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54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54B1
KR850001454B1 KR8202795A KR820002795A KR850001454B1 KR 850001454 B1 KR850001454 B1 KR 850001454B1 KR 8202795 A KR8202795 A KR 8202795A KR 820002795 A KR820002795 A KR 820002795A KR 850001454 B1 KR850001454 B1 KR 85000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oading
post
cylind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26A (ko
Inventor
나리또 시바이께
마사히로 미나미데
빈 기꾸야
히로시 떼라다
오사무 자이쯔
Original Assignee
야마시다 도시히꼬
마쯔시다덴기산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다 도시히꼬, 마쯔시다덴기산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시다 도시히꼬
Publication of KR84000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 1 도는 M형 로우딩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U형 로우딩의 구성을 나타낸 평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패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 4 도는 제 2 의 경사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 5 도는 제 3 의 경사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 6 도는 제 3 의 경사면과 기판면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사시도.
제 7 도는 경사포스트의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패스를 달성하기 위한 로우딩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 9 도 및 제10도는 로우딩포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다른 로우딩포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로우딩구성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14도는 동 로우딩구성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15도는 소거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동 소거헤드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4) : 기판 (55) : 카세트
(56) : 실린더 (27) : 테이프
(58) : 공급리일 (59) : 권취리일
(60),(61),(62),(63) : 테이프안내
(64),(65),(66),(67),(68),(69) : 경사로우딩포스트
(71) : 텐션포스트 (73) : 가동소거헤드
(72),(74),(75),(78) : 안내포스트 (76) : 음성소거헤드
(77) : 음성콘트롤헤드 (79) : 캡스턴
(80) : 캡스턴플라이휘일 (81) : 캡스턴모우터
(82) : 풀리 (83) : 벨트
(84) : 핀치로울러 (86) : 로우딩링
(87) : 제 3 의 경사면 (88),(89) : 교선
(92) : 지지부 (93),(94) : 결합핀
(96) : 구동기어 (97) : 안내링
(99) : 원통부 (100) : 스토퍼
(103),(114) : 로우딩블록 (106),(117) : 스토퍼
(107) : 스프링 (119) : 조인트레버
(121) : 로우딩레버 (120) : 결합핀
(124) : 기어 (125) : 구동기어
본 발명은 회전헤드를 내장한 실린더에 자기테이프를 소정각도 비스듬하게 감고 영상신호 등을 기록재생하는 소위 헬리컬스캔형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이하 VTR이라 약칭함)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케이스내에 평행이 되도록 2개의 리일을 내장한 평행 2리일 카세트를 사용하는 헬리컬스캔방식의 VTR에서는, 회전헤드를 가진 실린더에 테이프를 비스듬하게 감았을 경우, 실린더의 양측에서 꼬여져버리는 테이프를 어떻게 안정된 상태로 카세트내에 들여보내는가 라는 문제가 있다. 카세트를 나온 테이프가 각종 포스트나 헤드에 감겨서, 실린더를 거쳐서, 재차 각종 포스트 및 헤드에 감긴 후 카세트내로 돌아오는 경로를 테이프패스라고 부르며, 카세트내에 수납된 테이프를 소정의 테이프패스로 이송하는 것을 로우딩이라고 부르나, 현재, M형 로우딩과 U형 로우딩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2개의 테이프패스는 전혀 유형이 다르고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해서 종래예인 M형, U형의 각 테이프패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M 형 로우딩이다. (1)이 실린더이며, (2)가 카세트, (3)이 캡스턴, (4)가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뒷측에 있는 캡스턴 플라이휘일, 그리고 (5)가 핀치로울러이다. 테이프(6)는 카세트 (2)내에 있어서는, 테이프안내(7)(8)(9)를 경유해서 공급리일(10)로부터 권취리일(11)예로 권장되고, 1점쇄선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테이프안내(8)(9)사이에서 카세트(2)의 앞면에 걸쳐져 있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 (2)에서 VTR에 장착되어, 로우딩이 개시되면, 카세트(2)의 앞면부에 형성된 제 1 의 절결부(12)내에 삽입된 로우딩포스트(13')(14') 및 텐션포스트(15')가 각각 (13)(14)(15)의 위치에, 또 제 2 의 절결부(16)내에 삽입된 로우딩포스트(17')(18')가 (17)(18)의 위치로 이동하므로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테이프(6)가 로우딩 되어 테이프패스가 완성한다. 동시에 캡스턴(3)도 제 3 의 절결부(19)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20)(21)(22)는 고정헤드,(23)(24)는 임피이던스로울러, (25)(26)(27)은 안내포스트이다. 이 테이프패스의 특징은 실린더(1), 로우딩포스트(14)(17)이외는 모두 기판에 수직으로 착설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실린더(1)에 감기므로서 생기는 테이프의 꼬일 및 높이차를, 실린더(1)의 경사각 및 경사방향을 적당히 선정하고, 그리고 로우딩포스트(14)(17)을 각각 테이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하므로서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1)는 화살표 X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다. 이 X방향에 90°를 이루는 방향이, 즉 테이프의 총감기각의 절반의 위치가 된다. 도면에서 설명하면
θX=90°, θ22
이다. 리이드는 테이프입구점(A)에서 테이프출구점(B)에 하강하는 것같이 착설되어, 경사진 상태로 (A)가 (B)보다 약간 낮아지도록 경사각이 설정되어 있다.
