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30B1 -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 Google Patents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30B1
KR850000830B1 KR1019810004708A KR810004708A KR850000830B1 KR 850000830 B1 KR850000830 B1 KR 850000830B1 KR 1019810004708 A KR1019810004708 A KR 1019810004708A KR 810004708 A KR810004708 A KR 810004708A KR 850000830 B1 KR850000830 B1 KR 85000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ller
pump
squeeze pump
squ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055A (ko
Inventor
노보루 이와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노보루 이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6235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471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449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599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535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82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627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8584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노보루 이와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5/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with the working-chamber walls at least partly resiliently deform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69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the rotary axes of the rollers ly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ry axis of the driving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Slurry pumps, e.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제1도는 종래의 스퀴이즈 펌프의 일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 시킨 스퀴이즈 펌프의 정면도.
제3도는 상기 일부에 대한 확대 측면도.
제4도, 제5도는 압압 로울러에 의해서 탄성 튜우브를 협압(挾壓)하기 시작한 상태를 표시한 일부 측면도.
제6도는 압압 로울러에 의해서 탄성 튜우브를 완전히 협압한 상태를 표시한 정면도.
제7도는 마찬가지로 탄성 튜우부의 협압 상태를 표시한 위에서 본 단면도.
제8도는 탄성 튜우브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9a도,제9b도는 탄성튜우브의 다른 예를 표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선단부를 굵게 형성한 압압로울러를 갖춘 스퀴이즈 펌프의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압압로울러에 대한 확대도.
제12도는 압압로울러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대한 일부 확대 측면도.
제13a도, 제13b도, 제13c도는 압압로울러에 대한 다른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14도는 탄성튜우브의 다른 예를 표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펌프 케이스 14 : 압압돌조
15 : 탄성튜우브 18 : 주구
22 : 회전축 24 : 지지축
25 : 압압로울러 26 : 심봉
27 : 탄성부재 P1: 선단부위치
P2: 기단부 위치 D,d : 직경
본 발명은 펌프케이스 내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배치된 탄성 튜우브를 유전(遊轉)하면서 공전(公轉)하는 압압로울러에 의해서 압압하여 동 탄성튜우브 내의 슬러리(Slurry)를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한 스퀴이즈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퀴이즈 펌프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케이스(1)의 내주면에 따라서 탄성 튜우브(2)를 원호상으로 굴곡하여 배설하고, 회전축(3)에 고착된 회전아암(4)의 선단부에 수개의 압압 로울러(5)를 회전축(3)과 평행으로 축지하여 상기 회전아암(4)를 제1도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압압로울러(5)가 탄성튜우브(2)를 펌프케이스(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협압하면서 전동하여 튜우브(2)외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스퀴이즈 펌프에 있어서는 탄성 튜우브(2)를 압압로울러(5)에 의해서 펌프케이스(1)의 내주면에 압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 탄성 튜우브(2)를 압압로울러(5)와 펌프케이스(1)의 내주면 사이에 안정되게 협압하기 위해서는 동 내주면을 정확한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탄성 튜우브(2)를 손상하지 않도록 내주면을 연마 마무리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압압로울러(5)가 동 내주면에 정확히 연(沿)하도록 상기 회전축(3)을 정확히 펌프케이스(1)의 중심에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
