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621A - 배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621A
KR20090099621A KR1020080024714A KR20080024714A KR20090099621A KR 20090099621 A KR20090099621 A KR 20090099621A KR 1020080024714 A KR1020080024714 A KR 1020080024714A KR 20080024714 A KR20080024714 A KR 20080024714A KR 20090099621 A KR20090099621 A KR 20090099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opper
packing
connector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588B1 (ko
Inventor
최용제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5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을 연결할 때 연결구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볼트가 동일한 깊이로 체결되도록 하며, 패킹의 일측을 이중단부로 형성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압륜(10), 스토퍼(20), 패킹(30), 연결관(40) 및 결속링(50)으로 구성되며, 압륜(10)과 연결관(40)에 상기 스토퍼(20)와 패킹(30)을 내삽한 후 볼트체결하여 결합하고, 결합후 상기 압륜(10)의 내경으로 돌출된 스토퍼(20)의 일측에 결속링(50)을 체결하여 완성한다.
배관, 배관연결구, 스토퍼

Description

배관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연결시에 연결구가 비틀어져서 체결작업이 난해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구를 결속하기 위해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다수개의 볼트가 동일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을 위해 내삽되는 배관을 이중으로 결속하여 배관연결구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배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배관연결구는 통상적으로 프렌지가 형성된 관형태로서 내부에 수밀을 위한 패킹을 내삽하고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하여 결속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체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프렌지상에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때 각각의 볼트가 조여지는 깊이가 달라서 배관연결구의 비틀리게 되어 고압을 요하는 경우 연결구의 이음부분에서 누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수밀을 위내 내삽되는 패킹은 단순히 배관의 외경에 밀착하는 형태로 결속되기 때문에 수밀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배관의 일측부분을 내삽할 때, 패킹이 연결구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배관연결시에 연결구가 비틀어져서 체결작업이 난해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배관연결구의 체결시 다수개의 볼트가 동일한 깊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밀을 위해 내삽되는 패킹이 내삽되는 배관의 일측 외경과 밀착력을 높여 수밀을 유지하며, 배관의 삽입시 연결관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압륜(10), 스토퍼(20), 패킹(30), 연결관(40) 및 결속링(50)으로 구성되며, 압륜(10)과 연결관(40)에 상기 스토퍼(20)와 패킹(30)을 내삽한 후 볼트체결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압륜(1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봉(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배관연결시 압륜(10)과 연결관(4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가이드봉(110)의 일측에 결합표시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동일한 깊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에 내삽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30)의 일측은 이중단부(310)으로 형성하여 배관연결시 내삽되는 배관의 외경에 밀착하여 수밀을 유지하며, 내삽되는 배관에 의해 연결관(4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 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0)는 압륜(10)과 연결관(40)이 체결될 때, 압륜(10)의 내경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10)와 상기 걸림돌기(21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연결관(40)에 내삽되는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조임돌기(220) 및 결속링(50)을 결속하기 위한 홈(2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배관연결시 배관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동일한 깊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수밀을 위해 내삽되는 패킹의 일측을 이중단부로 형성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패킹이 내삽되는 배관에 밀려 깊숙이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의 결속을 위하여 스토퍼를 이중으로 결속하게 되어 배관연결구에서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는 압륜(10), 스토퍼(20), 패킹(30), 연결관(40) 및 결속링(50)으로 구성되며, 압륜(10)과 연결관(40)에 상기 스토퍼(20) 및 패킹(30)을 내삽한 후 볼트체결하여 완성한다.
상기 압륜(10)에는 볼트(60)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다수개의 볼트구멍(120) 및 압륜(10)이 체결될 때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며,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110)이 형성되어 있다.
내경에는 스토퍼(20)가 내삽된다. 상기 스토퍼(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10)는 압륜(10)의 내경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는 결속링(5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210)가 압륜(10)의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돌출된 부분에 결속링(5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는 내삽되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속링(50)을 체결함으로써 스토퍼(20)의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0)의 일측은 연결관(40)에 내삽되는데, 상기 연결관에 내삽되는 스토퍼(20)의 조임돌기(220)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압륜(10)과 연결관(40)을 결속할 때, 가압되어 연결관(40)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직경이 작아지게되어 내삽되는 배관의 외측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는 연결관에 내삽되는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속링(50)과 함께 이중으로 배관을 결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0)의 내주면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내삽되는 배관이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30)은 내삽되는 배관의 수밀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20)에 의해 가압되어 수밀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압륜(10)과 결합되는 연결관(40)은 양측에 프렌지(410)를 형성하고 있으며 압륜(1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0)과 가이드봉(120)에 대응하는 연결구멍(4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 일측에는 내삽되는 상기 스토퍼(20)와 패킹(30)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연결구는 연결관(40)의 내부에 패킹(30)과 스토퍼(20)를 차례대로 삽입하고 압륜(10)과 연결관(40)을 볼트체결하여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패킹(30)과 스토퍼(20)의 내경에 배관을 위한 관의 일부를 삽입하고 압륜(10)을 연결관(40)에 볼트체결하게 된다. 