즉 (A)에서 로우딩포스트(14)로 테이프는 상승하고, 로우딩포스트(14)에 경사지게 감기는 것으로, 테이프의 꼬임은 해소되고 동시에 높이도 카세트면과 같아진다. 이 시점에서 테이프는 기판에 수직이 되기 때문에, 카세트(2)에서 로우딩포스트(13)까지의 사이의 포스트나 헤드는 전부 기판에 수직으로 네비하면 되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실린더(1)의 경사방향을 설정하면, 실린더(1)의 양측에서 테이프의 상태는 점대칭과 같이 된다. 실린더(1)에의 테이프감기각의 중점(C)이 카세트내의 테이프 높이와 같게 되는 것이므로 점(B)에서 로우딩포스트(17)까지는 테이프는 하강해서 로우딩포스트(17)에 경사지게 감기고, 테이프의 꼬임이나 높이차는 해소되어서 로우딩포스트(18)에 도달한다. 그 후는 카세트(2)까지 전부 기판에 수직인 포스트, 헤드등의 류로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이 테이프패스의 좋은 점은 실린더(1) 이외(경사 로우딩포스트(14)(17)는 제외한다)전부를 기판에 수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이것은 그대로 VTR의 박형화에 이어지는 것이다. 또 테이프패스의 점유체적이 작다는 것이 있다. 실린더(1)의 양측에서 테이프의 높이차가 거의 없다는 것이 그 원인이며, 이것도 VTR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매우 유리한 것이다.
그러나 그 반면, 결점도 몇가지 존재한다. 먼저 실린더(1)의 양측에서 테이프의 꼬임을 해소하는 경사로우딩포스트(14)(17)에의 테이프의 감기각이 상당히 크다는 것이다. 이 포스트(14)(17)는 테이프가 경사지게 감기기 때문에 로울러구조로 할 수가 없고, 감기각이 크면 그만큼 마찰이 커지며, 테이프장력이 증대해서 구동토오크의 증가 및 테이프에의 악영향 등이 염려된다. 또 이 경사로우딩포스트(17)가 실린더출구점(B)과 캡스턴(3)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경사로우딩포스트(17)에 의한 테이프의 변동성분 및 토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로울러구조로 한 로우딩포스트(18)의 변동성분의 쌍방이 고정헤드(22)에 절달돼 버린다는 것, 또 그 변동성분 완화를 위해서 임피이던스 로울러(24)를 착설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 또 캡스턴(3)과 고정헤드(22) 사이의 안내포스트(27)도 로울러구조로 할 수 없고 토오크증대의 요인이 된다는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실린더(1)와 고정헤드(22)와의 사이의 테이프길이가 로우딩동작 및 로울러구조의 존재에 의해서, 관리가 곤란한 상태임을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우딩포스트(17)(18)의 위치결정 정밀도는 특히 엄격하게 요구되고 조립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끝으로 로우딩과정에 있어서의 테이프손상의 문제가 있다. 이것은 로우딩이 기판에 대해서 평행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실린더(1)의 리디드에 연하고 있는 형태에서는 테이프(6)가 실린더(1)에 감겨가지 않으므로 인한 것이다.
결국, M형 로우딩은 VTR의 소형화, 박형화에는 유리한 테이프패스, 테이프로우딩방법이지만, 테이프주형이나 테이프보호라는 면에서는 그 나름의 정밀도 연구가 필요해지고, 구성의 간소화, 원가의 저감이라는 점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
다음에, 제 2 도에 U형 로우딩을 나타낸다. (28)이 실린더, (29)가 카세트이다. 카세트(29)내에서는 테이프(30)는 공급리일(31)에서 권취리일(32)에 테이프안내(33)(34)(35)(36)를 경유해서 권장되고, 테이프 안내(34)(35) 사이에서 걸쳐져 있다. VTR에 장착되면 카세트(29)앞면의 절결부(37)에 텐션포스트(38'), 로우딩 포스트(39')(40')(41'), 그리고 핀치로울러(42')가 삽입되어, 각각이 (38)(39)(40)(41)(42)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여 로우딩을 행해서 테이프패스를 완성하는 것이다. 캡스턴은(43),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뒷쪽에는 캡스턴플라이휘일(44)이 착설되어 있다. 또한 (45)(46)(47)은 고정헤드, (48)(49)(50)(51)(52)는 안내포스트이다. 또 (53)은 로우딩이며, D방향으로 회전해서 핀치로울러(42), 로우딩포스트(40)(41), 그리고 또 1본의 로우딩포스트(39)의 이송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 테이프패스의 특징은, 테이프의 주행하는 평면이 크게 2개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이 2개의 평면이란, 그대로 실린더(28)의 양측의 고여진 테이프가 존재하는 평면을 말한다. 머전 카세트(29)를 나온 테이프(30)는 안내포스트(48)(49)(50), 텐션포스트(38), 고정헤드(45)를 거쳐서 실린더(28)에 이르지만, 이사이에 실린더입구점 E까지는 테이프(30)는 기판과 평행으로 주행한다. 즉 기판과 평행인 면이 1개 존재하는 것으로서, 물론 이 사이의 각 포스트 및 헤드는 기판에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는 셈이다. 이 평면을 제 1의 평면으로 한다. 이 상태로 무리없이 실린더(28)에 감으려면 필연적으로 실린더의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가 결정된다. 즉 안내포스트(50)에서 입구점 E에 이르는 테이프와 평행인 방향(Y방향)으로, 리이드각 만큼 기울게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θY=90°
가 된다. 리이드는 입구점 E에서 출구점 F로 향해서 하강하도록 착설되어 있으므로 Y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나, 반대로 E에서 F로 상승하도록 착설되어 있으면 당연히 Y방향과 180°반대방향으로 기울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테이프는 실린더(28)에 θ3만 감겨서 출구점 F에서 이간하지만, 이때 테이프는 리이드각도의 약 2배의 각도를 가지고 낙하하고, 또한 꼬인 상태로 되어있다. 이 테이프의 존재하는 평면이 여기에 또 하나의 평면으로서 존재하며, 적어도 캡스턴(43), 핀치로울러(42)까지의 각 포스트, 헤드는 이 평면에 수직으로 착설되어 있다. 이 평면을 제 2 의 평면으로 한다. 그 때문에 실린더(28)를 나온 테이프는 기판에 대해서는 꼬여져 있으나, 제 2 의 평면내에 있어서 꼬여지는 일없이 주행을 하고, 캡스턴(43)에 이르게 된다.