또 펌프 케이스(1)내에 있어서 탄성튜우브(2)를 원호면에 따라서 굴곡하여 부착하면 동 튜우브(2)의 단면은 옆이 긴 타원형상으로 되고 더우기 동 튜우브(2)는 압압로울러(5)에 의해서 타원을 다시 편평(偏平)으로 눌러 찌그러 뜨리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그 때문에 탄성튜우브(2)는 압압로울러(5)가 통과한 후도 단면이 타원 현상으로 복원할 뿐이고, 사용에 따라서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영구 변형하여 슬러리의 이송량이 적어진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또한 탄성튜우브(2)를 펌프케이스(1)의 내주면에 압압하는 구성으로는 동 탄성튜우브(2)가 내주면에 압압되어서 약간 확대되고 또한 강하게 마찰되어서 발열하여 이에 따라 탄성튜우브(2)의 조기 마모를 발생케 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러리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하는 동시에 탄성 튜우브의 마모를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제조가 용이한 스퀴이즈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압후에 있어서의 탄성튜우브의 복원성을 좋게하고 이에 수반하여 탄성튜우브에 의한 슬러리의 흡입효율도 좋게할 수 있도록 한 스퀴이즈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케이스의 내주면을 연마 마무리할 필요가 없으며, 회전축의 위치도 개략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로 전체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스퀴이즈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케이스의 내주면 중앙에 탄성 튜우브의 곡경(曲徑)을 설정하는 압압돌조(突條)를 설치하여 펌프케이스 내에 대한 탄성튜우브의 배설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한 스퀴이즈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튜우브의 협압 개시시 및 완료시에 있어서 동 튜우브의 무리를 적게할 수 있도록 한 스퀴이즈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압로울러에 의해서 탄성튜우브를 압압할 시에 슬러리중의 골재가 탄성튜우브 내벽면에 침입하기 어렵게 하여 동 튜우브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퀴이즈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압로울러에 의해서 탄성 튜우브를 압압할 때에 압압로울러가 탄성튜우브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튜우브를 압압할 수 있도록한 스퀴이즈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를 그의 내주쪽으로 부터가 아니라 측방으로부터 압압하도록 하므로써 펌프케이스(11)내에 배설되어서 자연히 옆이 긴 타원 현상으로 찌부러진 탄성 튜우부(15)를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항상 원형상으로 복원시킬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튜우브(15)가 타원형상으로 영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리의 충분한 이송량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탄성튜우브(15)가 압압로울러(25)와 펌프케이스(11)와의 사이에서 협착(狹着)되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탄성튜우브(15)가 펌프케이스(11)의 중심으로 부터 그의 내주면쪽으로 확대되는 일이 없게 되어, 이로 인하여 탄성튜우브(1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이와 같이 펌프케이스(11)에 탄성튜우브(15)의 압압기능을 갖지않도록 하므로써 펌프케이스(11)를 이론상 불필요하게하여 동 케이스(11)에는 단순한 커버정도의 기능을 갖게하는 것만으로 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각 압압로울러(25)의 선단에 탄성부재(27)를 부착하였으므로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를 압압 개시할 때와 압압이 종료시 즉 압압로울러(25)의 선단이 탄성튜우브(15)의 양측으로 침입하기 시작할 때와 침입이 해제될 때에 탄성부재(27)의 탄성을 이용하여 튜우브(15)의 측면에 대한 압압로울러(25)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여 탄성튜우브(15)의 무리를 적게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퀴이즈 펌프에서는 탄성튜우브(15)에 주구(周溝)(18)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탄성 튜우브(15)는 각 압압로울러(25)에 대하여 친숙성이 좋게되어 있다. 즉 본실시예에서는 제6도와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로울러(25)가 탄성 튜우브(15)의 주구(18) 부분을 압압하였을 때에 이 부분이 급격히 구부러지기 때문에 탄성튜우브(15) 내벽면에 대한 골재의 침입각(角)(α)이 크게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로울러(25)에 의한 탄성튜우브(15)의 압압부에 골재가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서 탄성튜우브(15)의 마모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어있다. 