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056B1 - 정합식 플랜지 - Google Patents

정합식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56B1
KR100937056B1 KR1020070089534A KR20070089534A KR100937056B1 KR 100937056 B1 KR100937056 B1 KR 100937056B1 KR 1020070089534 A KR1020070089534 A KR 1020070089534A KR 20070089534 A KR20070089534 A KR 20070089534A KR 100937056 B1 KR100937056 B1 KR 10093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s
embossed portion
presen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488A (ko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0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체결하는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통상의 가스켓 없이 음각부와 양각부가 상호 정합하면서 가스켓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한 정합식 플랜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합식 플랜지는 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마주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한 쪽의 플랜지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된 양각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플랜지에는 상기 양각부에 대응하는 음각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들을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면 상기 양각부가 상기 음각부에 정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플랜지, 관, 가스켓, 음각부, 양각부, 소성변형, 정합

Description

정합식 플랜지{A Conformity Type of Flange}
본 발명은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체결하는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통상의 가스켓 없이 음각부와 양각부가 상호 정합하면서 가스켓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관(1)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관(1)의 끝단에 플랜지(3)를 용접 고정하고, 상기 플랜지(3)를 상호 맞대응한 상태에서 플랜지(3)의 볼트체결공(3h)에 볼트(7)를 체결하여 관(1)을 연결한다. 그리고 관(1)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플랜지(3)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랜지(3) 사이에 가스켓(5)을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가스켓을 플랜지 사이에 위치함으로서, 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플랜지 사이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가스켓을 플랜지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가스켓을 구비하여야 하고, 또 가스켓을 플랜지에 부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가스켓을 보관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가스켓 필요없이 바로 플랜지를 대응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로 관을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 정합식 플랜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합식 플랜지는 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마주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한 쪽의 플랜지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된 양각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의 플랜지에는 상기 양각부에 대응하는 음각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들을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면 상기 양각부가 상기 음각부에 정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각부의 끝단은 뾰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각부는 환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합식 플랜지는 가스켓 필요없이 플랜지를 대응시킨 상태에서 바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여 공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합식 플랜지는 가스켓이 필요치 않아 경제적이며, 또한 가스켓을 별도로 관리 보관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합식 플랜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합식 플랜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합식 플랜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랜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의 끝단에는 플랜지(100a, 100b)가 용접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100a, 100b)는 관(1)의 둘레 즉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볼트체결공(105)이 형성된다.
한편, 마주하는 두 개의 플랜지(100a, 100b) 중 어느 한 쪽의 플랜지(100a)에는 마주하는 면에 양각부(101)가 원주를 따라 환형의 형태로 돌출되고, 다른 한 쪽의 플랜지(100b)에는 상기 양각부(101)가 삽입될 수 있는 음각부(103)가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플랜지(100a, 100b)를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상호 접하도록 위치하면 상기 양각부(101)가 음각부(103)에 정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 쪽의 관(1)을 회전시켜 플랜지(100a, 100b)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05)들이 연통되게 한다.
그리고 연통된 볼트체결공(105)에 볼트(110)를 삽입하고 볼트(110)의 단부에 너트(111)를 체결한 후 조인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플랜지(100a)에 형성된 양각부(101)가 다른 한 쪽의 플랜지(100b)에 형성된 음각부(103)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110) 체결된다. 따라서 플랜지(100a, 100b)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각부(101)의 끝단이 뾰족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양각부(101)의 끝단이 뾰족하게 되면, 볼트(110) 체결하는 과정에서 너트(111)를 조임에 의해 발생하는 체결력에 의해 뾰족한 양각부(101) 끝단이 음각부(103)의 바닥에 접하면서 소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양각부(101)의 끝단이 소성변형함으로써, 두 플랜지(100a, 100b) 사이의 밀폐성은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랜지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합식 플랜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합식 플랜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랜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관 100a, 100b : 플랜지
101 : 양각부 103 : 음각부
105 : 볼트체결공 110 : 볼트
111 : 너트

Claims (3)

  1. 관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호 마주하게 위치하는 플랜지에 있어서,
    상호 마주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한 쪽의 플랜지에는 끝단이 뾰족한 양각부가 원주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고, 다른 한 쪽의 플랜지에는 상기 양각부에 대응하는 음각부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들을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면 상기 양각부가 상기 음각부에 정합되며, 체결력에 의해 양각부의 뾰족한 끝단이 음각부의 바닥에 접하여 소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식 플랜지.
  2. 삭제
  3. 삭제
KR1020070089534A 2007-09-04 2007-09-04 정합식 플랜지 KR10093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534A KR100937056B1 (ko) 2007-09-04 2007-09-04 정합식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534A KR100937056B1 (ko) 2007-09-04 2007-09-04 정합식 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488A KR20090024488A (ko) 2009-03-09
KR100937056B1 true KR100937056B1 (ko) 2010-01-15

Family

ID=4069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534A KR100937056B1 (ko) 2007-09-04 2007-09-04 정합식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1184A (zh) * 2014-01-22 2014-05-14 南通爱慕希机械有限公司 一种油管接头
KR102044512B1 (ko) * 2018-01-22 2019-11-13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용 접지장치
CN115773384B (zh) * 2022-11-11 2023-09-22 天津百诚阀门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硬密封耐磨球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830B1 (ko) * 1980-12-13 1985-06-15 다이이찌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830B1 (ko) * 1980-12-13 1985-06-15 다이이찌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스퀴이즈 펌프(squeeze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488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056B1 (ko) 정합식 플랜지
KR200410284Y1 (ko) 상수도용 가스켓
KR20090099621A (ko) 배관연결구
US20150028581A1 (en) Saddle for a branch connection
KR20140085042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512370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o링식 편수관 연결 조립체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JP2019120379A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KR200197322Y1 (ko)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JP4149036B2 (ja) 管体フランジ部漏洩補修機構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CN2441008Y (zh) 管道堵漏装置
KR101569921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CN214579512U (zh) 一种高压法兰盘与高压管道连接节点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200283812Y1 (ko) 이음관 및 이음관 연결기구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