또 로우딩령(53)도 이 제 2 의 평면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핀치로울러(42), 로우딩포스트(40)(41)은 로우딩령(53)위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다.
핀치로울러(42), 캡스턴(43)을 나온 테이프는 로우딩포스트(41)(40)(39)와 경유해서 카세트(26)내에 복귀하게 되나, 본래 같으면 상기의 제 2의 평면내에 있는 테이프를 원래의 카세트내의 평면, 즉 맨처음에 설명한 제 1의 평면내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어느 포스트에 경사지게 감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U형인 경우, 테이프는 캡스턴(43), 핀치로울러 (42)로 협지되어서 주행하고, 그 후는 카세트(29)에 보내질 뿐이며 테이프의 안정주행이 무너져 다소 테이프에 변동이 일어나도 캡스턴(43), 핀치로울러(42)로 대체로 치단되고, 그 이전의 헤드에 대한 영향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로우딩포스트(41)(40)(39)에 다소 여유를 갖게 하고, 테이프의 탄력성과, 카세트(29)까지의 테이프 길이가 M형에 비해서 대단히 긴것을 이용해서, 이를테면 진행과정대로의 테이프패스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금후 더욱 정밀한 주행게, 혹은 테이프의 박형화 등에 대할때는 커다란 문제가 되나, 대책으로서는 경사포스트를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논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형의 이점으로서는 M형에서 결점으로 지적된 실린더출구점 F에서 캡스턴(43)까지의 테이프에 꼬임이 없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사이에 로우딩포스트가 없고, 또 배치하는데 있어 로울러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주행에 있어서의 변동성분이 고정헤드(47)에 그다지 전달되지 않고, 또 전부 고정이므로 실린더(28)와 고정헤드(47)의 거리가 항상 일정해지고 로우딩포스트의 위치결정이 M형만큼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것과 일단, 꼬임을 해소하기 위한 고정포스트가 없으므로 네이프장력을 누르고, 권취토오크도 작아도 된다는 것도 들 수 있다.
그러나, M형의 결정이 U형의 이점으로 된 것과 같이 U형의 결점은 M형의 이점을 반대로 한다. 상기와 같이, 캡스턴(43), 핀치로울러(42), 안내포스트(51)(52), 고정헤드(46)(47), 그리고 로우딩령(53)이 리이드 각도의 약 2배라는 상당히 큰 각도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 장치의 박형화에 대해서 극히 커다란 장해가 되고 있다.
또 테이프패스에 대해서도, 실린더 양측에서의 테이프의 높이차가 그대로 테이프패스로서의 두께가 되며, 또 캡스턴(43)까지의 거리가 길면 길수록, 테이프는 제 2 의 평면내를 하강해가며 점점 테이프패스의 점유체적이 커진다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 로우딩포스트(40)(41)나 핀치로울러(42)는 로우딩(53)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로우딩과정에서의 테이프 보호라는 점에서는 M형과마 찬가지로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 핀치로울러(42)가 이동하기 때문에, 캡스턴(43)에 정확하게 압접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해지며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결국, U형 로우딩은, 테이프주행에 대해서는 유리한 테이프패스를 형성할 수 있으나, 테이프보호에는 약간의, 그리고 VTR의 소형화, 박형화에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를 안고있는 테이프패스, 테이프로우딩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해본 바와 같이 M형과 U형은 함께 표리의 관계에 있는 이점과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 테이프보호라는 면에서는 양자 다같이 다소의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VTR는 점점 소형화, 박형화가 진전되고, 또한 고밀도화,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M형이나 U형의 테이프패스, 테이프 로우딩으로는 소거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M형이나 U형의 장점은 갖추면서도, 단점을극복한 새로운 테이프패스, 테이프로우딩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VTR의 소형화, 박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며, 또한 테이프주행이나 테이프보호면에서도 대단히 유리한, 평형 2리일 카세트 사용의 헬리컬스캔형 VTR에 있어서 최적한 테이프패스를 제시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VTR은, 리일대를 수직으로 지지하고, 카세트를 평행으로 장착하는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해서 각각 경사방향 및 경사각 이상이한 3종류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회전 헤드를 갖춘 안내드럼을 배설하고, 제 3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제 1 의 안내포스트 및 소거헤드를 배설하고, 제 2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제 2 의 안내포스트, 고정기록헤드 및 캡스턴축을 착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또한 테이프주행시에는 이 제 의 경사면에 수직인 상태로 핀치로울려를 배설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써, VTR의 소형화, 박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테이프주행이나 테이프보호에 있어서 유리한 테이프패스를 실현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테이프패스 및 그 테이프패스를 실현하는 테이프로우딩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3 도에서 본 발명의 테이프패스를 설명한다. 기판(54)과 평행인 평면상에 카세트(55)가 장착되고, 실린더(56)는 Z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사각도는 리이드각도보다 약간 큰 정도가 좋다. 또 경사방향은 특히 지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린더 출구점 G에서 경사방향(Z방향)까지의 테이프(57)의 감기각도 θZ이 90°는 아니다.