더우기 상기 스퀴이즈펌프는 탄성튜우브(15)를 한쌍의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좌우 양쪽으로부터 협압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어느쪽이던가 한쪽만으로부터 압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침입각(α)을 보다 한층 크게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침입각(α)이 크게되면 양 압압로울러(25)간의 용적을 증대시켜서 슬러리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탄성튜우브(15)는 그의 두께를 두껍게 하였으므로 압압로울러(25)에 의한 압압후의 복원상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또 탄성튜우브(15)에 주구(18)를 설치하므로써 이 탄성튜우브(15)를 펌프케이스(11) 내에서 원호상으로 만곡시켰을 때에 그 곡경을 작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펌프케이스(11)의 직경도 작게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는 펌프케이스(11)의 내주에 압압돌조(14)를 설치하였으므로 이 압압돌조(14)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의 곡경을 적절히 설정하여 탄성튜우브(15)의 배설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압압로울러(25)를 선단일수록 직경이 굵게 되는 원추대형상(臺形狀)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25)를 압압할 때에 압압로울러(25)가 탄성튜우브(15)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를 확실하게 압압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제2도 내지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11은 대략 반원통상의 펌프케이스로서 차륜(12)이 있는 기대(13)위에 고정되어 있다. 14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케이스(11)의 원호상을 이룬 내주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고정항 압압돌조로서, 그의 내측에는 탄성튜우브(15)를 원호상으로 굴곡하여 배설하고 있다. 동 탄성튜우브(15)의 양단은 직선상을 이루어서 전방으로 뻗어있으며 그의 1단은 펌프케이스(11)의 외면상단에 고정한 지지구(16)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단은 기대(13)위에 고정한 다른 지지구(17)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18은 제6도와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 튜우브(15) 양단의 직선상(狀)부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동 탄성튜우브(15)의 외주면에 현성한 다수의 주구로서 대략 폭 3-10mm, 깊이 5-8mm의 각구(角溝)를 10-25mm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다. 19는 탄성 튜우브(15)내에 수매의 보강천(20)을 매설하여 형성한 보강천충으로서, 각 보강천(20) 사이에는 이것들이 서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 1.5-4mm정도의 고무층(21)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튜우브(15)에서는 그 내경을 약 100-150mm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20-28mm 정도로 하고 보강천층(19)을 탄성튜우브(15)의 표면으로부터 두께의 약 1/3 내측에 다가선 곳에 위치시키고 있다.
22는 제3도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 케이스(11)의 양측판 사이에 걸친 회전축으로서, 그의 일단에는 스프로킷(23)을 부착하고 있다. 24는 동 회전축(22) 위에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설한 상하 각 한쌍의 지지축으로서, 회전축(22)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고 또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각 한쌍의 지지축(24)은 각각 서로 약간 이간되고 있다.
25는 각 지지축(24)의 선단에 유전(遊轉) 가능하게 부착한 금속제의 압압로울러로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는 동시에 탄성튜우브(15)를 그의 양측으로부터 협압하면서 동 탄성튜우브(15)의 외면위를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동 압압로울러(25)는 기단으로 부터 선단까지 굵기가 동일한 원주상을 이루고 있다. 26은 각 압압로울러(25)의 선단 중심부에 돌설한 심봉(心棒), 27은 동 심봉(26)을 모울드 하도록 하여 압압로울러(25)의 선단에 고착한 고무제의 탄성부재로서, 압압로울러(25)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부재(27)의 기단연은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를 혈압하였을 때에 동 탄성튜우브(15)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지 않는 곳, 또는 약간 접촉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 각 탄성부재(25)의 선단부는 테이퍼상으로 외경이 줄어있고, 이 테이퍼상 부분의 표면각부(角部)는 모두 원호상으로 매끄럽게 마무리되어 있다. 28은 상기 각 한쌍의 지지축(24)으로 부터 70도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축(22)위에 고정한 각 한쌍의 지지축, 29는 각 한 쌍을 이루는 지지축(28)간에 유전 가능하게 지지한 한쌍의 복원 로울러이다.
양 복원로울러(29)는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종방향으로 편평상으로 변형된 탄성튜우브(15)를 내측방향으로 부터 압압하여 이것을 원통상으로 복원시키는 동시에 동 탄성튜우브(15)가 펌프케이스(11)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30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케이스(11)의 배면 하부에 하단을 축착한 모우터 지지판으로서, 동 축착부(31)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의 경동(輕動)이 가능케 되어 있다. 32는 펌프케이스(11)의 배면상부에 기단을 상하 경동 가능하게 축착부(33)를 형성한 보울트로서, 그의 선단을 상기 모우처 지지판(30)의 상단부에 관통 삽입하고 있다.