이때 압륜(10)이 연결관(40)과 결합하면서 상기 스토퍼(20)를 연결관(40)쪽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가압되면 연결관(40)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절개된 부분이 조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여지면서 삽입된 관의 외경을 결속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20)가 연결관(4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킹(30)을 가압하게 되어 내경에 삽입된 관의 외주면과 밀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압륜(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연결관(4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륜(10)은 연결관(50)과 볼트체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볼트구멍(120)과 가이드봉(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40)은 양측면에 프렌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렌지(41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연결구멍(4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토퍼(20), 패킹(30)의 경사진 외주면과 접하게 되며, 경사면의 일측에는 상기 패킹(30)의 이중단부(310)가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륜(1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20)은 연결관(40)의 일측에 형성된 프렌지(4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420)과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볼트(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110)은 압륜(10)이 배관연결 작업시 비틀어져서 체결작업이 난해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10)의 외측면에는 결합표시선(115)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일정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작업자가 상기 결합표시선(115)을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볼트체결의 깊이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압륜(10)이 고른 깊이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봉(110)도 또한 상기 연결구멍(420)에 삽입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토퍼(20)와 패킹(30)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배관의 결속을 위한 스토퍼(20)와 배관연결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30)은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경에 배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내주면이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0)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부분이 개방된 링형태 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연결관(40)의 내부에 내삽되어 연결관(4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직경이 작아지게되어 배관의 외주면과 결속한다. 상기 스토퍼(2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210)와 조임돌기(220) 및 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210)는 압륜(10)이 연결관(40)과 결합할 때, 압륜(10)의 내경으로 돌출되며, 상기 홈(230)에 결속링(50)이 결속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홈(230)과 접하며 걸림돌기(210)의 반대측에는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연결관(4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측 경사면과 접하는 조임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돌기(220)의 외측 경사면은 상기 연결관(40)의 내측 경사면과 접하며, 압륜(10)이 연결관(40)과 결속되며 연결관(40)쪽으로 가압하여, 연결관(40)의 내측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며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내삽되는 배관을 압박하며 결속된다. 또한 상기 조임돌기(220)는 압륜(10)의 내주면에 접하며 걸리게 되어 압륜(10)이 연결관(40)쪽으로 밀착하게 되면 압륜(10)에 의해 연결관(4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패킹(30)은 외주면이 경사진 링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단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에 형성된 이중단부(310)는 연결관(40)에 내삽되어, 상기 스토퍼(20)에 의해 연결관(40)쪽으로 가압될 때, 상기 연결관(4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430)과 접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이중단부(310)는 연결관(4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이중단부(310)중 일측단부는 걸림턱(430)의 경사면에 의해 내삽된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는 내삽되는 배관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관(40)의 내주면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0)와 패킹(30)의 외주면과 접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관(40)의 내주면은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게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스토퍼(20) 및 패킹(30)이 이동하면서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20) 및 패킹(30)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내경에 내삽되는 관을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40)의 내측에는 패킹(30)의 일측에 형성된 이중단부(310)와 접하는 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30)은 연결관(40) 내주면의 동일원주상에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압륜(10)에 의해 패킹(30)이 가압되면 이중단부(310)가 접하게 되어 연결관(4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중단부(310)의 일측단부가 걸림턱(430)의 경사면을 따라서 배관의 외주면쪽으로 밀착하여 수밀성을 높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의 일측단부를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내경에 내삽하여 연결하게된다. 이때, 배관의 외경은 압륜(10), 스토퍼(20), 패킹(30)의 내경에 차례대로 삽입되고, 상기와 같이 배관(70)을 내삽한 패킹(30) 및 스토퍼(20)는 연결관(40)에 내삽되며, 상기 압륜(10)과 연결관(40)을 볼트체결하여 결속하게 된다. 상기 압륜(10)과 연결관(40)을 체결하게되면, 압륜(10)에 의해 스토퍼(2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스토퍼(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10)와 홈(230)의 일부분이 압륜(10)의 내경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된 홈(230)에 결속링(50)을 체결하여 스토퍼(20)의 걸림돌기(210)측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내삽되는 배관을 결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0)와 반대측에 위치한 조임돌기(220)는 연결관(40)의 내측에 내삽되고, 상기 연결관(40)의 내측 경사면과 조임돌기(220)의 외측 경사면이 접하게 되어 압륜(10)과 상기 연결관(40)과의 결속을 위해 밀착시키게 되면 조임돌기(220)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어 내삽된 배관을 이중으로 결속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압륜(10)에 의해 스토퍼(20)가 가압되고 배관을 결속하게되며, 상기 스토퍼(20)가 가압되어 연결관(40)의 경사진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패킹(30)을 가압하게 되어 내삽된 배관(70)의 외경과 밀착하게 됨으로써,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다수개의 배관을 결속함으로써 관로의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압륜(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 연결관(5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토퍼(20)와 패킹(30)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배관연결구의 활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륜 20 : 스토퍼
30 : 패킹 40 : 연결관
50 : 결속링 110 : 가이드봉
115 : 결합표시선 120 : 볼트구멍
210 : 걸림돌기 220 : 조임돌기
230 : 홈 310 : 이중단부
410 : 프렌지 420 : 연결구멍
430 : 걸림턱