θZ> 90°
인 것이 필요하며, 이 경사방향과 경사각도의 관계에서 실린더(56)를 나온 테이프는 기판(54)과 평행인 평면내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실린더(56)의 부착면을 제 1 의 경사면으로 하나, 이 제 1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것은 실린더(56)뿐이다. 카세트(55)내에서 테이프(57)는 공급리일(58)에서 권취리일(59)로, 테이프안내(60)(61)(62)(63)을 경유해서 권장되고,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안내(61)(62) 사이에서 카세트(55)의 앞면에 걸쳐져 있다. 로우딩은 로우딩포스트 A(64'), 로우딩포스트B(65'), 경사로우딩포스트 A(66')가 절결부 A(67)내에도 로우딩포스트C(68'), 경사로우딩포스트B(69') 및 핀치로울러(84')가 절결부 B(70)내에 삽입되고, 각각 (64)(65)(66)(68)(69)(84)의 위치로 이동하므로서 이루어진다. (71)은 테이프패스 외부에서 테이프(57)에 접촉하는 텐션포스트, (72)는 가동되는 안내포스트, (73)은 가동되는 소거헤드, (74)는 고정된 안내포스트이다. 테이프(57)는 카세트(55)를 나온 후, 상기의 각 포스트, 헤드사이를 거쳐서 실린더 입구점 H에 도달해서, θ4만이 실린더(56)에 감겨진 후, 실린더출구점 G에서 나가서, 고정된 안내포스트(75), 음성소거헤드(76), 음성콘트롤헤드(77), 그리고 안내포스트(78)를 경유해서 캡스턴(79)에 이른다. 기판(54)의 뒤쪽에는 캡스턴플라이휘일(80)이 캡스턴(79)과 일체로 설치되고, 캡스턴모우터(81)의 폴리(82)와 벨트(83)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회전력을 얻고 있다.
(84)는 핀치로울러이다. 여기서는 핀치로울러(84)가 테이프루우프내에 있기 때문에 카세트(55)내로부터 로우딩하지 않으면 안된다. 핀치로울러(84) 및 캡스턴(79)에 협지된 테이프(57)는 그후 로우딩포스트C(68) 경사로우딩포스트 B(69)를 경유해서, 안내포스트(85)에 감겨진 후 카세트(55)내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86)은 기판(54)과 평행인 평면내에서 회동하고, 로우딩포스트 A(64), 로우딩포스트 B(65), 경사로우딩포스트 A(66)를 J방향으로 이송하고, 또한 그 캠형상에 따라서 로우딩과정에 있어서 각종 로우딩포스트의 경로 밖으로 가동되는 안내포스트(72) 및 가동되는 소거헤드(73)를 이동시키게 되는 로우딩링이다.
여기서, 앞에서도 약간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56)의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의 관계로, 실린더(56)의 양측의 테이프가 어느 것도 기판(54)과는 꼬인 평면내를 주행하는 것으로서, 이점은 M형과 같으나, 주행로로서는 U형에 가까우며, 또 M형과 같이 실린더의 경사방향이 테이트의 감기각도의 절반인 90도 방향으로는 되어있지 않으며, U형의 경사방향에서 테이프의 권회축에 약간 흔들린 정도의 상태이므로, 실린더(56)의 양측에 있어서의 테이트의 꼬인 정도가 상당히 틀리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실린더(56)의 리이드는, 입구점 H에서 출구점 G으로 하강하는 방향에 착설되어 있다. 즉 실린더(56)를 나와서 캡스턴(79)으로 향하는 테이트는 기판(54)에 대해서 극히 근소하게 경사된 평면내를 주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 평면을 제 2 의 경사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 제 2의 경사면내를 주행하는 테이프는 약간 상승경향으로 진행하고, 경사로우딩 포스트(69)에 기울어지게 감겨서 보정되고 기판(54)과 평행인 평면으로 되돌아가서, 카세트(55)로 주행한다 따라서 제 2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착설되어 있는 것은 안내포스트(75)(78), 음성소거헤드(76), 음성제어헤드(77), 핀치로울러(84), 그리고 캡스턴모우터(81), 풀리(82), 벨트(83), 캡스턴플라이휘일(80), 캡스턴(79)의 테이트구동계, 그것과 로우딩포스트 C(68)이다.
경사로우딩포스트 B(69)는 테이프보정을 위해서 산출된 소정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경사되어 있다. 제 2의 경사면의 경사방향은 K방향이며, K'방향에서 상기의 각 구성요소를 본 상태를 제 4 도에 나타낸다. 기판(54)과는 약간 경사된 제 2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상기의 각 구성요소가 착설되고, 테이프(57)는 실린더(56)와 경사로우딩포스트 B(69)와의 사이에서 제 2 의 경사면과 평행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이다. 캡스턴(79)등의 테이프구동계가 전부 기판(54)과는 경사져 있으나, 경사각이 대단히 작으므로 (1.5°~2°정도)수직인 경우와 장치의 두께는 거의 변화가 없다.
다음에, 또 한쪽의 테이프 꼬임의 상태를 제 3 도, 제 5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입구점 H으로 들어오는 테이프가 존재하는 평면이 있으며, 이 평면을 제 3 의 경사면으로 한다면, 이 제 3 의 경사면과 수직으로 로우딩포스트 B(65), 가동되는 소거헤드(73), 로우딩포스트 A(64), 가이드포스트(74)가 구성된다. 제 3 의 경사면의 경사방향은 제 3 도의 L방향이며, L'방향에서 본 곳이 제 5 도이다. 도면에도 있는 바와 같이 경사각은 실린더 경사각보다 다소 커진다. 경사로우딩포스트(66)는, 카세트(55)를 나와서 기판(54)과 평행으로 주행해온 테이프(57)를, 제 3 의 경사면으로 옳기기 위해서 산출된 소정의 경사방향과 각도를 가지고 경사되어 있으며, 테이프는 이 경사로우딩포스트(66)에 감기므로서, 전혀 무리없이 제 3 의 경사면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테이프패스는, 기판(54)과는 어떤 경사를 가진 상이하는 3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의 경사면에는 실린더(56)를, 제 2 의 경사면은 실린더(56)의 출구축에 구성된 캡스턴(79) 등을, 그리고 제 3 의 경사면은 실린더(56)의 입구축에 구성되어서 로우딩포스트 A(64) 등을 배설해서 이룬것으로서, 제 2, 제 3 의 경사면은 실린더(56)의 경사방향, 경사각에 의해서 결정하나, 각각의 경사면과 카세트(55)와의 사이의 테이프(57)의 꼬임보정은 경사된 포스트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며, 테이프주행계의 어느 점을 취해도 전혀 물리적으로 모순이 없는 안정주행이 얻어지는 것이다.