34는 동 보울트(42)에 나합한 너트로서, 모우터 지지판(30)의 저면에 맞닿고 있다.
35는 모우터 지지판(30)의 후면에 고정 설치한 모우터로서, 그의 스프로킷(36)과 상기 회전축(22)위에 스프로킷(23)과의 사이에는 체인(37)을 걸치고 있다. 따라서 이 모우터(35)는 축착부(31)를 중심으로 하는 후방으로의 경동이 체인(37)에 의해서 규제되고 전방으로 경동하는 것은 상기 너트(34)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다.
상기한 스퀴이즈 펌프에서는 모우터(35)에 의해서 회전축(22)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행하는 한쌍의 압압로울러(25)는 탄성튜우브(15)의 전반부에 있어서 제4도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동 탄성튜우브(15)의 좌우 양측 상부에 접촉하여 전동하기 시작하고, 동 탄성튜우브(15)와 교차하면서 서서히 탄성튜우브(15)를 사이에 끼고 움직인다. 그리하여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한쌍의 압압로울러(25)가 수립(垂立)상태로 되었을 때에 탄성튜우브(15)를 완전히 양측방으로 부터 협압한다.
이때 탄성튜우브(15)는 압압로울러(25)와의 교차가 깊어지는데 따라서 제4도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압압로울러(25)에 친숙해져서 곧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협압된다. 계속하여 이 압압로울러(25)로 부터 180도 지연된 위치를 마찬가지로 한쌍의 압압로울러(25)가 탄성튜우브(15)를 양측으로부터 협압하면서 전동한다. 따라서 이로 인해 탄성튜우브(15) 내의 슬러리가 압압로울러(25)의 회전방향으로 게속 내보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튜우브(15) 외주상에 다수 요설되어 있는 주구(18)는 1개의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홈으로 하여도 좋고, 또 주구(18)의 형상은 제9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저부가 약간 폭이 좁은 각구상(角溝狀) 또는 제9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환구상(丸溝狀) 으로 하여도 좋다.
또 압압로울러(25)는 제10도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주상이 어니고 원주대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압압로울러(25)는 제10도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일수록 직경이 굵게된 원추대형으로 외경을 넓게하는 동시에 그의 지지축(24)을 각각 외측방향으로 약간 기울여서 회전축(22) 위에 고정시키고, 양 압압로울러(25)가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서로 평행으로 하여 이 측면 사이에서 탄성 튜우브(15)를 협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탄성튜우브(15)의 외주부를 협압하는 압압로울러(25)의 선단부위치(P1)에 있어서의 동 압압로울러(25)의 직경(D)과 탄성 튜우브(15)의 내주부를 협압하는 압압로울러(25)의 기단부위치(P2)에 있어서의 동 압압로울러(25)의 직경(d)(D>d)은 상기 회전축(22)의 축심으로 부터 선단부위치(P1) 및 기단부위치(P2)까지의 거리를 각각 R.r(R>r)로 하는 동시에 회전축(22)이 1회전할때에 상기 압압로울러(25)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회전하였다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그의 회전수를 n으로 하였을 때,
Figure kpo00001
의 식으로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로울러(25)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1회전 하였을시에 생기는 선당부위치(P1)와 기단부위치(P2)의 회동거리 2πR,2πr의 차(2π(R-r))에 따른 기단부위치(P2)의 탄성튜우브(15)에 대한 미끄러짐이 없어져서 압압로울러(25) 전체가 확실하게 연속적으로 탄성튜우브(15)를 압압한다.