Claims (6)

  1. 관로공사를 위하여 배관의 일부분을 내삽하고 결합할 수 있는 배관연결구에 있어서, 배관연결시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볼트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체결작업시 압륜(10)과 연결관(4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봉(110)과 체결을 위한 볼트를 삽입하는 볼트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는 압륜(10);
    상기 압륜(10)의 내경으로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10)와 홈(230)의 일부가 돌출되고, 걸림돌기(210)의 반대측으로 조임돌기(220)가 형성되며, 내삽되는 배관을 결속하기 위한 스토퍼(20);
    상기 스토퍼(20)와 접하며 내삽되는 배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위한 패킹(30);
    상기 압륜(10)과 결합되며, 상기 압륜(10)의 볼트구멍(120)에 대응하는 연결구멍(420)이 형성된 프렌지(410)를 양측면에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20)와 패킹(30)을 내삽하고, 압륜(10)과 볼트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연결관(40); 및
    상기 압륜(10)의 내경으로 돌출된 스토퍼(20)의 홈(23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속링(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10)의 외측면에는 압륜(10)과 연결관(40)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때, 작업자가 각각의 볼트체결의 깊이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압륜(10)이 연결관(40)에 고른 깊이로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결합표시선(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태로서, 조임돌기(220)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은 일측에는 이중단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의 내측에는 상기 패킹(30)의 이중단부(310)중 일측단부가 걸리게 되어 패킹(30)이 연결관(4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의 내주면 일측에 는 상기 스토퍼(20), 패킹(3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구.
KR1020080024714A 2008-03-18 2008-03-18 배관연결구 KR10097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14A KR100976588B1 (ko) 2008-03-18 2008-03-18 배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714A KR100976588B1 (ko) 2008-03-18 2008-03-18 배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621A true KR20090099621A (ko) 2009-09-23
KR100976588B1 KR100976588B1 (ko) 2010-08-18

Family

ID=4135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14A KR100976588B1 (ko) 2008-03-18 2008-03-18 배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934B1 (ko) * 2019-08-08 2019-11-22 이문승 배관 연결구조
KR102084618B1 (ko) * 2018-08-29 2020-03-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힌 혈관을 진강으로 진입하면서 혈전을 제거하는 기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489B1 (ko) 2017-09-14 2020-02-03 주식회사 한도금속 파이프 결속용 커플링 조립체
KR102013248B1 (ko) 2017-09-29 2019-08-22 이철중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KR20210046188A (ko) 2019-10-18 2021-04-28 이철중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KR102162670B1 (ko) 2019-12-24 2020-10-07 최승호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230161628A (ko) 2022-05-19 2023-11-28 권태윤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20230172164A (ko) 2022-06-15 2023-12-22 권태윤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20240003080A (ko) 2022-06-30 2024-01-08 권태윤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0484U (ja) 1982-05-10 1983-11-14 太田 良三 押輪形ゴム輪付パイプ継手
JPS62188688U (ko) 1986-05-21 1987-12-01
KR200299151Y1 (ko) 2002-09-12 2003-01-03 김선호 관 이음장치
KR200359265Y1 (ko) 2004-05-25 2004-08-16 주식회사 에스피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18B1 (ko) * 2018-08-29 2020-03-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힌 혈관을 진강으로 진입하면서 혈전을 제거하는 기구 장치
KR102047934B1 (ko) * 2019-08-08 2019-11-22 이문승 배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588B1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588B1 (ko) 배관연결구
US7481464B2 (en) Coupling, particularly pipe coupling for high-pressure pipes or hoses
US4045060A (en) Pipe retainer joints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JP2015534016A (ja) パイプ継手
KR20110086691A (ko) 파이프 조인트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1021190B1 (ko)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JP6133762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KR100999881B1 (ko)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US11255470B2 (en) Heavy duty wing nut
KR200451092Y1 (ko) 체결이 용이한 환봉 지지형 연결구
KR100845953B1 (ko) 배관 연결구
CN200961763Y (zh) 一种液体管路的快速接头
JP2007132368A (ja) 管用栓とこれを用いた管端閉塞工法
KR200379077Y1 (ko) 플랜지
JP2005315384A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KR20120038742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KR101096118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
JP6305111B2 (ja) 分岐部の施工方法および分岐継手
JP5706720B2 (ja) 仮設配管用継手付樹脂管、仮設配管用継手付樹脂管の連結構造、仮設配管管路及び金属製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