이제, 테이프주행경로를 반대로 더들어 가는 것으로서 카세트(55)내의 (57)의 기판(54)으로부터의 높이를 테이프폭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해서 hc로 하면, 경사로우딩포스트 B(69)에 감기므로서 제 2 의 경사면으로 이동한 테이프(57)는 제 4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출구점 G으로 착설하게(조금씩이기는 하지만) 하강한다. 따라서 G점에서의 테이프높이 hG는 당연히 hc보다 낮고
hG<hc 가 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실린더(56)가 리이드각도보다 약간 큰 각도로 경사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실린더출구점 G으로부터 리이드에 연해서 테이프(57)는, 기판(54)에 대해서 먼저 하강하고, 도중에서 착설하게 상승해가서, 드디어 실린더입구점 H에 도달한다. 물론
hH>hc>hG로 되는 것이며, 테이프(57)는 제 3 의 경사면내를 주행해서, 로우딩포스트 A(64)에 감길때가 제일 높은 위치 hmax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후 재차 하강해서, 경사로우딩포스트 A(66)에 감겨서, 카세트(55)내의 높이 hc와 같아짐과 동시에, 기판(54)에 평행인 면으로 되돌아와서 카세트(55)에 복귀한다. 여기서 이 2본의 경사로우딩포스트(66)(69)의 위치는 카세트(55)와 실린더(56)(정확하게는 실린더(56)에 착설된 리이드)의 상대적 높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왜냐하면 실린더(56)의 양측에 생기는 경사면과 카세트(55)의 존재하는 평면과의 고차하는 선의 근처에 경사포스트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제 6 도 제 7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 6 도는 기판(54)에 대한 제 3 의 경사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제 제 3 의 경사면(87)을, 테이프(57)에서 hc의 거리인 지점에 취하면, 도면과 같이 제 3 의 경사면(87)과 기판(54)의 윗면과의 교차선(88)이 나타난다. 이 교차선(88)은 결국 실린더(56)에 의해서 제 3 의 경사면(87)내로 이송된 테이프(57)를 카세트(55)내로 되돌리기 위해서 높이 및 꼬임을 해소하는 경사로우딩포스트 A(66)를 근처에 배치해야 될 선이된다. 이것은 테이프(57)의 기판(54)으로부터의 높이를 hc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으로도 명백하다.
이어서, 제 7 도에 평면적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89)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교차선이며, 제 2 의 경사면에 대해서 고려한 것으로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교차선(89)의 근처에 경사로우딩포스트 B(69)가 배치된다. 여기서 실린더(56)와 카세트(55)의 평면적 위치관계를 변화하지 않고, 실린더(56)만을 기판(54)에 대해서 약간 높게 하면, 교차선(88)(89)은 각각 (88')(89')로 이동한다. 이것은 제 6 도에 있어서, 제 3 의 경사면(87)이 기판(54)위에서 상승하는 것이므로, 교차선(88)은 평행이동을 행해서 실린더(56)로부터 멀어져 가는 것이다. (M방향). 반대로 제 2 의 경사면측에서는 경사방향이 실린더(56)의 방향이므로 실린더(56)로 교차선(89)이 근접해 가게 된다(N 방향).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88')(89')의 위치에 교차선이 있는것보다 (88)(89)의 위치에 교차선이 있는 편이 설계상으로도 유리하며, 테이프패스로서도 작은((88)측) 것을 알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 2 의 경사면을 없앤 경우, 즉 캡스턴(79)등이 기판(54)에 수직으로 착설되어 있으며 전술한 U형 로우딩과 같이 실린더(56)가 이간되어 가는 테이프와 평행인 방향으로 리이드각 만큼 기울 져있는 경우를 고려해보면, 실린더(56)의 높이적 위치가, 본 발명에 의해, 제 2 의 경사면에 의해서 하강하는 분만큼 높아지므로 제 7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차선(88)축의 교차선(도시하지 않음)은 본 발명에 의해, 실린더(56)에서 멀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테이프(57)의 최대 높이 hmax(56)에 대해서도, 실린더가 높아지면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 자명한 것이다.
이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패스의 일실시예의 설명을 끝내나, 이어서 본 테이프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로우딩방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8 도 ~ 제10도에 의해서 로우딩포스트 A(64)의 로우딩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세트(55)에 형성된 절결부 A(67)내에 삽입된 로우딩포스트 A(64')는 기판(54)(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평행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로우딩령(86)의 J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64)의 위치로 이송된다. 이 로우딩령(86)과 로우딩포스트 A(64)와의 결합은, 연결봉(90)에 의해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숫자에 대시가 붙은 것은 카세트절결부 A(67)내에 위치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연결봉(90)은 로우딩령(86)에 고정된 후커(hooker)(91) 및 로우딩포스트 A(64)의 지지부(92)와의 사이를 결합핀(93),(94)에 의해서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로우딩링(86)의 회동력을 지지부(92)에 전달한다. 또한 로우딩링(86)의 외주부에는 기어(95)가 형성되어 구동기어 A(96)와 교합해서 회동력이 전달되고 있다. 또 로우딩링(86)의 내측에는 안내링(97)이 착설되어 있다. 로우딩포스트 A(64)의 지지부(92)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된 결합부(98)가 형성되어 있고, 제 9 도와 같이 안내링(97)과 결합하여 안내링(97)의 형상으로 맞추어서 로우딩포스트 A(64)의 높이 및 기울기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안내링(97)은 최종적으로 앞에 설명한 제 3 의 경사면과 평행으로 고정되고, 즉 기판(54)과는 꼬인 상태로 로우딩포스트 A(64)를 원활하게 옮기는 것이다. 로우딩포스트 A(64)의 지지부(92)에는 원통부(9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통부(99)가 V스토퍼(100)에 당접해서 로우딩이 종료한다.
