en) Mask frame assembly having thermal correction unit and color CRT using the same
KR100322064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EP100144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20020014822A1 (en) Tension mask fram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54246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730105B1 (ko) 균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프레임 조립체
KR20010005025A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30091577A (ko) 컬러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20010097160A (ko) 칼라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30025686A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KR20000051453A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