그러나 각 압압로울러(25)의 직경이 기단에서 부터 선단까지 동일하면 각 압압로울러(25)의 선단부위치(P1)와 기단부위치(P2)에서는 동 압압로울러(25)가 1회전하였을 시의 회동거리는 각각 2πR,2πr로 되어 차( 2π(R-r))가 생긴다. 이 차는 압압로울러(25)의 선단부위치에 있어서 탄성튜우브(15%)에 대한 미끄럼으로 되어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제10도와 제1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압압로울러(25)가 전동하면서 탄성튜우브(15)를 협압할 때에 동 탄성튜우브(15)가 회전축(22)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1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압압로울러(25)의 기단부에 플랜지(45)를 돌설한다거나 양 압압로울러(25)의 대향면을 서로 평행으로 하지 않고 기단측을 약간 좁게하여 탄성튜우브(15)를 외방으로 밀어내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도.
또 압압로울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24)을 회전축(22)에 대하여 직각으로 고정하여 지지축(24)의 도중에서 사상(斜狀)으로 굴곡시켜서 압압로울러(25)를 사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표시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a)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케이스(11)의 내주면에 한 쌍의 지지레일(38)을 돌설시키는 동시에 각 압압로울러(25)의 선단에는 각 지지레일(38)의 내측에 접촉하면서 전동하는 지지로울러(39)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압압로울러(25)는 그의 선단에 있어서도 좌우로 이동불능하게 지지되므로 탄성튜우브(15)를 보다 안정되게 협압할 수가 있다.
(b) 제13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7)의 선단을 반구상으로 형성하거나, 제13b도에 표시한 것같이 선단가부(角部)를 곡면으로 한다거나 또는 제13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로울러(25)의 기단에 탄성튜우브(15)의 내주연부를 걸림하기 위한 플랜지(45)를 돌설하거나 한다.
(c)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튜우브(15) 위에 형성된 주구(18)중 회전축(22)의 후방에 있어서의 상하 약 45도 방위(方位)(40)에 위치하는 주구(18) 상호의 간격을 좁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압압로울러(25)에 의한 탄성튜우브(15)의 협착시에 동 탄성튜우브(15)가 상기 45도 방위(40)에서 직각상으로 꾸부러져서 정면 채널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튜우브(15)를 펌프케이스(11)의 내주에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2)

  1. 펌프케이스(11) 내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배설된 탄성튜우브(15)를 유전하면서 공전(公轉)하는 수개의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압압하여 동 탄성 튜우브(15)내의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는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에 있어서, 각 압압로울러(25)의 지지축(24)은 동 압압로울러(25) 공전용의 회전축(2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돌설되고, 동 압압로울러(25)에 의해서 탄성튜우브(15)를 그의 측방으로부터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압압로울러(25)는 회전축(22)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한쌍씩 수쌍이 병설되어 탄성 튜우브(15)를 그의 양측으로 부터 협압(狹壓)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각 압압로울러(25)는 기단에서부터 선단까지 굵기가 동일하게 된 원주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펌프케이스(11)의 원호상의 내주면에는 탄성 튜우브(15)의 외주에 맞닿는 압압돌조(14)가 부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키이즈 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압압로울러(25)는 그의 정부(頂部)가 테이퍼상으로 직경이 축소되고 또한 이 테이퍼상 사분의 표면 각부(角部)가 모두 매끄럽게 마무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6. 제2항에 있어서 각 압압로울러(25)는 선단일수록 직경이 굵게되는 원추대(臺)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튜우브(15)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서로 평행으로 하탄 여성튜우브(15)를 그의 양측으로 부터 협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 튜우브(15)의 외주부를 협압하는 선단부위치(P1)에 있어서의 압압로울러(25)의 직경(D)과 탄성튜우브(15)의 내주부를 협압하는 기단부위치(P2)에 있어서의 압압로울러(25)의 직경(d)은 회전축(22)의 축심으로 부터 각기 상기 각 위치(P1,P2)까지의 거리를 R,r로 하고, 또한, 회전축(22)이 1회전 하였을 때에 압압로울러(25)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전동하는 회전수를 n으로 하였을 때
    Figure kpo00002
    ,
    Figure kpo00003
    로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각 압압로울러(25)의 선단부에 탄성부재(27)가 부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탄성부재(27)는 고무제로서 압압로울러(25)의 선단 중심부에 돌설된 심봉(26)을 모울드하도록 하여 동 압압로울러(25)에 고착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탄성튜우브(15)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으며 그의 외주면상에 주구(周溝)(18)가 형성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탄성튜우브(15)는 그의 내경 및 두께가 각각 100-150mm, 20-38mm로 되어 있으며, 주구(18)는 대략 폭 3-10mm, 길이 5-8mm 의 각구(角溝)가 10-25mm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주구(18)는 다수 형성되고 이것들의 주구(18)중 회전축(22)의 후방에 있어서의 상하 약 45도 방위(40)에 위치하는 주구(18) 상호의 간격이 좁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이즈펌프.