이때 V스토퍼(100)는 제 2 의 경사면에 나사(101),(10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안내링(97) 및 V스토퍼(100)로 로우딩포스트 A(64)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제 8 도 및 제11도, 제12도를 사용해서 로우딩포스트 B(65), 경사로우딩포스트 A(66)의 로우딩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2본의 포스트는, 로우딩블록 A(103)의 위에 미리 소정각도 경사되고, 또 테이프패스로서 정확한 높이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로우딩은 로우딩블록 A(103)의 평행회전 이동만으로 충분하다. 여기서 로우딩링(86)에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철부(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우딩블록 A(103)의 하부에 형성된 요부(105)가 결합해서, 로우딩링(86)위를 마찰력에 대항해서 미끄러질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지금, 카세트(55)내에 있는 초기상태에서 로우딩이 스라아드하면, 로우딩링(86)의 J방향에의 회전에 맞추어서 로우딩포스트 A(64), 로우딩포스트 B(65), 경사로우딩포스트 A(66)는 같은 속도로 이동한다. 얼마안가서 로우딩포스트 A(64)는, 안내링(97)의 형상에 맞추어서, 실린더(56)에 테이프(57)를 무리없이 감겨지도록 하는 각도로 경사되면서 서서히 상승을 시작한다. 다음에 로우딩블록 A(103)은 스토퍼 A(106)에 의해서 로우딩이 종료하고, 로우딩포스트 A(64)만이 계속해서 회동한다. 이때 로우딩포스트 A(64)가 스토퍼 A(106)와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로우딩블록 A(103)은 로우딩링(86)의 위를 상대적으로 미끄러져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로우딩포스트 A(64)의 원통부(99)가 V스토퍼 A(100)에 당접해서 로우딩은 종료하고, 로우딩링(86)은 회전이 종료된다. 따라서, 이 최종위치에서 로우딩블록 A(103)의 요부 (105)가 이간하지 않을 정도의 구간, 로우딩링(86)위에 철부(104)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로우딩포스트 A(64)가 스토퍼(100)에 당접하기 조금전에 스프링(107)이 로우딩블록 A(103)을 배후에서 압압하고, 스토퍼 A(106)에로 압접하는 것같이 해서 위치결정을 완성하는 것이며, 스프링(107)은 로우딩링(86)에 형성된 L자형 돌기(108)에 안내되어 있으며, 그 일단을 돌기(108)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2도는 스프링(107)이 로우딩블록 A(103)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반대로 실린더(56)에 감긴 테이프(57)를 카세트(55)내에 되돌리는 동작(이후 언로우딩이라 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기어 A(96)가 로우딩과는 반대방항으로 회전하고(시계방향), 로우딩링(86)을 J와 반대측으로 회동시킨다. 로우딩포스트 A(64)는 그대로 언로우딩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나, 로우딩블록 A(103)은 스프링(107)의 압압력이 없어질때까지 스토퍼 A(106)에 당접된 상태인 체이다. 얼마 인가서 스프링(107)이 로우딩링(86)의 회전에 의해서 로우딩블록 A(103)에 떨어지면 마찰력에 의해서 로우딩블록 A(103)은 로우딩링(86)과 함께 언로우딩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카세트(55)내로 이동해서 스토퍼 B(109)에 의해서 연결된다. 언로우딩은 이상태로 진행하고, 얼마 안가서 로우딩포스트 A(64)도 카세트(55)내로 되돌아와서, 지지부(92)가 로우딩블록(103) 앞단의 돌기부(110)에 당접해서 간접적이기는 하나, 위치결정으로 하고, 언로우딩을 종료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또한, (111),(112),(113)은 로우딩링(86)의 회동을 위한 호울더이다. 다음에 제 3 도에 있어서의 소거헤드(73)의 로우딩이나 언로우딩중에 있어서의 동작, 즉 로우딩 포스트의 이동경로 밖으로 빠져나가는 기구를 제15도 내지 제17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5도는 소거헤드(7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소거헤드(73)는 제 3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축(127)에 회동자재로 축지된 헤드호울더(128)에 부착되어, 제 3 의 경사면내를 회동한다. 헤드호울더(128)는 스프링(129)에 의해서 부세되어 있으며, 소거헤드(73)의 하면에는 소거헤드(73)의 앞면보다 약간 앞으로 나온 안내부(13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130)는 소거헤드(73), 헤드호울더(128)의 어느 쪽이나 설치되어 있어도 되나, 조립된 상태로 소거헤드(77)와 일체로 되어있지 않으면 안된다.
제16도, 제17도는 소거헤드(77)를 경사면에 수직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16도는 로우딩포스트 A(64)(도시하지 않음)가 통과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것은 즉 올바른 테이프패스를 형성할 경우의 소거헤드(73)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97)은 전술한 안내링이다. 스프링(129)으로 Q방향에 부세된 헤드호울더(128)는 스토퍼(131)에 의해서 그 위치가 유지되어 있다.
제17도는 로우딩포스트 A(64)가 통과할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과 같이 로우딩포스트 A(64)가 안내링(97)에 연해서 통과하면, 헤드호울더(128)의 안내부(130)가 로우딩포스트 A(64)에 당접하고, 스프링(129)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R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이상태로 로우딩포스트 A(64)가 통과해버리면, 스프링(129)에 의해서 헤드호울더(128)는 원상태 즉 제16도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포스트(72)로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한 것이다.
끝으로 제 3 도, 제13도, 제14도에 의해서, 로우딩포스트 C(68), 경사로우딩포스트 B(69) 및 핀치로울러(84)의 로우딩기구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들 2분의 포스트(68),(69) 및 핀치로울러(84)는 각각 로우딩 종료시에 정확한 테이프패스를 형성하는 소정의 경사각도 및 소정의 높이로 이미 배설된 상태로 로우딩블록 B(114)위에 식설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에서 명백하나, 로우딩포스트 C(68)와 핀치로울러(8)와는 같은 경사면내에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핀치로울러(84)는 이 평면내에서 지점(13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아암(133)을 개재하고 있다. 이 상태로, 로우딩블록 B(114)이, 카세트의 절결부 B(70)내의 위치(68'),(69'),(84')의 각 포스트류를 정규의 위치(68),(69),(84)로 이송하는 것과 같이, 기판(54)에 대한 평행, 회전이동을 행하는 것이다.
이점은 전술한 로우딩포스트 B(65) 및 경사로우딩포스트 A(66)의 로우딩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로우딩블록 B(114)의 하측에 형성된 요부(115)가 기판(54)위에 형성된 철부(116)와 결합하고, 기판(54)위를 철부(116)의 형상에 연해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철부(116)는 카세트(55)의 절결부 B(70)내의 위치에서 캡스턴(79)을 피하도록 해서 로우딩블록 B(114)을 안내하고 스토퍼 B(117)에 로우딩블록 B(114)이 당접해서 정해지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로우딩블록 B(114)의 뒷부분에는 조인트부(118)가 있고, 조인트레버(119)가 결합핀(120)에 의해서 회전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또 로우딩레버(121)와 조인트레버(119)도 결합핀(122)에 의해서 회전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로우딩레버(121)의 지지점(123)에는 로우딩레버(121)와 일체화된 기어(124)가, 구동기어 B(125)와 교합하도록 착설되어 있다. 구동기어 B(1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교합되어 있는 기어(124)가 회전하고, 그 결과 로우딩레버(121)가 P방향으로 움직인다. 로우딩레버(121)는 지지점(123)을 중심으로 한 원호궤도를 그러나, 로우딩블록 B(114)은 기판(54)의 철부(116)의 형상에 연해서 움직이므로, 조인트레버(119)는 쌍방의 움직임에 맞추어서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언로우딩은 구동기어 B(125)를 역회전시키므로서 행해진다. 또 카세트(55)내에서의 위치는 스토퍼핀(126)에 로우딩레버(121)가 당접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로우딩레버(121)는 권취리일대 (127)를 빠져나가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절곡된 형상이 되어있다. 제 3 도에 있는 안내포스트(85)는 제13도에는 도시하고 있지않으나, 로우딩 및 언로우딩시에는 로우딩블록 B(114)의 경로밖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것은 전술한 소거헤드(73)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한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테이프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로우딩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끝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테이프패스를 채용하므로서, 종래의 M형 로우딩, U형 로우딩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던 여러가지의 점이 완전히 극복된다. 이하, 본 테이프패스 및 본테이프로우딩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실린더를 나온 테이프가 캡스턴, 핀치로울러계에 도달할 때까지에 경유하는 모든 안내포스트나 헤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와 고정헤드의 거리의 관리가 용이하며, 각 헤드에의 헤드닿기도 보증된다. 또 이동불이 존재하므로 인한 구성의 복잡성, 위치결정 정밀도 등의 문제에서 오는 생산가상승, 부품갯수가 많아지므로 인한 조립성의 악화 등이라는 점이 없는 것도 커다란 이점이 된다.
2. 실린더에서 캡스턴까지의 테이프안내로의 테이프감지각도를 작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로울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이 구간의 테이프에 꼬임이 없기 때문에 경사포스트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행이 극히 안전되고, 와우프래터(wowflatter)나, 지터(jitter)도 억제된다.
3. 경사포스트로의 감기각도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권취토오크가 작아도 되고 테이프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4. 제 2 의 경사면의 경사각이 대단히 작으므로, 테이프구동계의 구성요소가 비스듬하게 되어도, 기판에 수직인 경우와 거의 두께면에서 변화가 없다.
5. 로우딩링 등, 주요 로우딩부재를 기판과 평행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VTR의 박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다.
6. 제 2 의 경사면의 존재때문에, 실린더를 카세트면보다 다소 낮게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실린더에 감겨지므로 인한 테이프상승량을 작게 함과 동시에, 테이프루우프 자체도 간편하게 되기 때문에 테이프패스의 점유체적이 극히 작아지며, VTR의 소형화가 한층 더 도모된다.
7. 실린더의 리이드에 연한 로우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우딩과정에서의 테이프손실을 최저한으로 머물게 할 수 있다.