KR1019810004708A 1980-12-13 1981-12-03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KR850000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76235 1980-12-13
JP17623580A JPS5947157B2 (ja) 1980-12-13 1980-12-13 スクイズポンプ
JP55-176235 1980-12-13
JP???56-44490 1981-03-25
JP4449081A JPS57159986A (en) 1981-03-25 1981-03-25 Squeeze pump
JP56-44490 1981-03-25
JP56-105354 1981-07-06
JP???56-105354 1981-07-06
JP10535481A JPS588287A (ja) 1981-07-06 1981-07-06 スクイズポンプ
JP56-116270 1981-07-23
JP???56-116270 1981-07-23
JP11627081A JPS5818584A (ja) 1981-07-23 1981-07-23 スクイズ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055A KR830008055A (ko) 1983-11-09
KR850000830B1 true KR850000830B1 (ko) 1985-06-15

Family

ID=274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708A KR850000830B1 (ko) 1980-12-13 1981-12-03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4492538A (ko)
EP (1) EP0075020B1 (ko)
KR (1) KR850000830B1 (ko)
AU (1) AU543083B2 (ko)
WO (1) WO19820020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56B1 (ko) * 2007-09-04 2010-01-1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정합식 플랜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3083B2 (en) * 1980-12-13 1985-03-28 Daiichi Engineering Co. Ltd. Squeeze pump
DK160633C (da) * 1985-05-15 1991-09-02 Henning Munk Ejlersen Slangepumpe, isaer til avendelse som insulinpumpe
US5024586A (en) * 1990-03-13 1991-06-18 Samuel Meiri Accurate peristaltic pump for non elastic tubing
US5222880A (en) * 1991-10-11 1993-06-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elf-regulating blood pump
US5281112A (en) * 1992-02-25 1994-01-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elf regulating blood pump with controlled suction
JP2905692B2 (ja) * 1994-05-11 1999-06-14 株式会社大一テクノ スクイズ式ポンプ
US5660529A (en) * 1994-12-06 1997-08-26 Mcgaw, Inc. Linear peristaltic pump with reshaping fingers interdigitated with pumping elements
US6234773B1 (en) 1994-12-06 2001-05-22 B-Braun Medical, Inc. Linear peristaltic pump with reshaping fingers interdigitated with pumping elements
US6168397B1 (en) * 1997-07-01 2001-01-02 Daiichi Techno Co., Ltd. Flexible tube of squeeze pump
US5954486A (en) * 1997-07-01 1999-09-21 Daiichi Techno Co., Ltd. Squeeze pump having shrink fitter rollers
DE60325850D1 (de) * 2002-06-13 2009-03-05 Graco Minnesota Inc Struktursprühvorrichtung mit verstellbarem durchfluss und schlauchpumpe
WO2007036931A2 (en) * 2005-09-27 2007-04-05 Yuri Lesokhin Improved peristaltic blower or pump
FR2926336B1 (fr) * 2008-01-11 2016-09-02 Lucien Vidal Pompe peristaltique perfectionnee
CN102878064A (zh) * 2012-08-31 2013-01-16 温州工程机械有限公司 多联式胶管挤压泵
CN104154348A (zh) * 2014-08-06 2014-11-19 杨继广 一种蠕动泵专用水管
US9572933B2 (en) 2014-09-19 2017-02-21 Shawn Grannell Extravas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80328352A1 (en) * 2017-05-13 2018-11-15 Phillip W. Barth Planar flow channels for peristaltic pumps