이상 종합하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패스를 채용한 VTR에서는, 그 소형화, 박형화가 크게 도모될 뿐만 아니라, 테이프주행 등 VTR로서의 기능을 결코 떨어뜨리지 않고, 그위에 구성이 간단하며 조립성도 좋고, 생산비도 낮게 억제되며, 더우기 테이프보호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선 최적한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으며, VTR의 발전에 크게 유익한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리일대를 수직으로 지지하고 카세트를 평행으로 장착하는 기판과, 이 기판에 대해서 각각 경사방향 및 경사각도가 상이하는 3종류의 경사면을 가지고, 제 1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회전헤드를 구비한 안내드럼을 착설하고, 제 3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제 1 의 안내포스트 및 소거헤드를 착설하고, 제 2 의 경사면에 수직으로 제 2 의 안내포스트, 고정기록헤드 및 캡스턴축을 설치하고, 또한 테이프주행시에는 이 제 2 의 경사면에 수직인 상태로 핀치로울러를 배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경사면은 상기 캡스턴축이 착설된 위치에서 상기 안내드럼축의 쪽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경사면의 상기 기판에 대한 경사각도를 상기 안내드럼에 형성된 리이드각보다 약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경사면의 상기 기판에 대한 경사각을 약 5도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내에 삽입되고, 상기 안내드럼의 주위에 상기 테이프를 권회하는 것같이 이송되는 안내포스트와, 이 안내포스트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링을 구비하고, 이 링은 상기 기판에 평행인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의 경사면내에 있는 상기 소거헤드는 이 평면내에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KR8202795A 1981-06-24 1982-06-23 자기기록 재생장치 KR850001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97876 1981-06-24
JP56097876A JPS57212651A (en) 1981-06-24 1981-06-24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77876 1985-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26A KR840000926A (ko) 1984-03-26
KR850001454B1 true KR850001454B1 (ko) 1985-10-05

Family

ID=1420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795A KR850001454B1 (ko) 1981-06-24 1982-06-23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17613A (ko)
EP (1) EP0068746B1 (ko)
JP (1) JPS57212651A (ko)
KR (1) KR850001454B1 (ko)
AU (1) AU540630B2 (ko)
CA (1) CA1198815A (ko)
DE (1) DE32801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5450A (en) * 1982-10-29 1987-05-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Helical scan type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644369B2 (ja) * 1982-12-28 1994-06-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4652948A (en) * 1983-04-08 1987-03-2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58310A (en) * 1983-05-26 1987-04-14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moving a pinch roller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9218661A (ja) * 1983-05-27 1984-12-08 Canon Inc テ−プ引き出し手段の位置決め装置
JPS6064438U (ja) * 1983-10-04 1985-05-07 アイワ株式会社 ビデオテ−プレコ−ダ
JPH0743857B2 (ja) * 1983-10-20 1995-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プロ−ディング機構
JPS6166254A (ja) * 1984-09-10 1986-04-05 Hitachi Ltd テ−プロ−デイング機構
US4652946A (en) * 1985-04-12 1987-03-24 Ampex Corporation Fast deploying tape transport
EP0198102B1 (en) * 1985-04-17 1990-08-29 Sanyo Electric Co., Ltd. Tape loading mechanism
DE3540512A1 (de) * 1985-11-15 1987-05-21 Grundig Emv Video-magnetbandgeraet
JPH0668864B2 (ja) * 1985-12-05 1994-08-31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レコ−ダ−
JPS62232750A (ja) * 1986-04-02 1987-10-13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4949203A (en) * 1987-03-11 1990-08-1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Tape recorder having an improved cassette mounting device
NL8801699A (nl) * 1988-07-05 1990-02-01 Philips Nv Scheefspoormagneetbandapparaat voorzien van een bandloop met torsietrajecten ter correctie van die bandloop.
US5184259A (en) * 1988-07-05 1993-02-02 U.S. Philips Corporation Helical-scan magnetic tape apparatus having a tape-transport path with twisting path-sections for tape-path correction
JP2850347B2 (ja) * 1989-02-10 1999-01-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2210658A (ja) * 1989-02-10 1990-08-22 Sony Corp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293550A (en) * 1989-02-10 1994-03-08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85332A (en) * 1990-09-28 1994-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loading device with reduced tape running load and simplified construction for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906719B2 (ja) * 1991-04-10 1999-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US5572381A (en) * 1993-06-07 1996-11-0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for a simplified video cassette recorder apparatus
JP2965456B2 (ja) * 1994-03-23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41556B2 (ja) * 1996-04-09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1315A (en) * 1970-08-24 1972-09-12 Ampex Helical scan magnetic recorder having a critical angle for the tape at the entrance and exit guides in the head drum
US3818503A (en) * 1971-12-01 1974-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head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5220249Y2 (ko) * 1972-05-04 1977-05-10
US3979772A (en) * 1973-02-12 1976-09-07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635166B2 (ko) * 1973-07-31 1981-08-15
JPS5081108A (ko) * 1973-11-17 1975-07-01
DE2441663C2 (de) * 1974-08-30 1984-10-1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andführungseinrichtung in einem Magnetbandgerät
JPS5827580B2 (ja) * 1976-05-04 1983-06-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5160362A (en) * 1979-05-31 1980-12-13 Sony Corp Tape loader
AU536904B2 (en) * 1979-06-06 1984-05-31 Sony Corporation Magnetic tape loading apparatus
JPS5619550A (en) * 1979-07-26 1981-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loading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JPS5665354A (en) * 1979-10-29 1981-06-03 Hitachi Ltd Structure of magnetic tape run system
JPS6327301Y2 (ko) * 1980-07-31 1988-07-25
JPS5786161A (en) * 1980-11-17 1982-05-29 Sony Corp Tape loa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0630B2 (en) 1984-11-29
EP0068746B1 (en) 1990-04-18
KR840000926A (ko) 1984-03-26
US4517613A (en) 1985-05-14
EP0068746A2 (en) 1983-01-05
DE3280154D1 (de) 1990-05-23
AU8492482A (en) 1983-08-11
EP0068746A3 (en) 1983-12-14
JPH0217859B2 (ko) 1990-04-23
JPS57212651A (en) 1982-12-27
CA1198815A (en) 198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54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EP0083932A2 (en)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479618A (en) Tape cassette adapter
US6342988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ape loading mechanism
JPH04313843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KR100317152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US5196971A (en) Tap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control features for preventing damage to tape
US5204791A (en) Tape loading device of a video tape recorder having a linkage driven inclined auxiliary tape guide member
JPS60164948A (ja) Vtrのテ−プロ−デイング装置
US7221535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880000030B1 (ko)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GB1562404A (en) Web cassettes and web guiding members therefor
JPS58888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自動巻架機構
WO1992022897A1 (en) Magnetic tape threading and guiding system for a helical scan recorder
JPH081711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38449B2 (ja) 磁気テ―プ引き出し装置
JP299587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3042003B2 (ja) テープパス系のテープ走行高さ修正装置
JPH042294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1273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7815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ガイド機構
JPH0117926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2927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820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810668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