JP2019167872A (ja) * 2018-03-23 2019-10-03 株式会社アクアテック チューブポンプ
DE202021101635U1 (de) 2021-03-26 2021-05-31 Jobst Technologies Gmbh Mikropumpe nach dem peristaltischen Wirkungsprinzip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0412C (ko) *
US2831437A (en) * 1956-04-04 1958-04-22 Cromwell Oliver Squeegee pumps
US2917002A (en) * 1956-11-23 1959-12-15 Mascaro Anthony Pump
US3255483A (en) * 1960-02-03 1966-06-14 Alfred M Moen Valve handle construction
US3140666A (en) * 1962-06-11 1964-07-14 American Instr Co Inc Peristaltic pump
US3421447A (en) * 1966-10-26 1969-01-14 Challenge Cook Bros Inc Fluid pump
BE707126A (ko) * 1966-12-10 1968-04-01
JPS5034763B1 (ko) * 1970-02-21 1975-11-11
US3649138A (en) * 1970-03-04 1972-03-14 Ireco Chemicals Pump apparatus for slurry and other viscous liquids
DE2040034A1 (de) * 1970-08-12 1972-02-17 Bodenseewerk Perkin Elmer Co Vorschaltgetriebe fuer Schlauchpumpen
AT309227B (de) * 1971-03-22 1973-08-10 Tukiem Trust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Förderung von Mörtel od.dgl.
US3875970A (en) * 1971-03-25 1975-04-08 Manostat Corp Tubing
AT317512B (de) * 1972-05-25 1974-09-10 Tukiem Trust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foerderung von moertel,beton od.dgl
NL7208620A (ko) * 1972-06-23 1973-12-27
JPS5232595Y2 (ko) * 1973-02-10 1977-07-25
DK140318B (da) * 1973-05-29 1979-07-30 Erik Bach Kyvsgaard Slangepumpe.
US4164223A (en) * 1977-08-04 1979-08-14 Munib Hamza I Surgical instrument
AU543083B2 (en) * 1980-12-13 1985-03-28 Daiichi Engineering Co. Ltd. Squeeze pu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56B1 (ko) * 2007-09-04 2010-01-1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정합식 플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75020B1 (en) 1986-10-08
US4632646A (en) 1986-12-30
KR830008055A (ko) 1983-11-09
WO1982002075A1 (fr) 1982-06-24
EP0075020A1 (en) 1983-03-30
US4492538A (en) 1985-01-08
EP0075020A4 (en) 1983-04-18
AU543083B2 (en) 1985-03-28
AU7899681A (en) 198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830B1 (ko)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US8360758B2 (en) Peristaltic pump
JPH0219671A (ja) ぜん動ポンプ
CN213360874U (zh) 一种轴承座的轴承限位装置
JPS5818584A (ja) スクイズポンプ
CN216175386U (zh) 一种双金属复合管用外管预处理装置
US3304757A (en) Machine for rolling arcuate sheet metal shapes
US4730993A (en) Squeeze pump
FR2277252A1 (fr) Pompe a tuyau souple
US3104792A (en) Wire pulling device
JPS5810188A (ja) スクイズポンプ
JPS588287A (ja) スクイズポンプ
JPS6133273Y2 (ko)
JPH0324593B2 (ko)
JPS5947157B2 (ja) スクイズポンプ
JPH0326887A (ja) チューブ回動装置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類移送用ポンプ
JPH06280749A (ja) チューブポンプシステム
CN216555730U (zh) 一种管内锁紧结构
CN110125262B (zh) 一种冷弯成型器
CN214516882U (zh) 一种双胶圈插口钢环用型钢矫直装置
JPS58158389A (ja) スクイズポンプ
JP2548564Y2 (ja) 圧送装置
JP2001263267A (ja) スクイズポンプ
JP2859425B2 (ja) 絞り出し式ポンプ
JPH0211330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